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적 이해와 과학적 실재론 논쟁

        이병호 한국과학철학회 2024 과학철학 Vol.27 No.1

        과학적 이해의 본성 문제는 과학적 실재론 논쟁과 연관될 수 있다. 과학적 이해에 대한 전통적 견해에 따르면 과학적 이해는 과학적 설명에 대한 지식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과학적 설명은 과학 이론에 근거하며 지식은 참인 믿음을 요구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전통적 견해가 옳다면, 과학 이론의 참을 믿는 실재론자와 달리 그러한 믿음을 거부하는 반실재론자는 과학적 이해를 획득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박승배(2022)는 그의 과학적 실재론을 지지하는 한 가지 논변으로서 반실재론자는 과학적 이해를 획득할 수 없기에 반실재론이 실재론의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델센(Dellsén 2016, 2017), 데 레흐트(de Regt 2015)에 대항하여 과학적 이해가 정당화, 믿음, 참을 요구한다는 지식주의(epistemism)를 옹호한다. 이 글에서 나는 먼저 지식주의가 과학적 실재론 논쟁에 갖는 함축을 명료화하고, 그의 지식주의 옹호가 (믿음과 정당화와 관련해서) 실패하거나 (참과 관련해서) 결정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The issue of the natur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can be related to the scientific realism debat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 of scientific understanding, it is knowledge about scientific explanations. Additionally, it is widely accepted that scientific explanations are based on scientific theories, and knowledge requires true belief. Therefore, if the traditional view is correct, the anti-realists, who do not believe in the truth of scientific theories, would be unable to acquire scientific understanding, unlike the realists, who hold such beliefs. In this context, Park (2022) recently supported his scientific realism by arguing that scientific anti-realism cannot serve as an alternative to it because the anti-realists lack scientific understanding. Specifically, he advocates epistemism, which posits that scientific understanding requires justification, belief, and truth, against the views of Dellsén (2016, 2017) and de Regt (2015). In this paper, I first clarify the implications of epistemism for the scientific realism debate and argue that Park’s defense of epistemism is either unsuccessful (regarding belief and justification) or inconclusive (regarding trut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기후과학의 철학적 쟁점: 성공적 융합 연구를 위한 인식론적 조건과 윤리적 함의

        이상욱 ( Sang Wook Yi ) 한국과학철학회 2015 과학철학 Vol.18 No.1

        본 논문은 기후과학과 관련된 두 철학적 쟁점, 즉 융합연구의 인식론적 성공조건과 과학연구에 내재된 윤리적 함의를 탐색한다. 필자는 우선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여러 분과학문에 흩어진 연구 결과로부터 하나의 종합적인 시각을 갖춘 학문 분야, 즉 기후과학(climate science)으로 성립되었는지를 킬링 곡선(Keeling Curve)과 일반순환모형(General Circulation Model)을 비롯한 여러 경험적, 이론적 분석 도구를 통해 살펴본다. 융합적 과학 연구가 생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인식론적 조건은 설명하려는 현상이 너무 복잡해서 단일한 이론 틀이나 분석 기법으로는 이해하기 어렵거나, 해결하려는 문제가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어서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 영역에 대한 종합적 고려가 필요한 경우이다. 필자는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는 이 조건을 만족하기에 융합연구의 범례(exemplar)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현재 관련 자연과학 연구를 기반으로 학문적 정체성을 갖추어가고 있는 기후과학이 지구적 맥락에서 윤리적으로 보다 만족스러운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관련 과학 연구의 몇몇 전제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기후변화에 대한 경제학 연구, 특히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is)이 갖는 윤리적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끌어낸다. 그런다음 현재 우리나라에서 점차 등장하고 있는 기후변화 연구의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 연구가 초학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The paper examines two philosophical topics relating to climate science, namely the epistemological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thical implications immanent in climate research. I describe first how climate science has been established its identity from disparate approaches to various aspects of climate, emphasizing the role of crucial empirical and theoretical tools such as Keeling Curve and General Circulation Model. The epistemological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are either that the target phenomena are too complicated to be explained or understood within a single theoretical framework/discipline, or that the satisfactory solution to a crucial challenge has to cover a number of distinct areas of expertise. I claim that climate science satisfies these conditions, and provide an exemplar of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n I argue that we need to re-evaluate some core assumptions of climate science including those of cost-benefit analysis in order to make it ethically more justifiable. Finally, I briefly discuss a few shortcomings of climate science research by Korean scholars, and try to offer some suggestions to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백성혜,남초이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1

        Teaching nature of science (NO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needs to cultivate scientific literacy which is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But many science teachers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on’t recognize NOS or needs of teaching NOS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types about NO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o research change of their recognition through explicit instructions. It included tentativ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creative nature of science theory, observation and inference, and subjective nature of observation through various examples, and inquiry experiments in the instructions. As results, we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change into post-positivism related to tentativ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creative nature of science theory, aims of experiments, etc. They gained a critical insight into science textbooks through the recognition of NOS, and felt the need of teaching NOS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It needs including instructions related to NOS in the curriculum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for cultivating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of teaching students. From this study, we clarify needs of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of NOS to develop their ability of communication by reconstruction of science textbook contents. 과학 수업을 통해 중등 학생들에게 과학의 본성을 지도하는 것은 과학 교육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인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많은 과학교사들과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의 본성을 인식하거나, 이를 지도할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조사하고, 과학의 본성을 직접적으로 다룬 명시적인 수업을 통해 이들의 인식이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수업 내용에는 다양한 사례와 탐구 실험 등을 통해 과학 지식의 잠정성, 과학 지식의 창안, 관찰과 추론, 관찰의 주관성 등의 내용이 드러나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지식의 잠정성, 이론의 생성, 실험 목적 등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은 후기실증주의 관점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안목도 형성되었으며, 과학의 본성을 중등 학생들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음도 인식하였다. 앞으로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에 과학의 본성에 관련된 수업을 포함시킴으로써 이들이 과학 교사로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필요한 능력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 교사들이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이 연구를 통해 밝혔다.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유전체학, 새로운 "인종"과학, 그리고 과학학의 대응

        현재환 ( Jae Hwan Hyun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2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가 종결된 이후, 과거 사회적 구성물로 이해되던 인종범주가 과학적으로 유용하다는 주장과 함께 인종 차이에 대한 유전체학 연구들이 급증했다. 이 새로운 인종과학은 과학에 대한 철학적, 역사적, 사회학적 연구를 꾀하는 과학학에 새로운 도전으로 다가왔다. 이 글은 과학철학과 과학기술학을 중심으로 인종 관련 유전체학 연구들이 야기한 문제들에 대한 과학학의 대응을 검토한다. 과학철학자들은 생물학적 인종 개념의 구제와 실재론 논쟁과 같은 작업에 몰두한 반면, 과학기술학자들은 인종 차이에 대한 유전체학 연구를 순수한 과학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대신 그러한 과학연구가 일어나게 된 배경과 그러한 ‘인종’과학의 효과를 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은 현재과학학의 여러 연구들이 이처럼 각자 다른 분석틀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대응을 해나가고 있지만, 이들 여러 분석틀을 사용한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면, 과학에 대한 철학적 연구와 역사-사회학적 연구 양측이 유전체학에서 나타난 인종 개념에 관한 발전적 이해를 얻을 수 있다고 제안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과학기술학의 경험연구가 과학철학의 실재론 논쟁에 도움을 줄 수있는 방향과 과학철학의 인종 범주 분류 체계가 다양한 과학 활동들에서 인종범주가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돕는 도구가 될 수 있는 경우를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페미니즘 과학학 영역에서 이뤄진 과학철학과 과학기술학의 생산적 협업이 다른 주제에 관해서도 일어날가능성을 타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Human Genome Projec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racial categories has been reassessed by scientists, especially in the field of genomics. The number of scientific studies on genomics and on racial differences has increased radically in recent years, although at one time scientists regarded the concept of race as a ‘social construct.’ This new racial science has become a kind of challenge to scholars of science studies, who attempt to focus on th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aspects of science. This paper examines the responses of these scholars, specifically focusing on philosophers of science and STS scholars, to the new challenge of the science of race. Philosophers of science, on the one hand, are engaged in the work of saving the biological concept of race and the debate about the biological reality of race. On the other hand, STS scholars have favored a contextual approach to this subject by tracing the socio-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emerging new racial science and criticizing its contested effects in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scholars would better comprehend the use of racial categories in genomics by taking into account both philosophical studies and historico-sociological studies of this phenomenon in view of a synthesis between them. This study will be a part of a larger effort to promote generative collaboration between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STS.

      • KCI등재

        복잡성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전일론적 존재론

        나정민 한국과학철학회 2006 과학철학 Vol.9 No.1

        Everything, that is discerned by us, depends on our Understanding-Structure. In that respect our Understanding-Structure is the precondition of the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knowledge reflects not 'Ding an Sich' but our Understanding-Structure of the Nature.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receive objective knowledge from Nature direct. So science is knowledge, which is interpreted by us. Our Understanding-Structure is the precondition of knowledge. In this sense every scientific knowledge is the cooperation with the Ding an Sich and subjective Understanding-Structure. According to this precondition, every scientific theory shows, how we understand the nature. This means that the world, which every scientific theory describes, is not stable. The scientific world-view changes according to our scientific understanding-structure. In this Article I show this change with the help of the methodology in the scientific theories. The methodology, which uses each scientific theory, is the understanding-structure, through which each scientific theory comprehends the natural phenomena. So the methodology of each scientific theory shows the structure of the object, which each scientific theory researches. According to the methode the each scientific theory interpret her object. So the scientific theory has her own Nature View according to her methodology: Newton's mechanic is known as Mechanism, which is based on the individual oriented reductional Methodology. On the contrary, the complex theory shows the holistic Ontology, which is based on the non-linear Methodology. 경험적 세계를 탐구하는 학문인 과학이 사용하는 방법론은 그 대상에 접근하기 위한 ‘수단’이면서 동시에 인식주관이 갖는 ‘인식론적 틀’이다. 이렇게 개별 과학이론의 대상들은 그 과학이론들이 사용하는 방법론에 의해서만 접근될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개별 과학이론의 대상들에 대한 존재론적 규명의 작업은 해당 과학이론이 사용하는 방법론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렇게 과학이론의 대상들에 대한 존재론적 규명은 방법론이라는 인식론을 출발점으로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구도 하에서, 본 논문은 과학이론들이 사용하는 방법론의 상이성에 따른 존재론적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해당 방법론에 대응되는 존재론적 특성이 ‘(경험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라는 과학이 갖는 역할의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함의하고 있는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