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가르(Sagart)의 《상고 중국어의 어근(The Roots of Old Chinese)》 중 어휘의 어원(4)

        노혜정,신원철,변지원,신세리 중국어문논역학회 2020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6

        This paper translates chapter 22.2-23.2 of The Roots of Old Chinese by Laurent Sagart (1999) in Korean. Here translates chapter 22.2 rice, chapter 22.3 wheat, 22.4 field, chapter 23 other cultivated plants with 23.1 beans, and chapter 23.2 tea. 본고는 사가르(Sagart, 1999)의 《상고 중국어의 어근(The Roots of Old Chinese)》의 후반부 제22장 2절에서 제23장 2절까지를 번역한 것이다. 제22장 2절 이하는 농업 중 벼, 밀, 밭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제23장은 콩류와 차 등 기타 재배 식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KCI등재

        몰링형 상업시설의 F&B브랜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노혜정,김지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소비자들은 쇼핑몰을 나들이 장소 중 하나로 여기며 한 공간에서 쇼핑을 비롯한 식음·놀이·문화·스포츠 등을 한 번에 해결하고자 하는 소비문화를 추구하고 있다. 국내 유통업체들은 다른 쇼핑몰과의 차별화 및 집객의 확대 그리고 체류시간 증가를 위해 몰링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합문화공간으로써 형태를 탈바꿈 하면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함께 오프라인 매장의 체험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F&B 맛집 유치 등 차별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F&B브랜드는 소비자들의 미각을 비롯한 시각, 후각, 청각 등 다양한 감성적 접근이 가능하여 집객의 효율성이 높음에 따라 복합상업시설 내에서의 F&B브랜드 역할이 확장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형 복합상업공간의 F&B공간구성과 형태 및 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장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몰링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이해하고 쇼핑몰의 트렌드 변화를 바탕으로 국내 3대 유통업체인 백화점, 아웃렛, 복합 쇼핑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몰링형 상업시설에서의 F&B 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몰링형 상업시설에서 F&B 매장의 공간적 특성을 현장답사와 문헌자료를 통해 조사·분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몰링형의 F&B 브랜드 공간을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정의한다. (결과) 백화점, 아울렛, 복합쇼핑몰의 대표 상업시설 1개소씩 선정하여 각각 입점 되어있는 F&B 브랜드를 조사한 결과 과거의 쇼핑몰에서는 소비자의 방문 목적이 쇼핑에 있었다면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쇼핑이 온라인으로 가능해지면서 식사를 위한 나들이 목적으로 변화된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하게 됨에 따라 쇼핑몰 구성에서 F&B 매장의 비율이 높아졌다. 또한, F&B 매장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특징으로는 크게 분산형, 개방형, 테마형, 휴게형의 4가지로 도출하였다. (결론) F&B 공간은 오감을 자극함으로써 색다른 경험과 체험을 극대화 할 수 있어 음식으로 집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고객으로 하여금 몰의 체류시간을 확장시키고 향후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산업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몰링형 쇼핑공간에서 F&B 매장의 공간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쇼핑몰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며 미래의 지속가능한 몰의 발전을 위해 쇼핑몰의 유형별 F&B브랜드 공간에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西蜀方言(Western Mandarin, Or the Spoken Language of Western China)》(1900)의 편찬 배경과 기초 방언에 대한 재고찰

        노혜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9 No.-

        This paper discusses Western Mandarin; Or, the Spoken Language of Western China: With Syllabic and English Indexes (西蜀方言), published in 1900 and written by Adam Grainger (?–1921), an English missionary belonging to the China Inland Mission. After Grainger wrote about Southwest Mandarin in the late 19th century, scholars reconsidered the basic dialect based on the background of his compilation and the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Westerners’ research on Southwest Mandarin and the background of Grainger’s Western Mandarin (西蜀方言), comparing several continuing controversies on the basic dialect and revealing new findings on the author’s life in China and the compilation’s background.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Grainger lived in Chengdu for 30 years while compiling his book, this study’s researched showed this to be incorrect. In fact, he had lived in Guanxian (灌县) for at least 6 years before moving to Chengdu, and lived in Chengdu 20 years after publishing his book, which might explain some of his explanations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s of the western Sichuan region. 본 연구는 영국 출신 중국 내지 선교회(China Inland Mission) 소속 선교사 Adam Grainger(?-1921)가 19세기 말 西南官話를 기록한 《西蜀方言(Western Mandarin, or the Spoken Language of Western China)》(1900)(이하 《西蜀方言》)에 대해 편찬 배경과 저자의 생평 등에 대해 재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淸末民初 서양인의 西南官話 연구 현황과 《西蜀方言》의 편찬 배경에 대해 살펴본 후, 《西蜀方言》의 저자, 책의 구성과 음운 체계를 소개하고, 기초 방언에 대한 기존 여러 논쟁에 대해 비교한다. 여러 논쟁의 주요 쟁점은 Grainger가 30년간 成都 거주하며 《西蜀方言》를 편찬하였다는 전제 아래, 《西蜀方言》에 나타나는 음운특징 중 입성과 권설음의 존재, 첨단음의 구분 등 주요 음운특징에서 成都話가 아닌 四川 서부 지역 방언의 특징 나타나는지에 대한 해석 차이이다. 본고는 기초 방언에 대한 여러 논쟁의 전제인 저자의 생평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한 저자의 생평과 편찬 배경을 제시하여《西蜀方言》의 기초 방언 연구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제공하였다. 우리는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Grainger의 중국에서의 생애에 대해 더욱 많을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는데, 기존 연구에서 전제로 한 Grainger가 30년간 成都 거주하며 《西蜀方言》를 편찬한 것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본고가 새롭게 발견한 관련 기록에 근거하면, 저자인 Grainger는 1900년 상해에서《西蜀方言》을 출판하기 수년 전인 1895년 이전부터 출판 후인 1901년까지 灌县에 거주하며 현지 언어를 수집, 정리하였고, 1900년 《西蜀方言》을 출판한 이후에야 비로소 成都로 이주하여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西蜀方言》에 왜 成都話와는 다른 四川 서부 지역 방언의 음운특징이 나타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을 풀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B Space with Big Blur Phenomenon

        노혜정,김지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2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high-end technology, such as AI automation, blockchain, and the metaverse, the boundaries between the virtual and real world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This has led to a phenomenon known as the BigBlur, which is characterized by a fusion-and-conglomeration business style that is leaving behind the traditional offline approach. Since COVID-19, which has hit the world over the last three years, impacted the entire world and became a catalyst for such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rend of fusion-and-conglomeration business style, leaving the old-fashioned offline 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igBlur phenomenon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spatial design, by drawing spatial features of eateries without boundaries. (Method) In this study, the Chapter 2 arranges the general features of BigBlur from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classifies it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combination. The Chapter 3 examines the spatial types according to its combination method, and draws the characteristics of food and beverage (F&B) spa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BigBlur and defines its meaning. In the Chapter 4, the study investigates selected F&B cases and examines how the spatial traits drawn in the Chapter 3 which are applied and displayed through references and studies. (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spatial cases with the BigBlur phenomen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mbination types, of which the BigBlur type cases have been studied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 traits of F&B areas drawn from the general BigBlur show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but display all six characteristics evenly. The spaces with BigBlur have the most representative traits of conglomeration, multitude, and discrimination, based on blended space, inter-connection between spatial experiences, and the expanse of spatial imag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estimated that the BigBlur phenomenon will become more complicated and confusing in the future due to the digital development; therefore, cooperation with the experts in the various fields would be essential for planning fusion-conglomeration spaces. This study aims to offer the guidance on planning such spaces by drawing out BigBlur traits. However,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for sustainable F&B spaces in the future. Overall,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BigBlur phenomenon and its implications for spatial design in the F&B industry.

      • KCI등재

        한어(漢語)와 중국 소수민족 언어의 내파음 - 자연언어의 유형적 특징과 지리 분포 특징 비교를 중심으로

        노혜정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2 中國學論叢 Vol.- No.7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losive consonants in Chinese dialects and minority languages based on their phonological types and areal distribu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WALS), 76 of 567 world languages have implosive consonants, mainly distributed in Africa and Southeast Asia. WALS notes tha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types of implosives in the world’s languages have obv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line up poorly with linguistic affiliation. However, the world language data of WALS fail to include the implosives of Chinese languages and ignores the rich variety of implosive consonants in Chinese dialects and minority languages. Based on the data of more than 760 Chinese dialects and 100 minority languages, this study describ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implosive consonants in the mainland and analyzes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showing that the implosives are distributed in such areas as Shanghai, Zhejiang, Guangdong, Guangxi, Yunnan, and Hainan Island in the southeast and south of mainland China. They have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o not closely reflect linguistic affiliation, much like world languages with implosive consonants in other areas. This study discusses the sources and substrata of implosive consonants in Chinese dialects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ontact, indicating that implosive consonants in each Chinese dialect might result from variety-specific reasons such as language change or language contact: Implosives of Chinese dialects are mainly due to language contact with minority languages that have implosive consonants, e.g., the southwest and far south of China, but implosives in other dialects might be the result of natural sound changes, e.g., the southeast area of China. Finally, this article provides information about Chinese dialects and minority languages in the Chinese mainland that might be included in revisions of the maps of implosive consonants in WALS and similar geolinguistic studies of the areal distribution patterns of phonological types. This study thus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o enhance the language typological study of world languages.

      • KCI등재

        중국어 파열음의 언어 유형

        노혜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4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ypological explanation of typological patterns of plosive consonants of Sinitic languages.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 of plosive consonants of the 242 Chinese dialects, and compared typological patterns of plosive consonants with the World’s languages data of UPSID(UCLA Phonological Segment Inventory Database) by dividing them into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the manner of articulation. 본 연구는 자연언어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파열음의 유형과 중국어 방언들에 나타나는파열음 유형의 비교를 통해, 중국어 파열음의 언어 보편성과 개별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UPSID의 자연언어 자료와 본고에서 분석한 7대 방언구에 분포하는 242개 중국어 방언들에나타나는 파열음 유형을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여, 중국어 파열음의언어 보편성과 개별성에 토론한다.

      • KCI등재후보

        도로명주소 활용을 위한 지오코딩의 위치정확도 평가 및 개선방안

        노혜정 한국지도학회 2009 한국지도학회지 Vol.9 No.1

        주소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이 위치를 개념화하는 기본적인 수단 중 하나이며, 위치의 정보를 지니는 주소는 개인행태나 특정 사상의 공간적 분포 분석 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소체계는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가 병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주소표시방법인 지번주소체계는 산업화·도시화의 진전으로 도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거대화됨에 따라 주소의 위치 표시기능에 대해 문제점이 많이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명주소체계는 도로망기반의 지오코딩이 가능해짐에 따라 위치정확도 를 평가하고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도로세그먼트를 수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오코딩의 위치오차는 평균 6.88m이었으나, 도로세그먼트 수정을 통해 평균 3.94m로 위치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주소자료의 GIS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Addresses are one of conceptual means for location in modern world. They have important information of personal behavior or spatial analysis. Recently, address system in Korea is changing from parcel based system to street based address system. Parcel based system has been no longer providing of location information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increase of population or sprawl of city. Therefore new address system based on street network introduc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improved position accuracy. This study reviews the fundamental geocoding process, concept, and address system in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d up as followings; Firstly, the geocoding was possible as new address system based street network. Secondly, positional errors in geocoding quality were reduced by modifying street segments. This research result can be widely used for construction of GIS database for address-base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