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AO의 ASBU(Aviation System Block Upgrades) 추진 동향(1)

        박보미,김준혁,Park, Bomi,Kim, Jun-hyuk 한국항공운항학회 2016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4 No.2

        Development of air navigation and avionics technologies l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conventional ATM system had.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developed the Aviation System Block Upgrades (ASBU) initiative in order to harmonize global ATM planning and technology upgrades and urged to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for the member States. The ASBUs provide the road map to assist air navigation service provider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individual strategic plans and investment decisions. In this paper, the operational concepts in 2 performance improvement areas, Airport Operations and Globally Interoperable System and Data in ASBUs, have been summarized. In Airport Operations area the new management technologies and required systems are presented for optimizing the traffic flow in airport area and terminal airspace. Data format standards and required systems presented for information integration and usage of the new system under Globally Interoperable System and Data area.

      • KCI등재
      • KCI등재

        센서 네트워크에서 연속적인 개체 추적을 위한 동적 직사각형 영역 기반 협동 메커니즘

        박보미(Bomi Park),이의신(Euisin Lee),김태희(Taehee Kim),박호성(Hosung Park),이정철(Jeongcheol Lee),김상하(Sang-H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8

        센서 네트워크에서 개체 검출과 추적에 관한 기존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사람, 동물, 차량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일(individual) 개체들에 대한 검출과 추적을 하기 위한 방법에만 관심을 가질 뿐, 독가스, 생화학물질 등과 같은 연속적인 개체들을 검출하고 추적하는 프로토콜들은 많지 않다. 이러한 연속적인 개체들은 어느 지역에 계속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광범위한 지역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단일 개체들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많은 센서노드들에 의해 검출되고 센싱되는 데이터들은 중복적이고 서로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역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하여 데이터를 보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연속적인 개체들을 검출, 추적하고 모니터링(monitoring)하기 위한 동적인 직사각형 영역에 기반한 연속적인 개체 추적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하나의 연속된 개체가 차지한 지역이 포함된 동적인 직사각형 영역을 구성하고, 영역에서 하나의 대표 노드가 연속된 개체를 검출하는 센서 노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한다. Most existing routing protocols for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oncentrate on finding ways to detect and track one and more individual objects, e.g., people, animals, and vehicles, but they do not be interested in detecting and tracking of continuous objects, e.g., poison gas and biochemical. Such continuous objects have quite different properties from the individual objects since the continuous objects are continuously distributed across a region and usually occupy a large area. Thus, the continuous objects could be detected by a number of sensor nodes so that sensing data are redundant and highly correlated. Therefore, an efficient data collection and report scheme for collecting and locally aggregating sensing data is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ntinuous Object Tracking Mechanism based on Dynamic Rectangle Zone for detecting, tracking, and monitoring the continuous objects taking into account their properties.

      • KCI등재

        국제질병부담연구의 복합질환 고려 위한 방법론 고찰

        박보미 ( Bomi Park ),신윤희 ( Yoonhee Shin ),박혜숙 ( Hyesook Park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2

        연구목적 : 만성질환 유병률의 증가와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하여 한 개인에게 두 개 이상의 질환이 동시에 이환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복합만성질환의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인구집단에서의 질병부담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복합 질환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연구방법 : 이번 연구에서는 장애보정생존년수를 측정하는 국제 질병부담(GBD) 연구에서 복합질환을 고려하여 질병부담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 : 초기 GBD 연구에서는 질병부담 산출시 복합질환을 질환 전반에 걸쳐 고려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GBD 2010연구부터 발생률 접근법이 아닌 유병률 접근법을 도입하고 질환(cause) 중심 접근에서 ‘질환(cause) - 후유증(sequela) - 건강상태(health state)’ 중심 접근으로 전환하면서 비치명적 건강상실을 의미하는 장애로 인한 건강년수의 상실 계산시에 복합질환을 보정하기 시작했다. 가상의 대상자가 각 sequela에 독립적 확률로 노출된다고 가정하고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총 20,000명의 가상의 대상자를 생성하였다. 2개 이상의 질환에 동시에 이환된 대상자의 장애가중치는 배가적 모델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장애가중치 값을 해당 조합을 이루는 각각의 sequela에 배분하여 복합질환 상태가 보정된 장애가중치 값을 구하였고, 보정된 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장애로 인한 건강년수의 상실의 보정된 값을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을 1,000번 반복하여 불확실도를 산출하였다. GBD 2013 연구부터는 더욱 안정된 값 산출을 위하여 가상 대상자수를 40,000명으로 증가시켰다. 결론 : 복합질환을 보정하여 질병부담을 산출하는 방법이 발전되어 왔으나 더 정확하게 질병부담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비독립적 복합 이환을 보정할 수 있는 모델 개발 및 복합 이환 상태의 장애가중치 산출방법 개선을 위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겠다. Objectives : As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two or more diseases in the same individual, is increasing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echnological advances, and improvements in medical care and public policy, accounting for multimorbidity in the calculation of disease burden is becoming more important.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advances in methods to adjust for multimorbidity i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GBD) study. Results : The first GBD study introduced a single measure to quantify the burden of diseases called disability-adjusted life year (DALY), which is a sum of years of life lost (YLL)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 The approaches for GBD study have been improved continuously, and since 2010 the GBD study adopted a prevalence based approach rather than an incidence based approach to calculate the YLDs, and the YLDs have been adjusted for comorbidity. To adjust for multimorbidity, GBD 2010 study ran a Monte Carlo simulation of 20,000 individuals based on the assumptions of independent probability and the multiplicative function for the combined disability weight. To capture uncertainty, 1000 different micro-simulations were run. The combined disability weight was distributed proportionately to all comorbid sequelae, and the average of these adjusted values across all simulants with a particular sequela produced the adjusted YLDs. The number of simulants has increased to 40,000 since GBD 2013 study to produce more stable values. Conclusion : More research to incorporate dependent comorbidity into the simulation and reduce uncertainty from disability weight should be conducted to adjust for multimorbidity more accurately.

      • 센서 망에서 하이브리드 구조를 이용하는 연속적인 개체 검출 및 추적

        박보미(Bomi Park),박수창(Soochang Park),이의신(Euisin Lee),김상하(Sang-H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D

        무선 센서 망에서 방사능, 산불 등과 같은 연속적인 개체의 경계를 검출, 추적하기 위한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 개체 경계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 둘째, 정보 수집의 효율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반 구조 구성에 관한 에너지 효율이다. 하지만, 현재 연속적인 개체의 경계 검출 및 추적에 관한 연구들은 동적인 구조를 통하여 정보 수집의 효율성만을 고려하거나 정적인 구조를 통하여 기반 구조 구성에 관한 에너지 효율만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안들은 가장 중요한 정확한 정보 수집과 신속한 전달에 관하여 깊이 고려하지 않으며 또한 구조적 특성에 종속적인 개체 변화에 따른 구조 재구성 오버헤드와 전송 지연(동적 구조), 구조 관리 및 유지에 관한 오버헤드(정적 구조)등의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하이브리드 구조에 기반한 연속적인 개체 검출 및 추적 방안을 제안한다. 하이브리드 구조는 2계층 격자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위 기반 구조는 빠른 연속 개체 검출 및 추적을 위하여 정적 구조로서 성긴 격자를 구성한다. 그리고 정보 수집의 정확성과 통신 효율을 위하여 상위 정적 격자 내부에 세밀 격자 구조를 동적으로 구성한다. 즉, 제안 방안은 정확성, 전송 지연, 전송 및 에너지 효율에 관한 세가지 목적 모두를 만족시킨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접종취약 계층별 예방접종 미접종 사유

        박보현 ( Bohyun Park ),한혜진 ( Hye-jin Han ),김남은 ( Nam-eun Kim ),박보미 ( Bomi Park ),이선화 ( Sun-hwa Lee ),이혜아 ( Hye-ah Lee ),최희정 ( Hee-jung Choi ),조수진 ( Su-jin Cho ),박혜숙 ( Hyesook Park )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3

        연구목적: 이번 연구는 접종취약 계층별 우리나라 아동 예방접종 미접종 사유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질병관리본부에서 통합, 관리 중인 일반적 미접종자(1,669명의 16,383건) 및 사회적 취약계층 데이터베이스(371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수집한 텍스트 자료(60건)를 사용하여 미접종 사유의 빈도 및 퍼센트를 산출하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으로 미접종과 관련하여 높은 빈도로 언급된 핵심 단어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일반 아동에서 미접종의 주요 원인으로 ‘해외 거주’가 55.1%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접종 거부가 26.4%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취약계층에서의 미접종 사유로는 ‘연락두절’, ‘건강상의 이유로 접종지연’, ‘해외거주’, ‘출국’ 순으로 높았다.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한 키워드 분석에서는 ‘아토피’, ‘피로’, ‘알레르기’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감기’, ‘페렴 구균’, ‘수두’ 등 질병과 관련된 단어가 많이 언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터넷 커뮤니티를 자료에서는 ‘백신’, ‘바이러스’, ‘부작용’ 등의 단어가 접종을 기피하는 주요 원인으로 많이 언급되었다. 결론: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아동 예방접종률 향상을 위해서는 표적 미접종 집단별 맞춤형 중재 전략이 필요하며, 각 계층에서 예방접종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을 진단하고, 개인 수준에서 신념 및 행동 변화를 가져올 근거 기반의 다수준 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arriers to childhood vaccination in three different groups (general population, socially vulnerable group, internet community). Methods: We constructed a database of the unvaccinated management system that was integrated and manag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We also analyzed internet community data generated by people who decided against vaccination.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visualize the main keywords derived from the barriers set by the guardians of unvaccinated children. Res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more than 50%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living outside of Korea’ is the main cause of non-vaccination. In the same group 26.4% refused vaccination. In the socially vulnerable groups, the top ranking reason for refusal were ‘not contacted’, ‘delayed vaccination for health problem’, ‘overseas residence’ and ‘departure’. In the internet community analysis, vaccine safety, unnecessary of vaccine and freedom of choice were the main reasons for refusing vaccination. Keyword analysis was used to visualize the analysis result more intuitively. The analysis highlighted main keywords such as 'atopy', 'fatigue', 'allergy', 'cold', 'pneumococcus', 'chicken pox'. Conclusion: In conclusion, tailor-made strategies for target populations would be needed to improve overall vaccination rates for the various vulnerable group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each vulnerable group who decided against immunization. An evidence based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to bring about belief and behavioral changes at the individual level, based on the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immunization in each group.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ality and limited resources of Korea's medical system, the most cost effective vaccination policy should be planned.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 간 의사소통 관계

        유현정(Yoo, Hyunjung),김관희(Kim, Kwanhee),이하정(Lee, Hajeong),박보미(Park, Bomi),박수빈(Park, Subin),박주희(Park, Juhui),박진희(Park, Jinhui),반민주(Ban, Minjoo),임지현(Lim, Jihyun),박준후(Park, Junhoo),이예은(Lee, Yee Eun) 한국농촌간호학회 2019 한국농촌간호학회지 Vol.14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cultural capacit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0 students in colleges of nursing from 6 universities in C city,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2.0. Results: Cultural sensitivities in this study (r=.372, p<.001), cultural knowledge (r=.399, p=.001), cultural awareness (r=.547, p<.001), and cultural technology (r=.550, p<.001) ea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einforcement of the cultur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in-depth exploration of the cultural area and religious inspection, cultural and professional backgrounds, assessment and consideration of cultural characteristics, nursing diagnosis, and health appropriate to the cultural background.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such as service provision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 KCI등재후보

        의원급 국가암검진기관 질 관리 현황

        이혜원,박보미,한규태,허은영,전재관,최귀선,서민아,Lee, Hyewon,Park, Bomi,Han, Kyu-Tae,Her, Eun Young,Jun, Jae Kwan,Choi, Kui Son,Suh, Mina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20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urrent quality control (QC) practices of primary care clinic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NCSP) in Korea. Methods: A nationwid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the primary care clinics participating in the NCSP, which were selected by a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responding clinics and the scope of QC activities undertaken. A total of 360 clinics responded and the set of data was then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360 respondents, 332 (92%) reported that they were involved in the QC activities. Most frequently performed QC activities were 'maintenance of facility and instruments' (89%) and 'staff training' (85%). The analysis reveal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that there was an association between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clinics and the scope of QC activities. Thes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 diversity of QC practices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linics. The clinics screening more types of cancer, those with more screenees, and those with more employees were more likely to implement various QC activities including 'maintenance of facility and instruments', 'external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of screening data'. Conclus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QC activities conducted among primary care clinics participating in the NCSP.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policies on quality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primary care clinics in Korea. However, further studies encompassing various aspects of QC activities and management of primary care clinics are needed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in a concise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