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 흡연경험과 우울 증상과의 관계: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박가윤,여혜정,강동연,임승용,이준용,문나연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5

        Background: Although the prevalence of e-cigarette smoking is increasing worldwide, the harmfulness of e-cigarette is not obvious. A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e-cigarette smoking i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irrespective of tobacco smoking.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that has addressed this issue in the general population to d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e-cigarette smok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cross-sectional study collected raw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and included 5,742 adults, who were ≥19 years and responded to the survey of smoking and mental health secti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f depressive symptoms by e-cigarette smoking experience and included sex,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level, self-rated health, activity restriction, obesity, tobacco smoking experience, alcohol drinking experience, and stress perception level as covariates.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edition. Results: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 in subjects was 5.6% (n=354) in total.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have used e-cigarettes (15.6%) than those without depressive symptoms (8.6%; P=0.001). The e-cigarette experienced group showed a higher risk of depressive symptoms (odds ratio, 1.71; 95% confidence interval, 1.004–2.924) than the e-cigarette unexperienced group. The result was adjust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variates. Conclusion: In Korean adult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cigarette smoking experience and depressive symptoms was observed. 연구배경: 전자담배는 일반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인식으로 일반담배의 금연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전자담배의 안정성 및유해성에 대해서는 결론지을 수 없으며 전자담배에 대한 접근성이높아지면서 새롭게 전자담배를 접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흡연자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자담배 사용이 우울 증상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사용경험 유무와 우울 증상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 중 흡연과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한 5,742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전자담배를 사용해본 적이 있는 대상자를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으로 선정하였고, 우울증 선별도구(PHQ-9)의 9문항 점수 합계 10점 이상을우울 증상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자담배 경험 유무에 따른 우울 증상의 교차비를 구하였으며,성별, 연령, 교육 수준, 결혼 여부, 가구 소득, 주관적 건강 상태, 활동제한 여부, 비만 유병 여부, 평생 흡연 여부, 평생 음주 경험, 평소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대해서 보정하였다. 결과: 전체 조사 대상자 중 우울 증상이 있는 비율은 5.6% (n=354)였고, 이 중 전자담배를 사용한 적이 있는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의비율은 15.6% (n=43)로 우울 증상이 없는 그룹의 8.6% (n=35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전자담배 경험군이전자담배 비경험군에 비해서 우울 증상이 있을 위험도가 1.71배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일반담배 흡연 경험 등우울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보정한 결과이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를 사용한 적이 있는 전자담배 경험군에서 우울 증상이 있을 위험도가 전자담배 비경험군에 비해 1.71배 높게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내 성인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 자료

        여혜정,박가윤,강동연,문나연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6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re are several international studies that suggest obese populationsare not likely to wear seatbelts when driving a car. Even though the rate of seatbelt use in Korean adults is 79.8%, which is much lower than 94% forOECD countries,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lated to this particular issu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seatbelt use in Korea where BMI standards, laws, cultures, and social conventions totally differ from those ofwestern countr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556 drivers, aged 19 or older, using raw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urvey (2013–2015). A stratified and cross-sectional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seatbelt use rates according to BMI, and a multivariable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R) of seatbelt use by BMI groups. Results: Increase in BMI resulted in a decrease in seatbelt use. The extremely obese group particularly had much lower rates of seatbelt use comparedto other groups. After adjusting other variables, only the extremely obese group had much lower rates of seatbelt use (OR 0.68, 95% confidenceinterval 0.53–0.87). Conclusion: Seatbelt use rates according to BMI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n-obese group, the overweight group, and the obesegroup. However, the extremely obese group had a tendency to not wear seatbelts when driving a car. 연구배경: 국내 비만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비만한 운전자들은 정상 체질량지수를 가진 운전자들보다 안전벨트착용률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들이 외국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국내의 경우, 성인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79.8%로 크게 낮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서양과는 비만에 대한 체질량지수 기준치, 법과 문화, 사회적 통념이 다르게 적용되는 국내환경에서의 체질량지수와 안전벨트 착용률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원시자료를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 운전자 8,5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을 교차분석 및 층화분석을 통해확인해보고, 독립변수로 체질량지수,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지역, 직업변수를 보정하여 체질량지수 정상군에 대한 과체중군, 비만군, 그리고 고도비만군의 안전벨트 착용률의 승산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과: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 고도비만군으로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안전벨트 착용률은 72.0%, 70.1%, 69.3%, 60.1%로 점점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고도비만군의 경우는 60.1%로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의 경우보다 큰 차이로 낮은 착용률을 보였다(P<0.001).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후의 과체중군(adjusted OR 1.00,95% CI 0.88–1.14), 비만군(adjusted OR 1.02, 95% CI 0.89–1.17)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고도비만군의 경우에만 착용률이 크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adjustedOR 0.68, 95% CI 0.53–0.87). 결론: 국내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은 과체중군과 비만군에서는 정상군과 큰 차이가 없으나, 고도비만군의 경우 착용률이 크게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다리통증에 미치는 효과

        박경숙,박가윤,류언나,Park, Kyung-Sook,Park, Ka-Yoon,Ryoo, Eon-Na 기본간호학회 2008 기본간호학회지 Vol.1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alance taping for elders suffering from leg pain. Method: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quasi-experimental study. There were 25 el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control group. The degree of leg pain was measured three times.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leg pain score before taping was 6.28, but 1 hour after the taping was applied it was 3.24, and at 24 hours after the taping was applied, 2.16. The leg pain score for el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but for those in the control group, it hardly change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conclusion that balance taping may benefit individuals with leg pain. Also, balance taping therapy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 초기 결함에 따른 복부-하부 플랜지 용접부에 개구부를 갖는 H형 보의 휨 거동

        성민현 ( Seong¸ Min-hyun ),박가윤 ( Park¸ Gayoon ),김진국 ( Kim¸ Jin-koo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복부-하부 플랜지 용접부에 개구부를 갖는 H형 보는 기존 용접 H형 보 대비 용접선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용접에 의한 열변형 감소에 효과적이나, 제작 과정 중 발생하는 초기 결함의 크기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초기결함의 크기는 용접 부재의 구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 연구에서는 초기결함이 복부-하부 플랜지 용접부에 개구부를 갖는 H형 보의 휨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 해석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약물이상반응 감시 현황: 단일기관 10년 자료 분석

        박수빈 ( Soo Been Park ),문미라 ( Mira Moon ),김현화 ( Hyun Hwa Kim ),박가윤 ( Ga-Yoon Park ),강동윤 ( Dong Yoon Kang ),이주연 ( Ju-yeun Lee ),조윤숙 ( Yoon Sook Cho ),강혜련 ( Hye-ryun Kang ),조상헌 ( Sang-heon Cho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4

        목적: 의약품의 적절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약물이상반응(ADR)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약물이상반응과 중대한 이상사례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에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평가자료를 분석하였다. 약물 사용과 이상사례 발생의 인과성은 세계보건기구 웁살라 모니터링센터(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WHO-UMC) 인과성 평가 기준을 기반하여 확실함(certain), 가능성 높음(probable), 가능성 있음(possible)으로 평가된 사례들만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령, 성별, 증상 발생 시기, 중증도 및 위중도 그리고 약물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의 신체기관계 분류가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49,955건의 약물이상반응 평가지가 가능성 있음, 가능성 높음, 확실함으로 평가되었다. 위장관계 증상(25.9%)은 전체 보고 건수에 비해 중증(2.6%)의 비율이 낮았던 반면, 혈액학적 질환(6.6%)은 중증(39.2%)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약물이상반응 중 10.2%가 중대한 이상사례로 평가되었으며,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이 높았다. 신체기관계 분류로 분류하였을 때는 전신 질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으며 그 뒤로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가 많았다. 항암제와 항생제가 중대한 유해사례의 의심약제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가장 흔한 중대한 이상사례였다(6.5%). 결론: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은 신체기관계 분류와 약제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유해사례의 비율이 높았으므로 어린이와 노인에서는 잠재적인 중대한 유해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Despite proper use of pharmaceuticals, adverse drug reactions (ADRs) can lead to problems related to patient safet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DRs, particularly serious adverse events (SAEs), in a singl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Methods: Spontaneous ADR report data collected from 2010 to 2019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ssessed. Causa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criteria. Age, sex, onset, severity, seriousness, and system organ class (SOC) of ADRs and SAEs were analyz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9,955 individual case safety reports were assessed as possible, probable, or certain. Although the number of gastrointestinal ADR reports was high (25.9%), severe cases were uncommon (2.6%). By contrast, the number of hematologic disorders was low (6.6%) but 39.2% of them were severe. Among ADRs, 10.2% were assessed as SAEs, the proportion of which was high at extreme ages and in males. Body as a whole-general disorder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OC for SAEs, followed by skin and appendage disorders. Antineoplastic agents and antibiotics were the most common causative agents of SAEs and ADRs. Anaphylactic reaction was the most frequent SAE (6.5%).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SAE differs according to SOC and drug.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AEs in children and older adults because the rate of SAEs is significantly higher at extreme ages. (Korean J Med 2021;96:341-35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