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전환 시대 디지털 정책과 의회 신뢰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희(Hee Min) 건국대학교 시민정치연구소 2022 시민정치연구 Vol.4 No.-

        디지털 전환 시대 의회는 의회 신뢰를 담보할 수 있는 디지털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 자체만으로는 정책결정과정의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한국의 수준 높은 디지털 정책 거버넌스와 의회 불신의 공존 현상에 주목한다. 그리고 디지털 전환 시대 의회의 신뢰 향상에 필요한 디지털 정책의 조건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디지털 정책을 제도 기반과 과정 기반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수준을 살펴본다. 제도 기반 디지털 정책은 디지털 정책 거버넌스 메커니즘, 원리, 수단과 관련이 있다. 과정 기반 디지털 정책은 시민과 제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다. 한국의 디지털 정책 수준은 높다. 그러나 이를 제도 기반과 과정 기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제도 기반에 비해 과정 기반디지털 정책 수준이 현저히 낮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정책과 의회 신뢰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한다. 요컨대, 본 연구는 의회가 디지털 의회로서 그 역할과 기능을 새로이 정립하기 위해서는 제도 기반 못지않게 과정 기반 디지털 정책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In the wake of digital transformation, Parliament should implement digital policies to ensure trust. However, digital technology by itself is unlikely to produce meaningful result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oexistence of high-level digital policy governance and distrust in Parliament. Furthermore, it explores the necessary conditions of digital policy for promoting public confidence in Parliament in this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level of institution-based and process-based digital policies,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policy and trust in Parliament. Finally, to ensure trust in Parliament and reestablish its roles and functions, it is imperative to improve process-based digital policies.

      • KCI우수등재

        감정과 정치참여

        민희(Hee Min),윤성이(Seongyi Yun)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1

        본 연구는 감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정치’라는 영역 안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역할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일상의 시기에서 시민이 정치에 대해 느끼는 부정감정이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치참여 예측 모형을 [인지 모형], [감정 모형], [인지X감정 모형]으로 구분하고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첫째, 부정감정이 다양한 정치참여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먼저 [감정 모형]을 통해 부정감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독립적인 효과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인지X감정 모형]을 통해 부정감정이 기존의 인지적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둘째, 부정감정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감정 -분노와 불안- 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분석한다. 이 부분에서는 분노와 불안 감정의 조절효과의 크기를 비교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부정감정은 내적효능감이나 정당지지 요인과 상호작용하면서 모든 유형의 정치참여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러한 힘은 불안보다도 분노의 감정에서 강하게 나타났는데, 정치참여를 예측하는 내적효능감과 정당지지의 영향력은 불안 집단보다 분노 집단에서 더욱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explore how emotions influence political participation. we try to examine newly the role of emotions in the political arena.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ses negative emotion which citizens feel about politic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a daily life. For this purpose, we classify [cognition model], [emotion model], and [cognition×emotion model] as the prediction model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n focus on the analysis of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e demonstrate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 on various political participations through the [emotion model]. In the [cognition×emotion model], we show how the negative emotion influences political participation by working with cognitive factors. Second, we analyse that the anger and anxiety which are subject to the negative emotion have much different effects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is part, we show the moderating influence of the anger and anxiety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short, this study finds that negative emotion increases all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s as interacting with internal efficacy or party support. In addition, the anger group has much stronger effect than the anxiety group on this process.

      • KCI등재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대의제의 적실성 탐색

        민희(Min Hee),윤성이(Yun Seong yi) 21세기정치학회 200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9 No.2

        This study aims to discuss adequac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model in the information age in which horizontal communication network of ICTs prevails. Especially, authors examine conflicts between the increasing bottom-up mechanism based on web 2.0 and top-down mechanism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n, lim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s discussed. Web 2.0 offers an environment where users themselves can produce and distribute information and knowledge directly. In the political process the new technological system has more affinity with bottom-up participation than top-down participation. This is well explained by observing transition of agenda-setting power to the people and emergence of self-organized participation in these days. Web 2.0 environment provides wide range of choices in concerned with patter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it also functions as a limit in the working of top-down political participation. Accordingly, the transition of technological environment makes new democracy model possible and the frame of new democracy is changing in direction of expanded participation. However, the existing representative system is to engineer democracy in its own way, not considering citizen's demand. It only makes efforts to extend spac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without changing the top-down frame. It is required to perceive limits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and to design a new model of democracy which has more affinity with a variated technolog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

      • KCI등재

        정보의 풍요와 정치참여의 양극화

        민희(Hee Min),윤성이(Seongyi Yun) 한국정당학회 2016 한국정당학회보 Vol.15 No.1

        본 연구는 다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의 시민의 정치정보 이용과 그에 따른 정치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다변화된 미디어 환경을 고-선택의 미디어 환경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정치뉴스 선호층과 정치뉴스 비선호층 간의 정치관여의 양극화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고-선택의 미디어 환경은 풍부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가운데 우리는 원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 같은 변화는 미디어 이용자의 정치지식 수준의 향상과 정치참여의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고-선택의 미디어 환경이 정치뉴스 선호층과 비선호층 간 정치관여의 격차를 과거보다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를 위해 TV 이용자 집단을 저-선택 미디어 환경에, TV+인터넷+SNS 이용자 집단을 고-선택 미디어 환경에 놓인 미디어 이용 집단으로 규정하고 두 집단의 정치뉴스 선호도에 따른 정치지식 수준과 정치참여확률의 차이를 비교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고-선택의 미디어 환경이 민주주의의 대표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 citizens’ media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and its effects in the diverse media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call the current media landscape ‘the high-choice media environment’ and then focus on the polarization of political engagement between the preference group and the non-preference group for political news. The high-choice media environment allows people to access information more easily. Also, this circumstance may have effects on the increase of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media users. However, we predict that the high-choice media environment exacerbates the political engagement gap between those who have a strong preference for political news and those who do no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y media users into the TV user group and the TV+Internet+ SNS user group. The former is those with the low-choice media environment, while the latter is those with the high-choice media environment. In addition, we analyse the gaps in the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and the probability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each group’s preference for political news. As a result, we show that there is a greater difference of political engagement between people who prefer political news and people who do not in the TV+Internet+SNS user group than them in the TV user group.

      • KCI등재

        가짜뉴스 확산, 그 이후: 보수와 진보의 가짜뉴스 노출과 제도 신뢰의 편향

        민희(Hee Min) 한국정치정보학회 2022 정치정보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가짜뉴스 확산의 정치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맞춘다. 그 일환으로 가짜뉴스 노출이 민주주의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제도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문제를 다룬다. 첫째,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이 주류 언론 신뢰 및 정치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둘째, 이념 성향이 양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과 주류 언론 및 정치 신뢰에 대한 이념 성향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다. 그 결과 보수 성향은 진보 성향에 비해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이 주류 언론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다. 즉, 보수적일수록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 경험이 있는 경우 주류 언론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졌다. 한편, 매우 강한 진보는 정치 신뢰에 대한 인식에서 흥미로운 태도를 보였다. 약한 진보 및 보수 성향과 달리 이들의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 경험이 오히려 국회 신뢰를 상승시켰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in which the spread of fake news has certain consequences. It explores how exposure to fake news affects on public trust in democratic institution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on the trust in mainstream media and the trust in politics. Second, it explores the influence of ideological orient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found that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mainstream media trust across ideological orientations. For more conservatives,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predicted a lower confidence in mainstream media. The result also showed that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predicted higher trust in assembly trust, only for strong progressives.

      • KCI등재

        대의 민주주의에서 숙의 그리고 공론: 의미와 적용

        민희 ( Hee Min ),민태은 ( Tae Eun Min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구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20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6 No.1

        2017년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 여부에 대한 결정을 위해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는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숙의 민주주의가 적용된 사례로 시민 숙의와 대의 기관의 상호 역할과 권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 엘리트 중심적인 대의 민주주의의 정책결정방식의 한계는 다양한 형태의 숙의 방안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의 민주주의에서 숙의에 대해 고찰한다. 첫째, 대의와 숙의 개념을 살펴본다. 민주주의에서 양자는 다르게 기능할 뿐 대치 관계는 아니다. 대의는 집합적 의사결정에 숙의는 집합적 의사형성에 더욱 적합하다. 둘째, 숙의적 참여 절차의 하나로서 공론에 주목한다. 실제 정책결정과정에서 공론이 적용되는 조건들을 살펴보고 공론 주최자, 공론 의제의 방향, 공론 의제의 규모에 따라 공론 과정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대의와 숙의가 보다 실천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고자 한다. In 2017,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reated the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on Shingori Nuclear Reactors No. 5 & 6. The committee conducted participatory surveys in order to decide whether to completely suspend the construction of the reactors at the Shin-Gori Nuclear Power Complex. The surveys, considered as an significant application of deliberative democracy to the policy-making process, triggered controversies on the role and accountability of public deliberation and representative body. Indeed, representative democracy which has been developed as elite-centered policymaking process faces its limitations, which requires us to seek alternative measures of deliberation. As a response, this paper analyzes deliberation in representative democracy. Specifically, it amis to explore how representation and deliberation work in complementary relation. First, it discusses the concepts of representation and deliberation. These two concepts are neither incompatible nor exclusive although they function differently. Representation is appropriate for collective decision making while deliberation is appropriate for collective opinion formation. Then, this paper analyzes public deliberation as a procedure of participating in deliberation.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conditions for the successful public deliberation. It also looks into what consequences the deliberation process leads to in terms of convener, orientation and scale.

      • 감정으로 정치 보기 ― 2016-17 촛불집회

        민희 ( Min Hee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8 세계정치 Vol.29 No.-

        그간 정치학의 일반적 패러다임은 인간을 합리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이에 기초해 모델이나 가설을 세워왔다. 정치참여 연구 역시 이러한 관점을 따른다. 그런데 본 연구는 실제 정치과정에서 표출되는 개인의 합리 성은 제한적인 형태로 작용하면서 감정과 상호작용한다고 본다. 즉 정치의 발생을 감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집합행동의 새로운 참여 양상에 주목한다. 2016-17 촛불집회를 견고한 연대가 없는 개개인의 결사체들의 집합체로 보고, 이들을 약 5개월 동안 매주 광장으로 이끄는 힘이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으로 집합행 동에서 분노 감정의 역할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개인의 분노 표출과 이러한 분노가 집합적 분노로 전환되는 과정을 논의한다. 전 자는 분노 감정과 참여의 문제를 다룬다. 후자는 분노의 공감대 형성과 분노 공유의 문제를 다루는데, ‘집합행동의 틀’과 ‘온라인 표현 공론장’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The paradigm of political science has generally considered humans as rational beings and based on that, the models and hypotheses of political science have been established. Political participation research has also followed this perspective. However, this study assumes that an individual’s rationality works in a bounded area and then interacts with emotions.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s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question of how politics occurs through emotions. It therefore focuses on the new aspects of collective action and explores the role of anger emotion in collective a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individual anger toward Park Geun-hye and Choi Soon-sil Gate, as well as the process of turning such anger into collective anger. The form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mo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latter adresses the formation of collective anger and its sharing, focusing on “collective action frame” and “online expressive communication.”

      • KCI등재

        유권자의 이념성향과 미디어 이용

        민희(Hee Min),이원태(Won-Tae Lee) 한국정당학회 2015 한국정당학회보 Vol.14 No.1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선택적 노출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즉, 유권자의 정치적 성향이 미디어의 선별적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했다. 첫째, 유권자는 이념성향에 따라 미디어를 선별적으로 선택하는가? 즉, 진보성향 유권자일수록 한겨레신문이나 경향신문 등 진보 종합일간지를, 보수성향 유권자일수록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수 종합일간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가? 둘째, 만약 그렇다면 이념성향에 따른 미디어 노출 규모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진보성향의 유권자는 보수 종합일간지보다 진보 종합일간지에, 보수성향의 유권자는 진보 종합일간지보다 보수 종합일간지에 노출되는 정도가 더욱 큰가? 연구 결과, 진보성향의 유권자일수록 진보 종합일간지를, 보수성향의 유권자일수록 보수종합일간지를 선호할 가능성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념성향에 따른 종합일간지 노출규모를 비교하였을 때 보수성향의 유권자는 진보 종합일간지보다 보수 종합일간지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런데 진보성향의 유권자 역시 보수성향의 유권자와 동일한 미디어이용 행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적어도 진보성향 유권자의 미디어 이용을 이념에 기반한 선택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는 이념성향에 따른 미디어의 선별적 선택과 이로 인한 유권자 양극화 논의에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voters’media use in terms of selective exposure. Especially, we try to analyze whether the voters tend to choose media based on their own political orient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viding answers about two questions. First, do voters choose the newspapers congenial to their ideological orientations? Second, if so,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rogressive voters and conservative voters in the degree of media exposure? As a result, progressive voter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progressive newspapers(Hankyoreh-sinmoon, Kyunghyang-sinmoon) on the other hand, conservative voter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conservative newspapers (Chosun-Ilbo, Donga-Ilbo, Joongang-Ilbo). Results also suggest that conservative voters present high-degree of the exposure in conservative newspapers compared to that in progressive newspapers. More specifically, progressive voters are identical with conservative voters in the degree of media exposure, too. From the above, this study concludes that at least progressive voters don’t use media based on their own ideology. Furthermore, we offers a more serious discussion of ideologically based on media choice and voter polarization.

      • KCI등재

        후보자의 선거 전략과 득표율: 제20대 총선 선거공보 분석을 중심으로

        조희정 ( Hee Jung Cho ),이한수 ( Han Soo Lee ),민희 ( Hee Min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6 韓國 政治 硏究 Vol.25 No.2

        선거에서 후보자가 유권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짧은 선거운동 기 간 동안 후보자가 유권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홍보 전략을 펼치는 이유가 바로 여기 에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후보자의 홍보 전략을 탐구한다. 그 중에서도 후보자가 활용하는 홍보 매체, 특히 선거공보에 초점을 둔다. 우리는 선거결과에 영 향을 미치는 변수로 ‘후보자가 어떻게 선거를 규정하고 홍보하는가’를 중요하게 고려 한다. 구체적으로 제20대 총선 후보자의 선거공보를 인물, 정책, 매체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이 득표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한다. 이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후보자가 자신의 이름을 강조할수록 득표율이 증가하는 반면, 정당명을 강조하는 경우 득표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의정활동보다는 지역구 이익과 관련한 본인의 업적을 강조할 때 득표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권자에게 다양한 소통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 득표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경험적 결과는 후보자의 선거 전략이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andidates develop and apply various campaign strategies to win elections. Examining campaign bulletins, this study grasps candidates’campaign strategies. Furthermore, we estimate the influences of campaign strategies on vote shares. Campaign bulletin is one of the major campaign tools to communicate with voters. Analyzing campaign bulletin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we focus on three different factors: candidate, policy, and media. This study tests the influences of each factor on election results. The reg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ressing candidates’names tends to increase vote shares. However, frequently exposing party names is more likely to affect vote shares negatively. In addition, advertising their activities that have brought economic benefits to their constituents tends to help incumbent candidates collect more votes. Finall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providing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for voters can affect vote shares in a positive manner.

      • KCI등재

        인터넷 정치정보 상호작용과 정치참여

        송경재(Song Kyong Jae),민희(Min Hee) 21세기정치학회 200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9 No.1

        Today, the Internet network is widely disseminated in the world. People have the chance to communicate the political information and build up the Internet-based connection. This paper analyzes characteristic of the Internet political interactiv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The paper explores the connection among the Internet political information interactiv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y analysing 18th general election. Theoretical approaches for the quantitative study are based on the Internet political information interactivity theory. This analysis has found several pattern and mechanism both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Internet political information interactivity. And there are general conclusions which can be drawn from the analysis. In conclusion, level of the Internet political information and the reinforcement effect for party and candidate support is relev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