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시가 감상 국면의 재미 흥미 의미 - <백설이 □자진 골에>의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29 No.-

        본 논문은 고전문학의 감상 국면에서 학습자가 경험하는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통한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은 재미/흥미/의미를 유사한 범위의 개념 범주로 설정하고, 고전문학교육의 재미/흥미/의미에 관심을 지닐 때 고전문학교육의 어떤 사태에 주목하여 그것을 해결 할 수 있는가에 집중하였다. 고전문학의 재미/흥미/의미가 발현되는 위치는 ‘사이[between]’이다. 즉, 고전문학의 재미/흥미/의미는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동시에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시작과 끝지점 사이에서 드러난다. 전자는 고전문학교육에서 발현되는 재미/흥미/의미의 주체 문제를 제기하며, 후자는 고전문학교육에서 재미/흥미/의미는 반드시 시간적 지속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고전문학교육의 목표인 학습자의 문학능력 신장을 위해 교사와 연구자가 체계화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교수-학습 활동을 ‘하나의 교육적 경험’[An Experience]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고전시가 학습자에게 익숙한 개념이되, 낯선 체험인 ‘감정이입’과 ‘공감’에 집중하여 하나의 교육적 경험에 산포되어 있을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감정이입과 공감의 공통점은 자아와 분리된 타자의 위치에서 ‘관점 취하기 [Perspective-Taking]’를 통한 정서 체험이라는 점이며 차이점은 취하는 관점의 방향에서 비롯한다. 본 논문은 학습자가 자신이 시적 화자와 같은 상황에 처할 경우 자신의 정서를 상상하는 것을 감정이입으로, 반면 학습자가 시적 화자의 위치에서 시적 화자의 정서를 상상하는 것을 공감으로 구분하였다. 학습자를 감정이입이나 공감으로 이끌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시적 화자의 자리에 위치’시키는 일이다.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는 시적 화자가 처한 자리, 곧 시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연결된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들에게 시적 상황에 내포된 모호성을 드러내는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할 수 있다. 고전시가의 해석 장면에서 찾아내는 모호성은 학습자들에게 선택 상황을 제공하며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 근거를 요구하기에 더 깊은 이해로 나아가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후 학습자는 자신의 선행 경험을 끌어와 텍스트 내 시적 화자에게 감정이입하거나 시적 화자의 관점을 취하여 시적 화자의 행동과 처지를 이해하는 공감 활동을 시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전문학교육에서 감정이입과 공감 경험을 구체화하여 설계할 때, 교사와 연구자는 학습자가 감지할 재미/흥미/의미에 대해 단언할 수 없다. 다만 교육적 경험을 구체화하는 입장이라면 교육적 경험에서 비롯할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을 뿐이다. 감정이입과 공감 경험은 학습자들이 ‘하나의 교육적 경험’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재미/흥미/의미, 다른 인물 되기의 재미/흥미/의미, 시적 모호성 속에서 문제 상황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주체가 되는 재미/흥미/의미, 자신의 선행 경험을 되돌아보거나 일상생활에서는 겪지 못한 상황 속 정서를 상상적으로 경험하는 재미/흥미/의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fun, interest and meaning in the empathic experience when one appreciates a classical poem. In the Korean classical education, fun, interest and meaning between a Korean classical text and an learner are close categories in the way that they have similar operations and effects. This thema leads to pay attention to who the subject experiencing fun and interest and giving meaning is. It is a learner. This study designs an educational Experience - empathy which is familiar concept but strange experience - for fun, interest and meaning between a Korean classical poem and a learner. A method for a learner to experience empathy has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take a poetic speaker's position in a Korean classical poem. The second is to search for the ambiguities of the poem to understand the poetic situation. The third is divided into two types, which one is self oriented perspective-taking, the other is other oriented perspective-taking. There might be various fun, interest and meaning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 for example fun, interest and meaning of taking part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being another character, finding a problematic situation and solving it in the ambiguities of the poem, reflecting the previous life or imagining emotions that a learner has never undergone.

      • KCI등재

        고전문학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상 질문 생성 경험 연구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6 No.-

        본 논문은 문학 교실 내 학습자의 감상 질문 생성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둔다. 고전문학의 향유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고전문학의 심미적 체험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것이라는 관점에 의거하여 본 논문에서 기획하는 학습자 감상 질문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 비평적 유효성을 지닌 감상 질문을 생성함으로써 질문 주체가 감상 질문 생성 이전과는 다른 감상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문학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문학 교실 내에서 감상 질문 교육을 시행하려 한다면, 교사는 감상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 이루어지는 일을 파악하고자 할 것이다. 예상할 수 있는 바처럼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은 지극히 역동적일 뿐 아니라, 감각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에 주목하는 문학 이론ㆍ교육 이론에 의거하는 이론적 탐색과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진 일의 결과물들로부터 과정을 유추하는 추론적 접근이 가능하다. 학습자의 감상 질문은 학습자가 텍스트와 접하며 재현한 ‘문학 작품’에서 틈새를 발견하고, 그것을 문학 작품의 구조 내 결핍감이나 부족함으로 인식할 때 비로소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문학 교실 내 학습자가 작품 감상 과정에서 만들어내는 ‘문학 작품’은 서로 다른 세계이고, 그 문학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학습자가 활용하는 요소가 다르며, 학습자들은 서로 다른 세계에 대해 질문하기 때문에 동일한 텍스트를 감상하고도 서로 다른 질문을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이 자료로 삼은 문학 교실 내에서 학습자들이 감상 질문을 만드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크게 ‘문학 작품의 재현과 관련된 어려움’과 ‘감상 질문의 비평적 유효성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문학 교사가 제시할 수 있는 피드백 중 하나는 학습자가 감상 질문을 생성하며 경험했던 연쇄적 과정을 문학 교실 전체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문학 교실에서 감상 질문의 연쇄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제출한 선행 질문에 후속 질문을 제안하는 것이다. 선행 질문과 후속 질문을 학습자가 생성하도록 의도할 때 교사의 역할은 문학 교실에 제출된 감상 질문 사이의 의미 관계를 발견하여 학습자들의 감상 질문을 선행 질문과 후속 질문으로 연계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의 감상 질문들은 해당 작품을 감상하는 문학교실 속 그물망 속에서 감상을 위한 의미 요소로 기능하며 교사는 개별 감상 질문들 속에서 연계되는 속성을 찾아 감상 질문들의 연쇄를 구성해냄으로써 문학 교실 내 감상 내용을 조직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learners' queries in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at they enjoy in a literary classroom. Learners' enjoym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to continue experiencing the esthetic experience spontaneously and positively. Learners make queries while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hen they discover disparities and recognizes deficiencies in a literary work, or textual representation. Since learners utilize different facts to represent a literary work from a text, they make diverse and various queries for appreciating in a literary classroom.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represent a literary work from a text and to make queries regarding critical validity. The teacher could plan a course as a chain of queries, which a learner experiences a chain of queries in person through the process of queries while appreciating, in a literary classrooms.

      • 19대 총선에서 온라인 선거운동 관리의 과제

        조희정 ( Hee Jung Cho ) 한국선거학회 2012 선거연구 Vol.2 No.2

        온라인 선거규제는 1996년부터 시작하여 2005년부터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채 10년이 되지 않은 기간 동안 중요 선거 시기마다 제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였다. 논쟁이 제기된 근본적인 원인은 신기술을 따라가는 법제도의 늦은 반응성혹은 과거의 부정선거 단속이라는 제도적 경로의존성을 버리지 못한 것에서 많은 사회적 폐단이 발생한다는 비판에 근거한다. 그러한 논쟁의 반복 과정에서 제도는 여전히 지체되었고 시민사회에서는 표현의 자유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여러 조항에서의 지나친 제한과 정부 개입의 과도함에 대한 비판 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였다. 이 글은 SNS 사용 확대를 배경으로 온라인 선거운동이 전면 허용된 19대 총선에서 온라인 선거규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19대 총선에서 나타난 온라인 선거규제의 특징을 알아보고 향후 남아 있는 과제를 정리한다. 특히 제도적 고려사항이 여전히 남아 있음에 유념하여 온라인 선거규제의 원칙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1996, starting the online election regulations have been earnest in 2005. However, to date, not less than 10 years for each system during the critical period for the election has caused controversy. New technologies have raised controversy to follow the fundamental cause of law enforcement late reactive or past election did not abandon the institutional path dependence occurs from many social problems that are based on criticism. Such an process of debate and delay in the system is still freedom of expression in civil society, as well as other restrictions and excessive government intervention in various provisions of the transitional and ongoing criticism as was suggested. Increased use of SNS in the background of this article online campaigning is allowed in the front line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by analyzing the Regulations appeared online in the next electio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challenges that remain to clean up. Still remain particularly in the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in mind restrictions on the principle of an online campaign is to propose suggestion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양상을 파악하였다. 검토 대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검정 심사에 통과하고 교육 현장에서 사용된 14개 출판사의 중학 국어 84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국어 22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문학 22종이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는 총 17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3개 출판사 중학 국어에서 소단원 본 제재로 고전시가를 단 한 번도 다루지 않았다는 특이점을 보인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는 <제망매가>, <가시리>, <관동별곡> 등으로 대표되는 19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고등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본 제재 갈래는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의 국문 시가로 한정되었지만,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서는 고전시가의 하위 갈래가 총망라되며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현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서 총 2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학교 수준의 고전산문 제재 중 고전소설은 <홍길동전>, <박씨전>, <양반전> 등이 반복 채택되며 고전산문 대표 제재의 지위를 얻었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서는 1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는데, <봉산탈춤>, <춘향전>, <흥부전> 등이 주요 제재로 다루어졌다.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는 고전산문의 하위 갈래인 서사무가, 설화, 판소리, 민속극, 고전소설, 한문 산문, 한글 산문 등의 대표 작품들이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체화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 시가 제재 31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서동요>,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제망매가>, <가시리>, <속미인곡>, <도산십이곡>, <두터비 파리를 물고>, <십 년을 경영하여>, <청산별곡>순이다. 고전시가 중 수록 종류와 수록 빈도가 가장 높은 갈래는 시조이다. 2009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산문 29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흥부전(흥부가)>, <봉산탈춤>, <춘향전(춘향가)>, <홍길동전>, <이옥설>, <주몽신화(동명왕편)>, <금오신화>, <사씨남정기>, <심청전(심청가)>, <양반전>, <박씨전> 순이다. 고전산문 제재 중 작품의 종류와 수록 빈도가 높은 중심적 갈래는 고전소설이고, 새롭고 다양한 제재가 유입되고 있는 갈래는 한문 산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have increased student awareness of literary canons because these have been taught and learned through public education. Seodongyo, Gemangmega, and Gasiri in classical poetry and the tale of Heungbu, Pongsan Mask Dance, the Tale of Ch'unhyang and the tale of Honggildong(by Heo Gyun) in classical prose are published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 three-verse Korean ode and a classical novel are the most chosen genres in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개인발표 : 고전시가교육 평가 연구 (1) -평가 프레임을 중심으로-

        조희정 ( Hee Jung Ch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0 문학교육학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rame on the evalu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e concept of frame is derived from cognitive psychology. The frame on the evaluation of Korean education is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forms people`s way of thinking concerned with Korean education. The frame on the evaluation of Korean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a listing frame and a positioning frame which are made by effects on learners in Korean evaluation. The former is influenced strongly by outside situations of Korean subject, The latter is planned by inner principles of Korean subject. Two frames are different views on same evaluation and intend to make different types of evaluation. In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evaluation, there isn`t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frame on the evaluation and an assessment tool in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Some types of assessment can be used for both frames. In studies of Korean education evaluation, most studies are based on a positioning frame.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유아를 위한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리더십 교육 방향 모색

        조희정(Cho Hee 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현상학이 지니고 있는 사상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과 유아 리더십 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현상학의 사상적 특성은 이성중심에서 탈피하고, 역동적 상호작용의 중시, 절대주의와 보편주의에서 다양성과 다원성의 지향, 고정되고 획일화된 틀의 지양과 새로운 대안적 방법을 추구한다는 점이며, 이것을 두 관점의 공통점으로 보았다. 우리의 미래 인재들인 유아들이 미래의 다원화 세계 속에서 잘 적응할 뿐 아니라 유능한 사회인으로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 유아들은 교과활동 속에서 만나는 다양한 맥락 내에서 미래의 리더십 기술을 위한 기초형성을 유아기에 할 수 있으며, 리더로서의 잠재성을 확인할 뿐 아니라 그들의 재능 또한 발달시킬 기회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a ideal feature which can be emanated from the postmodernism and phenomenology and describ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leadership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ideal feature of the postmodernism and phenomenology noted as an emancipation of reason-oriented thinking, an emphasis on dynamic interaction, a preference of variation and pluralism from the absolutism and universalism, an emancipation of a fixed and uniformed frame, and the pursuit of new alternatives. The chief features notes as a common feature of two viewpoint. Change of education need so that young children might adapts themselves to the pluralism and technetronic world as well as lead to transformation. Young children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future leadership skills in diverse context within the subjects activity, and nor only should these potential leaders be identified, but also their talents need the opportunity to develop.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업목표 인식에 따른 수업실행 및 반성

        조희정(Cho, Hee-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목표 인식에 따른 수업경험과 반성이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를 알아봄으로서 교사교육 교수자들에게 시사점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모의수업 모형은 ASSURE 이론을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모의수업 상황에 맞게 개발한 모형으로, 모의수업 절차 항목과 수업반성전략을 포함한다. 연구 참여자는 S시에 소재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으로 2012년 2학기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교과목을 수강한 40명이다. 모의수업에 대한 코멘트 기록지, 모의수업 평가지, 마이크로티칭에 의한 자기행동관찰, 저널분석, 피드백과 토의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 모형에 기초한 수업을 통해 수업목표를 인식함에 따라 짜임새 있는 계획안 작성과 그동안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숨어있던 요소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계획안 작성이 수업을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또한 수업의 방향을 잡게 하는 목표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안 작성이 유아중심의 수업을 생각하게 하고, 교구에 대해 새로운 생각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양한 수업반성전략은 자신의 수업 반성은 물론 공감과 격려를 통한 성장의 계기를 갖게 되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수기술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suggestions to instru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analyzes the main meaning of lesson implementing and refle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imulated instruc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dure of entering simulated instruction and refl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using ASSURE theory.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0 early childhood education juniors, studying in 2012 at a four year university in S city.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follows: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comment record of the simulated instruction, self behavioral observation through microteaching, reflective journal, feedback and evaluation by researcher and colleague, lesson plan, researcher feedback on reflective journal, discussion material on the feedback, evaluation checklist. To find out the result of data analysi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ystematically wrote lesson plan through model application, and in the meantime found elements hiding that they had not seriously thought about. These systematic plans to write gave me to confidence that I could do a better lesson. Also, creating a lesson plan that was based on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that could seize the direction of the lesson made me think of early childhood oriented education and there was an opportunity to reflect some new thinking about the media. Through a variety of assessments that reflected their own lessons and had been a valuable experience for them through empathy and encouragement.

      • KCI등재

        고전 서사물 반-공감적(反共感的) 감상 연구 -인물의 고통을 대하는 비-연민적(非憐憫的) 태도를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6 No.-

        이 논문에서는 문학 교실에서 학습자들이 문학 텍스트 속 특정 인물에 공감하지 않는 비-공감/반-공감 감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악 서사에서 악인에게 공감하는 감상 결과는 종종 작품 속 다른 인물들의 고통에는 무감한 비-공감과 선인들이 더 선인다웠어야 한다는 질책성 반-공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감상 현상은 공감이 지닌 스포트라이트 속성을 보여준다. 문학 교실 내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는 인물의 고통에 비-연민적 태도를 드러내는 감상 결과와 종종 마주치곤 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고전 서사물 감상에 관여하는 다양한 맥락의 교차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학습자들이 고전 서사물을 감상하며 선인과 악인에게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은 선악 서사를 감상하며 선인과 악인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다르게 적용한다. 학습자는 악인으로 평가받는 인물과 수평적 관계를 맺으며 악인의 서사에 공감적 이해를 시도하는 것과 달리, 선인으로 평가받는 인물들과는 수직적 관계를 맺은 채 등장인물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는 재판관의 위치에서 선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평가하곤 한다. 둘째, 고전 서사물 감상에 자주 등장하는 ‘창의성’이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악 서사 혹은 선인이나 악인에 대한 기존 평가를 비트는 질문들 중에는 선인에 대해서는 반-공감을, 악인에 대해서는 공감을 유도하는 질문들이 많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 선인 혹은 악인에 대한 평가는 ‘기존의 평가 뒤집기 = 창의적 접근 = 선인에게 반-공감하기 = 악인에게 공감하기’의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셋째, 공감이 야기하는 ‘스포트라이트’ 현상이 뚜렷이 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비-연민적 감상 태도를 드러내는 학습자들은 선인에게 반-공감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는 반면, 작품 속 악인이나 작품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주변 인물에 공감을 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감상 과정에서는 공감의 스포트라이트 효과가 작동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 작품에 제시된 다양한 고통의 서사를 탐색하는 것은 공감의 한계를 제어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자리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서 다루는 고통의 종류와 내용은 인간들이 실제 삶에서 부딪치는 고통만큼이나 다채롭고 다양하다. 고통의 서사에 대한 탐색은 인간의 삶에 대한 탐색이다. 고전 서사물 감상 국면에서 인간의 고통에 주목하고 다양한 고통의 서사를 연민의 태도로 탐색하는 교육 내용은 고전 서사물의 주요 주제를 고찰하는 시각이 될 수 있으며, 공감 중심 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능하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phenomena where learners do not exhibit empathy according to the order inherent in the text in the literature classroom, especially the non-empathetic/anti-empathetic appreciation results lacking empathy for a specific person in the text. In the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the instance where sympathy for a character and anti-empathy intersect can often be found when viewing good and evil narratives with a clear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f the existence of a suffering human being is the inevitable result of an evil act, it is not justified to evaluate the good and evil in a literary work, neglecting the existence of the suffering human. Nevertheless, in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in the literature classroom, the literature classroom often encounters the results of appreciation that reveal a non-compassionate attitude to a character’s suffering.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at the intersection of various contexts involved in the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First, because learners appreciate classical narratives and apply different standards to the good and the wicked, the learner establishes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evaluated as being bad, and tries to understand the wicked person’s narrative sympathetically. On the other hand, they have a vertical relationship with people who evaluated as being good. They evaluate the progress of the predecessors in the position of judges who are superior to the characters. Second, it is because “creativity”, which often appears in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intervenes. Among the questions that twist the narrative of good and evil or the existing evaluation of good or bad, there are many questions that induce anti-empathy for the good and empathy for the bad. Third, it is because the “spotlight” phenomenon caused by empathy clearly manifests. Empathy is advantageous in concentrating on the pain of a specific person and imagining the depth and concreteness of the pain. However it is vulnerable to broadly reflecting and examining the entire situation in the work. Regarding the aspect of appreciating classical narratives,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focuses human suffering and explores various narratives of pain with compassion can serve as a perspective on the main themes of classic narratives, and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escape empathy-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공과대학 프로젝트형 글쓰기 상담 연구 -제안서와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조희정 ( Hee Jung Cho ),이희영 ( Hee Young Lee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대학생들의 프로젝트형 과제에서 요구되는 글쓰기 갈래의 특징을 살피고 면대면 글쓰기 상담을 통해 공과대학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글쓰기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 초점을 둔 글쓰기 갈래는 공과대학의 전공 글쓰기에서 학습자들에게 자주 요청되는 프로젝트형 과제의 제안서와 결과보고서이다. 프로젝트형 과제는 소규모 그룹 중심으로 협업을 기본으로 삼는 집단 글쓰기로 개발한 기술을 구매할 기업이나 개인을 예상 독자로 상정한다. 글쓰기 상담을 통해 확인한 바는 공과대학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과제형 글쓰기에서 겪는 어려움은 제안서와 결과 보고서에 수록할 내용이 없어서라기보다는 각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지 못 한 상태에서 글을 써야 하기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공과대학 학습자들은 내용 생성의 측면보다는 내용 구성의 측면과 내용 표현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공과대학 프로젝트형 과제의 글쓰기 교수-학습 내용으로는 첫째, 제안서와 결과보고서 같이 프로젝트형 과제에서 요구하는 갈래의 특성에 대한 이해, 둘째, 팀별 기술 개발 과정에서 생성한 내용을 구조화하고 배치하는 내용 구성, 셋째, 구체적이고 간결한 문장 구조 중심의 글쓰기가 되도록 문장 표현 등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specific features of writing genre which was generated in proceeding engineering & technology related project and provide a writ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to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 technology. For this study, we had face to face writing counselling with students. The writing genre we discussed in this study is project documents including project proposals and project reports that students in engineering & technology are asked to write. This project assignment was a team work, and project documents were written by team members in a cooperative way. This project document aims at potential buyers, individuals or corporations who are also presumed readers. We proceeded the project documents writing counselling with students in respects of writing ``The purpose of project``, ``Table of contents and arrangement of diagrams``, ``Wrong sentence structures`` of project proposals and ``Table of contents``, ``Explanations of the required items and editions of contents``, ``Wrong sentence structures`` of project reports. Students in engineering & technology have troubles constructing contents and using proper expressions of words and sentences even though they know what to write. Their troubles are based on that they are not aware of specific features of writing genre they are working on. Therefore, three factors should be taught and emphasized in writing project documents of engineering & technology college. The first,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specific features of writing genre. The second, students should know how to organize contents in a process of the project. The third, students should know how to use right words in right places and to write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in their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