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LS에 따른 소비자 유형이 푸드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류경민,김선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 types according to VALS on consumer preference for food design. As a research metho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25. The consumer types according to V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nnovative leader (first mover), trend follower (fast follower), and safety seeker (late follower). Second, in order to select elements of food design according to consumer type, we extracted and reorganized the questionnaire items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value pursuit items of food design to survey consumers about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value pursuit items considered important. These were found to pursue ‘aesthetics of food’, ‘aesthetics of tables’, and ‘symbolism of food’ as value pursuit items for food desig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eferen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balance of food, the amount of food, the harmony of the shape and color of the dishes according to the menu, and the harmony of the table setting were considered as items for the value pursuit of consumers. 본 연구에 목적은 VALS에 따른 소비자 유형이 푸드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함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전국에 거주하는 10~50대이상의 외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총 343명) SPSS ver25.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VALS에 따른 소비자 유형으로는 혁신적 리더(First mover), 트렌드 추구(Fast follower), 안전추구(Late follower) 3 가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두 번째로 소비자 유형에 따른 푸드디자인의 요소를 선정하기 위해 푸드디자인의 가치 추구항목을 선행 연구로부터 설문 문항 추출 및 재구성하여 소비자들이 푸드디자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치 추구항목의 인식 정도와 선호도를 묻는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푸드디자인에 대한 가치 추구항목으로 ‘음식의 심미성’, ‘테이블의 심미성’, ‘음식의 상징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론적으로 소비자 유형에따른 푸드디자인의 선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소비자들의 푸드디자인에 대한 가치 추구항목으로는 완성된 음식의 발란스, 음식의 담음새, 메뉴에 따른 그릇의 모양과 색 조화, 세팅되는 테이블 연출의 조화를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 KCI등재

        개심술 중 심폐기 이탈에 실패한 환자에게 적용한 경피적 심폐순환 보조장치

        류경민,박성식,서필원,류재욱,김석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5

        Background: Recently,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has been widely used to rescue patients in cardiogenic shock or cardiac arrest. However,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bypass (CPB) weaning failure during open heart surgery still have very poor outcomes after PCPS. We investigated clinic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ho underwent PCPS during open heart surgery. Material and Metho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8, 10 patients with CPB weaning failure during open heart surgery underwent PCPS using the CAPIOX emergency bypass system (EBSⓇ, Terumo Inc, Tokyo, Japa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ose 10 patients. Result: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0.2±16.5 years (range, 19∼77 years). The mean supporting time was 48.7±64.7 hours (range, 4∼210 hours). Of the 10 patients, 6 (60%) were successfully weaned from the PCPS While 5 (50%) were able to b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Complications were noted in 5 patients (50%). In univariate analysis, long aortic cross clamp time during surgery, mediastinal bleeding during PCPS and high level of Troponin-I before PCPS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All of the discharged patients are still surviving 34±8.6 months (range, 23∼48 months) post-operatively. Conclusion: The use of PCPS for CPB weaning failure during open heart surgery can improve the prognosis. More experience and additional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to improve survival and decrease complications. 배경: 최근 경피적 심폐순환 보조장치는 여러 원인의 심인성 쇼크나 심정지의 치료에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개심술 후 체외순환 이탈에 실패한 경우 적용하는 경피적 순환보조는 아직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개심술 후 체외순환 이탈에 실패하여 경피적 심폐순환보조장치를 적용한 환자들의 임상성적을 알아보고, 이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개심술 후 심폐기 이탈에 실패하여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CAPIOX emergent bypass system, EBSⓇ, Terumo Inc, Tokyo, Japan)를 적용한 1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0.2±16.5세(19∼77세)였고, 평균 체외순환보조기간은 48.7±64.7시간(4∼210시간)이었다. 순환 보조장치를 이탈할 수 있었던 경우는 6예(장치 이탈율 60%), 생존퇴원은 5예(생존율 50%)였다. 합병증은 5명(50%)에서 발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수술 중 대동맥 겸자시간이 길었던 경우, 순환 보조기간 중 종격동 출혈이 있었던 경우, 순환 보조장치 삽입전의 Troponin-I 수치가 높았던 경우가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조사되었다. 퇴원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여 평균 34±8.6개월(23∼48개월)간 추적관찰 중이다. 결론: 개심술 후 체외순환 이탈에 실패하게 되는 경우 매우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바 이들 환자에 대하여 적극적인 경피적 순환 보조장치의 적용으로 향상된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었다. 앞으로 지속적인 생존율 향상 및 합병증 감소를 위한 보다 많은 경험 및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급성 괴사성 클렙시엘라 폐렴의 외과적 치료 -2례 보고-

        류경민,김삼현,박성식,류재욱,최창휴,박재석,서필원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5

        광범위 폐괴저는 매우 빠른 폐실질의 파괴를 보이는 대엽성 폐렴의 치명적인 합병증으로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주원인균으로는 Klebsiella pneumoniae, Pneumococcus, Aspergillus 등이 있다. 흉부X선 검사상 폐엽의 고형질화 및 폐용적 증가 \ulcorner의한 폐엽간구의 융기현상을 보이며,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작은 공동을 포함한 광범위한 폐실질의 파괴를 나타낸다. 치료는 조기 수술적 절제와 함께 항생제 치료가 추천되며, 수술적 치료가 안되었을 경우 패혈증, 다발성 장기부전에 이어 사망에 이르는 것이 통상적인 진행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Klebsiella 폐렴에 이어 빠르게 진행하는 폐괴저에 대한 2례의 수술을 시행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assive lung gangrene is a rare but very rapidly progressing fatal complication of lobar pneumonia. Etiologic agents are Klebsiella pneumoniae, Pneumococcus and Aspergillus, etc. Chest X-ray shows firm consolidation of the involved pulmonary lobe and bulging fissure due to the volume expansion of involved lung. CT-scan shows extensive lung parenchymal destructions with multiple small cavitary lesions. Recommended treatment is the early surgical intervention combined with antibiotics.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lung gangrene is known to progress toward sepsis, multiorgan failure, and high mortality. We report two cases of rapidly progressing massive lung gangrene by Klebsiella pneumonia treated by the resectional surgery.

      • KCI등재

        복부 대동맥류에 대한 수술

        류경민,서필원,박성식,류재욱,김석곤,이욱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3

        Background: Open surgical repair of abdominal aortic aneurysms was initiated by Dubost in 1952. Despite the rapid expansion of percutaneous endovascular repair, open surgical repair is still recognized for curative intent.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urgical outcome, complications, and mortality-related factors for patients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s over a 6 year period. Material and Method: We analyzed 18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s between March 2002 and March 2008. The indications for surgery were rupture, a maximal aortic diameter >60 mm, medically intractable hypertension, or pain. Result: The mean age was 66.6±9.3 years (range, 49∼81 years). Twelve patients (66.7%) were males and 6 patients were females. Extension of the aneurysm superior to the renal artery existed in 6 patients (33.3%), and extension to the iliac artery existed in 13 patients (72.2%). Five patients (27.8%) had ruptured aortic aneurysms. The mean maximal diameter of the aorta was 72.2±12.9 mm (range, 58∼109 mm). Surgery was performed by a midline laparotomy, and 6 patients underwent emergency surgery. The mean total ischemic time from aorta clamping to revascularization was 82±42 minutes (range, 35∼180 minutes). The mortality rate was 16.7%; the mortality rate for patients with ruptured aneurysms was 60%, and the mortality rate for patients with unruptured aneurysms was 0%.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one each of renal failure, femoral artery and vein occlusion, and wound infection. The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had a long-term survival of 34±26 months (range, 4∼90 months). Rupture and emergency surge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tality-related factor (p<0.05). Conclusion: Emergency surgery for ruptured aortic aneurysms continues to have a high mortality, but unruptured cases are repaired with relative safety. Successfully operated patients had long-term survival. Even though endovascular aortic repair is the trend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s, aggressive application should be determined with care. Experience and systemic support of each center is important in the treatment plan. 배경: Dubost 등이 1952년에 실시한 신동맥 하부 대동맥류 수술을 시작으로 복부 대동맥류의 근치적인 수술적 치료가 시작되었다. 최근에 경피적 대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외과적 수술이 감소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근치를 위한 치료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지난 6년간 시행한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성적 및 그 예후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60 mm 이상의 최대직경, 크기의 증가, 내과적으로 조절 안되는 고혈압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등이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6.6±9.3세(49∼81)였고, 남자가 12명(66.7%), 여자가 6명이었다. 신동맥 상부까지 진행된 경우는 6명(33.3%), 장골동맥까지 진행된 경우는 13명(72.2%)이었다. 진단 당시 대동맥이 파열되어 있었던 환자들은 5명(27.8%)이었다. 대동맥의 평균 최대직경은 72.2±12.9 mm (58∼109 mm)였다. 수술은 모두 정중 복부절개를 통한 복강 내 접근으로 시행하였고, 응급수술은 6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대동맥 겸자 후 양쪽 하지로 혈류개통이 될 때까지의 허혈시간은 평균 82±42분(35∼180분)이었다. 전체 환자 중 3명이 사망하여 전체 사망률은 16.7%였고, 파열된 환자의 사망률은 60%, 파열되지 않은 환자의 사망률은 0%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신부전, 대퇴동 정맥 폐쇄, 창상감염이 각 1예씩 있었다. 생존 환자들은 34±26개월(4∼90개월)간의 추적관찰 기간동안 대동맥 내 문제는 없이 장기생존 중이다.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파열, 응급수술이 의미있었다(p<0.05). 결론: 파열된 복부대동맥류에 대한 응급수술은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나, 파열되지 않은 복부대동맥류의 수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수술 후 생존한 환자는 장기생존을 보인다. 비록 경피적 대동맥 스탠트 삽입술이 최근의 치료 경향이나 종래의 수술방법도 만족할 만 한다.

      • SCOPUSKCI등재

        자가정맥편을 이용한 관상동맥 혈관성혈술

        류경민,김삼현,박성식,류재옥,서필원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6

        Background: Onlay vein patch coronary angioplasty has been known to be an option for coronary artery stenosis in the selective iesions Material and method: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1997 and August 1999, coronary angioplasty using autologous saphenous vein was done on 16 sites in 14 cases for the stenotic lesion at the bifurcation area and significantly stenosis distal to anastomosis. Result: Early patency of the angioplasty site was 85.7% at postoperative day 7.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graft patency, operative parameters, and complica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anatomosis(p>0.05). Conclusion: Despite the small number of cases, the patency rate of the coronary patch angioplasty was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CABG. Coronary artery only patch angioplasty could be performed in highly selected coronary art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