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清華大學藏戰國竹簡(伍) 「封許之命」과 西周 銘文의 비교연구 -시대추정에 대한 증거들-

        신세리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1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bamboo script ‘Fengxuzhiming’ has similar contents with the bronze script language related to the feudal rites in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mboo script and the bronze script revealed in the traditional literature. Accordingly, for the items of private gifts appearing in this volume, we searched for evidence of pluralism in the recording media during the vivid feudal rites at the time, and collected letters by re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udal rites recorded in the bamboo script and the bronze script with the actual objects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13 kinds of the bronze script extracted from the study of ZhangXiuHua,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iture inscriptions appearing in the feudal rites of the Western Zhou Dynas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eudal rites in the the bamboo script of ‘Fengxuzhiming’ corresponded to chufeng but were documents from a period other than the 1st division. Second, as a comparative analysis method of variante, ‘persons appearing in a sentence’ and ‘items of feudal rites’ were analyzed. First, compare and discuss the period of the grante 呂丁 with the traditional literature, and then compare the private items of ‘Fengxuzhiming’ with the bronze scrip and check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I looked for features. Finally, the differences and causes of items that did not appear in the comparison of purchases were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drew the result that ‘Fengxuzhiming’ corresponds to the middle and late Western Zhou Dynasty period after the Seongwang through analysis of sentence analysis, character analysis, and private items. 본 연구는 죽간본 「封許之命」이 서주 봉건례와 관련된 명문의 언어와 그 내용이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전래문헌에서 드러나는 죽간문과 금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본 편에 출현하는 사여품의 품목을 대상으로, 당시의 생생한 봉건례 과정에서 기록매체의 다원적 증거를 찾아보고, 죽간문에 기록된 봉건례와 금문과의 관련성을 실제 기물과 관련지어 글자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張秀華의 연구에서 추출한 13종 銘文을 기준으로 서주시기 봉건례에 출현하는 책명문장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죽간본 「封許之命」의 봉건례는 初封에 해당하나 1차분봉이 아닌 시기의 문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異本의 비교분석 방법으로, ‘문장에서 등장하는 인물’과 ‘봉건례의 사여품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피수여자 呂丁의 시기를 전래문헌과 비교하여 토론하고, 다음으로, 「封許之命」의 사여품목을 금문과 비교하고 품목 간 차이점을 확인함으로써 「封許之命」의 가치와 시대적 특징을 모색해 보았다. 셋째, 사여품 비교로 등장하지 않은 품목 간의 차이와 원인을 찾아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장분석, 인물분석, 사여품목의 분석으로 「封許之命」이 시기적으로는 성왕시기 이후인 서주 중후기에 해당한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 쓰기교육의 단계에 따른 교수요목에 대한 몇 가지 제언: 현대중국어 서간문 분석을 중심으로

        신세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언어학습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목표로 한다. 특히 쓰기 교육은 무엇보다도 현재 학습 자에게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반 언어학계에서 쓰 기교육의 핵심은 작문능력이 작문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요인에서 구성되므로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하는 것을 그 본질로 삼고 있다.1) 이는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과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이 관련된 과정으로 쓰기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원리를 이해하며 올바를 태도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어 학습에서 쓰기교육은 쓰기 전 지도, 쓰기연습, 쓰기평가의 단계를 교실교육의 3 단계로 보고 있으며 각 단계의 학습은 매우 다양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서간문 은 그 자체만으로 의사소통중심의 사고가 다른 문체에 비해 한층 더 요구되는 특징을 지녔다고 말할 수 있다. 2)본 논문은 성인을 대상으로 특수목적의 중국어 쓰기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각 교수 단계에 따른 기능범주와 의미범주의 교수요목선정을 목적으로 한다. 특 히 본 글은 형식적 글쓰기 가운데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하다고 여겨지는 ‘현대서간문(전 자메일 포함)’을 대상으로 설정한 범주를 중심으로 서간문의 세분화된 내용에 따라 교수 요목을 선정해 본다. 본 글은 분석대상을 첫번째, 외국인대상의 쓰기교재와 두번째, 중국국내에서 대학교재 로 사용되고 있는 응용문교재를 중심으로 삼아 분석한다. 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에서 서간문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온 형식의 글이며, 약간의 변화와 간략화가 되었다고는 하 나 이 전통은 여전히 이어져오고 있어, 외국인에게 있어서 중국어의 서간문이라는 형식 의 글이 다소 생소할 수 있기 때문에 서간문쓰기는 다소 난이도가 있는 쓰기 대상이라 고 할 수 있다. 또 중국의 대학교육에서 ‘대학국어’ 또는 ‘고대한어’가 중시되는 이유는 전통적으로 중국어의 입말와 글말이 다르기 때문이며 이는 서간문이 지니는 고전적 형식 및 내용 요소가 시간적 요소와 공간적 요소 모두 일정한 제약을 지닌다는 점에서 반드시 구체적이고 정확한 학습이 이루어져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외국인대상의 쓰기교재는 北京語言大學出版社 趙洪琴, 呂文珍의 『外貿寫作』의 총 24 개의 범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 3)현대서간문을 중심으로 정리한 洪葉文化出版社, 孫永忠, 『實用書牘』의 총 25 개의 서간문 범례4)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기로 한다.

      • KCI등재

        山西省 臨汾盆地 인명과 지명에 대한 소고―橫北村 유적과 大河口유적을 근거로

        신세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서주시기 유적 山西省 臨汾盆地연구에는 서주시기 방국의 여러 인물과 이와 관련된 시대, 그리고 그 주변지역의 명칭들이 기물에 등장하고 있다. 시대를 기록한 전래문헌, 기존에 정리되어진 출토명문 등과의 비교로서 인명, 지역, 시대 등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는 橫北村 유적인 絳縣 横水 西周 ‘倗伯’과 倗伯夫人 ‘畢姬’에 대해 문헌과 비교하여 점검하였다.. 이어 大河口유적에 출현하는 穆公의 신분에 관한 기록과 내용들을 점검하였다. 또 아직 지명이 밝혀지지 않은 ‘格伯’, ‘格仲’에 나타나는 ‘格'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들 출토지는 지방 제후국이 체계화된 정치질서에 맞추어 주나라와 공존했음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이 일대 유물의 명문 내용은 주대의 유적내용과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명문에 기록된 인물과 역사의 인물들은 주나라 또는 주변 세력국가인 晉과의 혼인관계였던 이민족으로, 중원국과는 다른 민족이었음을 알 수 있다. ‘倗’은 ‘隗’성인 주변국이며, '覇'는 ‘葛’ 또는 ‘潞'에 거주하는 이민족임을 알 수 있다. '覇'는 大河口유적에서 종종 출현하는 인물로 두 가지 설이 존재한다. 하나는 문헌 ‘潞國’과‘ 관련된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葛國’과 관련된다는 설이다. ‘格’은 진계방언을 통해 ‘各’의 분화자임을 추정할 수 있는데 상고음에서 폐쇄음의 호용이 빈번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개음과 입성운의 관계가 명확한 개구음과 관련이 있다. ‘葛’과 ‘各’이 관련이 있다면, ‘葛’, ‘格’이 관련된다고 추정할 수 있으므로, ‘格’이 ‘潞’와 관련된다는 견해는 물론 타당하나 ‘格’과 상고시기 자형이 없었던 ‘葛’의 관련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格’에 대한 분석은 고고학적 분석, 역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나 이와 더불어 글자의 본자 추정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추가 발굴 중인 출토문헌들을 근거로 재고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Western Zhou sites in the Linfen Fendi, Shanxi Province(山西省臨汾盆地西周遺址), several important figures of the Western Zhou state and their related periods and place names inscribed on excavated bronze inscription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names, place names, and periods of people and places are inferred from the comparison of local excavated documents, traditional documents, and other excavated documents. Firstly, the study examines the documents of the Western Zhou 'Peng Bo(倗伯)' and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wife of the brother, 'Bi Ji(畢姬)', which are found in the site of Hengbei Village, Jiangxian, China(橫北村 遺址 絳縣 横水). Then we examined the records of the identity of ‘Mu Gong(穆公)’ found at the Dahekou site(大河口遺址) and the related contents, and analyzed the unresolved 'Ge(格)' characters such as 'Ge Bo(格伯)' and 'Ge Zhong(格仲)' in the inscriptions. The local inscriptions record the political order and coexistence between the local vassal states, and serve as evidence of the exchange between the state and the Zhou. The content of the inscriptions on the local relics shows a different appearance from that recorded on the Zhou sites. It can be seen that several of the figures recorded in the inscriptions were married to the Jiang family name(姜姓) of the Zhou state(周) and the Jin state(晉國), and that they did not originate from the Central Plains states, but were foreigners to the non-Chinese culture(非華夏). The 'Peng(倗)' are the border 'Kui( 隗)' barbarians, and the 'Ba(覇)' are the peoples of the 'Ge(葛)' or 'Lu(潞)' lands. It is possible that the 'Ba(覇)' , which appears frequently in the Dahekou(大河口遺址), lived in the 'Ge(格)', which does not appear in the historical records, so this study discusses where the so-called '格', as it is known, could have been located.

      • KCI등재

        戰國指示詞 ‘是’ 演變試探——以戰國楚地出土文獻爲例

        申世利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0 한자연구 Vol.0 No.27

        The modern Chinese copula, 是 shì, had not yet appeared in the oracle bone period. It began to emerge in Zuozhuan (左傳 ), and appeared only when expressing the judgment of complex topics. Based on the observation as such, this paper looks into the demonstrative of 是 shì, and examines its evolution before it becomes a copula. The task takes three steps: first, usages of 是 shì are investigated throughout various time periods; second,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containing 是 shì are explained according to how it is used; and last, a comparison is made of sentences containing 是 shì in excavated Chu manuscript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properties. What can be, in fact, expl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Chu bamboo literature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475-221 BC)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sentence before the development of 是 shì into the copula. First, in the bamboo slips “Sande” from the fifth volumes of “Chu bamboo slips collected in Shanghai Museum”, the object prepositional phrase appears, indicating the transitional phase in which the 是 shì phrase in the first stage advances toward the second one. “Sande” is the literature of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and has a V writing section in which the object has been transposed and no '也' has appeared at the same time. Second, apart from the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stage is used as a subject, the situation in which the explanation part leads to NP/N fixation can be considered through the object transposition leading to the NP/N fixation of the topic part. Last, given that “邾公華鍾 (哉(載)公眉壽 ,邾邦是保 : Tsp, NP是 V)” is an article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t is estimated that 是 shì had been initially regarded as the object, and the phrase “TNP, NP+是+VP/V” was gradually used as a fixture through the process of the analogy and re-analysis. However, it is critical that this view be examined more closely, and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also needed.

      • KCI등재

        《淸華大學藏戰國竹簡(伍)》 〈封許之命〉 封建禮 賜予品目의 상징물과 기타 문물분석 — 弓矢類, 命服類에 대한 토론

        신세리 한국중국어문학회 2022 中國文學 Vol.112 No.-

        《淸華大學藏戰國竹簡(伍)》〈封許之命〉은 주나라가 주변국 許國에 행했던 봉건례 중 책문내용이 담긴 죽간본으로, 본 연구는 사여품 중 象徵物인 ‘■(?盞?淺)莙(箘)’과 ‘璁(蔥)■(衡)’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 글자들의 사여품목은 학자마다 다르게 분류되고 있어 이에 대한 토론이 필요한 상황이다. 즉 ‘■(?盞?淺)莙(箘)’은 弓矢類 또는 器物類로 분류가 가능하며, ‘璁(蔥)■(衡)’은 命服類 또는 車旗類로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전 연구자들의 연구에 추가적으로 자형의 편방분석과 관련 글자 분석을 통해 의미파생관계를 유추하고 해당 글자의 편방기능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盞?淺)莙(箘)’은 정리자의 견해와 달리 화살촉의 형상과 대나무 장식을 나타내는 글자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기물을 단 대나무 화살'라고 분석할 수 있었다. 또, 그 음운적 근거를 통해 초계문자에서 보이는 음운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본 두 글자에 해당하는 사물이 弓矢類에 해당한다고 분석하였다. 命服類 혹은 車旗類로 분류상 논쟁 중인 ‘璁(蔥)■(衡)’은 두 가지 의미 즉, ‘폐슬의 옥이 달린 푸른 끈’이라는 命服類를 나타내는 의미와 ‘수레의 끌채 끝부분의 횡목'이라는 車旗類를 나타내는 의미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장 전후에 출현하는 기물과 본 편의 분봉의 내용을 근거로 이를 車旗類로 보았다.

      • KCI등재

        戰國楚地文獻 의문대체사 ‘害’,‘曷’의 의미고찰 -『清華簡 · 一』의 두 자형을 중심으로-

        신세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3 No.-

        This study examined the scope of semantic func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Hae (害),’ ‘Gal (曷)’. First, the phonemic relationships between ‘Hae (害)’ and ‘Gal (曷),’ and among ‘Hae (害),’ ‘Gal (曷),’ and ‘Ha (何)’ were discussed. Second,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loss of words resulting from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se interrogative substitutes was examined. This study analyzed the semantic range of ‘Hae (害),’ ‘Gal (曷),’ ‘Hae (害/曷),’ and ‘Ha (何)’ in the ancient period throug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words. From the analysis of semantic range, it was inferred that mainly ‘Hae (害/曷)’ was used to indicate ‘cause’, and based on this finding, the time difference of interrogative substitutes indicating ‘cause’ was conjectured. Assuming that ‘Hae(害)’ once had the function of asking the cause of a thing or an event, but as ‘Ha (何)’ came to have an integrated function, it became an interrogative substitute comprehending all the range of things and events, what is more, this study discussed specifically the range and time of its use. 최근 출토문헌『清華簡·一』에 출현하고 있는 ‘()’와 ‘()’ 은 ‘반문’이나 ‘원인’을 묻는 의미의 의문대체사로 기능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각자의 견해에 따라 본 글자를 의문대체사 ‘害’, ‘曷’, ‘何’ 등으로 隸定하였다. 그러나 상고시기 ‘害’, ‘曷’, ‘何’ 등 의문대체사는 각각 다른 의미로 분석될 수 있고, 또 문장에서 다르게 기능하기도 하므로 『清華簡·一』내에서 사용된 의문기능의 ‘()’와 ‘()’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 이 분석의 결과로 戰國時期 언어의 의미적 특징과 문법 기능을 알아낼 수 있으며, 소리와 의미 관계 또한 귀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상고중국어에서 의문을 나타내는 ‘害’, ‘曷’, ‘何’ 등 의문대체사의 전반적인 용례를 살피고, 본 자형과 관련된 의미라고 볼 수 있는 ‘원인’과 관련된 문장을 고찰해본다. 또 본 연구의 주된 연구대상인 『清華簡·一』두 글자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귀납해 본다.

      • KCI등재

        繆篆의 서사특징-曲折回繞와平直方心-

        신세리 중국인문학회 2020 中國人文科學 Vol.0 No.75

        "ShuoWenJieZi" once said, "MouZhuan is from MoYin.". The characteristics of MouZhua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uZhuan reflect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Mou(wrong)', it represents the variant characters or the wrong characters of the XinMang period. Secondly, MouZhuan is beginning to refer to wrong characters, as the variant font, deformation contains the cause of change: Third, The character characteristic of MouZhuan was the characteristic of Lishu, i.e. straight, which gradually contained variant features, but absorbed the characters of Niaochongshu (particularly Chongshu), i.e. coverd. Fourth, MouZhuan is originally a nickname for moyin, and except for ' engraving names on things', MouZhuan is so much content wishing for 'good meaning'. In other words, MouZhuan was influenced by the contents carved into the object, making it easier to represent prayers, sorcery, etc.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e reason why Mouzhuan is not yet systematized and used. The process of change is the wrong character of the XinMnag era, which gradually changed to a variant, and finally the term "art" for the Mouzhuan, which does not contain Niaoshu, but contains only a series of Chongshu.

      • KCI등재

        고대 중국인의 인식체계에 대한 고찰- ≪說文≫ ‘美也’의 풀이자를 중심으로

        신세리 중국인문학회 2017 中國人文科學 Vol.0 No.65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rpretation of 'beautiful(meiye)' reflects the aesthetic of the ancient Chinese, the Chinese characters chose in “shuowenjiezi”. This study analyzes the quantity, this is two types of interpretations: one is based on the form of mutual interpretation, that is, 'meiye'; the other is similar to the basic form of mutual interpretation, that is, 'X+meiye'. The two categories have the following specific analysis of the object: First, according to the form of mutual interpretation of seven words, this study chose commonly four used type, such as ‘甘’, ‘旨’, ‘嘉’, ‘好’, also there are three words uncommonly used, such as ‘甛’, ‘’, ‘婜’; the Second, There are four types in a format similar to that of a basic analytical form, such as '妭', '暀', '懿', ''. Through the above two kinds of content, this paper explores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ancient Chinese people to the United States, also learned that the human feeling and the ancestral rites similar to the collective activities, that is to obtain its aesthetic consciousness.

      • KCI등재

        ≪清華簡(壹)·皇門≫11號簡의 재고찰

        신세리 중국인문학회 2016 中國人文科學 Vol.0 No.62

        出土文獻與傳世文獻是因時代有距離而可包含不同詞彙及句式, 並可敘述與傳世文獻內容相同而句式不同之內文. 以此種見解為前提, 該考釋整體文章. 本研究發現出土文獻≪清華簡(壹)·皇門≫11號簡與傳世文獻≪逸周書·皇門≫四十九篇之間落差, 即進行兩種版本的對比及其語言分析. 該兩種版本中可考察詞彙對應狀態:如在傳世文獻中使用為‘狂夫’而在出土文獻中使用為‘俟夫’, 即此可視為異文現象. 本研究根據陳劍之見解分析出異文形成基本原因, 此可分成三個部分: ‘讀音近同’, ‘形近訛字’, ‘義近換用字’. 本研究透過文字的形音義關係, 要重新分析≪清華簡(壹)·皇門≫11號簡的句式. ≪清華簡(壹)·皇門≫11號簡的‘是’字句顯示判斷句式之演變階段,並得知其演變過程. 本研究要討論的句式屬於戰國時代的出土文獻, 該竹簡反映出戰國時代的語言習慣, 亦反映出‘是’字句式尚不至於判斷句的完整之貌.

      • KCI등재

        《老子》版本語言現象考察 -以《馬王堆漢墓帛書·老子·十五章》為中心-

        신세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5 中國硏究 Vol.64 No.-

        마왕퇴간백재료는 1호묘와 3호묘에서 발견되었다. 두 묘에서 출토된 간백재료의 연대는 모두 진(秦)에서 한초(漢初)사이를 범위로 한다. 글자체는 표준적인 한예(漢隸)와 상당히 가깝다. 따라서 마왕퇴간백문서는 예변(隸變)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본 논문에서 《마왕퇴한묘백서·노자·십오장》각 판본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 시기 문헌의 자형, 자의, 자음을 폭넓게 이해하고, 전국문자의 여러 가지 특징 또한 이해하여 아래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1) 자형변천의 방식을 근거로 그 시대의 자형이 반영하는 변화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획의 증가 혹은 감소의 방식이다. (2) 글자의 구형관계를 근거로 각 판본은 다른 구형의 글자를 같은 글자로 풀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체자(異體字), 고금자(古今字), 의부대체(義符代還) 등 구형관계이다. 이런 현상을 통해 각 판본에서 다른 글자를 갖는 원인에 대해 설명한다. (3)글자의 어음(소리)관계를 근거로 글자의 형음의(形音義) 사이에 일정한 체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화(聲化), 통가(通假), 가차(假借) 등이다. The Mawangdui bamboo and silk writing materials were found in Tombs 1 and 3 from the Han Dynasty in Mawangdui, Changsha. The year of these bamboo and silk writing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two tombs is estimated all to be between Chin (秦) and early Han (漢初). The typology of the characters is quite close to the standard Han official script (漢隸). Accordingly, the silk documents from the Han tombs in Mawangdui are highly valuable materials for explaining Libian (隸變 – changes of official script). This study analyzed the printing blocks of Chapter 15 of Laozi in Mawangduihanmuboshu (馬王堆漢墓帛書 ‐ silk documents from the Han tombs in Mawangdui, Changsha) for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forms, meanings, and sounds of characters in documents from those days and for explo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the Zanguo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ased on the patterns of changes in character form, changes reflected on character forms in those days were derived. For example, the number of strokes increased or decreased. (2) Based on the morphological relationships of characters, characters of different shape in each printing block could be regarded as the same character. For example, there were morphological relationships such as variant forms of characters (異體字), ancient‐present characters (古今字), replacement of the meaning part (義符代還), etc. These phenomena explain why each printing block had different characters. (3) Based on the phonological relationships of characte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ertain systems between the form, sound, and meaning of characters. Such systems include vocalization (聲化), interchangeable borrowing (通假), and rebus character (假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