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폐방선균증의 외과적 치료 -2례 보고-

        박경신,임승평,이영,Park, Kyung-Sin,Lim, Seung-Pyung,Lee, Yo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8 No.4

        Pulmonary actinomycosis is a chronic pulmonary infection characterized by suppuration, abscess formation, and dense scarring. The causative agent, Actinomyces israelii, is a gram-positive, microaerophilic bacterium that resemble fungi. We recently treated two cases of pulmonary actinomycosis. A patient was underwent right lower lobectomy under the impression of bronchiectasis. Pulmonary actinomycosis was diagnosed of postoperatively. He was medicated with high-dose penicillin parenterally. The other patient was also undergone right lower lobectomy under the impression of broncholithiasis and received parenteral penicillin and oral roxythromycin. There was no recurrence or development of empyem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of our experience and to enhance consideration of pulmonary actinomycosis.

      • 폐에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양의 세침흡인 세포소견 -1예 보고-

        박경신,이경지,이선미,이교영,심상인,강창석,이연수,Park, Gyeong-Sin,Lee, Kyung-Ji,Lee, Sun-Mi,Lee, Kyo-Young,Shim, Sang-In,Kang, Chang-Suk,Lee, Youn-Soo 대한세포병리학회 200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7 No.1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IMT), normally referred to as inflammatory pseudotumor, is a fairly rare conditio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of IMT has only rarely been reported. Here, we describe one such case of pulmonary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A 30-year-old man presented with a 2.8cm-sized mass in his lung. Chest CT revealed a well defined, poorly enhancing mass. FNAC showed some fascicular or swirled clusters of spindle cells, admixed with occasional inflammatory cells and foamy histiocytes. The majority of the tumor cells evidenced bland, elongated nuclei, but infrequent pleomorphic nuclei. Some of the tumor cells evidenced nuclear grooves and intranuclear inclusions. Although the cytological differentiation of IMT from malignant lesions is not immensely problematic, due to the general paucity of cytological and nuclear atypia, a definite cytological diagnosis of IMT cannot be rendered simply by FNAC. Therefore, a diagnosis of IMT may be suggested via exclusive diagnosis.

      • SCOPUSKCI등재

        원발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박경신,임승평,이영,Park, Kyung-Sin,Lim, Seung-Pyung,Lee, Yo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8 No.6

        Recently, primary lung cancer has increased markedly in incidence and prevalence in Korea. From January 1986 to June 1993, 86 patients were operated and evalu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79 males and 7 females with the peak incidence of 5th and 6th decades of life[75.6% . The age ranged from 13 to 76[mean 56.6$\pm$10.3 years. 2. Symptoms were cough[47.7% , sputum[25.6% , chest pain or dyspnea[18.6% , and hemoptysis or blood tinged sputum[20.9% in order. Symptoms were frequently encountered before hospitalization, but asymtomatic patients were 12.8% in this study. 3. Methods of diagnostic confirmatiom were bronchoscopic biopsy[55.8% ,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29.1% , suspicious sputum cytology[1.2% , and open biopsy[14.0% . 4. Histopathologically, squamous cell carcinoma[51.2% was the most frequent cell type and adenocarcinoma[26.7% , large cell carcinoma[8.1% , adenosquamous cell carcinoma[3.5% , and the others in order. And TNM stages were Stage I 40.5%, Stage II 15.5%, Stage IIIa 27.4%, and Stage IIIb 3.6%. 5. Methods of operation were pneumonectomy[25.6% , bilobectomy[5.8% , lobectomy[53.4% , segmentectomy[1.2% , and exploration[14.0% . The overall resectability was 86.0% 6.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3%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veloped in 7 cases[8.1% . 7. The postoperative follow-up reveals that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s at 1 year, 2 year, 3 year, 4 year, 5 year were 76%, 62%, 43%, 36%, and 27%, respectively.

      • 수기 액상세포검사 $Liqui-PREP^{TM}$의 세포보존력 평가 및 뇌척수액 세포검사에의 적용: 세포원심분리법과의 비교

        박경신,이경지,정찬권,이대형,조빈,이연수,심상인,이교영,강창석,Park, Gyeong-Sin,Lee, Kyung-Ji,Jung, Chan-Kwon,Lee, Dae-Hyoung,Cho, Bin,Lee, Youn-Soo,Shim, Sang-In,Lee, Kyo-Young,Kang, Chang-Suk 대한세포병리학회 2007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8 No.1

        Cerebrospinal fluid (CSF) cytology is an effective tool for evaluating diseases involv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but this technique is usually limited by its low cellularity and poor cellular preservation. Here we compared the manual liquid-base $Liqui-PREP^{TM}$ (LP) to the cytospin (CS) with using a mononuclear cell suspension and we applied both methods to the CSFs of pediatric leukemia patients. The cytopresevability, in terms of cell yield and cell size, and the clinical efficacy were evaluated. When 2000 and 4000 mononuclear cells were applied, LP was superior to CS for the cell yield, 16.8% vs 1.7% (P=0.001) and 26.2% vs 3.5% (P=0.002), respectively. The mean size of the smeared cells was 10.60 ${\mu}m$ in the CS, 5.01 ${\mu}m$ in the LP and 6.50 ${\mu}m$ in the direct smear (DS), and the size ratio was 1.7 (CS to DS), 0.8(LP to DS) and 2.1 (CS to LP),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cells in the DS, the cells in the C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but those in the LP were slightly shrunken. Upon application to 109 CSF samples, 4 were diagnosed as positive for leukemia (positive), 4 had atypical cells and 101 were negative by CS; 6 were positive, one had atypical cells and 102 were negative by LP. For six cases, in which 4 were positive for leukemia and 2 of 4 had atypical cells by CS, they were positive by LP and they were also confirmed as positive according to the follow-up study. Three cases diagnosed as atypical cells (two by CS and one by LP), were confirmed as negativ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P is superior to CS for the cytopresevability and for rendering a definite diagnosis of cerebrospinal fluid.

      • KCI등재

        모욕죄의 보호법익 및 법원의 현행 적용방식에 대한 헌법적 평가

        박경신(Kyung Sin Park),김가연(Khayeun Kim) 한국언론법학회 2011 언론과 법 Vol.10 No.2

        모욕죄는 통설과는 달리 외부적 명예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내부적 명예감정을 보호하는 것이다. 19세기 독일문헌에서 모욕죄가 ‘외부적 명예’를 보호한다고 한 것은 해당 언사의 내용이 대상자의 사회적 지위가 요구하는 경외심을 표명하지 않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지 대상자에 대한 제3자의 평가 즉 사회적 평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리고 20세기 들어와서 모욕죄를 사회적 지위를 가지지 않은 사람도 보호규범으로서 호명할 수 있도록 독일법원의 판례가 바뀌면서 ‘외부적 명예’와 ‘내부적 명예’의 구분은 없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더라도 이와 같은 모욕죄의 객관적 실체가 확인된다. 그런데 한 사람의 명예감정은 타인의 단순한 의견이나 감정의 표현에 의해서 쉽게 훼손될 수 있다. 교수가 학생에게 "C"라는 평가를 하는 것만으로도 학생의 명예감정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모욕죄는 명예감정을 보호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타인의 단순한 의견과 감정의 표명을 제한하게 된다. 이렇게 한 사람의 의견과 감정의 표명을 명예감정의 보호를 이유로 제약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 보호의 대원칙인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원리를 위배하는 것이다. 혐오죄의 보호법익인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자존감의 파괴는 표현의 자유 제약을 정당화하는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이 될 것이나 모욕죄는 이를 넘어서서 명예감정 전체를 보호영역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 원리를 위배하는 것이다. 물론 모욕죄는 모든 의견과 감정의 표명이 아니라 그 표명이 경멸적인 언사를 동원하여 이루어질 때만 적용된다. 하지만 무엇이 경멸적인 언사인지에 대해 대법원은 일관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법원은 화자의 경멸적인 태도가 담겨있는 거의 모든 언사들을 우선 범죄구성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인정한 후에 여러 가지 주변정황들을 근거로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무죄로 판시하는 2단계 방식의 판시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2단계방식은 명확성의 원칙을 위배한다. 우선 대법원은 경멸적인 태도가 담긴 모든 언사들을 범죄구성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보고 ‘사회상규’를 근거로 유무죄를 나눈다는 것은 ‘사회상규’가 위법성조각사유가 아니라 범죄구성요건으로 기능함을 뜻한다. ‘사회상규’가 범죄구성요건으로서는 명확성의 원칙을 위반한다. 또 명확성의 원칙은 표현의 자유 영역에서는 단순히 일반인들에게 무엇이 금지되는지를 통보하는 것을 넘어서서 일반인들이 무엇이 금지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종국적으로 합법적으로 판단될 표현을 자제하는 현상 즉 ‘위축효과’가 없을 것을 요구한다. 그렇다면 법원이 ‘사회상규’와 같이 애매모호한 기준으로 유무죄를 판단하는 것은 일반인들에게 ‘위축효과’를 발생시킨다. 혐오죄처럼 국가가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자존감의 보호를 위해 입법을 하는것은 당연하나 명예감정은 더 높은 차원에서 단순히 타인과의 비교를 매개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인데 이를 보호하는 것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의 명예감정의 보호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정당한 입법목적이 될 수 없다. 또 혐오죄는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자존감을 보호하기 위해 사회적 소수를 그 소수자의 차별과 핍박에 동원되었던 언사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하지만 모욕죄는 그렇지 않은 모든 언사도 처벌하기 때문에 침해의 최소성 원칙도 위배한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s to dismantle the prevailing theory in Korea that the crime of insult protects external reputation (external because the reputation is held by third parties the insulting speech is not directed at), not one"s inner pride. Thus defined, the crime of insult restricting one"s expression of feelings and opinions toward another violates the clear and present danger principle, unlike the crime of hate, which regulates only those expressions historically proven to cause clearly damaging discriminatory remarks. Even if the crime of insult is applied only to pejorative expressions, the Korean courts have not presented a viable definition of what pejorative expressions are. In particular, the Supreme Court has settled into a questionable practice of accepting broadly almost all circumstantially hostile remarks as satisfying the prima facie case of insult and exempting some of them on the ground of Article 20 of the Criminal Code, the defense of “customary social practices.” As a result, it is the amorphous phrase of ‘customary social practice’ that operates as the dividing line between guilt and no guilt, which therefore violates the void-for-vagueness doctrine. People, instead of being given a precise definition of insult, must deal with the concept of "customary social practice" in predicting what is prohibited. In such situation, they will suffer from the unconstitutional ‘chilling effect.’ Finally, the crime of insult violates the Korean-constitutional rule against excessive restriction. The goal of protecting one"s inner pride cannot qualify as legitimate. It is legitimate for the state to legislate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minimum dignity as in the case of hate crimes but one"s inner pride above the non-minimum level is mediated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s, and preventing such self-pride results in bias in favor of those with higher social statuses, and therefore is constitutionally unsustainable. Also, unlike hate crimes which target only those expressions historically commandeered for attacking and discriminating against minorities, the crime of insult punishes all perjorative remarks and therefore violates the rule of minimum restri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허위사실유포죄의 위헌성에 대한 비교법적인 분석

        박경신(Park Kyung Si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硏究 Vol.12 No.1

        허위사실유포죄는 국가가 허위와 진실을 구분하여 허위를 처벌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허위와 진실을 명백히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과학계에서도 허위는 명백히 식별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허위의 처벌은 진실의 처벌을 항상 동반할 수 있고 그 제도의 목표인 진실의 추구를 도리어 저해할 수 있다. 그리고 진실이나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 사람이 자기검열을 하도록 만드는 위축효과를 가져오며 허위에 대한 처벌은 그 처벌자인 국가가 체제유지를 위해 진실을 도리어 은폐하는 데에 남용될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명예훼손, 사기 등의 예와 같이, 특정할 수 있는 타인의 권리를 보호한다거나 부당한 이득의 취득을 방지하는 등의 특정될 수 있는 공익이 있을 때만 허위사실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이 허용된다. 또는 폭탄소문법과 같이 피해자가 특정되지는 않지만 명백한 기준에 따라 한정된 상황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명예훼손, 사기, 폭탄소문법과 같이 제한된 형태가 아닌 ‘허위’ 자체 또는 그 범위가 불분명한 ‘허위에 의한 공익의 훼손’에 대해 법적제재를 가하는 것은 그 제도가 촉발하는 위축효과, 진실 차단의 위험성 및 체제유지에의 남용가능성 때문에 과잉금지의 원칙을 위반한다. 또 허위사실유포죄의 구성요건인 ‘허위’와 ‘공익’은 형벌의 기준이 되기에 요청되는 명확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이와 같은 이론은 언뜻 표현의 자유의 보호범위에 벗어나 있는 것처럼 보이는 ‘명백한 허위’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명백한 허위’라고 할지라도 유용한 사회적 담론에 기여할 수 있으며 ‘허위’의 정의는 표현의 자유의 보호 범위에 벗어나는지에 대한 사전판단의 기준이 되기에는 ‘음란’, ‘명예훼손’ 등에 비해 너무 불명확하거나 한정이 어렵다.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유엔인권위원회 및 국제기구들은 오랫동안 허위사실유포죄의 폐지를 세계 여러 나라에 권고하여왔으며 1992년 캐나다, 2000년 짐바브웨 등의 최고법원들은 허위사실유포죄에 대해 위헌을 선언하였다. 현재 자유민주주의국가에서 허위사실유포죄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뿐이다. 유엔인권위원회와 캐나다대법원 모두 우리나라의 과잉금지의 원칙을 조금 더 엄격하게 변형한 형태의 심사를 통해 허위사실유포죄에 대해 인권법 위반 및 헌법 위반의 판단을 내린 점은 우리나라 헌법 실무에서 주목해보아야 한다. The crime of dissemination of false news distinguishes falsity from truth and punishes the former. However, a distinction between truth and falsity is difficult even in fields of science. Punishment on supposed falsity can always end up punishing truth and thereby contradict the purpose of the punishment, namely promotion of truth. The possibility of criminal punishment also chills into self-censorship those intending to present opinions or their good faith versions of truth. Also, criminal punishment presupposes entrustment of the punitive authority with the controlling regime, which may abuse its power in prolonging the incumbency. For these reasons, punishment on falsity itself is constitutionally permissible only when falsity is used as in the cases of defamation or fraud in infringing on the ascertainable rights of others or in making illegitimate gains, or exceptionally as in the case of bomb hoax laws where the harms of false news are clearly present. Punishment on falsity outside these limited circumstances where the protected public interest is clearly ascertained, chills otherwise truthful or opinion-like speech and risks punishing truth and being commandeered for regime prolongation, and therefore violates the constitutional ban on excessive restriction. Also, the elements of the crime, “falsity” and “public interest” do not meet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larity, required for any criterion of criminal punishment. These evaluations apply with equal force to the statements that are ‘obviously false.’ Even ‘obviously false’ statements contribute to useful social discourse, and unlike that of obscenity and defamation, the concept of falsity is too uncertain to operate as a criterion of selecting the types of speech that fall outside the purview of freedom of speech. For these reasons,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and other international bodies have for long recommended various countries to abolish the law punishing dissemination of false news and the highest courts in Canada and Zimbabwe struck down the law as unconstitutional in 1992 and 2000 respectively. Today, Korea remains the only liberal-democratic country maintaining such law. We should carefully note that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and the Canadian Supreme Court applied what looks like a modified form of Korea’s test of unconstitutionality, the ban on excessive restriction, to obtain the findings of violation and unconstitutionality.

      • KCI등재
      • 영상물의 제작에 있어서 시청각 자료 및 소품의 정당한 사용(fair use)의 범위

        박경신(Kyung-Sin Park) 세창출판사 2007 창작과 권리 Vol.- No.49

        The scope of fair use of copyrighted material is difficult to ascertain. Although scholars and practitioners point to four abstract factors such as the purpose of such use, the nature of the work using the material, the amount of the portion used, and the possibility of interfering with the market potential of the material being used, juggling these four factors has not produced a user-friendly guilde line that can be readily adopted and used by professionals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art world. This article attempts at establishing such guilde line, first by deconstructing the four factors from the empirical viewpoints ― namely, surveying how the weighing of the four factors actually play out in real cases ― and then by refining the central concept of transformative use again through the test of real cases. In this article, the author focuses on the scope of fair use as applied to the use of visual or audio-visual materials and set-dressing in production of audio-visual works such as films and television programs. The author arrives at a new practical definition of fair use, namely, using a copyrighted material for a purpose wholly different from the author's creative purpose to an extent narrowly tailored to that purpose.

      • KCI등재

        “인터넷 실명제”의 위헌성

        박경신(Park, Kyung-Sin)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3

        Korea's Law Regarding Promotion of U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 has implemented a mandatory limited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on the internet in order to provide deterrence against illegal contents or abusive remarks which can spread very quickly and broadly on the internet. However, this system is unconstitutional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in other countries, one's right to advocate his or views anonymously and thereby without fear of the authorities' oppression or social prejudices has been protected as a core part of freedom of speech, which is also protected under Article 21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 mandatory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also imposes a legal obligation (to verify their identities) on people for the sole reason that they engage in on-line writing, and thereby directly contradicts the mandate that one should not be penalized for exercising a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namely, freedom of speech). It imposes the obligation regardless of the contents or any incidental effects of the writing, and therefore lacks any justification either as a content regulation or a time, place or manner regulation. It provides for a penalty against the act of on-line writing pure and simple and is therefore unconstitutional. Secondly, the very obligation imposed on and thereby penalizing the person about to exercise the free speech right is an obligation to disclose one's identity. One's identity is private information until it is voluntarily disclosed by the owner of that identity and is therefore entitled to freedom from unreasonable search and seizure. In other words, compulsory disclosure of one's identity verification information is constitutionally permitted only upon the showing of probable cause. Now, Korea's mandatory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requires verification from all writings even the ones that have no likelihood of carrying an illegal content. Therefore, it violates Article 17 Freedom of Private Life. Thirdly, the identity verification requirement constitutes a discriminatory measure applied only against the internet and not against any other medium, and therefore discriminates against those intending to communicate through the internet. Fourthly, there seem to be no public necessities that justify the infringement on the basic rights discussed above. Supporters of the mandatory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point to facilitating the track-down of the authors of illegal content and deterring illegal content as the main justifications. However, the name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which are currently used as identity verification information, are used frequently for various other purposes and therefore obtainable by a non-frivolous number of people, who masquerade on-line as the holders of the names and numbers. Therefore, a proper track-down of the authors of illegal content inevitably requires IP-tracking, and therefore is not made easier by the system requiring registration of the identity verification information. Also, the system may appear to suppress illegal content but it also suppresses legal content, the authors of which may censor themselves from posting even legal content in fear of retaliation or prejudices, resulting in an unconstitutional ‘chilling’ effect. Fifthly, the mandatory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results in accumulation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coupled with names, which is exposed to the continuing risk of mass-scale leakages, which in turn makes possible massive identity thefts, which will then increase the posting of illegal content and abusive remarks, the goal that the system has tried to fight against. Sixthly, the system interferes with a proper accountability regime in the cyberspace, which can be made possible only by allowing all participants to comment on others freely and therefore anonymously as in the case of eBay. Seventhly and finally, Korea's real name system is part 현행 정보통신망법은 인터넷에서는 정보의 확산이 매우 폭넓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다른 매체에서는 부과하지 않는 실명제의 한 형태인 제한적본인확인제를 실시하여 인터넷 상의 ‘악플’ 및 불법정보에 대한 피해구제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악플’과 불법정보의 유통을 억제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위헌이다. 첫째 외국의 선진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익명으로 말할 자유는 권력자의 보복이나 사회의 편견을 피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하였으며, 표현의 자유의 핵심은 권력이나 주류사회에 무해한 표현을 할 자유가 아니라 이들에 대해 비판적인 표현이었다는 점에서 익명으로 말할 자유는 헌법 제21조의 표현의 자유의 본질적인 부분이며 실명제는 이를 침해한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글쓰기를 한다는 이유만으로 어떤 법적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기본권을 행사하였다는 이유로 제재를 받아서는 안된다는 헌법적 명령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 된다. 이 법적의무는 표현의 내용에 관계없이 그리고 온라인글쓰기의 부수적인 효과나 영향에 관계없이 부과되는 것이어서 이를 내용규제로도 방법적규제로도 정당화할 공익은 없다. 둘째 온라인글쓰기를 하려는 자에게 부과되는 법적의무의 내용을 살펴보면 자신의 신원을 공개하라는 내용이다. 한 사람의 신원은 자발적으로 공개하기 전까지는 사생활의 영역이며 그러므로 불합리한 압수수색으로부터 자유롭다. 즉 본인확인정보의 강제적 공개는 불법의 개연성(probable cause)나 최소한 형사소송법 제215조의 형사소송에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헌법적으로 용인된다. 우리나라의 제한적본인확인제는 특정 게시물의 불법의 개연성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신원공개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자유의 침해이다. 셋째 다른 매체에는 적용되지 않는, 헌법 제11조를 위반하는 불평등한 규제이다. 넷째 위와 같은 헌법상 기본권의 침해를 정당화할 수 있는 공익적 필요는 없다. 즉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알면 명의도용을 할 수 있는 사이버커뮤니티의 특성 상 불법정보에 대한 수사는 결국에는 IP주소와 피의자의 위치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수사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데 일조하지 못하고 있으며, 불법게시물을 줄이는 효용은 틀림없이 있지만 그만큼 합법적인 게시물들도 헌법적으로 금기시되는 ‘위축’ 및 ‘자기검열’효과에 의해 줄어든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정보통신망법과 관련없이 자발적으로 실명제로 운영되는 웹사이트에서 악플과 불법게시물이 많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은 운영자와 가입자들이 그와 같은 ‘위축’과 ‘자기검열’효과를 감수하겠다는 합의의 결과물이므로 헌법적 문제가 없어 정보통신망법 상의 강제적실명제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도리어 제한적 본인확인제를 통해 주민번호라는 중요한 개인정보가 집중적으로 축적되면서 사회 전체적으로는 개인정보 대량유출사고의 위험을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그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한 비용을 감수해야 하고, 위와 같은 개인정보의 대량유출사고는 아이러니하게도 사이버명의도용을 더욱 쉽게 하여 인터넷게시물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이와 같이 신뢰성이 떨어진 환경은 다시 제한적본인확인제의 도입목적이었던 언어순화에 도리어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여섯째, 언어순화 및 불법게시물의 억제에 필요한 것은 책임제이지 실명제가 아니다. 즉 국가가 주도하는 책임제가 아니라 다른 네티즌들이 자발적으로 불법게시물이나 악플을 올린 네티즌에게 보복을 자유롭게 또 익명으로 가하도록 함으로서 네티즌들이 책임을 통렬히 느끼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일곱째, 더욱이 우리나라는 전기통신사업법 제54조제3항을 통하여 수사기관이 영장없이 그리고 이용자에게 아무런 통보없이 제한적본인확인제를 통하여 취득된 각 인터넷게시물의 게시자의 이름 및 주민번호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위의 법조항은 헌법 제12조제3항의 영장주의의 침해에 해당되며 이는 제한적본인확인제의 헌법적 평가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