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적 위기: 개별화된 예측 정보의 증가로 인한 상호협력 기반의 상실

        손제연 한국윤리학회(8A3209) 2022 윤리학 Vol.11 No.2

        As paradoxical as it may sound, the easier it becomes for credit rating agencies in a society to predict individual credit, the less likely it is for the society to be a credit-based society. This is because mutual cooperation to prepare for an unpredictable future is based on mutual ignorance of personalized information between members. In a society where personalized information that makes possible predictions for each person increases, people who know but hide such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in cooperation are regarded as free riders or cheaters. As a result,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expect mutual cooperation through the free market for the realization of ordinary welfare, which has been previously considered to be achieved more efficiently through cooperation through the market rather than through social planning. However, any attempts of denying the positive function of individualized information or completely blocking its increase and distribution are not only unpromising, but also undesirable. What is clear is that in many areas that have relied on markets for the achievement of vital value(s) of liberalism or even utilitarianism, it is no longer reasonable to rely solely on the probability of mutual cooperation in the free market. It is the current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is rapidly increasing individualized predictive information. It can be seen from this that the crisis facing in the era of weak AI is not a further intensification of the traditional problems such as black-box of a technology or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but is a new type of grave crisis in which significant loss of mutual cooperation arises from technology with enhanced individual prediction. Moreover, regulatory prescriptions against the black-box nature of AI, such as ‘eXplainable AI’ or ‘trustworthy AI’, seem to be based in many cases on unreflective and superficial counterfeits from old ethical debates, which can only lead people to ethics-washing and -bashing. 개인별 신용을 더 잘 예측할 수 있게 될 수록, 역설적으로 신용을 토대로 성립하는 사회의 기초는 더 위협받을 수 있다. 예측불가능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상호협력은 협력 당사자들 사이의 신용을 구성하는 정보에 대한 상호적 무지(mutual ignorance)를 중대한 기초로 하기 때문이다. 개별화된 예측정보가 증가하는 사회에서는 자신에 대한 정보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무임승차자나 사기꾼으로 간주된다. 이로 인해 사회의 공적 계획보다는 시장을 통한 자유로운 상호협력을 통해 더 효율적으로 달성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던 일상적인 복지에 대해서조차 그 실현을 위해 자유 시장을 통한 상호협력을 기대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진다. 그러나 개별화된 정보가 주는 순기능을 부인하거나 그 생산과 유통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방향은 대개 유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도 않다. 분명한 것은, 자유주의 또는 심지어 공리주의의 중요한 가치의 성취를 시장에 의탁해 왔던 많은 영역에서, 자유시장에서의 협력 가능성에 이를 기대하는 것은 이제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개별화된 예측정보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있는 것은 바로 현재의 약인공지능 기술이다. 이로부터, 약인공지능이 발생시키는 중대한 윤리적 위기는 불투명한 기술적 특성이나 개인정보의 오남용 같은 심화된 전통적 문제가 아니라 강화된 개인별 예측기술로부터 발생하는 이례적인 공정하고 합리적인 상호협력의 상실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게다가 AI기술의 불투명성을 극복하려는 규제적 대응—예를 들어, ‘설명가능한 AI’나 ‘신뢰할 만한 AI’—은 많은 경우 지나간 윤리적 논의와 논점을 피상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보이는데, 성급한 규제의 방향이 윤리세탁을 유발하거나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윤리거부의 태도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 KCI등재

        Word2Vec을 활용한 한국어 도덕기반사전의 작성과 사용: ‘갑질’에 대한 적용을 중심으로

        김현섭,전성재 한국윤리학회(8A3209) 2022 윤리학 Vol.11 No.2

        According to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there are five main reasons why an action is wrong: harm, unfairness, betrayal, subversion, and degradation.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is supported by self-report surveys, implicit measures, physiological evidence, and text analyses. The traditional method of text analysis is to count words: collect words for each moral foundation on the basis of linguistic intuition and count how many times those words appear in the text. Recently, a new method of text analysis has been developed: represent each word as a dense vector in a high dimensional space and use the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words in compiling a dictionary and analyzing short texts. We used this method of distributed representation and analyzed words in terms of the Moral Foundations Theory. We produced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words by training a Word2Vec model on a newspaper corpus of approximately 100 million Korean words. Then we used the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Korean words to improve on an intuition-based Korean Moral Foundations Dictionary. We produced the vectors representing the moral foundations by averaging the word vectors of the improved Korean Moral Foundations Dictionary, and analyzed individual words correctly by calculating cosine similarities between the vector of words to be analyzed and the vectors that represent the moral foundations. It turns out that the Korean word ‘gapjil’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foundations of Fairness/Cheating and Authority/Subversion, a result that agrees with our moral intuition. 도덕기반이론에 의하면 어떤 행위가 도덕적으로 그른 이유를 피해를 입히므로, 불공정하므로, 배신이므로, 전복적이므로, 타락했기 때문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덕기반이론은 자기보고 설문, 암묵적 측정, 안면근육의 움직임이나 두뇌용적과 같은 생리학적 측정, 텍스트 분석 등의 경험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텍스트 분석은 주로 각 기반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직관적으로 수집하여 사전을 편찬하고 그 단어들이 대상 텍스트에서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가를 세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최근에는 각 단어를 다차원의 밀집 실수벡터에 대응시키고, 그 벡터 즉 단어의 분산표현을 활용하여 사전 편찬을 개선하고 소량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기법이 개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산표현 기법을 써 텍스트를 도덕기반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어 신문기사 말뭉치를 Word2Vec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용된 단어들을 밀집 벡터에 대응시켜 분산표현을 얻었고, 이를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영어 도덕기반사전을 참조하여 만든 한국어 도덕기반사전을 수정한 한국어 도덕기반사전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한 사전상 단어의 벡터들을 평균하여 각 도덕기반을 표상하는 벡터를 얻었고, 그 도덕기반 벡터와의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하여 도덕기반사전에 포함되지 않은 단어도 직관적 의미에 맞게 분류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 사례로 ‘갑질’이라는 단어는 불공정/공평, 전복/권위 기반 차원에서 부정적 평가가 강하게 나타나, 우월한 지위에 있는 사람이 세력을 남용하여 공정하지 않게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라는 직관적 의미에 부합하였다.

      • KCI등재

        좋은 삶의 형식적 개념에 기초한 사회 정의론의 개요

        정태창 한국윤리학회(8A3209) 2023 윤리학 Vol.12 No.2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utline of a theory of social justice focused on Honnett’s concept of formal ethical life (Sittlichkeit), i.e. totality of intersubjective conditions that serve as essential prerequisites for an individual to lead a good life. To this end, the following tasks are performed in this paper. First, it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dominant liberal conception of justice, focusing on Rawls, to show the context for for the need for an alternative theory of justice today, and then examines problems of two attempts which aim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Fraser’s attempt to make liberal conception of justice more contentually thick within the framework of deontology and Sandel’s attempt to construct more comprehensive conception of justice by turning to tele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reby supporting a particular conception of good life. While Honnett’s conept of formal ethical life deserves to be a basis of an alternative conception of justice in that it is teleological and formal, full potential of this concept cannot be fully delevoped in his theory of recognition. Second task of this paper is to pull this concept of formal ethical life from the context of Honnett’s theory of recognition and install it as a foundation stone for a new theory of justice. In order for formal ethical life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a theory of justice, a more concrete elucidation of the concept must be done. To this end, this paper articultates the core of normative content of the concept at a general level in comparison to Kant’s deontological view, and then goes on to divide formal ethical life into two layers, a ‘core’ and a ‘periphery,’ and to outline the content of each. 이 논문은 호네트의 형식적 인륜성, 즉 개인의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필수적 전제 조건으로 작용하는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총체의 개념에 기초한 사회 정의론의 개요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수행된다. 먼저 오늘날 대안적인 정의론이 요구되는 배경으로서 기존에 주류를 이루어온 자유주의적 정의관의 한계를 롤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두 가지 시도로 의무론의 틀 안에서 자유주의적 정의관을 보다 내용적으로 두껍게 변형하려는 시도(프레이저) 및 목적론으로 전회하여 좋은 삶의 특정한 관점을 옹호하는 방식으로 정의론을 내용적으로 풍부하게 하려는 시도(샌델)의 문제점을 각각 검토한다. 호네트의 형식적 인륜성의 개념은 목적론에 기반해 있으면서도 형식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대안적인 정의관의 기초가 될만하지만, 그의 인정이론적 정의관에서는 이 개념의 잠재력이 충분히 전개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 개념을 그의 인정 이론의 맥락에서 분리하여 나름의 방식으로 정의론의 개요를 마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형식적 인륜성이 정의론의 기초의 역할을 할 수 있으려면 이 개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해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칸트의 의무론과의 비교 하에서 이 개념의 규범적 내용의 핵심을 일반적인 차원에서 해명하며, 계속해서 형식적 인륜성을 ‘코어’와 ‘주변부’ 의 두 가지 층위로 구분하여 각각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전지구 사회에서의 생명의료윤리: 역량 접근법을 중심으로

        목광수 한국윤리학회(8A3209) 2019 윤리학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biomedical ethics and,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o search for a relevant theoretical foundation of global biomedical ethics, which is theoretically justifiable and effectively responds to biomedical issues in the global socie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the ethical issues of global biomedical ethics are in the cross section of global ethics and biomedical ethics, but they cannot be reduced to each area and should be dealt with beyond both areas. For these reasons, global biomedical ethics needs to be established with an academic independence to capture and respond to these ethical issues. However, the rights-based theory, which is considered as an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of global biomedical ethics, is weak in justification and effectiveness. This is because the rights-based theory itself, despite its normative and popular status, does not provide a justifiable ground and does not effectively respond to the conflict of right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capability approach can be a relevant theoretical alternative of global biomedical ethics, because it not onl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rights-based theory, but also can be strong in justification and effectiveness.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들어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전지구적 생명의료윤리의 특 성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생명의료윤리학의 이론적 토대 로 적합한 논의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에 따르면, 전지구 적 생명의료윤리의 윤리적 사안들은 전지구적 관점과 생명의료윤리의 관점이 교차 하는 영역에 있으면서도, 양자의 논의에 환원될 수 없는 확장된 성격을 갖는다. 이 런 이유로 인해, 전지구적 생명의료윤리학은 학문적 독자성을 가지고 성립하여 이 러한 윤리적 문제들을 포착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지구적 생 명의료윤리학의 이론적 토대로 주목받고 있는 권리 중심적 논의는, 정당성과 실효 성에서 취약하다. 왜냐하면, 권리 논의 자체가 권리 정당화에 근본적으로 취약하며 권리들 사이의 충돌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 문은 권리 중심 논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정당 성과 실천성을 담보하는 역량 접근법이 전지구적 생명의료윤리의 이론적 토대로 적 합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역량 접근법의 역량 개념은 건강 또는 보건의료 개 념이 갖는 중층적 성격을 포착하기에 효과적이며, 역량 접근법은 보편성과 특수성 이 함께 요구되는 전지구적 성격을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리 중심 논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제도적, 비제도적, 개인적 차원의 통합적 구조를 통해 건강 또는 보건의료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실천적 논의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에서 정의, 부정의, 그리고 정치문화: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지양

        박상혁 한국윤리학회(8A3209) 2018 윤리학 Vol.7 No.2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pluralistic about what a just society is. Usually, these pluralistic views are classified into conservative views and progressive views. Conservative views include statism, market fundamentalism, and etc, while progressive views include Rawls’ liberalism and substantial democracy. Searching for a proper theory of social justice for Korean society, I utilize J.N. Shklar’s political theory and her liberalism. Shklar classifies many versions of liberalism into two classes, “liberalism of memory (or fear)” and “liberalism of hope.” “Liberalism of memory” is mainly based upon fear of injustices of the past while “liberalism of hope” is mainly based upon hope for a ideally just society in the future. According to my interpretation, Shklar’s own liberalism is “liberalism of fear and hope” which closely combines liberalism of fear and liberalism of hope. Based upon Shklar’s theory, I diagnose that conservative views in Korea are mainly based upon fear of past injustices and misery, but sticking to that memory, these views just let current injustices go or get them worse. I hold that progressive views do not have strong memory of past injustices and their hopes are not firmly based upon korean political culture, so unrealistic. So I hold that proper theory of social justice for Korean society needs to closely combine the fear of conservatism and the hope of progressivism. 정치적으로 자유민주주의, 경제적으로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현대 한국사회는 정의로운 사회가 무엇인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는 다원주의 사회로, 통상 이런 견해들은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로 나뉜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 자유민주주의적으로 정당하고 적실한 사회정의관을 모색하는 필자는 심의민주주의와 슈클라의 정치이론을 원용한다. 슈클라는 다양한 정의론들을 ‘기억의 정의론’과 ‘희망의 정의론’으로 분류하는 데, 기억의 정의론은 과거의 부정의에 대한 역사적 기억에 주로 기초하고 희망의 정의론은 미래의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희망에 주로 기초한다. 그런데 슈클라는 기억의 정의론과 희망의 정의론 각각만으로는 적절한 정의론이 아니며 두 이론이 긴밀히 통합된 ‘기억과 희망의 정의론’이 적절한 정의론이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한국의 보수주의는 한국사회가 겪은 과거의 부정의에 기반하고, 한국의 진보주의는 미래에 대한 희망에 기반한다고 진단하며, 이들 양편의 이론들을 평가하려 합당하지 않은 면을 사상하고, 합당한 면을 통합하면서 현대 한국사회에 적절한 기억과 희망의 자유주의를 제시하는 데, 정의로운 사회는 시장경제에 바탕하는 복지국가이고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입헌자유민주주의 국가이다.

      • KCI등재후보

        애완동물: 장난감인가, 피보호자인가, 반려인가?

        최훈 한국윤리학회(8A3209) 2018 윤리학 Vol.7 No.2

        동물에 대한 윤리적 논의는 그 동안 농장 동물과 실험동물에 집중되었고 애완동물에 대한 논의는 미미하였다. 농장 동물과 실험동물에 비해 애완동물이 우리 주변에서 더 자주 볼 수 있고 친숙하기에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애완동물이 존재하는 것 자체가 윤리적으로 옳으냐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려고 한다. 설령 애완동물이 인간으로부터 애정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애완동물을 태어나게 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바람직한가 묻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 프루와 워치니안스키의 두 가지 모형을 변형한 세 가지 모형, 곧 장난감, 피보호자, 반려 모형을 제시하고 각 모형에서 애완동물이 적합한지 살펴보려고 한다. 나는 애완동물은 이 세 가지 모형 어디에도 적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애완동물의 의존성과 취약성이 핵심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그렇다면 애완동물에 대한 다른 적합한 모형이 있기 전까지는 애완동물을 존재하지 않게 하는 것이 옳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Ethical discussions on animals have focused on farm animals and laboratory animals, and discussions on pets have been minimal. Such discussion is needed because pets are more usual around us and more familiar to us than farm animals and laboratory animals. This paper tries to ask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the existence of a pet itself is ethically correct. Even if a pet receives affection from humans, we must ask whether it is ethically correct to have a pet born. To that end, we propose three models, Toy, Dependent and Companion Models, which are modified from the two models of Furuh and Wirchnianski. I will show that pets do not fit anywhere on these three models. In this process, the dependence and vulnerability of pets will be mainly discussed. I conclude that we must stop pets from being present until there are other suitable models for pets.

      • KCI등재

        Reductive Collectivism and Complicitous Liability in War: Against Bazargan’s Account on the Moral Principle for Killing in War

        김상수 한국윤리학회(8A3209) 2023 윤리학 Vol.12 No.2

        My purpose in this paper is to analyze Bazargan’s complicitous liability account for evaluating the liability of unjust combatants and unjust noncombatants in war, based on reductive collectivism, and to show its limitations. Those who concede the necessity of a moral principle for killing in war believe that an adequate moral principle for determining justifiable killing in war should be capable of satisfying both conditions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dition is that most unjust combatants are legitimate (or permissible) targets in war, and the second condition is that most unjust noncombatants are not. According to Bazargan’s complicitous liability-based account hinged on reductive collectivism, an individual can be liable to be killed by possess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unjust actions. His complicitous liability-based account is significant in that it avoids the responsibility dilemma that reductive individualism faces, while at the same time, based on reductive collectivism, it justifies individual liability based on the shared participatory intention of those who participate in a collective unjust action. In my view, however, his account faces a centrality dilemma, which is a matter of establishing the degree of centrality of a role in relation to an unjust collective action. This dilemma has a significant problem that blurs the judgment of complicitous liability for killing in war.

      • KCI등재후보

        덕 윤리에서 습관의 중요성과 노직의 경험기계를 통한 옹호

        장동익 한국윤리학회(8A3209) 2017 윤리학 Vol.6 No.2

        Based on Aristotle’s viewpoint of virtue, I will represent that habituation is so important in the formation and cultivation of virtue, while discussing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bit. One may think that we seem to be able to form and cultivate virtue without habituation. If so, this will cause a serious flaw and defect of virtue ethics. I will explain that our cultivation of virtue is impossible without habituation of our character traits by clarifying the examples of Ebenezer Scrooge in Dickens’s Christmas Carol and the experience machine in Nozick’s Anarch, State and Utopia. At first glance, Ebenezer Scrooge seemed to show a change of character without long-term habituation, but we should recognize that Scrooge’s example has nothing to do with a change of character traits. Nozick tells that the experience machine lets us have experiences without direct experiences so as to change character traits. I will argue, like Nozick, that the seemed-experiences, formed by Nozick’s experience machine is not such experiences that the mankind will form voluntarily. Through an experience machine, we will have no real human experiences. It is impossible for any machine to transform our character traits without our continuous habituation. That is, without habituation, it is impossible to form and cultivate virtue.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통하여 습관의 본성과 특성을 논의하면서 덕의 형성과 함양에 습관이 어떤 중요성을 가지는지 밝혀 볼 것이다. 그리고 덕 윤리에서 습관 없이도 덕의 형성과 함양이 가능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의문을 해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의문에 대한 해명은 『크리스마스캐럴』의 주인공인 에벤에저 스크루지의 사례와 노직의 경험기계 그리고 변환기계에 대한 해명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에벤에저 스크루지의 사례는 얼핏 습관을 위한 노력 없이 성품이 변화한 경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런 사례가 아니라는 것을 논구하였다. 노직의 경험기계와 변환기계는 직접적인 경험 없이 경험을 가지며 따라서 성품의 변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계이다. 노직이 말하고 있듯이, 우리는 경험기계에 접속하여 실제 경험이 아닌 가공된 경험을 가지려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경험기계와 변환기계에 의한 경험과 변환은 인류가 생각하는 경험이나 성품의 변환이 아니라는 것을 해명할 것이다. 경험기계나 변환기계에 의해서는 우리의 성품의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즉 습관에 의한 성품의 변화 없이는 덕의 형성과 함양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 KCI등재후보

        B. 윌리엄스의 내재주의에서 규범성에 관한 논의

        최민영 한국윤리학회(8A3209) 2018 윤리학 Vol.7 No.1

        Bernard Williams insists that the reason for action is internal in having an agent’s ‘subjective motivational set’ and ‘sound deliberative route’ as a necessary condition. Also, he insists that there is only an internal reason and no external reason for action. However, Parfit, who supports external interpretation, claims that there is a normative reason to pursue whatever the agent’s motivation is, and that the agent will recognize a reason and be motivated to act in accordance with the reason if he or she is rational. According to Parfit, normative and natural facts are non-reductable and they not only have their own domains but also make a normative claim from normative facts only. And an agent, if substantively rational, recognizes a normative reason and is motivated to act. However, Parfit’s argument is not so satisfactory enough to confirm that normative arguments can only be made from normative fact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objective convergence of reasons in the realm of ethics. Moreover, specific agent is constrained by her motivation and deliberation, and these constraints are prior to the concepts of objective facts or real interests. Williams includes the substantive ethical dispositions in the content of the self. The self has a reason for act through practical deliberation from the ethical point of view it has already acquired, where the normative force in internalism come into. B. 윌리엄스는 행위의 이유는 행위자의 ‘주관적인 동기의 집합(subjective motivational set)’과 ‘건전한 숙고 과정(sound deliberative route)’을 필요조건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내재적이며 오직 내재적 이유만 있고 외재적 이유는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외재적 해석을 지지하는 파핏은 행위자의 동기가 무엇이든 간에 추구해야 할 마땅한 규범적 이유가 있으며 행위자가 합리적이라면 이유를 인지하고 그것에 따라 행위하도록 동기부여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파핏에 따르면 규범적 사실과 자연적 사실은 서로 환원이 불가능한 각자의 고유한 영역이 있으며, 오직 규범적 사실로부터만 규범적 주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행위자가 실질적으로 합리적이라면 규범적 이유를 인지하고 동기부여 된다. 그러나 오직 규범적 사실로부터만 규범적 주장이 가능하다는 논증은 빈약하다. 게다가 행위의 영역에서 이유의 객관적 수렴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구체적인 행위자는 자신의 동기와 숙고의 제약을 받으며 이러한 제약은 객관적 가치나 실제 이익의 개념에 우선한다. 윌리엄스는 자아의 내용에 실질적인 윤리적 성향을 포함한다. 그 자아는 이미 획득한 자신의 윤리적 관점으로부터 실천적 숙고를 통해 행위 할 이유를 갖게 되며, 내재주의에서 규범적 힘은 여기에서 발생한다.

      • KCI등재

        근본악 논제에 대한 칸트의 “숨겨진 논변”에 대한 연구

        이현우 한국윤리학회(8A3209) 2023 윤리학 Vol.12 No.2

        칸트는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에서 모든 인간은 악하다는 과격한 주장을 빈약한 경험적 근거와 함께 제시한다. 그러면서도 그는 자신의 책에의 특정 부분에 이질적인 성격의 대안적 논변을 숨겨 두었음을 언급하였고, 칸트에 우호적인 많은 해석가들은 이 숨겨진 논변을 제시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다. 그런데 칸트의 가장 명확한 언급에 따르면 이 대안적 논변은 해당 저서의 1논고 2절에 서술되어 있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해석은 이러한 단서 조항을 지키지 못한다. 본고는 근본악 문제에 관련된 이러한 문헌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근본악 논제에 대한 칸트의 정의와 부족한 논거를 살펴본 후 숨겨진 논변에 대한 그의 언급이 어떠한지를 검토하여 이로부터 숨겨진 논변에 대한 네 가지 단서 조항을 이끌어낸다(2절). 다음으로, 1논고 2절로부터 숨겨진 논변을 제시하지 않는 대부분의 해석과, 거기에서부터 숨겨진 논변을 제시한 소수의 논변을 검토한 후, 네 단서 조항 모두를 만족시키는 해석은 없다는 점을 확인한다(3절). 마지막으로는 원문을 검토하여 1논고 2절에 칸트가 불순성의 성벽으로부터의 악을 짧게나마 논의한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악 개념이 최상의 준칙에 대한 칸트의 입장과 결합할 때, 비로소 모든 단서 조항들을 충족시키는 숨겨진 논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인다(4절). In “Religion within the Limits of Reason,” Kant presents a strong claim that all humans are evil, only supported by poor empirical evidence. Strangely, he hints at the potential existence of a alternative argument for radical evil, prompting many sympathetic interpreters to endeavor in unveiling this hidden perspective. Kant’s indication seems to place this alternative argument in Section 2, Part 1 of the book, a detail overlooked by most interpretations. To suggest new hidden argument of radical evil correspond to Kant’s provisos, this paper first examines Kant’s definition of the radical evil thesis and its weak ground. Following this, a meticulous scrutiny of Kant’s remarks on the hidden argument reveals four key clues (Section 2). Subsequently, a comprehensive review of interpretations that overlook Kant's specified section is conducted, along with a consideration of a few exceptions. It is affirmed that none of the interpretations align with all four provisions (Section 3). Finally, I delve into the original text where Kant briefly discusses evil from the propensity of impurity. This conception of evil, together with Kant’s conception of the highest maxims, can present hidden arguments that satisfy all four conditions (Section 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