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의 차별경험 및 지원요구 : 교육과 고용영역을 중심으로

        민기연(Min, Kiyeon),주란(Ju Ran)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고기능의 자폐성장애인들이 교육 및 고용영역에서 겪어왔던 직․간접적 차별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 및 장애인 차별을 주제로 이루어진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면담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고, 남녀 자폐성장애인 당사자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학창시절 전반에 걸쳐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시기의 경험이 현재 성인이 된 자폐성장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이 된 이후 대학생활 및 직장생활 과정에서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통해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현재 우리 사회의 이해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이 사회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experiences, especially in education and employment, of adul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par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discrimination towards disability and the disabled. Seven male and female people with autis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out their school days, and that there exists the influence of those experiences on their current lives. In addition, through the content of th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during college and working life after becoming an adult, we were able to grasp the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of our society ab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to find ways to resolv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n societ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해체 경험

        민기연(Min, Kiyeon),이영선(Lee Youngs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2

        ‘다문화 결혼’으로 일컬어지는 ‘국제결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여성들의 경제적 동기, 한국사회 결혼시장의 불균형과 저출산 문제 등과 맞물리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이에 따른 다문화 이혼 역시 증가하여 왔다. 그러나 가정해체, 이혼 등을 다룬 많은 연구에서는 가정의 위기를 극복하고 가정을 유지하는데 더 초점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이기도 한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이혼 관련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 이미 자리 잡은 결혼이주여성을 진정한 구성원으로 인정하고자 한다면, 다문화 가정의 해체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도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연구자는 가정해체를 경험한 결혼이주여성 4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다른 삶의 기회와 가능성을 줄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다문화 가정해체’와 ‘다문화 이혼’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가정해체 과정, 결혼생활의 현실 자각, 이혼 이후의 삶 크게 3가지 주제로 최종 범주화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researcher examined the experience of married migrant women who have settled in Korean societ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hich is now called “multicultural marriage” in Korean society, but is in the process of divorce, and as a part of a solution to family crisis, the researcher tried to address feasible way of healthy demoli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purposive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on married migrant women from countries that are currently classified as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were conducted. Result of analysis, process of family disorganization,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marriage, the life after divorce, the study overall could be categorized into 3 main topics and 6 sub topics. The following research has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s of its conclusions and sligh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existent researches due to the fact that this research aimed for an in-depth interview targeted towards a small participant population.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은 어떻게 학교에 다녔을까?: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경험 탐색

        민기연 ( Min K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 받았던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일상생활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 전반에서 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초기 성인기 경도 지적장애 여성 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여성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 으로서 경험한 학교생활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별로 2회의 공식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질적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1) 학창시절의 기억, 2) ‘지적장애’ ‘여학생’으로서의 나, 3) ‘청소년’으로서의 나, 4) ‘나’를 위한 지원요구 4개의 핵심주제 아래 8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의 학교생활 및 사회적응의 실제를 확인하였고, 당사자의 지원요구 실현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chool adaptation and everyday experiences of women possessing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taught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identify alternative method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school and everyday routin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women who ha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early adulthood. They received their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How did the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school life as ‘mild,’ ‘intellectual,’ and ‘girls’ in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What practical support measur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and daily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wo 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nd the resulting data underwen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data, we identified eight sub-themes that fall under four core themes: 1) School day memories, 2) Identity as a young woma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3) Adolescence, and 4) Support requirements. Our analysis revealed the realities of school life and social adaptation for gir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iscussed methods for addressing their support needs.

      • KCI등재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및 관계 증진 프로그램 개발

        김금희(GumHee Kim),민기연(Ki-yeon Min),이영선(Youngs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특별한 개별적 요구에 기반을 둔 부부 의사소통 및 관계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기존 프로그램 및 선행연구 검토와 참여자의 요구조사, 전문가 면담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고, 4쌍의 다문화가정 부부에게 11주간(주 1회, 회당 120분) 부부 대화기법, 부부 상담을 활용한 부부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수집된 녹음파일, 활동지, 연구자의 현장노트 등의 질적자료를 통해 살펴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부부의 친밀성이 향상되었고, (2) 부부간의 대화가 증가되었으며, (3) 특히 부부간의 의사소통 방식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서 협력적인 의사소통으로 변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화가 부부관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부부대화의 물꼬를 열었다는 점과 부부갈등을 해결하고 관리하기 위해 의사소통 전략과 전문적인 상담지원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s for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 and verify its effects. This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results from reviews of existing intervention programs, participants’ interview for their needs and professionals’ feedback on program. The program includes 11 sessions(once a week; 2 hours per sess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related activities using marital counseling. Four multicultural couples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including voice recording files, activity sheets, and filed notes cond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we could find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multicultural couple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 program could (1) enhanced intimacy in the couples, (2) started conversation and improved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the couples. And also (3) modes of communication were changed to mor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through this program. The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 catalytic role for marital conversation in multicultural couples and used professional counsel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solving and managing marital conflict.

      • KCI등재

        자폐성 아동의 이야기 내용 이해와 회상 능력 향상을 위한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의 효과

        이효신 ( Hyo Shin Lee ),민기연 ( Ki Yeon Mi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이야기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성 아동에게 이야기를 읽은 후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이야기 내용 이해와 회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2명의 자폐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중재단계에서는 모델링수준과 안내수준, 그리고 독립연습수준으로 나누어 활동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는 이야기문법이해검사와 회상검사이며, 이 검사들의 결과를 통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의 이야기내용 이해와 회상능력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은 자폐성 아동의 이야기내용 이해능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이야기지도 작성 활동이 자폐성 아동의 회상능력을 향상시켰다. 향후 더 많은 대상과 보다 다양한 구조의 이야기를 통한 연구로 본 연구의 일반화가 요구되며, 아동의 이야기 이해 능력에 관한 질적인 변화를 밝힐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mapping activity on story contents comprehension and recalling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story mapping activity improve story contests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does story mapping activity improve recalling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is study was composed of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in which subjects were two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e procedure of this experiment was composed of baseline test, model phase, lead phase, independent practice phase and maintenance test in a row. Story contents test and recalling test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rocedure of story mapping activity was composed by 3 steps of model phase, lead phase, independent practice phase. In model phase, researcher`s modelling of story mapping was essential and children were intended to learn the process of story mapping. Researcher`s modelling was gradually eliminated in lead phase for children to do it by themselves. Researcher guides children and provides them with feedbacks. In independent phase, children were intended to perform the process of story mapping independently. Researcher monitors the children and helps them when they need. Through these activity, children learned the story mapping and the results of the activity as follows: First, story mapping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ory contests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story mapping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alling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 KCI등재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선곡유화(Seongok, Yuhoa),민기연(Min, Kiyeon),이영선(Lee,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다문화 효능감(multicultural efficacy)에 관련된 국내 전문 학술지에 수록된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동향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토대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주요 분석 영역은 발행처 및 연도, 연구 유형, 연구 방법이며, 각 영역별로 세부 분석지표를 설정하였다. 동향분석을 위해서 2007년도부터 2015년 12월 현재까지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 효능감과 관련된 논문 88편 중 연구목적에 부적절한 논문 21편을 제외하고 총 6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논문을 코딩한 후 공동 연구자의 독립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자 간 신뢰도를 구하였는데 94.06%로 높았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효능감 관련 논문은 최근 5년(2010-2015)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아교육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31.34%). 둘째, 연구유형은 1편의 질적 연구를 제외하고 모든 연구가 양적 연구였으며 다문화 효능감과의 인과관계 검증(49.25%)이 절반이었다. 셋째, 연구 방법에서 연구 대상자는 교사 및 예비교사의 연구가 79.49%를 차지하였고, 전체 분석 논문의 14.92%가 구체적으로 표집방법을 명시하였다. 신뢰도는 89.55%가 제시하였고 모두 Cronbach s α로 분석되었으며, 타당도는 37.31%만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와 다른 다문화 선진 국가 간의 다문화 효능감 연구동향의 비교분석이 필요하고, 경험적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지속적 메타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literatures containing domestic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multicultural efficacy(M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criter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on the trends research. The main analysis areas are: 1) Publisher and the year of literatures, 2) study type, research topics, and 3) research methods. Moreover, detailed indicators were set for each area. To analyze research trend, a total of 67 were selected for ME relevant papers intervening in domestic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7 to December 2015. The selected papers a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veloped criteria. To obtain the cross-confidence, the independent evaluation process of the results were accomplished between each co-researchers. Confidence of the results was 94.06%. As the results, ME relevant papers has increased consistently over recent five years (2010-2015), publishers relating to the childhood education area are the highest as 31.34%. In study type, except for one qualitative research study, all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the quantitative method. More than 49.25% of study subjects was about the evaluation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 In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related on teachers and/or pre-service teachers were over 79.49% and sampling method has been presented only 14.92% of the total. Confidence was 89.55%, and it had been stated by Cronbach s(ɑ). Validity had suggested only 37.31%.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including necessity of comparative studies on ME, meta-analysis, and so 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행과 과제: 경기도 다문화교육 중점학교를 중심으로

        박순덕 ( Soonduk Park ),민기연 ( Kiyeonlee Min ),이영선 ( Youngsu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 중점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프로그램의 심층적 분석을 통하여 향후 바람직한 학교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다문화교육 중점학교의 다문화교육 연구계획서와 학교 컨설팅 자료, 다문화교육 담당자와의 심층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교 다문화교육 내용의 전반적인 1차 분석은 경기도 다문화 중점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세 가지 기준 1)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목표 2) 학교 다문화인식 제고를 위한 연수 3) 학교 다문화교육의 운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차 분석결과는 (1) 학교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 지원체제는 갖추어져 있지만 다문화가정 학생의 맞춤형 개별 지원은 거의 이루어지지지 않았다. (2) 다문화인식 제고를 위한 연수도 학생을 제외하고 교직원, 관리자의 연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3) 학교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제시되어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 후 활동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비율은 약 20% 이하로 저조했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와 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2차 분석 결과는 (1) 다문화교육의 내용 요소는 교육요소별로 편차를 보이고 고르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2) 다문화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은 시도되고 있지만 각 교과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은 아직 미흡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 담당자와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 바람직한 다문화교육 방법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연수가 필요하고 (2)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학부모와 학생의 요구와 흥미에 맞아야 한다. (3) 다문화교육은 모든 학교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다문화중점학교뿐 아니라 일반학교에도 예산을 공평하게 분배하여야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와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are to explor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by analyzing school programs and conducting teacher interviews, and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policy and practices. The overall primary analysis of school-wide pla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was based on three standards, including 1) goals and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ed schools, 2) training for multiculture awareness in school, and 3) manag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1)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2) teaching and leaning methods. Furthermore, teacher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implementing school-wid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from interviews, we learned 1) practical teacher training (e.g., curriculum reconstruction) 2) more individualized or need-based programs for specific stud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3) universal programs for everyone in schools, including not only students but teachers and school staffs, should b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better school-wide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re provided.

      • KCI등재

        이중적 어려움 :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

        이영선(Lee, Youngsun),김금희(Kim, GumHee),민기연(Min, Ki-Yeon),박미숙(Park, MiSuk),박순덕(Park, Soonduk),방현희(Bang, Hyunhee),선곡유화(Seongok, Yuhoa),이석란(Lee, Sokran),전경미(Chun, Kyungmi),팜티휀짱(Pham, Thi Huyen Trang),이설희(L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낯선 환경과 문화권에서 장애자녀를 양육하며 이중적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부모, 특히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시작으로 장애 자녀의 양육, 특수교육 및 지원프로그램 참여 등 장애가정으로서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울, 경기, 인천, 경북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부모 2쌍(필리핀, 베트남 출신의 여성 및 그들의 한국인 남편)과 여성결혼이민자 9명(필리핀인 2명, 중국인 3명, 베트남인 2명, 일본인 2명)을 포함한 총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인터뷰는 개별로 이루어졌고 면대면 또는 전화인터뷰로 진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전사 작업을 통해 요인별, 영역별로 정리하여 범주화 되었으며, 이 결과는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자녀의 부모”, “학교라는 높은 벽 그리고 작은 나”라고 하는 2개의 대주제와 5개의 하위 주제로 정리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정이 직면한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ing a child with disability in Korea. Using purposive sampl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 sets of parents and nin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ranslated verbatim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wo main themes regarding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multicultural family and a parent of a child with disability; and their experiences and needs as working with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practice regarding serving multicultural families in special education system were discussed. It is also suggested that more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diverse population with specific needs should be conducted in further studies.

      • KCI등재

        전환기 장애청소년의 미래 계획 수립을 위한 개인중심계획 프로그램 적용

        이현주 ( Lee Hyun-joo ),이영선 ( Lee Young-sun ),주란 ( Ju Ran ),민기연 ( Min K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청소년의 미래 계획 수립과 의미 있는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개인중심계획의 원리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후 성과를 살펴보았다. ‘개인중심접근 기반 미래계획 프로그램’은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토대로 설계되었고, 총 2회 반복설계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증 발달장애 학생으로 40명이다. 프로그램 사전, 진행 단계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목표, 가치, 운영방법, 자료를 포함한 ‘개인중심접근 기반 미래계획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원 체제, 부모의 기대, 자아인식과 미래에 대한 기대 및 계획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신의 미래 계획 수립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implement a person-centered planning program to support future planning and meaningful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e ADDIE model was employed to design a 'person-centered future planning program', and successive cycles of design phase were us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 total of 40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conducted to analyze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son-centered future planning program' was developed including goal, value and content. Secon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dentifying participants' social network and support system, parents' expectation, and self-awareness and expectations toward future lives. Additionally, participants showed a positive experiences in participating in the future plann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