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평생교육 참여 저해 요인 분석

        류재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7 통합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발달장애인 부모의 평생교육 참여 저해 요인 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한 설문 대상은 발달장애 부모 가운데 아직까지 한 번도 평 생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이 없는 198명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 교육 참여 핵심 저해 요인은 제도적 저해 요인과 정보적 저해 요인이다. 둘째, 부모 및 발달장애자 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평생교육 참여 저해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상황적 저해 요인은 부모의 성별, 가족의 전체 수입, 자녀의 장애유형 및 직업 가능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 냈고, 제도적 저해 요인은 부모의 학력과 자녀의 직업 가능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성향적 요인은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발달장애인 부모의 평생교육 참여 저해 요 인이 향후 평생교육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향적 저해 요인이 높을수록 향후 평생교육 참여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법적 역할 보완 탐색

        류재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3 통합교육연구 Vol.8 No.1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특수학급 설치를 중심으로 발전하여왔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통 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법에 근거한 실천 방안에 대해서는 열악한 편이다. 따라서 특수학급 설치를 중심으로 발달한 통합교육의 성격을 법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실천방안을 모색하 는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 특수학급 설치에 대한 최초의 법 규정은 1949년에 제정된 「교육법」제 145조에서 비롯된다. 이 법에서는 ‘공회당’ 등에도 특수학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도 는 당시의 사회적 인식을 고려할 때 매우 진보적인 특수교육 법안이라고 할 수 있다. 1977년의 「특 수교육진흥」은 특수학급 설치를 고등학교까지 확장하였지만 특수학급이 통합교육을 목적으로 한다 는 법적 규정을 명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1994년의 「특수교육진흥법」에는 특수학급이 통합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규정되었다. 1994년의 「특수교육진흥법」에 의한 통합교육의 목적은 특수교 육 대상학생의 ‘사회적응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2007년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 육법」에서 규정한 통합교육의 목적은 1) 대상학생이 차별을 받지 않고, 2) 또래와 함께, 3) 개인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법 규정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특수학 급은 차별금지나 또래와 함께 교육시키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나 평가가 없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법에서 개별화교육계획과 마찬가지로, 차별금지와 또래와 함께 교육을 받도록 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수학급은 이를 구체적으로 충족시킬 법적 책무에 따라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교육시켜야 한다.

      • 통합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에 따른 교육학의 역할

        류재연 한국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

        통합교육에 대한 법적 규정은 1994년에 전면 개정된 「특수교육진흥법」에서 부터이다. 이때의 통합교육에 대한 법적 정의는 특수교육 대상자의 정상적인 사회적응능력 발달을 위한 교육이다. 2007년에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상의 통합교육은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한다. 1994년부터 지금까지 법률상 정해진 통합교육의 내용은 결국, 장애인을 위한 것이다. 하지만 통합이라는 용어가 다른 인력과의 물리적 혹은 심리적 유대감을 의미한다면, 장애 학생과 함께 해야 하는 일반 학생을 위한 통합의 목적 역시 법에 기술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했을 때 교육 현장에서 혹은 학문상으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통합에 대한 보다 책임있고 근거있는 분명한 협력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교육에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한다면, 비장애 학생들이 장애 학생과의 통합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이들이 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긍정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기본적 자세가 마련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피교육자인 모든 학생들이 건전한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배려와 상호 인정에 대한 역량을 통합교육의 기회를 통하여 갖추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법률적 정의는 일반교육과의 협력적인 관계에서 목적과 내용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등 특수학교 정신지체학생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적응행동 수준 분석

        류재연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adaptive behavior skills between MR and PDD in secondary special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MR acquired mean of 12.41 and PDD took 6.55 out of 80. The difference of the means was 6.55 at the level of t=6.9, p<.001. This result means MR has higher adaptive behavior skills than PDD. However this result showed that even though all students in this study are 13 to 17 chronological ages, they are less than 6 adaptive behavior ages. This means they are delayed about 11 adaptive behavior ages compared to normal students. Students with MR indicated higher achievements in conceptual skills and especially social skills than PDD's. This means that more systematically approaches are need for the PDD’s social skills in special schools. The correlations between conceptual and social skil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c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ces between practical skills and others.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에 의한 정신지체 2급과 자폐성장애 2급 학생의 적응행동 검사 결과에 의하면 총점 80점 만점에 정신 지체학생은 평균 12.41 점, 자폐성장애학생은 평균 5.86으로 두 집단 간 6.55점의 평균 차이를 보였다(t=6.9, p(001).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두집단 모두 이들의 생활연령이 13세에서 17세임에도 불구하고 일반학생의 6세 이하의 적응연령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의 대상이 된 학생들의 적응연령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최소 11 년 이상 지체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적응행동 하위 영역별 분석에서 개념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에 있어서는 정신 지체학생이 높았지만, 실제적 기술에 대한 총점에서는 두 집단 간에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특히 사회적 기술에서는 12 개 모든 문항에서 자폐 성 장애학생의 결과가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성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집중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개념적,사회적,실제적 기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두 집단 모두 개념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이 있었으나, 실제적 기술은 다른 기술과 의의 있는 상관이 없었다.

      • KCI등재

        기독교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

        류재연,강연정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3 복음과 상담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required for a Christian counselor to pursue an effective counseling and figure out the essential competency needed to establish his or her identity. Literature research, depth interviews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three competency groups, nine competency components, and forty three competency indexes were constructed by conducting the 3th Delphi method with thirteen expert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relative weights (AHP), the competency group showed the order of attitude and qualification, theoretical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technical jobs. For the competency components, the group revealed the order of faith attitude and qualification, professional attitude and qualification and self-examination and self-improvement, knowledge of Christian counseling, knowledge of general counseling, knowledge of Christianity, integrated technique of Christian counseling, technique of counseling performance, and technique of advanced counseling. The priority of competency indicators is the love of souls, reliance on God alone, spiritual counselor, sense of calling, wisdom, sense of duty of soul salvation, spiritual training and growth, sacrifice, and endurance. Thirty-four others have been confirmed.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based on theory and practice in that Christian faith and psychology and integrated application of spiritual competency make counseling effective for counselees and that faith attitude and qualification are the essential competency for Christian counselor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본 연구는 기독교상담사의 효과성 있는 상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모형을 개발하고,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핵심역량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임상 경험자들의 심층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초안을 구안하였고,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3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개의 역량군, 9개의 역량요소, 43개의 역량지표를 구축하였다. 상대적 가중치(AHP조사) 산정 결과 역량군은 태도⁃자질, 이론 지식, 기술 직무수행 순이였으며, 역량요소는 신앙적 태도⁃자질, 전문적 태도⁃자질, 성찰 및 자기계발, 기독교상담에 대한 지식, 일반상담에 대한 지식, 기독교에 대한 지식, 기독교상담 통합 기술, 상담수행 기술, 상담심화 기술 순이었다. 역량지표는 영혼에 대한 사랑, 하나님만 의지, 그리고 공동으로 영적 중재자, 소명의식, 지혜였으며, 영혼 구원의 사명감, 영적 훈련과 성장, 헌신이 공동순위였고, 다음으로 인내 순이였으며, 그 외 34개의 우선순위가 산정되었다. 결과적으로 기독교신앙과 심리학, 그리고 영성 역량의 통합적 적용이 내담자에게 효과성 있는 상담이 이루어지며, 신앙적 태도⁃자질이 기독교상담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핵심역량이었음을 확인한 이론과 실제에 근거한 연구였다.

      • KCI등재

        특수학급에 재직하는 특수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류재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5 통합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을 반영한 특수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 수교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류재 연, 박경옥(2014)이 제작한 18개 문항에 근거하여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11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spss 21을 사용 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사후 검증이 필요한 경우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특수 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삶의 질 전체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72점 만점에 평균 51.20(SD=6.47)이었다. 급여에 대한 만족도는 특수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하위 영역별 결과에서는 남교사의 전반적 만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여교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특수학급에 남교 사가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특수학급에서의 생활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담당학생의 장애 정도가 특수교사의 주관적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결과에서는 장애의 정도가 경하다고 인식할수록 특수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 에 대한 만족이 높았고, 자신의 직업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전체와 하위영역 간에는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특수교사의 삶의 질 을 위해서는 업무 효율성에 대한 연수 이외에 특수교사가 중증 장애 학생을 가르치더라도 이 를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직업 본래의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 일반교육과정이 특수교육에 미치는 영향

        류재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7차 이후로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개정과 맞물리게 되어 일반학교 교육과정이 개정되면 뒤이어 개정을 해야 하는 “종속성”을 띤다. 따라서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수동적으로 적응하려는 태도에서 탈피하여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참고한 보다 효과적인 특수학교 교육과정으로 개정될 필요가 있다. 교직발전기획과는 공문을 통하여 초등특수교사 양성에서 요구되는 기본이수 12개 교과가 교육대학에서 요구되는 일반학교의 초등 교과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당위성에만 급급하여 특수교사 양성대학의 현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이다. 따라서 특수교사 양성에 필요한 전공 교과 구성을 특수교육의 당위성과 양성과정의 현실성을 고려하여 새롭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전남교육청이 일반학급 과원교사에게 보수교육을 통하여 특수교사 자격을 부여하고자 한 행위는 교원자격검정령 등을 고려할 때 법적으로는 하자 없는 행위이다. 그러나 이는 특수교육과 출신의 특수교사 임용 지원자가 상당한 현실에서 매우 비합리적인 행정행위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보수교육에 의한 특수교사 양성 제도의 법적 근거는 조속하게 폐지되어야 한다. 과거 보수교육을 통하여 특수교사로 진출한 일반교사들이 지속적으로 특수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혹은 승진 점수획득 이후에 다시 일반학급 교사로 되돌아갔는지에 대한 조사는 특수교사 양성과 질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검증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