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성과학고등학교 학생 선발과정의 현황 분석

        동효관,전영석,Dong, Hyo-Kwan,Jhun, Young-Seok 한국영재학회 2003 영재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과학 고등학교 선발 과정의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행 과학 고등학교 선발과정을 분석하여 선발 현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발 전형의 응시자격, 응시절차, 선발절차, 선발준거 등의 요인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한성과학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형종류와 입학 성적, 학교에서의 성취도 및 진로 선택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수학·과학 과목의 내신 성적 및 학생 개인에 대한 담당 교사들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선발 도구로 사용한 선발 문항을 분석하였다. 선발 절차에 대한 분석 결과, 성적 중심의 응시자격으로 인해 수학·과학의 성장 가능성이 큰 학생들의 응시기 회가 박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과학고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진로 선택 상황을 볼 때, 인지 능력뿐만 아니라 성격이나 태도의 측면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관찰 결과가 평가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선발고사 문항은 발산적 사고와 다양한 탐구 기능을 요구하는 문항이 더 많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교과 내용에서 출제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개선점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능하면 선수학습의 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문항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관심과 능력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전형 요소를 합산하기보다는 다단계 전형을 위한 여러 줄 세우기의 방식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의 창의력과 성장 잠재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선발체제를 새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AM-1의 발현은 신 손상 특히 사구체 손상의 정도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예후 인자로서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으로는 1-2년 이내에 17% 정도가 혈뇨의 소실을 보였으며, 추적관찰 기간 중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한 례도 없었다. 결론: 무증상성 혈뇨를 진단, 치료함에 있어 진행성 신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예후인자가 없다면 신생검보다는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추적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도 등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견 당시 혈청 $C_3$치의 감소는 모두 11명(61.1%)에서 관찰되었는데, 증상군에서는 7명(87.5%),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40%)으로 증상군에서 혈청 $C_3$치의 감소가 보다 현저하였다. 그러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증상군에서는 7명 중 4명,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 중 1명에서 혈청 $C_3$치는 정상범위로 증가하여 최종 관찰시점에서는 6명 (33.3%)에서만 혈청 $C_3$치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혈청 $C_3$치의 감소를 보인 경우를 다시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의해 세분하여보면 발병당시에는 I형 8명(61.5%), II형에 1명(100%), III형 2명(50%)에서 관찰되었는데, 최종 시점에서는 I형 4명(30.8%), II형 1명(100%), III형 1명(33.3%)이었다. 또한 증상군에서 세포성 반월체형성과 세뇨관위축의 빈도가 높았으며, 사구체 혈관벽 비후와 사구체 간질의 증가의 정도가 집단뇨검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ents' selection process in order to renovate the system of picking up the students. As a first step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factors of the single-out system such as qualification and the process for the application and the standards and proceeding of the selection. Then we analysed the result of the entrance examination of Hansung Science Highschool in 2002. The analysis wa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achievement in the school and the decision of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o know on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records of regular tests and asked the teachers' opinion in math and science classes. As a result, we gain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present single-out system has a danger of excluding students who are much talented in science and math field because it is based on students' achievements in middle schools; Second, the new selection system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 and attitude of the applicants in addition to their knowledge; Third, the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 teacher in middle school should be an important factor of the picking up system; Fourth, more questions requiring divergent thinking ability and inquiry skill should be developed as selective examination question. Also examination questions should cover the various contents from mathematics to science, and do not affect pre-learning; Finally, the system of present letting all students stand in one line should be changed into that of letting students in various lines. We can consider using multi-step selection system.

      • KCI등재

        5E 순환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탐구 능력 및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동효관 ( Hyo Kwan Dong ),송미영 ( Mi Young Song ),신영준 ( Young Joon Shi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0 초등과학교육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s,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33 students for the 5E learning cycle instruction and 35 students for traditional instruction.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e change to the volume of material due to heat`` unit of 4th grade with the developed learning cycle model. The results were as fellows: First, the learning cycle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of a concept related to the change to the volume of material due to heat. Second, the learning cycle model seems more effective for the expansion of both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 딥러닝 세그먼테이션과 폴리곤화를 활용한 도면 벡터화

        김주영(Juyoung Kim),김지영(Jiyoung Kim),유기윤(Kiyun Yu)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건축도면 이미지를 활용한 3차원 실내공간정보 구축에서 문제가 되는 사항 중에 하나는 도면에 나타난 기하적 형상을 보존하는 것이다. 딥러닝의 발전에 따라 도면이미지를 딥러닝으로 분류한 수 벡터화 과정을 통해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지만 딥러닝의 확률론적인 특징으로 인해 형상의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캔된 도면을 폴리곤화 하여 형상을 보존한 수 딥러닝 세그먼트를 폴리곤 분류기로 사용하여 원본 형상을 보존한 도면 벡터 결과물을 획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 분석

        주희영 ( Hee Young Ju ),동효관 ( Hyo Kwan Dong ),이길재 ( Kil Jae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최신의 생물학 흐름인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에 관련한 교과서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공학에 관한 내용은 있었으나 생물정보학에 관한 내용은 없었던 것에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학 Ⅰ과 고급생명과학에서 이에 관한 내용이 등장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생물Ⅰ, 생물Ⅱ, 생명과학Ⅰ에서는 아직도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제시가 많이 부족하였으며,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고급생물에서도 전체 내용에 비해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 제시가 부족하였다. The proliferation of bioinformatics in modern biology marks a modern revolution in science that promises to influence science education at all level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standards in the 7th and 2007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biology curricula and compared the contents, amount and the presentation styles of bioinformatics with those of biotechnology in biology textbooks. In result, first of all, there are some vague expressions about biotechnology and bioinformatics in the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There is a clear expression about biotechnology in ``life scienceⅠ`` and ``advanced biology`` of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more biotechnology is introduced than bioinformatics in ``science``, ``biologyⅠ``, ``biologyⅡ``, ``life scienceⅠ`` textbooks. Third, in ``biology for high class`` textbook, amount of biotechnology content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didn`t increase. An more effort to introduce bioinformatics to science high school student is needed according to revising curricula.

      • KCI등재

        생명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의 실물 크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김종은 ( Jongeun Kim ),동효관 ( Hyo Kwan Dong ),김용진 ( Yong-jin Kim ) 한국생물교육학회 2018 생물교육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ve ability for the real thing’s size through illustration’s scale in Life Science I textbook. The students’ understanding for the illustrations is investigat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s for the 200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Life Science I course. The most of illustrations in Life Science I textbooks didn’t show the actual size’s scale for the object, but the some cases of photographs by microscope showed the scale bar or magnification ratio. Most of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scale of SI unit (μm, nm) and predicting the actual size through the illustrations. The students preferred scale bar to magnification ratio as the way to show the actual size’s scale in teaxtbook’s illustrations. To promo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for the actual size of real things through the Life Science textbook’s illustrations,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have a lesson for illustration’s explanation and an observation experience using microscope in Life Science’s class.

      • KCI등재후보

        과학(생물) 교과서에서 시각의 원근 조절에 관련된 삽화의 분석 및 오개념 연구

        서정희(Jeong-Hee Seo),동효관(Hyo-Kwan Dong),정정인(Jung In Chung),한재영(JaeYoung Han),백성혜(Seoung Hey Paik),김용진(Yong-Jin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9 No.-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중등학교 과학(생물) 교과서에서 제시된 시각의 원근 조절과 관련하여 수정체 두께의 조절 작용, 근시 및 원시의 시자극 경로 등에 대한 삽화의 특성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수정체 두께의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생물전공 교사 및 고등학생의 인식을 면담하여 유형을 분류한 후 추가적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생물)교과서에서 눈의 원근 조절에 대한 설명은 간단하게 제시되어 있었고, 진대가 근육처럼 수축이나 이완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오개념을 보였다. 둘째, 눈의 단면 구조 삽화를 이용한 수정체 두께의 조절 기전에 대하여 생물교사와 학생 모두 삽화를 평면적으로 인식하고 직관적으로 해석하여 오개념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다. 특히 학생들은 수정체 두께의 조절 기전을 논리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암기하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근시 및 원시에서의 시자극 경로에 대한 교과서의 삽화는 물리학적 개념에 맞지 않게 표현되어 오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는 개정될 과학 교과서에서 시각 단원의 삽화가 과학적 개념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입체적으로 표현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illustrations o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thickness in eye lens and the visual stimulating pathways of nearsightedness and farsightedness in the unit of 'Eye Vision' of biology textbook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analysed the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m. The cognition types of 120 biology teachers and 400 high school students o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thickness in eye len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biology teachers and students had many misconceptions of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thickness in eye lens by us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ye, and this misconceptions comes from their understanding the illustrations two-dimensionally. Especially, the ratio of students who didn't understand the explanation of the illustrations logically but learn by rote was highest. Second, the most of the illustrations of the visual stimulating pathway of nearsightedness and farsightedness didn't express well in accordance with the scientific concept.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which illustrate an image of the object on a point in the focal distance of the eye lens showed the misconception of identifying focal point with the point of image. This research suggest the illustrations in the revised science textbooks should be expressed scientifically accurate and three dimensionally.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의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교실응답시스템의 활용 효과

        강정민 ( Jeong Min Kang ),심규철 ( Kew Cheol Shim ),동효관 ( Hyo Kwan Dong ),김운화 ( Wa Hwa Gim ),손정우 ( Jeong Woo Son ),곽대오 ( Dae Oh Kwack ),오경환 ( Kyung Hwan Oh ),김용진 ( Yong Ji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문제풀이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에서 교육매체의 일종인 교실응답시스템(CRS)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학습 전략으로 CRS 활용반(34명)은 학생들이 CRS 단말기로 응답한 결과를 교사가 즉시 파악하고 개인별 응답 이유를 질문한 후 피드백을 하였다. 비교반(34명)에서는 CRS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에게 일괄적인 피드백을 하였다. 연구 결과, CRS 활용이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활동에 흥미와 집중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있어서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성적 수준에 따라 그룹을 나누었을 때, 중위그룹에서는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CRS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문제들을 사전에 개발하고, 학생들의 응답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여 더욱 많은 학생들에게 개인별 맞춤형 피드백을 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he use of Classroom Response System (CRS), a kind of new ICT medium, in the quiz problem-solving oriented high school life science class. To find usefulness of CRS as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CRS group (n=34) sent prompt individual answers to the teachers` questions using CRS terminal (Clicker), and then the teacher asked additional individual reasons and gave personalized feedbacks. In the control group (n=35), CRS was not used while the teacher asked overall questions and gave feedback in an undifferentiated way. As a result, using CRS increased students` interest and concentration during clas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y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dium-level groups when the two groups were divided into smaller ones based on their pre-scores. We suggest that, for the effective CR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teachers should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at can produce appropriate questions with various levels in advance, investigate exact reasons for students` answers, and give customized feedback by individual as much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