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행자 특성이 도시철도 이용자의 수직이동시설 선택에 미치는 영향

        문나연(Moon, Na Yeon),장수은(Jang, Su-Eun)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3 No.-

        우리 사회가 인구구성 측면의 구조적 변화를 겪으면서, 장애인, 여성, 고령자의 도시철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계단, 에스컬레이터, 승강기 등 도시철도 내 수직이동시설은 여전히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다. 본 연구는 통행자 특성이 도시 철도 내 수직이동시설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행자 진술선호(SP, Stated Preference) 조사를 수행하고, 수직이동시설 선택모형을 추정하였다. 고려된 독립변수는 통행자특성(장애인, 여성, 노약자 여 부)과 혼잡도를 더미로 고려하였고, 이동시간, 대기시간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여성, 노약자 집단 모두 승강기를 가장 선호하고, 그 다음으로 에스컬레이터, 계단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으나 집단 간 선호 강도에 차별성이 발견되었다. 이 결과는 향후 도시철도 역사 설계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저밀도 콜레스테롤과의 관련성: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임승용,문나연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3

        Background: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incidence of hyperuricemia has increased. Recently, the incidences of gout and asymptomatichyperuricemia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 Korea. A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SUA) leve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asalready been identified, but it has been rarely studied in the Korean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acid level and LDL cholesterol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8,127 Korean adults aged 19–79 years. Individuals were cancer exclud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having hyperuricemia if SUA levels were ≥7.0 mg/dL in men and ≥6.0 mg/dL in women. The correlation between SUA level and LDL cholesterol wasanalyzed by complex sa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men, LDL cholesterol was higher in participants with hyperuricemia (120.6±1.61) than in normal individuals (114.3±0.84) (P<0.001). Inwomen, LDL cholesterol was higher in participants with hyperuricemia (125.6±3.25) than in normal individuals (117.6±0.69) (P=0.0149). We used 3models with progressive degrees of adjustment. Model 1 was adjusted for age, gender, alcohol, smoking, and body mass index. Model 2 was furtheradjusted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Model 3 was further adjusted for dyslipidemia,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or angina, and liver cirrhosis.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LDL cholesterol was higher in the hyperuricemic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P<0.001).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onfirm that a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serum uric acid level and LDL cholesterol. 연구배경: 지난 몇십 년 동안 통풍, 무증상 고요산혈증 등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외국에서 교차단면연구, 코호트 연구를 통해 혈중요산 농도와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있으나 국내의 경우 연구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제7기 2차년도(2017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혈중 요산 농도와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년) 자료’를활용하였다. 8,127명 중 19–79세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에서는 혈중 요산 농도가 7.0 mg/dL 이상, 여성에서는 6.0 mg/dL 이상을기준으로 ‘고요산혈증군’과 ‘정상군’ 두 군으로 나누었다. 혈중 저밀도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보정하여 복합표본선형회귀모형(complex sample linear regression model)으로 혈중 요산농도와 저밀도 콜레스테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저밀도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점진적으로 보정하였다. Model 1은 연령, 성별, 음주빈도, 흡연, 체질량지수를 보정하였다. Model 2는 추가적으로 당뇨, 고혈압을 추가적으로 보정하였다. Model 3은 여기에 이상지질혈증, 뇌졸중, 심근경색,협심증, 간경변 등의 치료 유무를 추가적으로 보정하였다. 고요산혈증군은 정상군에 비해 β값이 Model 1, 2, 3에서 각각 5.621 (95%confidence interval [CI], 2.681–8.561), 6.175 (95% CI, 3.290–9.059),6.907 (95% CI, 4.064–9.750)로 고요산혈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저밀도콜레스테롤이 높았다(P<0.001).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혈중 요산 농도와 저밀도 콜레스테롤 간의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내 성인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 자료

        여혜정,박가윤,강동연,문나연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6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re are several international studies that suggest obese populationsare not likely to wear seatbelts when driving a car. Even though the rate of seatbelt use in Korean adults is 79.8%, which is much lower than 94% forOECD countries,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lated to this particular issu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seatbelt use in Korea where BMI standards, laws, cultures, and social conventions totally differ from those ofwestern countr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556 drivers, aged 19 or older, using raw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urvey (2013–2015). A stratified and cross-sectional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seatbelt use rates according to BMI, and a multivariable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R) of seatbelt use by BMI groups. Results: Increase in BMI resulted in a decrease in seatbelt use. The extremely obese group particularly had much lower rates of seatbelt use comparedto other groups. After adjusting other variables, only the extremely obese group had much lower rates of seatbelt use (OR 0.68, 95% confidenceinterval 0.53–0.87). Conclusion: Seatbelt use rates according to BMI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n-obese group, the overweight group, and the obesegroup. However, the extremely obese group had a tendency to not wear seatbelts when driving a car. 연구배경: 국내 비만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비만한 운전자들은 정상 체질량지수를 가진 운전자들보다 안전벨트착용률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들이 외국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국내의 경우, 성인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79.8%로 크게 낮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서양과는 비만에 대한 체질량지수 기준치, 법과 문화, 사회적 통념이 다르게 적용되는 국내환경에서의 체질량지수와 안전벨트 착용률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원시자료를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 운전자 8,5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을 교차분석 및 층화분석을 통해확인해보고, 독립변수로 체질량지수,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지역, 직업변수를 보정하여 체질량지수 정상군에 대한 과체중군, 비만군, 그리고 고도비만군의 안전벨트 착용률의 승산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과: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 고도비만군으로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안전벨트 착용률은 72.0%, 70.1%, 69.3%, 60.1%로 점점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고도비만군의 경우는 60.1%로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의 경우보다 큰 차이로 낮은 착용률을 보였다(P<0.001).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후의 과체중군(adjusted OR 1.00,95% CI 0.88–1.14), 비만군(adjusted OR 1.02, 95% CI 0.89–1.17)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고도비만군의 경우에만 착용률이 크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adjustedOR 0.68, 95% CI 0.53–0.87). 결론: 국내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은 과체중군과 비만군에서는 정상군과 큰 차이가 없으나, 고도비만군의 경우 착용률이 크게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 흡연경험과 우울 증상과의 관계: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박가윤,여혜정,강동연,임승용,이준용,문나연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5

        Background: Although the prevalence of e-cigarette smoking is increasing worldwide, the harmfulness of e-cigarette is not obvious. A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e-cigarette smoking i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irrespective of tobacco smoking.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that has addressed this issue in the general population to d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e-cigarette smok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cross-sectional study collected raw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and included 5,742 adults, who were ≥19 years and responded to the survey of smoking and mental health secti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f depressive symptoms by e-cigarette smoking experience and included sex,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level, self-rated health, activity restriction, obesity, tobacco smoking experience, alcohol drinking experience, and stress perception level as covariates.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edition. Results: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 in subjects was 5.6% (n=354) in total.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have used e-cigarettes (15.6%) than those without depressive symptoms (8.6%; P=0.001). The e-cigarette experienced group showed a higher risk of depressive symptoms (odds ratio, 1.71; 95% confidence interval, 1.004–2.924) than the e-cigarette unexperienced group. The result was adjust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variates. Conclusion: In Korean adult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cigarette smoking experience and depressive symptoms was observed. 연구배경: 전자담배는 일반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인식으로 일반담배의 금연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전자담배의 안정성 및유해성에 대해서는 결론지을 수 없으며 전자담배에 대한 접근성이높아지면서 새롭게 전자담배를 접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흡연자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자담배 사용이 우울 증상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사용경험 유무와 우울 증상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 중 흡연과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한 5,742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전자담배를 사용해본 적이 있는 대상자를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으로 선정하였고, 우울증 선별도구(PHQ-9)의 9문항 점수 합계 10점 이상을우울 증상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자담배 경험 유무에 따른 우울 증상의 교차비를 구하였으며,성별, 연령, 교육 수준, 결혼 여부, 가구 소득, 주관적 건강 상태, 활동제한 여부, 비만 유병 여부, 평생 흡연 여부, 평생 음주 경험, 평소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대해서 보정하였다. 결과: 전체 조사 대상자 중 우울 증상이 있는 비율은 5.6% (n=354)였고, 이 중 전자담배를 사용한 적이 있는 전자담배 흡연 경험군의비율은 15.6% (n=43)로 우울 증상이 없는 그룹의 8.6% (n=35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전자담배 경험군이전자담배 비경험군에 비해서 우울 증상이 있을 위험도가 1.71배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일반담배 흡연 경험 등우울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보정한 결과이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를 사용한 적이 있는 전자담배 경험군에서 우울 증상이 있을 위험도가 전자담배 비경험군에 비해 1.71배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