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성 장애아동의 적응행동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권회연,전병운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being educated under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among them, the degree of disability of 10 children was mild, that of 7 children was sever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longitudinal research during 2 years. And the age of participants were 10 years old at the begi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adaptive behavior between severe and mild autistic disorders had big difference. The developmental aspect presented a steady advance except motor area, but many changes didn't occurred during 2 years. Second, children with the severe degrees of disability presented big difference on a case by basis. Third, children with the severe degrees of disability presented more developmental advance from 10 years old to 11 years old. And to conclude, the 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were increased under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 Also the mean difference did't presented between 3 groups(10, 11, 12 age) through ANOVA(ANAlysis of Variance). In spite of relatively long period research(2 years), this research had a limitation, thus further researches should expand the ages of the subjects, and whether the more subjects have a difference on developmental aspects.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연령에 따른 적응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자폐성 장애아동 17명으로, 중도 장애아동은 10명이었고, 경도 장애아동은 7명이었다. 총 2년 동안 3번의 적응행동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시작 시점의 연령은 10세였다. 연구 결과, 중도 자폐성장애아동과 경도자폐성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은 차이가 크며, 운동영역을 제외한 적응행동 영역에서 중도와 경도 자폐성장애아동 모두 꾸준한 발달양상을 보였지만 그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도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실제적 적응행동에서 표준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발달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도 자폐성장애아동의 경우에는 10세에서 11세 사이에 개념적 적응행동기술과 사회적 적응행동 영역에서 좀 더 뚜렷한 발달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0세, 11세, 12세에 해당하는 세 연령집단 간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에서 중도 자폐성장애아동과 경도 자폐성장애아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의문문과 평서문 읽기과제를 통한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운율 통제능력 비교

        임세미,심현섭 한국자폐학회 2009 자폐성 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odic control of high functioning autism(HFA) and normal children. Fifteen HFA and fifteen normal children, matched with their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d on the question and statement contrast. To analyze the speech recordings, average FO, slope of FO, average intensity, slope of intensity and duration measures were calculated for each syllable(S1, S2, S3) with each phrase.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HFA children was higher than normal children in FOave; (2) Two groups used a rising S3_FOslope for questions and a falling S3_FOslope for statements; (3) HFA children was higher than normal children in INTave; (4)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S2_INTave and S3_INTave for questions were found in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S1_INTave for questions were not found in group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S1_INTave for statements were found in groups.; (5) Although speaker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INTslope for questions, they did differ significantly in S3_INTslope for statements; (6) Although speaker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duration for questions, they did differ significantly in S2 duration and S3 duration for statements.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의문문과 평서문 읽기 과제를 통한 운율통제 능력에서 일반아동과 다른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자는 총 30명으로 고기능 자폐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이며,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모든 아동에게 의문문과 평서문으로 구성된 문장을 읽게 하여 녹음한 후 마지막 어절의 각 음절을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높은 목소리 음도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둘째, 음도 변화율은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의문문에서는 상승현상을 보였고 평서문에서는 하강현상을 보였다. 셋째,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높은 목소리 강도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넷째, 목소리 강도 평균값은 의문문 문장 내 첫 번째 음절과 세 번째 음절에서 고기능 자폐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은 강도를 나타냈다. 다섯째, 목소리 강도 변화율은 평서문 세 번째 음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각 음절의 길이를 비교한 결과, 평서문 두 번째 음절과 세 번째 음절에서 고기능 자폐아동이 정상아동보다 유의하게 음절 길이가 길었다.

      • KCI등재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과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설아,김은경 한국자폐학회 2017 자폐성 장애연구 Vol.17 No.3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componet Intervention Using social story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alternative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bject was one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tudy design appli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design.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ere followed. The intervention was done in a special class, which is a natural environment for the subject student. The maintenance was carried out three times on the same condition as the baseline one week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ulti-componet Intervention using social story i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problem behaviors and increasing the alternative behaviors for the high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 Multi-componet Intervention using social story is effective for maint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omponent Intervention including the social story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disorder, through collaborative team approach among various members of autism student's social environment, is effective in reducing student's problem behavior and increasing alternative behavior. 이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와 예방을 위해 사회적 상황에서 기대되는 행동에 대해 상황이야기를 포함한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 및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고등학생 1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재는 대상학생에게 자연스러운 환경인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 감소뿐 아니라 대체행동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효과는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환경 내 다양한 구성원들 간의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한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상황이야기를 포함한 다요소 중재가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와 대체행동 증가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 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행동 비교

        김미삼,전진아,이윤경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o compare the early communicative profil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and Intellectual Disability(ID). The participants were 9 ASD and 9 ID who were ranged 33-to 87-month olds. All participants scored less than 24 months of language age on the SELSI. Communicative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4 different structured communicative behavior scripts and free-play with examiner. The frequency of overall communicative behavior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communicative mean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frequencies of communicative behaviors than ID childre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iveness to their own name and refusal behavior with demonstrating that ASD children performed poorer than ID on these functions, and (3) ASD children used more frequent the combination of gestures and speech than ID. While ID used more frequent all other means of gesture, speech, vocalization, and the combination of gestures and vocalizatio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behavior, function, and means seems to be indicators to differentiate ASD from ID. 본 연구는 초기 언어습득단계에 있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을 살피고, 장애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기 언어습득단계에 있는 아동으로 영․유아언어발달검사(SELSI)를 통해 통합언어연령이 24개월 미만인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9명과 지적장애 아동 9명이었다. 구조화된 의사소통 행동 유도절차와 자유놀이를 통해 행동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두 집단의 의사소통 행동의 총 출현빈도, 의사소통 기능별 출현빈도, 사용한 의사소통 수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행동의 총 빈도면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이 지적장애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서는 이름에 반응하기와 거부하기에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이 유의하게 낮은 빈도로 사용하였다. 셋째, 의사소통 수단면에서는 구어를 동반한 몸짓의 사용에서만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이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언어발달상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범주성장애와 지적장애 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진단 및 변별을 위한 기초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 및 인식

        안의정,이소현,박혜성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any support needs or points to be improved by reviewing the lives at work in detail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hrough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5 workplace managers were interviewed, who have experiences to work with individuals with ASD, and the interviewed contents are analysed by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ive themes emerged as follows: (1)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workplace managers during the recruiting procedure of individuals with ASD, (2)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workplace managers on the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3) the strength and difficulty regarding on the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4) the support needs of workplace managers, (5) the support needs for professional life of individuals with ASD, and also fourteen themes were emerged according to each theme. The argument for the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successful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본 연구는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인들의 직장 생활의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직장 생활을 위해 필요한 지원 요구 또는 개선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폐 범주성 장애인과 6개월 이상 함께 일 한 경험이 있는 상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고,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자폐 범주성 장애인 채용 과정에서의 상사의 경험과 인식, (2)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과 인식, (3) 자폐 범주성 장애인과의 직장 생활에서 생기는 장점과 어려움, (4) 상사의 지원 요구, (5)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을 위한 지원 요구의 총 5가지 상위 주제와 각 주제에 따른 14가지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장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자녀의 미래 성과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지원 욕구

        박혜성,이소현,윤선아 한국자폐학회 2010 자폐성 장애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ctation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bout their future outcomes and their support needs for that.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16 item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items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one open-ended question concerning support needs. 383 parent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d a higher opinion on the importance of it than its likelihood. (2) The fathers and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ok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3) There were significant gaps among the parents i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according to some variables related to their children. (4) The parents were in want of the following things to ensure the children's future outcome: career education and vocational support,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 increas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dults and local leisure facilities available, and so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ga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family collaboration is mandatory fo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universal and individualized support programs geared towar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re required. Third, a variety of support systems and arrangement of the welfare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help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ead an independent life.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자녀를 둔 부모의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과 미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래 성과의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실현가능정도를 묻는 16개 문항과 지원 욕구를 묻는 1개의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자녀의 부모가 작성한 총 383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의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는 자녀의 미래 성과의 중요도와 실현가능정도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실현가능정도보다 중요도를 높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는 미래 성과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현가능정도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미래 성과의 실현가능정도를 더 높게 인식했다. 셋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연령, 장애정도, 통합여부에 따라 미래 성과의 중요도와 실현가능정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가 미래 성과를 성취하기 위해서 성인기 직업 생활을 위한 진로 및 직업지원을 포함한 8개 항목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문가는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가족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고, 적극적인 가족 참여를 바탕으로 한 아동의 미래 성과를 위한 지원을 가족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조기선별 및 지원 체계 고찰

        이경숙,윤현숙,정희승,유희정 한국자폐학회 2015 자폐성 장애연구 Vol.15 No.2

        The effectiveness of early screening of and intervention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s been proved repeatedly at home and abroad. All people engaged in the area agree on the importance of leading them to adaptive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national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systematic approach and increase of effectiveness is to achieve convergence by understanding and integrating approache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the areas of psychiatry, psychology, special education,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hich were discussed and conducted individually. With recognition of ASD among infants and toddlers increasing at home and abroad and intervention policies being activated at the government level,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n ASD among young children. This will in turn lay the groundwork for development of screening tools for young children with ASD at the government level in the future. This paper is ultimately aimed at forg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develop reliable and valid screening tools to ease difficulties of young children with ASD, their famili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promoting best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ASD and happiness of their families, and easing social and economic burdens of the country.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 선별하여 조기 중재한 효과성은 국내외적으로 거듭 입증이 되고 있다. 학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이들을 적응적 발달로 이끄는 일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이 분야의 연구자나 임상가가 모두 공감하는 부분이다. 이와 관련해서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우선적인 방법은 그동안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정신의학, 심리학, 특수교육학, 감각통합영역의 평가를 통한 조기선별과 개입 및 지원체계 접근을 함께 이해하고 융합적으로 조직화하는 시도이다. 본 논고에서는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에 관한 최근 국내외 인식의 증가와 국가적 차원의 개입정책의 활성화에 발맞추어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접근의 학제 간 현주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진행되는 국가적 차원의 영유아자폐스펙트럼장애의 선별도구 제작의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다 학제 간 융합 적 접근의 효과성을 극대화하여 우리 사회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와 가족과 지역기관의 접근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별도구를 개발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최적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의 안녕을 증진하고 국가적으로 효율적인 지원체계를 고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능력 및 관련요인

        최숲,정부자,전희정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an inferential ability of High-Functioning Autistic disorders with adolescent(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C), and which are factors correlated an inferential ability of HFA. This study also qualitatively analyzed HFA's error responses to inferencing question to investigate of inferencing breakdown. HFA(n=10) and TC(n=10) who matched with langugae age(LA) conducted an inferential task, a syntax comprehension task, a Letter-Number Sequencing task. An inferential ability of HFA is lower than TC and a syntax comprehension task and a Letter-Number Sequencing task, as one of working memory are correlated with an inferential task. HFA showed ‘wrong inference’ and ‘odd response’ in an analysis of error responses and it suggest that HFA can perform inferential task but they can't integrate information to make right inference.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추론과제수행 능력을 비교하고 추론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두 집단의 추론과제응답의 오류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오류특성을 살펴보았다. 10명의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10명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추론과제, 구문의미이해력, 작업 기억과제를 실시한 결과, 일반아동보다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과제수행능력이 낮았으며 추론수행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과제와 작업 기억과제 중 하나인 순차연결과제였다. 추론오류분석에서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이 보인 오류유형은 ‘추론오류’ 유형과 ‘엉뚱한 답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고기능자폐성장애 청소년에게 기본적인 추론능력은 존재하나 정보를 통합하여 올바른 추론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사용성 연구

        권정민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Mobile applications have enormous potential for education and everyday living of children with autism. In fact, application development for this population is found to be active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the development is rarely done in Korea.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application development is discussed with detailed graphic examples and guidelines. A small scale usability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application was actually usable. Development was worked by a team of researcher, director, designer, and two programmers. The process included planning, designing, programming, and revising. Guidelines from a content perspective and operational perspective. Lastly, through usability test, the application was found to be usable in the real-life setting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자폐성 장애 아동의 교육 및 생활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높은 잠재성을 갖고 있다. 실제로 국외에서는 자폐성 장애 아동을 위한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그 속도가 더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폐성 장애 아동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자폐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용성을 연구하였다. 개발은 연구자, 기획자, 디자이너, 프로그래머의 팀워크로 이루어졌으며, 기획-디자인-프로그래밍-수정의 단계를 거쳤다. 자폐성 장애 아동을 고려한 가이드라인으로는 내용적 측면과 작동적 측면에서 제안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자폐성 장애 아동이 실제 지역사회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효과에 대한 잠재성을 엿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인의 상해 및 질병이환 현황 분석

        심보람(Boram Sim),황수희(Soo-Hee Hwang),이혜진(Hyejin Lee),윤지은(Jieun Yun),이진용(Jin Yong Lee) 한국자폐학회 2023 자폐성 장애연구 Vol.23 No.1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폐성장애인들에서 발생하는 상해의 유형은 무엇인지, 어떤 질환에 주로 이환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성장애인의 상해 발생율은 전체 인구집단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은 아니었으나, 지난 10년 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폐성장애인의 질병이환은 정신 및 행동 장애가 가장 많았다. 특히 자폐성장애의 고유 특성에 기인한 질병이환외에도 조현병과 같은 정신 질환 관련 질병이환이 많았다. 입원진료에서 치과질환의 이환이 높은 것도 일반 인구집단에 비해 높은 것도 큰 특징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성장애인의 상해를 줄이기 위한 예방 전략과 자폐성 장애인의 복합적인 의료 요구도를 고려한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필요성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존에 전국 단위로 산출되지 못하였던 국내 자폐성장애인의 상해 및 질병이환 현황을 파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도 이러한 역학 자료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추이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an initial study providing nationwide statistics regarding the prevalence of injuries and comorbidities in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prevalence of injuries and comorbidities in pleple with ASD was examin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data spanning from 2010 to 2019. We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injuries in people with ASD was not higher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However, this had increased steadily over 10 years. The most common comorbidities with ASD were found to be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Outpatient visits for mental diseases such as schizophrenia and hospitalization for dental treatment were more prevalent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