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약성서 『코헬렛』의 철학상담 적용연구

        문성윤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의 정신 건강을 괴롭히는 문제 중에 세상과 삶에 대한 허무가 있다. 허무는 공허한 상태, 목적이 없거나 잃은 상태, 일시적인 숨과 같은 헛됨 등을 의미한다. 허무는 인간이 일상에서 지녀야 할 긍정성이 사라진 상태로 볼 수 있다. 허무에 빠진 사람은 극단적인 허무주의와 비관, 포기, 절망, 권태 등의 부정성에 빠지게 된다. ‘허무’는 인간 정신을 괴롭히는 한계이며, 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와 상담적 도움을 필요로 한다. 세상의 허무를 주제로 삶의 지혜를 제시하는 성경 본문으로 코헬렛을 꼽을 수 있다. 코헬렛에는 다음 세 가지 주제, 세상과 삶을 바라보는 ‘관조’, 허무한 세상에서 탁월함의 지혜를 가리키는 ‘경구’ 그리고 인간의 한계를 넘기 위한 절대자를 향한 ‘경외’가 있다. 인간은 깨어있는 정신으로 자신과 세상을 진정 있게 사유할 때, 그 이면에 있는 진실을 마주할 수 있다. 코헬렛이 발견한 진실은 삶의 ‘허무’였다. 코헬렛은 허무라는 한계 상황을 마주하는 실존의 자세를 제시하고 로고스와 신앙으로 허무를 극복한다. 코헬렛의 진정성과 영성은 영성치유의 3단계 초월기법과 연결점을 지닌다. 영성치유는 감성이 주도하는 1단계, 이성이 주도하는 2단계, 영성이 주도하는 3단계를 통합하여 인간의 초월을 통한 치유를 목표로 한다. 이때 영성은 한계를 넘어서는 초월적 지향으로서, 로고스와 절대자와 관계하는 신앙을 포함한다. 이를 근거로 초월기법과 코헬렛의 지혜에 연관하여 허무감에 시달리는 내담자의 상담사례를 다루었다. 내담자는 마주하고 있는 허무에 대해 스스로 성찰하였고, 타인을 향해 있던 시선을 자기 자신에게로 그리고 절대자의 관점으로 이동하였다. 이를 통하여 내담자는 허무의 부정성을 이겨내고 신앙생활에 희망과 활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The vain of the world and life is the problem that afflicts the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That vain means emptiness, aimlessness, loss, and futility, such as temporary breathing. The vain can cause a state in which the positivity humans should have in their daily lives has disappeared. A person in vain could fall into the negativity of extreme nihilism and pessimism, abandonment, despair, and boredom because the loss of hope and aim is a limit that afflicts the human spirit. In those cases, Practical wisdom and counseling help are required. Qoheleth can be cited as the text of the Bible that presents the wisdom of life under the theme of the futility of the world. Qoheleth has the following three themes. Those are "contemplation" in looking at the world and life, "proverb, " which refers to better wisdom than in a vain world, and "awe" toward the absolute to overcome human limitations. When humans genuinely think about themselves and the world with a waking mind, they can face the truth behind it. The truth that Qoheleth discovered was "vain," and Qoheleth presents an existential attitude to face the marginal situation of futility. The process is carried out by reason and faith, the Logos. In this paper, the element of "spirituality" that goes beyond its limits through reason and faith was analyzed with Qoheleth's wisdom that can be used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Qoheleth's authenticity and spirituality are connected to the three-stage transcendental technique of spiritual healing. The transcendental technique aims to heal through human transcendence by integrating the first stage led by emotion, the second stage led by reason, and the third stage led by spirituality. At this time, spirituality is a transcendent orientation beyond its limits and includes faith related to Logos and the Absolute. Based on this, the counseling case of a client suffering from a sense of futility was dealt with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al technique and Qoheleth's wisdom. The client reflected on himself on the futility he was facing and moved his gaze toward others to himself and the perspective of the absolute. Through this, the client overcame the negativity of futility and restored hope and vitality to his religious life.

      • 루카 복음과 사도행전에서 드러나는 ‘길’ὁδός에 대한 고찰

        문성윤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의 문학 안에서 ‘길’이라는 단어와 표현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길은 단순히 물리적인 장소만을 이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인생을 의미하기도 하고, 삶의 가르침 또는 선택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색이 오직 인간의 문학에서만 등장하는 것은 아니다. 성경도 하느님의 말씀임과 동시에 일종의 문학 작품으로서 각 부분은 자신만의 문학 양식과 표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성경 안에서 ‘길’이라는 단어는 신약 성서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많이 등장한다. 이 중에 다른 복음서와 달리 루카만이 자신의 속편인 사도행전을 가지고 있다. 각각 루카와 사도행전에서 약 20번의 ‘길’(ὁδός)이라는 단어들이 등장하고 있고, ‘여행하다’(πορεύεσθαι)가 루카복음에는 51번 사도행전에 38번 등장한다. 이러한 표현을 사용한 것에 있어서 루카 저자가 신학적 의도를 가지고 또는 자신만의 문학적 표현으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루카 복음서와 사도행전으로 이어지는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역사에서 ‘길’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어떠한 신학적 의미가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한다. 길의 물리적인 이해와 각 부분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길’의 신학적인 의미 그리고 수식어와 같이 쓰이고 있는 표현들 이를테면 루카 복음서에서 등장하고 있는 ‘길을 준비하여라’, ‘주님의 길’, ‘하느님의 길’ 등의 단어들과, 사도행전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명의 길’, ‘주님의 길’, ‘새로운 길’ 등의 단어들에 대한 의미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루카는 루카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길이라는 단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마르코의 자료를 그대로 수집하는 경우도 있고, 마르코의 자료에서 길이라는 단어를 수정하여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루카는 다른 복음서들과 달리 예수의 공생활을 유다에 국한 시키려는 경향이 있으며, 사마리아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Q 문헌의 자료에 있어서도 루카는 그대로 자료를 수집하여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라는 표현을 첨가 또는 삭제하여 기록하였다. 그리고 루카는 관사 ‘ή’를 길(ὁδός) 앞에 사용하여 단일한 길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루카의 이러한 노력은 세례자 요한이 준비하고 예수에게서 시작된 길이 사도행전의 제자들에 의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루카는 비교적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가르침을 전하거나 교회가 걸아야 할 마음가짐을 가르치는 것에 집중되어 있으며, 루카의 본문들에서 보다 이방인 선교를 예고하는 의미가 강하고 다른 복음서들에 비해 임박한 종말론의 모습이 축소되어 있다. 그리하여 루카와 사도행전의 본문들에서 길은 교회에 들어 온지 얼마 되지 않은 이들을 위한 삶의 방식을 알려주는 지시가 되기도 하고, 교회가 가지고 있는 선교와 박해의 숙명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수께서 그러하신 것처럼 사도들 또한 박해를 받으며 자신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한다. 교회의 길은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부여하신 명령으로 주인이 손님을 초대하기 위해 종을 보내듯 사도들은 세상을 파견되어 나가는 선교의 길이다. 그리고 ‘길’은 교회가 스스로의 정체성을 인지하게 되면서 더 이상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교회를 지칭하는 호칭 ‘새로운 길’이 된다. 즉 루카 사도행전에서 길의 신학은 루카와 사도행전의 사건들을 단일한 길의 연장선 위에 올려놓는다. 따라서 루카의 구원론에서 길은 구원 경륜을 위해 나아가는 공간임과 동시에 구원을 향해하는 실천적인 노력이며, 종말론적으로는 구원으로 향하는 표지이자 다리로서 다가올 종말을 준비하는 교회의 노력으로 이해된다. 본 논문은 스스로를 순례자와 나그네로 이해하고 있는 교회의 이해가 루카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루카의 특수성에 집중하기 위하여 다른 공관복음과 서간들과의 관계보다는 루카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본문에 집중하였고, 정확히는 ‘길’(ὁδός)이라는 단어의 사용에 집중하여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지상의 순례자로서의 교회가 가져야 할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바람을 위하여 작성되었다. In human Literature, the word ‘Way’ has several meanings. The way indicates not only a physical path but also the way of life and the wisdom of life. This kind of usage is not only in secular literature.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and is also a kind of literary work, Each part of the Bible has its own form of expression. God called the evangelists to be his instruments. Therefore the Holy Spirit leads us by using writers through languages and expressions. The word Way(ὁδός) is one of those linguistic expressions. Especially, the ‘Way’ appears many times in the Four Gospels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The Gospel of Luke is linked to the Acts of the Apostles . The Acts of the Apostles was written as the sequel to the Gospel of Luke. The word ‘Way’(ὁδός) is used 20 times in the Gospel of Luke and Acts of the Apostles. Also ‘travel’(πορεύεσθαι) is used in the Gospel of Luke 51 times and in the Acts of the Apostles 38 times. It has the highest usage in all the New Testament. It is my opinion that Luke uses the word ‘Way’(ὁδός) as a literary expression for his purpose. In this thesis, I intend to explore how the use of the word ‘Way’(ὁδός) in Jesus’ lifetime and the history of the church in the Gospel of Luke and the Acts, according to our understanding of the word as a physical way and the use of the way as a theological description, I examined the Gospel of Luke and Acts to find out the different meanings and the many uses in different contexts, such as ‘the way of Lord’, ‘the way of life’, and ‘the way of God’. When Luke uses the ‘Way’ in the Gospel he sometimes accepts Mark’s source, but he revises materials for his theological purposes too. Luke does not intend Jesus’ ministry to focus on Judas and also is very favorably inclined to Samaria. Additionally when Luke uses materials of Q, he also deletes or inserts the word ‘Way’(ὁδός) on purpose. Luke always mentions the ‘Way’(ὁδός) with the definite article ‘ή’ to emphasize singleness. It indicates the Way for which John the Baptist prepared and is connected to Jesus’ way to Jerusalem and finally to the way to Rome by Apostles. So those contexts place a high importance on real history, practical wisdom and the problems of early Christians. Luke minimized eschatology comparatively. Luke’s main idea is the mission to the end of the world. The ‘Way’ is sometimes a direction for people who have entered the Christian community recently, so the Way instructs them how to live as followers of Jesus Christ. In addition, the Way gives advice for those under the stresses of persecution. The Way is to fulfill Jesus’ order to the Church to go out to the Gentiles like the servant who goes out to invite people to obey the Lord’s command. The Apostles try to spread ‘the Way of life’ and are rejected by some, just like some Israelites rejected Jesus. Finally the ‘Way’ is personified so the Church can regard herself as the new Way. The ‘Way’ reveals the identity of the Church. In the Gospel of Luke and in the Acts all Soteriological events of God’s providence are on the way. And the Way which was begun by John the Baptist- the last prophet- extends to Jesus’ way to Jerusalem and is further extended by the Apostles. So the Way is the bridge and the practical means for the fulfillment of salvation. Working on the Way the Church is preparing for the Eschaton. This thesis delves deeply into the Way as the identity of the pilgrim on earth for Christ. It is based on the Gospel of Luke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It focuses on the use of the word ‘Way’(ὁδός). Consequently this thesis studies texts with a hope of showing the Way as the life of a pilgrim on mission.

      •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 개발 연구

        문성윤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식기반사회는 교육현장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로인해 학교의 리더십과 실행에 대한 이해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초기 학교장에 대한 리더십은 학교장 개인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었지만 최근 전통적인 리더십에서 벗어나 조직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그들의 자발적 참여를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리더십 이론들이 등장하였다. 분산적 리더십은 다수의 리더가 존재하며 조직 내부와 조직 간에 공유되어야 하며 상호작용에 중점을 둔다. 학교장과 교사들은 학교조직문화의 변화를 주도 할 수 있는 학교 비전, 전문성 신장, 다양한 공동체 활동 등을 통해 교육목표에 달성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분산적 리더십에 어떤 요인들이 있으며 각 요인간의 영향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교현장에 맞는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분산적 리더십의 영역과 요소는 무엇인가? 연구문제2.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는 어느 정도 신뢰롭고 타당한가? 첫 번째 연구문제인 분산적 리더십의 영역과 요소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상황, 학교장, 교사, 교사의 상호작용의 4가지 분류 유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전문가의 협의회에서 4개의 평가영역과 각 영역의 하위 지표를 4개 속성으로 나누어 140개의 예비문항 선정하였다. 예비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요인별로 신뢰도가 떨어뜨리는 문항과 부하량이 작은 문항들을 제거하여 구인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선정된 요소에 대해 교육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 최종 60개의 평가요소를 결정하였다. 또한 교육전문가 협의회에서 타당도를 통해 본 설문 문항을 선정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도구 타당화를 위해, 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의 최종 설문 문항인 60개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교육학 전문가 및 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원생들과 설문지 검토 및 토의를 실시하였으며, 개발된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가 다른 표집을 통해서도 변함이 없는지, 일치도는 어떠한지 확인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적합도는 적합지수 X2 값, RMSEA, TLI, CFI, SRMR을 고려하여 판단하였으며, 분석결과 X2 값이 p>.001 유이한 차이가 없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X2 값은 표본의 크기에 민감하므로 다른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RMSEA은 .056로 .08이하로 나타나 좋은 수준이고, SRMR은 .024로 .10이하로 나타나 좋은 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났다. TLI값은 좋은 적합도 기준인 .09보다 큰 .903로 좋은 적합도를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CFI의 값도 .921으로 기준치인 .90보다 크므로 좋은 적합도를 가진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세 번째 사례검증은 분산적 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와 학교조직문화 유형 진단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산적 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교사 개인배경과 학교배경으로 차이 검증을 하였다. 개인배경 중 성별은 4가지 학교조직문화 유형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다. 직위는 부장교사 다른 교사들에 비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교배경인 학교 급에서는 특수목적고등학교가 초등학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조직에서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오랜 연구와 지속적으로 앞으로도 연구 될 것이다. 이 연구도 학교의 리더십을 측정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그동안의 리더십 측정은 학교장의 개인적 측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연구되고 있는 분산적 리더십의 시각은 다수의 리더가 존재하며, 리더십 활동은 조지 내부와 조직 간에 폭넓게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분산적 리더십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도구는 외국 선행연구자에 개발되었으나 문화적 차이로 인해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국내 연구는 델파이 조사 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현장을 반영하는 문항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분산적 리더십을 진단 할 수 있는 타당한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그리고 사례검증을 통해 분산적 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를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준거관련타당성을 위한 다양한 실증 연구와 분산적 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실증적 후속 연구를 통해 관계를 더 밝혀보는 연구도 필요하다. Knowledge-based society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diverse needs of buyers are increasing. Therefor there is a need to rethink about school’s leadership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way it is executed. Initial principal’s leadership was focused on the research of the principal alone, however recently there have emerged leadership theories that deviates from traditional leadership and presents its group members with vision and achieving voluntary participation as the organization’s goal. In the distributed leadership there exists a majority of leaders, the organization and the organization within must be shared, and focuses on the interactio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must achieve educational goals with school vision, professional growth, a variety of community activities in order to change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s aim is to find out what kind of factors are in the distributed leadership and analyse the influence of each factors in the school field then develop distributed leadership diagnostic tool that is right for our school field. The research problem is according as i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area and the elements of distributed leadership? Research Question 2. How much reliable and robust is the distributed leadership diagnostic tool? To find out about the area and the elements of distributed leadership i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ith advanced research we’ve set up four categories which is school situation, the principal, teachers, and the teacher interaction. Based on this education experts from the council selected 140 preliminary items which is divided into 4 evaluation areas and each area into 4 sub-indices. So to secure construct validity we’ve conducted a survey with pilot questionnaire, removing items which drops reliability or items which loads small amounts in each factor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e education expert’s review of the elements selected by the analysis result, we’ve secured content validity and determined the elements of the final 60 ratings. To find out about the tools for validation in the second study problem,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secure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60 items in the distributed leadership diagnostic tool’s final survey questions, education professionals and education doctoral course students reviewed and discussed about the questionnaire, and conducted Certified Financial Analyst through AMO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formity degree and whether the developed distributed leadership diagnostic tools remains the same throughout other samples. Goodness of fit was judged considering the X2 value, RMSEA, TLI, CFI, SRMR, the analysis turned out to be suitable because X2 p>.001 showed no differences, however because the X2 value is sensitive to sample size, we examined other goodness of fit index. As a result, the RMSEA was .056 which is less than .08 and in good level, SRMR was .024 which is less than .10 and in goodness of fit. TLI have a goodness of fit of .903 which is more than the superior goodness of fit of .09. To find ou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third example verification, we use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distributed leadership diagnostic tools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teachers’ percep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verified by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and by the school’s background. Among the personal background, gender showed that male have higher perception than female in 4 kind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Position showed that head teacher was higher in most areas than other teachers. In school level which is the school’s background, special high school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In school organization, long study and continuous research on leadership will be continued. This study also started from the point of view to measure school leadership. Particularly, till now there was a tendency to focus on the personal aspect of the principal in the measurement of the leadership. However recent study of distributed leadership’s perspective is to acknowledge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leaders, and that leadership activities should be widely shared across the organization and the internal of the organization. However the diagnostic tools that can diagnose distributed leadership was developed by foreign leading researchers, so due to cultural differences there are limitations to accept it as it is. Because domestic research relies on the Delphi survey methods, there are limits to see it as a item that reflect the scene. There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good diagnostic tool to diagnose distributed leadership. And through ver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was know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is needed through the variety of empirical studies about criterion-related validity for distributed leadership and empirical follow-up study for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 신규교사들의 도덕과 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성윤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신규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도덕 수업을 하면서 겪는 경험을 이해해 보고자 ‘신규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도덕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해 대구‧경북 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직 경력 3년 이하의 신규교사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1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보충 전화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담에 사용한 질문은 세이드맨(Seidman)이 제시한 3단계 면담을 연구주제에 맞게 재구성하였고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에는 지오르지(A. Giorgi)의 ‘현상학적 체험연구 방법’ 4단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교사들은 도덕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배운 도덕적 가치·덕목들을 일상생활에서 직접 행동으로 실천하도록 지도하는 것의 어려움과 과도한 도덕 교과서의 학습량 및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과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부족 등으로 인한 도덕 수업의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둘째, 신규교사들은 도덕과 교육과정의 실행자로서 학생들의 실질적인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다른 교과와 연계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도덕 교육에 있어서 실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도덕적 실천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는 행동적 측면에 대한 교육에 관심을 기울였다. 또한, 학생들이 도덕 교과에 대한 흥미가 높지 않음을 인지하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 의지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고 학생들의 생활세계와 직접 연관된 도덕 수업을 하려고 노력하였다. 셋째, 신규교사들은 더 나은 도덕 수업을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일상적인 학교생활지도나 인성 교육을 도덕 수업과 연계시키기 위해 도덕 수업은 교과 전담교사보다는 담임교사가 직접 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더 나은 도덕 교육을 위해 신규교사의 행정 업무 경감을 통한 교재 연구 시간 확보, 교육부나 교육청 차원에서 학교와 가정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교사들의 도덕 수업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이나 평가 방법 등에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수나 컨설팅 등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신규교사들은 도덕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더 나은 도덕 수업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고민하고 있었고 또, 교육 현장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우리 사회의 도덕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학교의 도덕 수업은 우선적으로 학생들이 미래의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좋은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장 교사들의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도덕 교육 정책이 입안되어야 하고 또 학교는 가정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도덕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한ㆍ미FTA 체결이후 금융산업방향과 국제경쟁력

        문성윤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미 FTA는 한국 경제에 상당한 수준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국내 금융산업의 개방에 대응하여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미 FTA의 금융산업에 대한 주요사항을 살펴보고 한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해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미국-싱가포르, 멕시코-나프타의 외국사례를 통하여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금융개방에 따른 경제적 이득은 한국 신인도의 상승과 교역 규모 및 투자의 증가로 금융서비스의 수요의 증가와, 소비자 및 투자자의 금융서비스에의 접근을 확대시킬 수 있는 기회로 작용되며 미국 금융기관과의 경쟁을 통한 생존 능력 향상과 혁신이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금융기관 간 경쟁치열로 금융권 재편의 촉매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신금융상품에 대해 미국이 압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일부 경쟁력이 부족한 금융회사는 도태될 가능성이 있으며, 외국계 대형 시장 잠식이 예상된다. 이에 따른 개방에 따른 경쟁력 제고방안은 국내 금융회사의 외국 금융회사에 대한 재무 및 비재무적 측면의 비교우위에 기초하는 한편, 국내 금융산업의 기본틀을 형성하는 하부구조인 금융규제 및 감독을 선진화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재무적 측면에서 볼 때, 국내 금융회사의 경쟁력은 주요 해외선진국에 비해 수익성, 성장성, 건전성 등이 여전히 취약하여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재무적 측면에 있어서도 상품개발, 리스크관리, 고객범위, 업무범위, 해외네트워크, 전문인력 및 소비자보호 등의 측면에서 취약하다. 이상과 같은 우리 금융산업의 낮은 경쟁력을 전제로 할 때, 개방과 국제화는 경쟁력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인식될 수 있다. 현재 정부는 금융허브 추진전략을 진행하고 있으며, FTA는 금융허브 추진 전략과 함께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금융허브 추진전략은 자산운용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FTA는 자산운용업을 포함하여 모든 금융업을 대상으로 하므로 보다 포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금융허브 추진전략과 FTA는 모두 자본유입형 개방을 기초로 하여 자본투자형 해외진출을 꾀하고자 하는 금융산업 경쟁력 제고 전략이 될 수 있다. 또한 은행, 증권·자산운용 등 금융 회사의 재무적·비재무적 측면에서 주요 선진국과의 경쟁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금융회사들의 경쟁력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큰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그 주된 이유는 국내 금융시장 위주의 영업에 안주해 온 측면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여 진다. 금융허브 추진전략과 FTA를 통해 국내 금융회사들이 국제 금융시장에 노출되는 정도가 크게 증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유수의 국제적인 금융회사들이 국내에 진입하고 국내 금융회사가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함으로써 영업의 다각화, 국제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금융산업의 새로운 장기 성장 동력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개방화·국제화 추세에 대비하여 국내 주요 금융산업이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첫째, 급변하는 영업환경과 FTA등 개방 확대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품개발, 판매채널 자산관리 및 리스크 관리, IB업무 등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춤으로써 수익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신상품 개발 능력 제고와 특화·시장세분화 등의 전략을 통한 다양화·장기화·국제화로 요약되는 소비자 니즈(needs) 변화에 부응하는 상품 개발 및 서비스의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국내 금융산업 내 부문 간 겸업화, 업무특화, 대형화, 글로벌 네트워크형성 등 국제화를 통해 서비스의 원천 및 내용을 다각화함으로써 개방에 대비한 경쟁력 제고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급변하는 투자환경에 대응하여 새로운 자산운용방식을 개발하는 등 자산운용기법을 선진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 전사적 차원의 사전적·동태적 리스크 중심 경영체제를 확립할 뿐만 아니라 위험을 적극적으로 인수하여 상품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개방에 따른 양면적 효과를 조화롭게 해결하기 위해 금융기관들의 경쟁력 상품의 개발과 금융감독체계의 개편과 분쟁절차 등 내부제도의 정비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 구리촉매를 사용한 알파,베타 불포화된 화합물의 환원과 붕소 첨가반응

        문성윤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art 1. Reduction of α,β-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 by NHC-Cu(OAc)2 complex Sung Yun. Mun Department of Chemistry (BK21) Sungkyunkwan University : Reduction activity of α,β-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nitrile, phosphonate) is compared using catalysts such as N-heterocyclic carbene (NHC) ligand and copper(II) acetate complex, (IPr)CuII(OAc)2 Consequently, in the case of nitrle, the activity was even higher than the case of Cu-Xantphos and DPEphos system, while vinyl phosphonate showed lower activity. However, vinyl phosphonate could be reducted using Cu-phosphine system. Part 2. β-Borylation of α,β-unsaturated carbonyl compound by copper catalyst and bis(pinacolato)diboron : An effective methodology using α,β-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 (ester, ketone, nitrile, phosphonate), that have similar oxidation state with carboxylic acid and lower activity than enone, Cu(I) catalyst, and bis(pinacolato)diboron is studied.

      • 뇌파 분석을 이용한 컴퓨팅 사고력 교육 설계 평가

        문성윤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교육현장에 도입 된다. 개정 방향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교육은 건전한 정보 윤리 의식과 태도를 가지고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컴퓨팅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력을 기르는데 기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일환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이 활용된다. 프로그래밍 수업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의 중요한 요소인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력 신장이라는 학습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교육도구를 선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인 엔트리(Entry)와 전기‧전자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간단한 조작으로 피지컬 컴퓨팅(Physical Computing)을 할 수 있는 엔트리용 센서보드를 프로그래밍 교육도구로 선정했다. 그리고 엔트리와 엔트리용 센서보드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8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것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전‧후에 문제 해결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γ파와 뇌파 집중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문제해결력이 향상되는 결과가 나왔지만 학업 성적이 다소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어렵게 인식되어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고려하지 않는 동일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