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사료용 다수성 총체밀 품종 ‘청우’

        김경훈(Kyeong-Hoon Kim),서재환(Jae-Hwan Seo),박태일(Tae-Il Park),한옥규(Ouk-Kyu Han),박기훈(Ki-Hun Park),송태화(Tae-Hwa Song),박종철(Jong-Chul Park),박철수(Chul-Soo Park),강천식(Chon-Sik Kang),박형호(Hyoung-Ho Park),박남건(Nam-Gun Pa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지 Vol.47 No.3

        “Cheongwoo”, a white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Kanto75/8/Tapdong/4/Bb#1/Jangkwang//STRAMCHO/3/Suwon220/5/Suwon185/ CI12703//Kanto75///Suwon219/7/F1277” and “Keumkang” in 1998 at RDA. “Keumkang” is a semi-hard white winter wheat with high yield. And mother plant is a winter wheat with long culm length, high yield. “Cheongwoo” was evaluated as “Iksan326” in Advanced Yield Trial Test in 2007. It was tes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test between 2008 and 2009. “Cheongwoo” is first whole crop wheat with long culm length, high-yield. The Heading date of “Cheongwoo” was similar to “Keumkang”. The average forage yield of “Cheongwoo” was about 14.8 ton ha-1 in dry matter in paddy field. This dry matter was higher than dry matter of “Keumkang” (13.2 ton ha-1). The cultivar had 97 cm of culm length, 1,070 spikes per m2 and it showed better rate of culm. Culm length of “Cheongwoo” were longer than “Keumkang”.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10°C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Our research will improve good-quality of silage by using winter cereal crops.

      • KCI등재

        말방목 부실초지의 목초생산성 향상 연구

        김영진,송상택,황경준,김시현,박남건,Kim, Young Jin,Song, Sang Taek,Hwang, Kyung Jun,Kim, Si Hyun,Park, Nam G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말 방목에 따른 초지 부실화 및 이용연한이 짧아진 초지에 대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오차드그라스+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 경운초지(paddock No.39)과 보파초지조성(paddock No.44) 및 톨 페스큐 단파 경운초지(paddock No.64)를 조성한 후 2016년과 2017년에 거쳐 목초율,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초비율은 No.64가 2016년 81%, 2017년 75%로 No.39 67% 및 60%, No.44 58% 및 54%보다 최대 21%나 높았다. 연평균 건물생산량은 No.64구가 13,234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No.39, No.44로 각각 10,636kg/ha 및 10,235kg/ha 순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No.39(갱신혼파) 12.16%로 가장 높았고, N0.44(보파혼파)와 No.64(톨 페스큐 단파)가 각각 10.75%와 10.73%를 보였다. NDF함량(2년평균)은 No.44구가 55.90%로 No.64 및 No.39 각각 58.42%와 57.00%에 비해 다소 낮았다. ADF함량(2년 평균)은 No.44구가 NDF함량과 동일한 경향인 31.07%로 No.39 및 No.64 각각 31.71% 및 32.65% 보다 낮았다. P의 함량(평균값)은 No.44 및 No.64구가 0.29%로 No.39 0.27% 보다 높았고, K 함량은 2.23%~3.83%의 농도를 보였으며 처리 간에는 No.44구가 2년 평균 3.0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No.39와 No.64가 각각 3.01% 및 2.81%를 보였다. Ca함량(2년 평균)은 No.39구가 0.28%로 가장 높았고 No.44구 및 No.64구가 각각 0.26% 및 0.22%를 보였다. Mg함량(2년평균)은 No.39구가 0.26%로 No.44 및 No.64구 0.22%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Na함량(2년평균)은 No.64, No.44 및 No.39구에서 각각 0.03%, 0.05% 및 0.063% 순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연도 간에는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목초의 영양가치면에서는 갱신혼파(No.39)가 높았으나 목초 구성률 및 생산성을 고려하면 톨 페스큐 단파구(No.64)가 바람직한 것으로 났다. In this study, we created grassland establishment(paddock No.39), grassland improvement(Paddock No.44), and tall fescue seeding(paddock No.64), and the rate botanical composition, DM yield, nutritive value were examined through 2016 to 2017. The rate of botanical composition was 81% in 2016, 75% in 2017, up to 21% higher than No.39 67%, 60%, No.44 58% and 54%. The annual average DM yield was the highest at 13,234kg/ha in the district, followed by No.39, No.44, followed by 10,636kg/ha and 10,235kg/ha,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at No.39 12.16%, with No.44 and No.64 showing 10.7%, respectively. NDF content (average for two years) was 55.90% in No.44 and No.39, slightly lower than 58.42% and 57.00%, respectively. The two-year ADF average content was 31.07% for the same trend as the NDF capacity in the No.44, below 31.71% and 32.65%, respectively. To sum up the results, Although there was a high level of incentive sowing plot(No.39) in nutritive value, considering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pasture, it is also deemed desirable to have a tall fescue plot(No.64).

      • KCI등재

        부실초지 갱신초지에서의 말 방목이용에 관한 연구

        김영진,송상택,황경준,김시현,박남건,Kim, Young Jin,Song, Sang Taek,Hwang, Kyung Jun,Kim, Si Hyun,Park, Nam G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부실초지를 갱신을 통해 목초율, 목초생산성 및 방목에 의한 증체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목개시전인 1차(5.11) 조사 시에는 No.64구가 목초비율 81%로 가장 높았으며, No.39 71%, No.44 65% 순이었다. No.64구를 제외하고는 2차 및 3차 조사 시 목초율이 55%내외로 비교적 낮았다. 연가 총 건물생산량은 No.44가 13,459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No.64 및 No.39로 각각 13,232kg/ha, 12,042kg/ha의 생산성을 보였으나 오차드그라스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구인 No.44구와 No.39구는 하고현상 등으로 인해 2차 조사 이후 급격한 수량감소를 보였다. $10,000m^2$ 당증체량은 No.39구가 70kg으로 No.64 및 No.44 각각 47.5kg과 36.2kg을 큰 격차를 보였으나 일당증체량은 No.39와 No.44는 각각 1.09kg과 1.08로 거의 같은 증체량을 보였고 No.64도 1.03kg의 일당증체량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rate of botanical composition, dry matter yield and liveweight gain of horse by renewing low productive pasture. According to the first survey (5.11) before grazing, No.64 was the highest at 81%, followed by No.39 71%t and No.44 65%. For the second and third surveys, the rate of pasture was relatively low, except for No.64. Annual total DM production was the highest at No.44 13,459 kg/ha, then with No.64 and No.39, productivity was 13,232kg/ha and 12,042kg/ha, respectively. No.44 and No.39, the confluence of orchardgrass and perennial ryegrass, showed a sharp decline because of summer depression after the second survey. The livestock growth rate per 10,000 square meters was 70kg, compared with 47.5kg and 36.2kg, respectively. The daily livestock gains in No.39, No.44, and No.66 was 1.09 kg, 1.08 kg and 1.03 kg, respectively.

      • KCI등재

        질소시비 수준 및 재생기간이 톨페스큐와 버뮤다그라스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박형수(Hyung Soo Park),황경준(Kyung Jun Hwang),박남건(Nam Gun Park),김영준(Young Jun Kim),정하연(Ha Yeon Jeong),조남철(Jo Nam Chul),고문석(Moon Suck K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1

        본 시험은 질소시비 수준과 재생기간이 톨페스큐와 버뮤다그라스의 지방산 조성과 버뮤다 그라스의 사초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제주출장소 시험포장에서 2006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톨페스큐의 식물체내 지방산 조성은 팔미틱산 (C16:0), 리놀산 (C18:2)과 리놀렌산(C18:3)이 총지방산의 87 (N-0), 88 (N-50), 88 (N-100)%를 차지하였으며 질소시비수준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재생기간이 길어질수록 리놀렌산 (C18:3)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리놀산 (C18:2)은 다른 지방산과 달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의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지방산 조성은 팔미틱산 (C16:0)이 톨페스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리놀산 (C18:2)과 리놀렌산 (C18:3)은 톨페스큐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리놀산 (C18:2)과 리놀렌산 (C18:3)은 톨페스큐와 달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는 질소시비수준이 높고 재생기간이 증가할수록 건물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소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재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톨페스큐와 버뮤다 그라스의 지방산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확 후 재생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남으로서 초지를 활용한 CLA 증진 축산물을 생산시 가급적 수확 후 재생기간이 짧은 어린 목초를 이용할 수 있는 초종별 적정 예취시기와 방목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 각 초종별 계절 및 생육단계가 목초 내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itrogen (N) application level and regrowth period on the fatty acid (FA) concentration and forage production of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 and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L.) Pers.). N was applied at 0, 50 and 100 kg/ha, and swards were cut after regrowth periods (15d, 30d and 45d).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FA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FA composition of tall fescue contains a high proportion (87~88%) of total FA contents as palmitic (C16:0), linoleic (C18:2) and linolenic acid (C18:3). The FA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N application, but a longer regrowth period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composition of linolenic acid (C18:3) and increased those of linoleic acid (C18:2). The FA composition of bermudagrass was not affected by N application, but a longer regrowth period significantly (p<0.001) decreased the composition of linoleic (C18:2) and linolenic acid (C18:3). Linoleic and linolenic acid of tall fescue were higher than those of bermudagrass. Dry matter (DM) yield of bermudagrass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N application level and regrowth period. DM yield was higher at high N application and was higher at longer regrowth period. The crude protein concentration was higher at high N application and was low at longer regrowth period.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increases dry matter (DM) yield and crude protein (CP) content of bermudagrass. These studies demonstrate opportunities to affect the FA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A in forage through management strategies, which could affect milk FA composition.

      • KCI등재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온누리"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지희정,이상훈,김기용,최기준,박남건,이기원,Ji, Hee Chung,Lee, Sang Hoon,Kim, Gi Yong,Choi, Gi Jun,Park, Nam Gun,Lee, Ki 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1

        전국에서 1978년부터 1992년까지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5 계통을 집단 교배하여 생산된 합성종자를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이 수행되었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성 시험으로 천안, 평창, 진주 및 제주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2011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28호를 신품종 "온누리"로 명명하였다. 온누리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온누리의 월동 전 및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담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중간이며, 상부절간장이 길고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16일로 표준품종인 암바 보다 5일이 빨랐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0cm로서 암바 보다 5cm 길었다. 내습성과 내병성은 온누리가 암바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으며, 녹병은 온누리가 암바 보다 강한 편 이었다. 온누리의 ha당 건물수량은 14,775 kg으로 암바 보다 18% 많았고, 특히 제주지역에서 증수하였다. 온누리의 사료가치는 암바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온누리는 다수성인 중생종 계통으로, 특히 습해 및 내병성에 강하고, 건물 생산성이 많은 품종으로 초지 및 양질 조사료 생산을 위한 우수한 품종이다. "Onnuri"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ultivar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1. To develop the new variety of orchardgrass, 5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Onnuri"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09 to 2011, and regional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Pyeongchang, Jinju and Jeju from 2009 to 2011, respectively. "Onnuri" showed medium type growth habit in fall and spring, and medium in length of flag leaf and long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Onnuri" was 5cm more than that of the standard cultivar, "Amba" and the heading date was 5 days earlier than that of Amba (16th May).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Onnuri"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Amba, Especially, dry matter yield of "Onnuri" (14,775 kg/ha) increased by 18% compared to that of Amba (12,523 kg/ha). Nutritive values appeared to be similar in both varieties.

      • KCI등재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 및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 평가

        박형수(Hyung Soo Park),박남건(Nam Gun Park),김종근(Jong Gun Kim),최기춘(Ki Choon Choi),임영철(Young Chul Lim),최기준(Gi Jun Choi),이기원(Ki-Won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을 위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생육 특성 및 사초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 시험포장 (해발 200 m)에서 2007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영년생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제주 자생형 (Ecotype)" 품종과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을 2007년 4월 22일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일은 5월 8일로 파종 후 16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수기는 버뮤다그라스 Common은 5월 28일, 바이하그라스 Tifton 9은 7월 4일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3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Common이 16,749 ㎏/ha으로 Ecotype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에 있어서는 Tifton 9이 23,695 ㎏/ha으로 Argentine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 Ecotype이 13.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27.9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 (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5.48%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각각 70.90%, 70.44%로 두 초종이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는 월동이 가능하여 여름철 조사료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지하경과 포복경을 가지고 있어 말의 제상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방목용 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Bermudagrass cultivars evaluated were Common and Ecotype. Bahiagrass cultivars evaluated were Tifton 9 and Argentine. Two warm season grasses were established at the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in spring 2007. Emergence of bremudagrass and bahiagrass was observed approximately 16 days and 28 days after seeding, respectively. The heading dates of bermudagrass and bahiagrass were on 26 May and in mid-July, respectively. Bermudagrass cultivars had higher dry matter (DM) than bahiagrass at first harvest. Dry matter yield of bahiagrass was higher than that of bermudagrass (p<0.05). Peak forage DM production of bermudagrass and bahiagrass cultivars was in June and July,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ility nutrient (TDN) of bermudagrass cultivars were higher than those of bahiagrass during the first harvest.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were similar across the four cultivars. In Jeju, bermudagrass and bahiagrass provide a useful option for supplemental summer forage in most livestock forage systems.

      • KCI등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 2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지희정,최기준,이상훈,김기용,이기원,박남건,이은섭,Ji, Hee Chung,Choi, Gi Jun,Lee, Sang Hyun,Kim, Ki-Yong,Lee, Ki Won,Park, Nam Gun,Lee, Eun Sup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1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극조생종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팜 2호는 2 배체 작물로 엽은 녹색이며, 월동 전 초형은 반직립형, 봄의 초형은 직립형이다. 그린팜 2호는 4월 28일경에 출수하는 극조생종 품종이다. 또한, 그린팜 2호는 플로리다 80 보다 지엽폭이 0.6 mm 넓고, 지엽의 길이가 1 cm 짧으며, 출수기의 초장은 94 cm로 플로리다 80 보다 1 cm 정도 작다. 줄기 두께는 플로리다 80 보다 0.7 mm로 굵고 이삭 길이는 플로리다 80 보다 2.2 cm 짧았다. 그린팜 2호의 건물수량은 11,452 kg/ha로서 플로리다 80과 대등하였다. 그린팜 2호의 상대적 사료가치는 플로리다 80이 97인데 비해 그린팜 2호는 114로 월등히 높고 in vitro 소화율이 70.6%,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3.9%로서 플로리다 80 보다 각각 1.6, 2.8% 높았고, 산성세제불용섬유(ADF)와 중성세제 불용섬유(NDF)는 31.7 및 52.6%로서 플로리다 80 보다 각각 3.5% 및 6.4% 낮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breed an early maturing varie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 the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from 2009 to 2011. A new variety, 'Green farm II' is a diploid with green leaves and has a semi-erect growth habit in late autumn and erect growth habit in early spring, respectively. 'Green farm II' was on the $28^{th}$ of April in the heading date as an early-maturing variety. 'Green farm II' was also wider by 0.6 mm in flag leaf width, shorter by 1 cm in flag leaf length and shorter by 1 cm in plant length than those of the control variety, 'Florida 80', respectively. 'Green farm II' was thicker by 0.7 mm in stem thickness and strong in winter hardness. Dry matter (DM) yield (11,452 kg/ha) of 'Green farm II' was similar to that of 'Florida 80'.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Green farm II' were 70.6%, 63.9%, and 114% higher than those of 'Florida 80', respectively.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f 'Green farm II' were 31.7% and 52.6% which were 3.5% and 6.4% lower than those of 'Florida 80', respectively.

      • KCI등재

        방목초지에서 우분 퇴비 시용이 목초생산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황경준(Kyung Jun Hwang),고서봉(Seo Bong Ko),박형수(Hyung Soo Park),박남건(Nam Gun Park),고문석(Moon Suck Ko),김문철(Moon Chul Kim),송상택(Sang Teak Song)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2003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의 기존 혼파 방목초지(해발 200m)에서 실시 하였으며 방목 혼파초지에 우분퇴비 시용에 따른 사초생산성 및 토양 개선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화학비료 단용구, 우분퇴비 단용구, 화학 및 우분퇴비의 시용수준, 화학비료와 퇴비의 연차별 교호시용 등의 처리를 두어 우분퇴비 시용이 혼파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토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간 총건물수량을 비교해보면 시험1년차에는 T1처리구가 11,342㎏/㏊, 시험2년차에는 T5처리구가 13,468 ㎏/㏊, 3년차는 T6처리구가 10,724 ㎏/㏊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평균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가 11,486 ㎏/㏊으로 가장 높은 건물생산성을 보였지만 처리 간 유의성은 없었다. 처리별 토양성분 변화는 퇴비구에서 화학비료구 보다 유효인산, 유기물 함량 등이 증가를 보임으로서 토양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목초의 식생구성율은 처리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봄철에는 화본과가 다소 높다가 여름철이 지나면서 두과와 잡초의 비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03 to 2005 at crop field of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RDA, in Jeju. The treatment consisted of chemical fertilizer 100%(CF 100%, T1), cattle manure 100%(CM 100%, T2), CF 50%+CM 50%(T3), CF 25%+CM 75%(T4), CM 100%(1st yr.)+CF 100%(2nd yr,)+CM(3rd yr)(T5), CM 100%(1st yr.)+CF 100%(2nd yr.)+CF(3rd yr.)(T6). The highest substitution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for cattle manure indicated that the highest yield(Avg. 11,169 kg/ha) obtained from CM 100%(1 yr.)+CF 100%(2 yr.) treatment. The forage yield of CM 100%(1 yr.)+CF 100%(2 yr.) was 4% more than CM 100% application whereas was 3% less than CF 100% application. Change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for applications of CF 100% and CM 100% was clearly in cattle manure application. Especially, cattle manure application in pasture were superior to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with respect to organic matter(OM, %), total nitrogen(T-N, %), and avaliable phosphorous(P₂O?, %) contents of soils. In this present study, cattle manure application recorded slightly lower forage yields than CF 100% application but the combined use of cattle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was attribute to reduction of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rate as well as maintaining soil health on long-term basis.

      • KCI등재

        제주지역 오차드그라스 및 톨 페스큐 혼파초지의 비축시기별 사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 변화

        채현석,김남영,우제훈,백광수,이왕식,김시현,황경준,박설화,박남건,Chae, Hyun Seok,Kim, Nam Young,Woo, Jae Hoon,Back, Kwang Soo,Lee, Wang Shik,Kim, Si Hyun,Hwang, Kyung Jun,Park, Seol Hwa,Park, Nam G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 혼파초지에서 비축 시기별(8월 1일, 15일, 30일) 으로 처리하여 11월 중순경(11.10~11.12)에 수확할 때 목초의 비축시기에 따른 생산량과 목초의 사료 가치 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목초 비축시기에 따른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 혼파초지(동량 혼파초지)의 건물수량은 8월하순구가 2,983.0 kg/ha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목초의 비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목초의 생산량도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조사료의 조단백질은 16.5~18.16%으로 목초 비축시기별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NDF와 TDN는 비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반면에 ADF 비율은 목초 비축시기가 감소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무기물의 변화는 비축기간이 증가할수록 P, Ca, Mg, Na, Zn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Mn, Cu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8월 초순부터 초지를 비축할 경우 고온으로 인한 생육 위축으로 목초의 수량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주도에서 가을철에 활용하기 위한 초지를 비축할 경우에는 8월 하순 이후에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tockpiled periods on the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of mixed orchardgrass tall-fescue pasture (MOTP).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Jeju (island), South Korea, from Sep. 2012 to Nov. 2012. The DM yield of the MOTP had the highest in treatment in late August (2,983 kg/ha). The DM yields of sward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shortening the stockpiled period. The CP of the MOTP was 16.5% to 18.16%, and there did not appear to be a consistent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of the stockpiled periods. The NDF and TDN content of the MOTP increased with the delay of the stockpiled period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hort- and long-stockpile periods; however, the ADF content of the MOTP decreased with shortened stockpile periods, but agai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In addition, P, Ca, Mg, Na, and Zn of MOTP increased by delaying the stockpile period, but Mn and Cu of MOTP decrease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yield of MOTP was not increased by the atrophy of the growth of MOTP due to high temperatures in case where the MOTP was stockpiled from the beginning of August. The stockpile period of MOTP should therefore be started at the end of August to yield a stockpile of MOTP in the autum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