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동박과 접착력 향상을 위한 폴리이미드 합성 및 접착특성 평가

        재연(Jae Yun Park),종현(Jong Hyun Park),유민(Yu Min Park),노균(No Kyun Park),김윤호(Yun Ho Kim),원종찬(Jong Chan Won) 한국고분자학회 2017 폴리머 Vol.41 No.5

        차세대(5G) 디스플레이의 발전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량이 점차 증가하므로, 신호전송이 빠른 대역대인 고주파 대역을 사용한다. 신호전송을 위한 회로는 동박과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뤄진 유연동박적층판(FCCL)이 사용되는데, 고주파는 표면으로 신호가 흐르므로 두 소재 사이의 계면 조도를 낮춰 경로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저조도 동박을 사용하면 동박과 폴리이미드 수지와의 접착 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박과 접착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폴리이미드 구조를 설계하고, 아민계 실란 기능기를 도입한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다양한 구조의 폴리아믹산은 pyromellitic dianhydride(PMDA), 3,3"4,4"-biphenyltetracarboxylicdianhydride(BPDA), 4,4"-(hexafluoroisopropylidene) diphthalic anhydride(6FDA)와 m-tolidine(mTB), 2,2"-bis(trifluoromethyl)-[1,1"-biphenyl]-4,4"-diamine(TFMB) 등의 조합으로 합성하여, 이를 동박에 코팅하고 이미드화하여 FCCL을 제조하였다. 접착력에 대한 특성은 다양한 폴리이미드 구조에 따른 박리 강도 시험과 분리된 계면에 대한 AFM, SEM, 접촉각 측정으로 상관관계를 비교 해석하여 확인하였다. Since the development in mobile display requires high data transmission speed, there is a growing need in the development of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FCCL)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at has a high signal propagation at high frequency range. The circuit for signal transmission uses FCCL which is composed of copper foil and polyimide film. The surface roughness of copper foil has to be low to reduce the pathway of signal because the current flows near the surface at high frequency range. However, such low roughness of the copper foil results in poor adhesion to polyimide, which is a problem that should be addressed. In this study, the poly(amic acid)s (PAAs) having various structures were synthesized and the silane functional group was introduced as end group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in the adhesion with the copper metal. Various polyimide structures were synthesized with the combinations of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4,4"-(hexafluoroisopropylidene) diphthalic anhydride (6FDA), 3-aminopropyltriethoxysilane (TEOS), 3,3",4,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BPDA), m-tolidine (mTB) and 2,2"-bis(trifluoromethyl) biphenyl-4,4"-diamine (TFDB). The synthesized PAAs were casted on the copper foil and were imidized for the fabrication of polyimide for FCCL.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polyimide and the copper foil was investigated by peel strength test and interfaci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with AFM, SEM, FTIR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

      • KCI등재

        한국 환상서사의 매체 통합적 장르 논의를 위한 서설

        유희 ( Yu Hee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1 No.-

        본고는 1990년대 이후 디지털 정보화의 패러다임 속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 환상서사를 효율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서설이다. 현재의 문화상황에서 ‘환상서사’는 우리에게 익숙한 세계의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사건이 발생하여 그 불가해함이니 비현실성이 텍스트의 끝까지 이어지는 이야기를 통칭한다. 그리고 환상서사를 함유한 문화 산물을 ‘환상물’이라 하며, 환상물 집합의 유형을 환상(서사)장르라고 부른다. 여기에는 SF, 공포물, 판타지와 같은 하위 장르가 포함되고, 그 범위는 출판된 소설이나 만화와 같은 활자매체를 비롯해 영화, 방송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매체,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을 통해 활성화된 웹소설, 웹툰 등에 이른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에서는 근대 이후 환상장르가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공포물이나 SF가 간헐적으로 제작되다가 1990년대에 이르러 환상물이 나오기 시작했다. 1990년대는 모든 매체를 중성화ㆍ표준화하는 디지털 기술이 보편화되며 세계적으로 정보혁명이 일어나고 기존 아날로그적인 경계의 해체가 가속화된 시기였다. 그러한 변화를 더욱 부추긴 것은 40여 년 동안 세계를 지배했던 냉전구도가 무너진 것이다. 이러한 세계정세는 분단국가인 한국의 정치경제뿐 아니라 사회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다방면에서 기존의 이분법적 경계가 의심받는 계기가 되었다. 현실과 비현실, 실재와 환영에 대한 질문을 전제로 하는 환상장르가 이 시기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것은 그러한 변화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000년대에는 ‘판타지’라는 이름으로 소설, 영화, 만화,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 창작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면서 매체 간 콘텐츠의 교류와 이동도 빈번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상장르에 대한 논의는 각 매체 별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상을 둘러싼 개념들에 대한 정의는 저널리즘 관습에 기대거나 서구 문학이론이 편의적으로 차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저널리즘의 용어 사용은 유동적인 것이고, 차용되는 문학 이론들은 동아시아 서사 전통 안에 있는 한국의 환상물을 설명하기에 부족한점이 많다. 또한 디지털 기반으로 문자, 영상, 소리가 중성화되고 그에 따라 매체의 경계 없이 콘텐츠가 합종 연횡하는 현재의 서사 상황을 설명하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환상서사의 역사적 맥락에서 문자서사와 영상서사를 함께 논의할 수 있는 통합적 환상장르의 틀을 구상하여 디지털 시대 한국 환상장르 연구의 발판을 마련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자서사를 대표하는 문학과, 영상서사를 대표하는 영화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환상서사에 대한 선행 논의를 검토했다. 그리고 선행 논의에서 반복되어 사용되는 환상장르의 개념 및 요건에 주목하여 환상서사의 공통분모로서 ‘재현적 시각성’과 ‘본질적 전도성’를 추출했다. 그리고 동서양에서 환상의 개념이 형성되어온 맥락과 전근대에서 근현대에 이르는 동안 시대에 따른 환상 담론의 차이와 맥락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문화상황을 고려하며 환상서사장르의 범주와 유형을 도출해 보았다.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스펙터클에 대한 욕망이 본격적으로 발현되며 마음속이나 그림책에서만 볼 수 있었던 온갖 신화와 영웅담이 영상을 통해 귀환하는 이 시대에는 ‘순수 기이환상적 기이환상적 경이순수경이’로 펼쳐진 환상서사의 스펙트럼에서 추리서사에 속하는 ‘순수 기이’와의 경계 영역부터 ‘순수 경이’에 이르기까지가 환상서사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이러한 환상서사는 사건이 발생하는 공간의 위치와 현실계(1차 세계)와 환상계(2차 세계)의 관계, 그리고 그 이야기가 현실과 맺는 관계에 따라 다시 분류될 수 있다. 우선 사건이 일어나는 위치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의 시공간이라면 그것은 현실계(1차 세계)에 속한다. 그렇지 않고 우리의 현실과는 다른, 자체의 자율적 질서로 움직이는 시공간이라면 그것은 환상계(2차 세계)에 속한다. 이 이야기들을 대할 때 수용자는 그곳에 나오는 낯선 질서나 규범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와 달리 현실계 안에서 현실계의 개연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현실계와 환상계의 자율적 원리가 분리되지 않는 가운데 혼동과 망설임이 유발된다. 이러한 경우는 대개 보편적 인식과 개인의 심리적 현실이 충돌하며 세계에 대한 인식에 균열이 생긴다. 현실계와 환상계가 맺는 관계, 환상계를 통해 유추되는 현실계에 대한 태도 등에 따라 환상서사 텍스트의 의미는 달라질 터인데, 그 문제는 장르론을 벗어나는 실천적 영역으로 차후의 과제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 마련한 환상서사에 대한 정의와 유형화는 세상의 모든 환상서사 텍스트를 귀납하고 있는 것이 아닌 만큼 모든 텍스트를 설명할 수도없을 것이다. 다만 최소한의 나침반이라도 가지고 텍스트에 접근할 때 동시대의 텍스트가 구성하는 공시적인 특징과 통시적 추이를 조망하며 텍스트의 좌표를 세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시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문화의 역동성에 대응하며 한국 환상서사장르의 지도를 그리는 데 작은 나침반이라도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efficiently discuss the fantastic narrative of South Korea, which has made explosive growth in the paradigm of digital informatization since the 1990s. As it is well-known, the fantasy genre did not develop years after the onset of modern times in South Korea, which led to the sporadic production of horror and SF works. It was only in the 1990s that fantasy works started to be produced. In the 1990s, the digital technology to neutralize and standardize all the media became universal and resulted in the information revolution across the globe. During the decade, the deconstruction of the old analogue boundaries gained momentum. The Cold War structure, which dominated the world for approximately 40 years, broke down, thus facilitating those changes further. Those circumstances of the world had huge impacts on the society and culture of South Korea as well as its politics and economy, creating an opportunity to doubt the old dichotomous boundaries across all the aspects. One of the resulting changes was the fantasy genre taking root during the period as it was on the premise of reality and unreality and also existence and apparition. Entering the 2000s, "the Fantastic Narrative" was created across many different media including novels, movies, cartoons, and dramas with frequent content exchanges and migrations between the media. In spite of those developments, however, the discussions about ‘the fantastic Narrative Genre’ have been separate among the media with the definitions of fantasy-related concepts depending on the journalism convention or borrowing from the Western literary theories conveniently. The journalistic terms are fluid, and the literary theories that have been borrowed from the West have many lacking aspects to explain the Fantastic Narrative Works of South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East Asian narrative tradition. They also have limitations with explaining the current narrative situation, in which the letters, images, and sounds are neutralized based on digital with the different forms of content being combined and intersected each other with no boundaries between the media. This study thus set out to devise an integrated framework of the fantastic narrative genre with which to discuss both the letter and image narrativ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South Korean fantasy narrative and build a foundation for research on the fantasy genre of South Korea during the digital era. The study first reviewed previous discussions about the fantastic narrative with a focus on literature representing the letter narrative and movies and dramas representing the image narrative. Focusing on the concepts and requirements of the fantastic narrative repeated used in the previous discussion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representative visibility" and "essential conductivity" as the common denominators of the fantastic narrative. With the two elements as the minimum coordinates, the investigator also identified the categories and types of the fantastic narrative genre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in which the concept of ‘the Fantastic’ was formed both in East and West and the differences and contexts of ‘the Fantastic’ discourse from the pre-modern times to the modern times. ‘The fantastic narrative’ refers to the stories that depict unrealistic events, which cannot be explained with the familiar laws of the worl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en cultural products have such a type of stories, they are called ‘the fantastic narrative works’. the fantastic narrative undergoes stereotyping according the location of space where events take place, relations between the stories and readers, an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tories and reality. Further stereotyping can be possible according to the media of representation and conventional genre classification. The sub-types, however, do not belong to the upper-types exclusively. In today``s era of digital multimedia, the media of representation can be fused together to no limits with the conventional genres being fluid and hybrid, which raises a need to leave the system open. Performing those operations, the investigator was able to witness the dynamics of current culture that cannot be embraced with the old theories of the fantastic literature and felt a need for theoretical works to make flexible reactions to such cultural situations. Such attempts as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map of fantasy narrative genre in South Korea and provide a reference framework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ulture.

      • KCI등재

        논 문 : 안동호에서의 수은의 물질수지 연구

        유미 ( Yu Mi Park ),진주 ( Jin Ju Park ),이민도 ( Min Do Lee ),허인애 ( In Ah Huh ),유석민 ( Suk Min Yoo ),김은희 ( Eun Hee Kim ),석광설 ( Kwang Seol Seok ),김영희 ( Young Hee Kim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5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8 No.4

        Mercury mass balance was investigated in Lake An-dong, located in the upper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o assess the status of mercury pollution by measuring mercury inputs and outputs of the lake. The parameters for mercury input estimation included atmospheric wet deposition (0.52 kg/yr), dry deposition (0.20 kg/yr), river inflow (16.93 kg/yr) and diffusion from lake sediments (0.64 kg/yr). The mercury inputs totaled 18.29 kg/yr, and 92.5% of this total input was attributed to river inflow from the upper stream. Mercury outputs were measured in evasion (0.14 kg/yr), lake outflow (1.92 kg/yr) and sedimentation (45.77 kg/yr), and the total mercury output was estimated to be 47.83 kg/yr. The imbalance between the inputs and outputs of mercury was 29.54 kg/yr, which suggests that there are other missing inputs of mercury to Lake An-dong such as river input during heavy rainfalls and tributary inflow.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영아의 언어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미(Park, Yu mi),길명자(Gill, Myeong ja),안연경(Ahn, Youn K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 프로그램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아의 발달과 흥미에 적합한 11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문학 활동 목표를 기준으로 이해 및 감상하기, 비평하기, 창작하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전시에 위치한 영아전담 어린이집 2세반 실험집단 영아를 대상으로 8주간 주 3회씩 총 24회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영아의 언어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프로그램이 영아의 언어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literary activity program using picture book o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To examine this, literary activities included using 11 books suitable to the infants' stage of development and interests, as well as focusing on three different literary activities, namely appreciating, criticizing and recreating the books. The subjects were 2 year olds at an infants only child care institute in Daejeon City. Tests ran from August 6th to September 28th 2012,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us, a total of twenty-four tests were undertaken. The results for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literary activities use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fants' language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In conclusion, the infant'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ed by using picture books in literary activities implement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아동에서 개에 의한 안면부 교상의 외과적 처치

        세찬(Se Chan Park),정현(Hyun Jung),요유근(Yu Keun Oh),조용기(Yong Ki Jo),소광섭(Kwang Sob So),홍주(Hong Ju Park),오희균(Hee Kyun Oh),유선열(Sun Youl Ryu)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9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5 No.2

        Although today most injuries of face and head are the result of traffic accident, dog bites are a cause of facial injuries in children. In recent years, general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concerning the surgical treatment of facial dog bite injuries in children. Contrary to past beliefs, primary closure of selected bites produces the best outcome for patients without increasing the risk of infection. Special attention is attached to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 about management of facial dog bite injuries and guidelines for effective and rational treatment with review of a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multiple facial dog bite injuries treated surgically by primary closure of the wound and secondary revision with rotation flap after excision of partial necrotic tissue. 아동에서 개에 의한 안면부 교상의 치료시 과거에는 감염의 위험 때문에 일차봉합술을 시행하지 않았으나 오늘날에는 일차봉합술을 추천하고 있다. 안면부 교상의 이차 치유시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반흔이 발생하므로, 많은 악안면성형외과의사들은 최선의 기능적 및 심미적 결과를 얻기 위해 감염이 적은 교상에서는 12시간 내에 일차봉합술을, 그리고 심한 안면부 교상이나 조직 결손시에는 피부이식이나 유경피판을 이용한 일차재건술을 추천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개에 의한 안면부 다발성 교상을 주소로 응급실을 통해 본과에 내원한 3세 남아에서 파상풍 예방접종과 예방적 항생제 투여 및 일차봉합슬을 시행하였고, 부분적 괴사조직의 절제 및 국소 회전피판을 이용한 이차 수정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정상 및 저산소 배양에서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의 조직 생존에 대한 연구

        세나 ( Se Na Park ),이유선 ( Yu Sun Lee ),심인숙 ( In Suk Shim ),이수윤 ( Soo Yoon Lee ),미혜 ( Mi Hye Park ),김승철 ( Seung Cheol Kim ),수연 ( Soo Yun Park ),전선희 ( Sun Hee Ch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연구목적: 최근 자궁-태반 간 순환 감소로 인해 유발되는 만성적인 저산소증으로 인한 태반의 손상이 전자간증 또는 자궁 내 태아 성장 지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지면서 저산소 상태에서의 태반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을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배양하고, 조직의 생존 여부와 그 정도를 평가하여 봄으로써 태반 저산소증에 대한 시험관내 (in vitro) 실험 연구에 있어서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을 이용한 배양 실험 기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원 산부인과에서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임신 37주 이상 정상 임산부의 태반 조직 9예를 대상으로 태반융모이식편을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72시간 동안 배양 후 광학현미경 관찰, 배양 후 시간 간격 (0, 6, 12, 24, 48, 72시간)에 따른 젖산 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측정에 의한 생화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세포고사 (apoptosis)를 나타내는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ling (TUNEL) 분석을 실시하여 조직 생존 여부와 그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H&E 염색된 절편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시간에 따른 배양 후 세포 통합성의 소실은 관찰되지 않았다. 젖산 탈수소효소 분석에 의해 측정 비교된 9개의 태반 이식편의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의 배양 후 시간 별 평균 조직 생존률은 52.3∼67.6%로 나타났으며,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의 태반융모이식편의 조직 생존률은 두 군 모두 배양 후 24시간까지는 61.2∼67.6%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세포고사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TUNEL 결과,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의 두 군의 배양 후 시간별 모든 샘플에서 음성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시험관내 실험 연구에 있어서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을 이용한 배양실험 기법은 전자간증, 자궁 내 태아 성장 지연, 조기 진통 등 태반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산과적 질환의 발생 기전을 규명하는 데 유용한 연구 기법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의 조직 생존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Objective: In vitro study systems for research of placental hypoxia are needed, among which human placental villous explant culture technique under experimentally variable condition is commonly used. So we performed this study to assess the viability of placental villous explant i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that can provide validity for that system. Method: Placental villous explant tissues obtained from 9 cases of normal term pregnancies were incubated in normoxic (20% O2) and hypoxic (2~5% O2) condition for 72 hours. The viability of tissue was evaluated morphologically by microscopic examination and biochemically by LDH assay at variable time interval (0, 6, 12, 24, 48, 72 hours). The apoptosis of the tissue was assessed by TUNEL assay. Result: By light microscope, all of H&E stained placental explant tissue sections i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showed intact villous integrities without definitive syncytial sloughing and fibrinoid necrosis as time elapsed. Tissue viability of LDH assay during 6, 24, 48, 72 hours of placental villous explants showed over all 52.3~67.6% and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Tissue viability in both groups maintained 61.2∼67.6% for the first 24 hours and eventually decreased with time. TUNEL assay showed over all negative findings i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at different time periods. Conclusion: In vitro human placental explant culture system can be a useful and feasible technique for research of placental hypoxia which is related to development of obstetrical complications such as preeclampsia, intrauterine fetal growth restriction and preterm labor and so on. But our in vitro placental explant system needs some modification in culture condition and technique for maximizing viability of the tissu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또래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과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미(Park Yu-Mi),최인숙(Choi In-Sook),김은아(Kim Eun-Ah)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또래간 신체활동을 통하여 영아의 사회?정서 및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어린이집 2곳의 만 2세 영아 26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을 실험집단의 영아 13명에게 16주 동안 1주일에 2번씩 총 32회 실시하였다.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초기 활동은 개별 활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점차 짝과 함께하는 2인 활동, 소집단활동으로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은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발달영역 중 신체운동, 사회-의사소통, 사회-정서 영역, 인지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infant's physical activities with peers at the age of 2 and its influences on their socio-emotional behavior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26 children of two childcare centers,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13 children are observed twice a week for 16 weeks; 32 times.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individual activity, couple activity and group activity,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identify that the phy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have positive impacts on thei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In terms of developmental areas, physical mobility, socio-communicative skills, socio-emotional aspects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infant's peer interaction.

      • 영아의 또래간 신체활동이 또래상호작용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미 ( Yu Mi Park ),안진경 ( Jin Kyeong Ahn ) 한국지역발전학회 2010 지역발전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만2세 영아의 또래간 신체활동을 통하여 영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어린이집 2곳의 만2세 영아 26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을 실험집단의 영아 13명에게 16주 동안 1주일에 2번씩 총 32회 실시하였다.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초기 활동은 개별 활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점차 짝과 함께 하는 2인 활동, 소집단 활동으로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또래간의 신체활동은 영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발달영역 중 자조발달을 제외한 신체운동, 사회-의사소통, 사회-정서 영역, 인지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infant`s physical activities with peers at the age of 2 and its influences on their peer inter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26 children of two child-care centers,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13 children are observed twice a week for 16 weeks; 32 times.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individual activity, couple activity and group activity,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identify that the phy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have positive impacts on their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In terms of developmental areas, physical mobility, socio-communicative skills, socio-emotional aspects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infant`s peer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