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해체 경험

        민기연(Min, Kiyeon),이영선(Lee Youngs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2

        ‘다문화 결혼’으로 일컬어지는 ‘국제결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여성들의 경제적 동기, 한국사회 결혼시장의 불균형과 저출산 문제 등과 맞물리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이에 따른 다문화 이혼 역시 증가하여 왔다. 그러나 가정해체, 이혼 등을 다룬 많은 연구에서는 가정의 위기를 극복하고 가정을 유지하는데 더 초점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이기도 한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이혼 관련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 이미 자리 잡은 결혼이주여성을 진정한 구성원으로 인정하고자 한다면, 다문화 가정의 해체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도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연구자는 가정해체를 경험한 결혼이주여성 4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다른 삶의 기회와 가능성을 줄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다문화 가정해체’와 ‘다문화 이혼’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가정해체 과정, 결혼생활의 현실 자각, 이혼 이후의 삶 크게 3가지 주제로 최종 범주화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researcher examined the experience of married migrant women who have settled in Korean societ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hich is now called “multicultural marriage” in Korean society, but is in the process of divorce, and as a part of a solution to family crisis, the researcher tried to address feasible way of healthy demoli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purposive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on married migrant women from countries that are currently classified as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were conducted. Result of analysis, process of family disorganization,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marriage, the life after divorce, the study overall could be categorized into 3 main topics and 6 sub topics. The following research has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s of its conclusions and sligh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existent researches due to the fact that this research aimed for an in-depth interview targeted towards a small participant population.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의 차별경험 및 지원요구 : 교육과 고용영역을 중심으로

        민기연(Min, Kiyeon),주란(Ju Ran)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고기능의 자폐성장애인들이 교육 및 고용영역에서 겪어왔던 직․간접적 차별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 및 장애인 차별을 주제로 이루어진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면담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고, 남녀 자폐성장애인 당사자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학창시절 전반에 걸쳐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시기의 경험이 현재 성인이 된 자폐성장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이 된 이후 대학생활 및 직장생활 과정에서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통해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현재 우리 사회의 이해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이 사회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experiences, especially in education and employment, of adul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par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discrimination towards disability and the disabled. Seven male and female people with autis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out their school days, and that there exists the influence of those experiences on their current lives. In addition, through the content of th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during college and working life after becoming an adult, we were able to grasp the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of our society ab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to find ways to resolv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n society.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은 어떻게 학교에 다녔을까?: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경험 탐색

        민기연 ( Min K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 받았던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일상생활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 전반에서 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초기 성인기 경도 지적장애 여성 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여성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 으로서 경험한 학교생활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별로 2회의 공식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질적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1) 학창시절의 기억, 2) ‘지적장애’ ‘여학생’으로서의 나, 3) ‘청소년’으로서의 나, 4) ‘나’를 위한 지원요구 4개의 핵심주제 아래 8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의 학교생활 및 사회적응의 실제를 확인하였고, 당사자의 지원요구 실현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chool adaptation and everyday experiences of women possessing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taught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identify alternative method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school and everyday routin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women who ha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early adulthood. They received their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How did the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school life as ‘mild,’ ‘intellectual,’ and ‘girls’ in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What practical support measur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and daily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wo 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nd the resulting data underwen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data, we identified eight sub-themes that fall under four core themes: 1) School day memories, 2) Identity as a young woma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3) Adolescence, and 4) Support requirements. Our analysis revealed the realities of school life and social adaptation for gir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iscussed methods for addressing their support needs.

      • KCI등재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선곡유화(Seongok, Yuhoa),민기연(Min, Kiyeon),이영선(Lee,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다문화 효능감(multicultural efficacy)에 관련된 국내 전문 학술지에 수록된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동향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토대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주요 분석 영역은 발행처 및 연도, 연구 유형, 연구 방법이며, 각 영역별로 세부 분석지표를 설정하였다. 동향분석을 위해서 2007년도부터 2015년 12월 현재까지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 효능감과 관련된 논문 88편 중 연구목적에 부적절한 논문 21편을 제외하고 총 6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논문을 코딩한 후 공동 연구자의 독립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자 간 신뢰도를 구하였는데 94.06%로 높았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효능감 관련 논문은 최근 5년(2010-2015)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아교육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31.34%). 둘째, 연구유형은 1편의 질적 연구를 제외하고 모든 연구가 양적 연구였으며 다문화 효능감과의 인과관계 검증(49.25%)이 절반이었다. 셋째, 연구 방법에서 연구 대상자는 교사 및 예비교사의 연구가 79.49%를 차지하였고, 전체 분석 논문의 14.92%가 구체적으로 표집방법을 명시하였다. 신뢰도는 89.55%가 제시하였고 모두 Cronbach s α로 분석되었으며, 타당도는 37.31%만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와 다른 다문화 선진 국가 간의 다문화 효능감 연구동향의 비교분석이 필요하고, 경험적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지속적 메타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literatures containing domestic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multicultural efficacy(M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criter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on the trends research. The main analysis areas are: 1) Publisher and the year of literatures, 2) study type, research topics, and 3) research methods. Moreover, detailed indicators were set for each area. To analyze research trend, a total of 67 were selected for ME relevant papers intervening in domestic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7 to December 2015. The selected papers a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veloped criteria. To obtain the cross-confidence, the independent evaluation process of the results were accomplished between each co-researchers. Confidence of the results was 94.06%. As the results, ME relevant papers has increased consistently over recent five years (2010-2015), publishers relating to the childhood education area are the highest as 31.34%. In study type, except for one qualitative research study, all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the quantitative method. More than 49.25% of study subjects was about the evaluation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 In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related on teachers and/or pre-service teachers were over 79.49% and sampling method has been presented only 14.92% of the total. Confidence was 89.55%, and it had been stated by Cronbach s(ɑ). Validity had suggested only 37.31%.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including necessity of comparative studies on ME, meta-analysis,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