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대한 예측 방법 연구

        민경모,박진철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model that predicts the accomplishmen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y using the three learner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Hanja(Chinese characters) culture group, and learner's vocabulary and grammar, reading, and writing scores. In this study, we used the model to find out which learner’s characteristic clues are effective in predicting learner’s accomplish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result of the learner can be predicted about 78% with only six characteristic clues. In addition, it was shown through this study that gender and age factors are not effective factors for predicting the learning result, while Hanja culture group and early learning abilitie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learning resul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completion of the intermediate course of the non-Hanja culture learners was about 1.6 times higher than Hanja culture learners.

      • KCI등재

        병렬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연구

        민경모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9 언어와 문화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ssues related to parallel corpus and previous studies using parallel corpus, and also to examine how to use parallel corpus in the stud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starts by summing up the concept, types, and the structure of parallel corpus, and examining problems in construction and use. Next, we review the current trends of language research and language education research using parallel corpus, and then examine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language contrastive studies. Finally, we would like to conclude what to consider when trying to use parallel corpus in stud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using parallel corpu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베 병렬말뭉치를 활용한 한국어와 베트남어 문장의 계량적 특성 비교 연구 : 성경 자료를 바탕으로

        민경모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5

        This study is part of a parallel corpus-based contrastive study that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focusing on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based on a Korean-Vietnamese parallel corpus using biblical data. In this study, a parallel corpus arranged by clause was constructed, and after processing it into a morphological annotation corpus through morpheme analysis, the frequency of nouns and verbs and the number of corresponding sentences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a comparison of noun and verb frequenci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nouns and verbs in Korean and Vietnamese sentences, suggesting that both languages are likely to be verb-oriented languages. Additionally, a comparison of sentence correspondenc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revealed differences in sentence structure, particularly in complex sentences. Vietnamese allows for the connection of clauses without specific markers, often requiring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auses. On the other hand, Korean employs connective endings more actively when linking clauses, and this difference in sentence structure was empirically demonstr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sentence correspondences. Furthermore, it was noted that while Korean connective endings can convey the semantic relationships of “parallel”, “addition”, “time”, “background”, “reason”, “contrast”, “condition”, “transition”, and “concession”, Vietnamese may express these relationships with two independent sentences. Thus we argue that Vietnamese native speakers might face challenges in learning Korean, interpreting or translating due to the complexities of selecting appropriate Korean connective endings.

      • KCI등재

        지시사 수식 명사구의 유형 및 특징에 대하여

        민경모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0 No.-

        지시사 수식 명사구는 주로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 동격 명사구의 구조로 파악되어 왔으나, 통사적 특징과 응집 관계를 살펴보면, 관형사 수식 명사구, 대명사 수식 명사구, 대명사 동격 명사구의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 대명사 수식 명사구는 관형격 구성으로의 교체 여부, 복수 표지 ‘들’이 결합하였을 때의 구조 분석, 피수식 명사(구) 내부의 병렬 구성적 확장 여부에서 차이를 보이며, 대명사 수식 명사구와 대명사 동격 명사구는 피수식 명사(구)를 생략하였을 때의 의미 해석, 조사 ‘의’의 실현 여부, 피수식 명사(구)의 복수 해석, 피수식 명사(구) 내부의 병렬 구성적 확장 여부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유형별 차이는 응집 관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데, 관형사 수식 명사구는 피수식 명사(구)가 어휘적 응집 관계를 이루어 두 개의 응집 묶음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명사구 전체의 의미 해석에 선행 문맥이 영향을 미친다. 반면 대명사 수식 명사구는 참조(reference)라는 하나의 응집 묶음만을 가지기 때문에 후행 명사(구)는 선행 문맥의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대명사 동격 명사구의 경우에는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 같이 두 개의 응집 묶음을 가지지만, 지시사와 후행 명사(구)의 지시 대상이 동지시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관형사 수식 명사구와는 그 특징을 달리한다.

      • KCI등재

        Doc2Vec을 이용한 중학교 과학 질문-답변 챗봇 개발 및 학생 질의 분석

        민경모,유준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2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1 No.3

        In this study, a method of constructing a science Q&A chatbot developed by a teacher for students at a specific middle school was introduced, and implications were obtained by analyzing student's queries. The chatbot built its own server using a Korean morpheme analyzer and a document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Doc2Vec. As a result of operating the chatbot service for three semesters, half of the queries were related to the subject, and the other half were non-curricular, such as small talk. The students used the chatbot a lot to prepare for the test, and they used it more after school by taking advantage of the merit of all day ope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educational chatbots, it is necessary to build a dataset based on students' actual queries and improve the search algorithm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getting appropriate answers that match the students' intentions. Even if a chatbot is created for the purpose of Q&A in science subjects, it should be able to cover both subject and non-curricular areas according to the needs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교 현장 맞춤형으로 개발한 한국어 과학 질문-답변 챗봇의 구축 방법을 소개하고, 챗봇 서비스로 얻은 학생의 질의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과학 질문-답변 챗봇은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와 Doc2Vec 기반의 문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서버를 구축하여 개발했다. 중학교 1개교에서 3개 학기 동안 챗봇 서비스를 운영한 결과, 질의의 반 정도는 교과와 관련된 것이었고, 나머지 반 정도는 잡담 등 교과 외의 것이었다. 학생들은 챗봇을 평가 준비에 많이 사용했고, 24시간 운영하는 챗봇의 특성을 활용하여 방과 후에 더 많이 이용했다. 교육용 챗봇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의 실제 질의를 바탕으로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챗봇 검색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학생의 의도에 맞는 답변이 나올 확률을 높여야 한다. 과학 교과의 질문-답변을 목적으로 챗봇을 만들었어도 학생의 필요에 맞추어 교과 및 교과 외 영역을 모두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불확정성원리에 대한 인식 및 학습의 어려움

        민경모,유준희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불확정성에 대한 인식 및 학습의 어려움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18명이다. 자료는 설문과 면담으로 수집하였으며 분석은 현상학을 사용했다. 인식은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이해를 통해 조사하였다. 인식론적 프레이밍은 관점과 설명의 논리성으로 나타낼수 있었다. 고전역학적 관점이나 화학I 기반 양자역학 관점이 인식론적 자원으로 활성화된 연구참여자의경우는 불확정성원리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했다. 물리II 기반 양자역학 관점의 인식론적 자원과 중간수준 이상의 논리적 설명이 인식론적 자원으로 활성화된 연구참여자는 교육과정에서 원하는 수준으로불확정성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II 기반 양자역학 관점 중에서 감마선 현미경 관점과높은 수준의 논리적 설명이 인식론적 자원으로 활성화된 연구참여자의 경우가 적절하게 불확정성원리를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어려움은 내용, 맥락, 인식론, 응용 등의 측면으로 분류되었다. 고등학생은 불확정성원리를 학습하더라도 일상에서 적용이 불가능하며 믿고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데, 사고실험이 필수적인 현대물리 교육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gh-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uncertainty principl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8 high-school students, who answered questionnaires and had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y. The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epistemological framing (e.f.) and understanding of the uncertainty principle. The e.f. was described by a viewpoint and a logic. In the case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activated CM or Chemistry I-based QM as epistemological resources (e.r.), understanding was insufficient. In the case of participants who were activated physics II-based QM as an e.r., understanding was at the desired level in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participants who were activated physics II-based -ray microscope and the high level of logical explanations as e.r., understanding was appropriate. The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an difficulties with content, context, epistemology and application. High school students can not apply the uncertainty principle in everyday life even though they have learned it, and its interpretation is difficult to believe and accept.

      • KCI등재

        다국어 병렬 말뭉치의 구축과 한국어교육 연구에의 활용

        민경모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78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otential problems which can be encountered while constructing a multilingual parallel corpus, and to give concrete examples showing how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can be usefu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Language education studies have expressed much interest in exploring differences in the parts of a language which cause difficulties for learners from different language groups. For this reason, the contrastive linguistic methodology has been used to examin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arget language and the learner’s mother tongue. In the case of applicative purpose contrastive studies, objectively extracting matching pairs from the two languages is above all important. Parallel corpora are used as the primary data for extracting the matching pairs, and the issue of their construction and use has been actively discussed since the 1990s. Since parallel corpora have such an important meaning as the primary data in language studies, large scale projects to construct parallel corpora were conducted in each country, and in Korea a great number of parallel corpora was constructed through the Sejong Project. Yet, when it comes to the parallel corpora constructed until now, the majority of them were parallel corpora of only two languages, and the target languages were mostly limited only to major languages.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no parallel corpus in Korea which included more than 3 languages, and the target languages have been extremely limited to languages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French, German, etc. If we examine the problem of constructing parallel corpora from a contrastive studies perspective with Korean education in mind, the existing parallel corpora, with the exception of Chinese, have no relation to the mother tongues of the main Korean learners groups at the moment. Since the contrastive stud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a prerequisite of promoting understanding between the mother tongues of the learners, there is a need for constructing parallel corpora of Korean and mother tongues of the learners. Moreover, there is also a need to gather the primary data for contrastive studies on the types of languages by constructing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not only two, but also three or more languages. The discussion on constructing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three and more languages and constructing parallel corpora of minority languages is dealt with in this presenta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is research, we construct experimental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Korean and English, Vietnamese, Uzbek, Thai, and Sinhalese, and also examine the problems of constructing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centred around Korean. We examine the problems of data selection, hub languages, character codes, and example search which emerge in the construction of multilingual parallel corpora of minor languages. We also look into concrete examples on how to extract matching pairs of vocabulary to apply in parallel corpora by using a multilingual example search tool, which is being currently developed. 이 연구는 다국어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살피고,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다국어 병렬 말뭉치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실례를 들어 보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교육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학습 항목의 언어권별 차이를 밝히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를 위한 한 방편으로 목표 언어와 학습자 모어 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피는 대조언어학적 방법론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응용적 목적의 대조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언어 간 대응쌍을 객관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렬 말뭉치는 언어 간 대응쌍 추출에 이용되는 기초 자료로, 구축 및 이용의 문제가 1990년대부터 활발히 논의되어 왔다. 병렬 말뭉치는 언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에 세계 각국에서는 대규모의 병렬 말뭉치 구축 사업을 실시하였고, 국내에서도 세종계획을 통하여 상당량의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구축된 병렬 말뭉치는 두 언어 간 병렬 말뭉치가 주를 이루고, 구축 대상 언어도 주요 언어에 국한되어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세 언어 이상의 병렬 말뭉치, 즉 다국어 병렬 말뭉치가 아직까지 구축된 바 없으며, 구축 대상 언어도 영어,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극히 한정된 언어에 머물러 있다. 한국어교육을 위한 대조 연구에 초점을 두어 병렬 말뭉치의 구축 문제를 살펴보면, 지금까지 구축된 병렬 말뭉치는 중국어를 제외하고는 현재의 주요 한국어 학습자 층의 모어와는 괴리된 측면이 있다. 한국어교육을 위한 대조 연구는 학습자 및 학습자 모어의 이해를 도모한다는 대전제가 있기에 한국어와 한국어 학습자 모어 간 병렬 말뭉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두 언어 간 병렬 말뭉치가 아닌 세 언어 이상의 다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을 통하여 언어 유형에 기반한 대조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세 언어 이상의 다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 논의나 소수 언어를 대상으로 한 병렬 말뭉치 구축 논의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베트남어, 우즈베크어, 태국어, 신할리즈어 간 다국어 병렬 말뭉치를 시험적으로 구축하고, 한국어를 중심 언어로 하는 다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의 문제를 살펴본다. 이어서 언어 간 대응쌍 추출의 예를 통하여 다국어 병렬 말뭉치가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다국어 병렬 말뭉치의 구축 문제에서는 소수 언어를 병렬 말뭉치로 구축할 때 발생하는 자료 선택의 문제, 연계 언어의 문제, 문자 코드의 문제, 용례 검색의 문제를 살피고, 다국어 병렬 말뭉치의 활용에서는 개발하고 있는 다국어 용례 검색기를 통하여 언어 간 대응쌍을 어떻게 추출할 수 있는지를 실례를 들어 보일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Deixis의 개념 정립에 대한 일고찰

        민경모 한국어의미학회 2012 한국어 의미학 Vol.37 No.-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issues which can be raised in subcategorizing of deixis and the terminology concerning deixis. For this, It discusses the way how the notion of deixis has been accepting in Korean linguistic studies. It also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a point of view on deixis and subcategorizing of deixis as well as the terminology concerning deixis in Korean linguistic studies based on the concept of Origo and Dimen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ay to conceptualize deixis in Korean linguistic studies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wo types; one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deixis expression and context of utterance. the other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origo and the referent of deixis expression. Second, subcategorizing of deixis could be affected by how to conceptualize deixis. The status of Social deixis, Person deixis, and Object deixis depends on a point of view about deixis as a result. Third, Korean equivalent to deixis can be used depending on a point of view about deixis differ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