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동시증착에 의한 Si(111) - 7×7 기판 위에 TiSi₂ 에피택셜 성장

        최치규(Chi Kyu Choi),류재연(Jai Yon Ryu),오상식(Sang Shik Oh),염병렬(Byung Ryul Ryum),박형호(Hyung Ho Park),조경의(Kyoung Ik Cho),이정용(Jeong Yong Lee),김건호(Kun Ho Kim) 한국진공학회(ASCT) 1994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3 No.4

        초고진공에서 기판 Si(111)-7×7 위에 Ti : Si = 1 : 1 또는 1:2 의 조성비로 Ti와 Si을 동시 증착한 후 in situ 열처리하여 TiSi₂ 박막을 에피택셜 성장시켰다. XRD와 XPS 분석결과 동시증착된 혼합 층에서 C49-TiSi₂ 박막의 성장은 핵형성에 의함을 확인하였으며, 양질의 C49-TiSi₂ 박막은 Ti를 증착한 후 Ti와 Si를 동시 증착한 (Ti+2Si)/(Ti)/Si(111)-7×7 구조의 시료를 초고진공에서 500℃에서 열처리하여 얻을 수 있었다. 형성된 C49-TiSi₂/Si(111)의 계면은 깨끝하였고, HRTEM 분석 결과 C49-TiSi₂/Si(111)의 계면은 약 10℃의 편의를 가지면서 TiSi₂[211]││Si[110], TiSi₂(031)││Si(111)의 정합성을 가졌으며, 시료의 전 영역에 에피택셜 성장되었다. TiSi₂ film was grown epitaxially on the Si(111) substrate by means of the coevaporation of Ti and Si (Ti : Si= 1 : 1 to 1 : 2) on Si(111)-7×7 surface followed by in situ annealing in ultrahigh vacuum. X-ray diffractio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showed that silicide formation was initiated by the nucleation of C49-TiSi₂ crystallites in the deposited layer. High-quality epitaxial C49-TiSi₂ layer was obtained by in situ annealing (Ti+2Si)/Ti/Si(111)-7×7 sample at 500℃ for 10 min in UHV. TiSi₂/Si(111) interface was clear and the orient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49-TiSi₂ and the Si(111) substrate deduced from the HRTEM lattice image was TiSi₂[211]││Si[110], TiSi₂(031)/Si(111) with a misorientation angle of 10˚. The whole area of the sample was covered with the epitaxial C49 structure.

      • Divergences in the Theory of Cyclotron Resonance Lineshape

        최상돈,고정대,최치규,홍성락,류재연 제주대학교 1990 논문집 Vol.31 No.-

        불순물이나 포논과 상호작용하는 전자계에 대한 전기전도도템서와 사이클로트론 공명 선모양 함수를 도출하였다. 전기전도도텐서를 얻는 과정에서 Kubo공식을 이용하는데 타이론에서 무시한 보정항인 충돌항을 고려하고 이 항을 열적이완시간과 관련시켜 일반적인 형태를 얻었다. 섭동향을 계산하는데 Argyres와 Sigel의 사영연산자방법과 본 논문에서 정의한 사영연산자를 토대로 한 운동방정식방법을 다루었는데 이들은 서로 동일한 결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저차수에서 구한 선모양 함수를 타이론의 결과와 비교했고 고차항에서는 타이론에서 발산하는 것과는 달리 열적이완시간이 포함됨으로써 발산항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A new theory of cyclotron resonance lineshape for the system of electrons in interaction with impurities of phonons is introduced. The collision term appearing in the Kubo formalism is dealt with in the relaxation tine approximation. The many body conductivity tensor is reduced to two different forms in the single particle formalism. But the two conductivity formulas give the same lineshape function, implying that the two techniques are identical. The thermal relaxation time included in the lineshape function is finite ,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any danger of divergence in some higher order terms usually excluded in the formula.

      • 광 산란 실험에 의한 pH 변화가 쪽거리 구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동건,홍성락,유영훈,김두철,강명화,류재연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8 基礎科學硏究 Vol.11 No.1

        광 산란 실험을 토대로 두가지 다른 염(NaCl)의 농도를 가지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용액에서는 응집과정 동역학을 pH의 변화에 따라 조사하였다. 염의 농도가 3 mol/l인 폴리스티렌 수용액에서는 pH에 관계없이 쪽거리(fractal) 차원은 1.75로 주어지고 응집체의 성장형태는 확산 극한 무더기 무더기 응집(diffusion-limited cluster-cluster aggregation: DLCA)모델과 일치하지만, 염의 농도가 묽은 0.3 mol/l인 폴리스티렌 수용액에서는 응집체의 응집과정은 pH에 따라 느리게 또는 빠르게 진행된다. 산성인 pH 4와 pH 5인 경우에서는 쪽거리 차원은 1.81±0.05와 1.79±0.05로 각각 주어진다. 이런 경우에서는 응집과정이 빠르게 진행되고 DLCA 모델과 일치하는 결과를 주는 반면에, 중성인 pH 7과 염기성인 pH 11과 pH 12인 경우에서의 쪽거리 차원은 오차 범위내에서 2.05로 주어지고 응집과정은 느리게 진행된다. 이것은 반응 극한 무더기 무더기 응집(reaction-limited cluster-cluster aggregation)모델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On the basis of light scattering experiments, the kinetics of the aggregation process in water solutions of polystyrene particles induced at two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3 mol/liter and 0.3 mol/liter) was investigated for various pH values. for the water solution of polystyrene particles induced at the high salt concentration (3 mol/liter), the fractal dimension was given by 1.75, irrespective of the pH value, and the growth of clusters agreed with the diffusion-limited cluster-cluster aggregation (DLCA) model. However, for the case of the low salt concentration (0.3 mol/liter), aggregation of clusters took place either slowly or rapidly, depending on the pH value. The fractal dimensions for pHs 4 and 5 were given by 1.81±0.05, and 1.79±0.05,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kinetic growth process took place rapidly, which agreed with DLCA model. On the other hand, the fractal dimensions for pH 7 and pHs 11 and 12 were all given by 2.10 within the range of errors, and clusters grew slowly, which agreed with the reaction-limited cluster-cluster aggregation model.

      • Theory of Magneto-Optical Absorption Lineshape Function for a Low Impurity Density Case

        Ryu, Jai-Yon,Kim, Doo-Chul,Kim, Jin-Won,Choi, Chi-Kyu,Oh, Dong-Hun,Hong, Sung-Rak 제주대학교 1992 논문집 Vol.35 No.-

        Kubo의 선형 응답이론을 토대로 전자-불순물계에 대한 자기 광전이 이론을 Faraday 조건에서 제시하였다. 계의 진동수 의존 전기전도도는 Mori형태의 사영연산자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포물선 밴드 모델에서 전자와 불순물 사이에 약한 상호작용하는 경우와 강한 상호작용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선모양함수를 각각 두가지 다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직접 대간 전이 및 대내 전이에 대한 선모양 함수가 온도, 자기장, 불순물 농도 및 입사광 진동수의 함수로 나타남을 볼 수 있고 그 결과를 타이론과 비교하였다. On the basis of the Kubo formalism for linear response, a theory of magneto-optical transitions in the electron-impurity system is presented for the Faraday configuration. The frequency-dependent conductivity of the system is evaluated by using the Mori-type projection technique. In the parabolic band model, the general lineshape functions which are applicable to both a weak and an arbitrary and/or strong electron-impurity coupling are introduced in two different ways. Explicit expressions for direct interband and intraband transition are given as functions of temperature, magnetic field, impurity concentration, and the incident photon frequency.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some other authors.

      • 공초점 광학현미경에서의 side-lobe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김억봉,류재연,최치규,김두철,유영훈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2 基礎科學硏究 Vol.15 No.1

        공초점 현미경에서 광축 방향의 상을 얻을 때 잡음으로 작용하는 side-lob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side-lobe는 Herschel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de-lobe에 대한 영향을 전산 시늉하였고, 이 결과를 실험에 적용하여 Herschel 조건에 의해 위상 보정을 함으로써 side-lobe가 최소화됨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 of side-lobe on axial image is investigated. We show, using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ally, that an optimized axial response can be achieved by minimized side-lobe according to the Herschel condition and that the appearance of sidelobes is decreased by balancing phase error.

      • Study on the Fractal Structure of Clustered Protein by Light Scattering

        Kim, Young Hee,Kang, Myung Hwa,Yu, Young Hun,Ryu, Jai Yon,Choi, Chi Kyu,Hong, Sung Rak,Kim, Doo Chul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1 基礎科學硏究 Vol.14 No.2

        광산란 실험을 이용하여, 용액의 pH, 침전제(NH₄)₂SO₄)의 wt%, 단백질의 농도 및 온도 변화에 따른 단백질 분자 응고체의 응집현상과 프랙탈 차원을 연구하였다. pH=3인 경우 시간(t)에 따른 응집체의 반경(R)은 멱함수 Rt-_(b)인 형태로 성장하였으며, 이는 DLCA모델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프랙탈 차원은 단백질 농도의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침전제 wt%증가에 따라서는 프랙탈 차원도 증가하였다. 또한 저온(≤60℃)에서는 응집체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았으나, 65℃에서는 응집체의 반경은 RLCA모델인 Rt-e^(αt)에 따라 성장함을 보였다. Using static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the fractal dimension and the kinetics of the aggregation for a solution of protein particles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pH, the weight percentage of precipitation ((NH₄)₂SO_4)), the concentration of protein, and temperature. Our results show that the radius of cluster with time at pH=3 grows with power law R-t^(b) with b being 1.56±0.03, which agrees with diffusion-limited cluster-cluster aggregation (DLCA) model. It is shown that the fractal dimension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protein concentration, but it increases with the weight percentage of precipitation. In addition, it is also shown that the cluster of aggregate does not grow with time at low temperature (≤60℃). However, the radius of duster grows with R-e^(σt) at 65℃, which agrees with reaction-limited duster-cluster aggregation (RLCA)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