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적 교수설계 관점을 적용한 교수분석 프레임웍 개발

        노혜란(Hyelan Roh),최미나(MinaChoi),서윤경(Youn-Kyung Se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8 기독교교육정보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systemic and integrated teaching analysis applying for perspectives of instructional system design. In order to do so, areas of a teaching analysis and teaching activities are rearranged according to act of teaching. Second, activities of a teaching analysis a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perspectives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Third, a framework of teaching analysis applying for perspectives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and tools of teaching analysi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an act of teaching is examined in three areas: knowledge/planning, teaching skill/management and attitude, and evaluation/reflection, and teaching analysis frameworks according to an act of teaching are suggested by periods of before, during, and after a term. Teaching analysis tools are also suggested by the frameworks.

      • KCI등재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참여지속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노혜란 ( Hye Lan Roh ),최미나 ( Mi Na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특성 요인과 이러닝 효과 요인 중 학습자의 지속적인 이러닝 참여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서, 일반 대학 이러닝의 유지 및 확산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이러닝의 참여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습자 특성관련 요인 9개, 이러닝 효과 관련 요인 21개 총 30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북소재 S대학에 개설된 7개 이러닝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70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통해 경향을 분석하였고, 교차분석 및 t검정을 통해 각 변인들의 차이분석을 하였으며, 이러닝 참여지속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러닝과 일반강의 학습효과 인식, 이러닝 선택 이유, 학년, 시스템의 안정성 등이 이러닝 참여지속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즉, 이러닝 선택 이유로서 자유로운 시간표 조정과 관계가 없을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이러닝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닝이 일반강의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할수록,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러닝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학 이러닝에서 참여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이러닝의 효과 변인 보다 이러닝 수강과 관련된 학습자 특성 변인이며, 시간 편의성이라는 이러닝 장점만으로는 이러닝 이탈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학습자의 이러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mote th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university e-learning through exploring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n the students` persistent intention to enroll e-learning course.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factors, we analyzed advanced researches and we drew total 30 factors including 9 factor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21 factors of e-learning effectiveness. We conducted survey from students of 7 learning courses in S university in Chungbuk and collected data from 705 student. We analyzed the collecting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t analysis and found trend. Besides we assayed the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influence variables by persistent intention of attending e-learning courses through crosstabs analysis and t-test. Furthermore, we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s analysis to predict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student`s persistent participation in e-learning.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s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persistent participation were the recognition of learning effects between general courses and e-learning course, the reason of choosing e-learning, grades and stability of e-learning system, in order of influence. To be specific, the less relating of adjusting the freely schedule as the reason of choosing e-learning and the order grades they tend not to participate e-learning courses persistently. Also, the more students consider the e-learning is much effective compared to general courses, and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tability of e-learning system, the probability of not attending e-learning courses persistently was decreased. In conclusion, the influential variable of persistent intention in university e-learning is much related to the variable in students` characteristics, not just only the variable in effects of e-learn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ropout of e-learning only with the advantage of e-learning which is time convenience.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tudent`s positive recognition of e-learning.

      • KCI등재후보

        대학 PBL에서 문제특성이 PBL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노혜란(Roh, Hyela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PBL(Problem Based Learning) 수업에서 PBL 문제특성이 PBL의 주요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A대학교에서 운영한 PBL 12개 강좌를 수강한 4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유효한 응답자 총 218명에 대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문제특성 중 ‘사고촉진성’은 개인학습을 제외한 문제분석 및 계획, 팀학습, 해결안도출, 성찰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 문제특성 중 ‘실제성’은 5가지 모든 학습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BL 문제특성 중 ‘주제통합성’은 PBL의 학습활동 중에서 팀학습을 제외한 4가지 학습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첫째, PBL에서 문제를 개발할 때 ‘실제성’이 중요한 문제특성임을 시사하며, 둘째, ‘사고촉진성’은 개인학습보다는 팀학습과, ‘주제통합성’은 팀학습보다는 개인학습과 더욱 관련된 문제특성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PBL((Problem Based Learning) problem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arning activities of PBL in university’PBL. For this study,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400 students who took 12 PBL subjects at A University. A total of 218 valid respondents were subject to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thinking promotion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problem analysis and planning’, ‘team learning’, ‘solution derivation’, and ‘reflection’ except ‘individual learning’.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realistic’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ll five learning activities.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BL problem, ‘subject integ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our learning activities except ‘team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 ‘realistic’ is an important problem characteristic in developing problems in PBL, second, ‘thinking promotion’ is related to ‘team learning’ rather than ‘individual learning’, and ‘subject integration’ is related to ‘individual learning’ rather than ‘team learning’.

      • 공공 기관 특화교육과정 현업적용도 사례연구

        노혜란(Hyelan Roh),박선희(Sunhee Par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혼합하여 현업적용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업적용도 설문문항을 강사와 연구진이 함께 개발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설문과 동료평가 그리고 초점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설문응답자 110명, 동료평가 35명, 인터뷰 9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공통문항 현업적용도 평균값은 3.70이었으나 과정별 문항 현업적용도 평균값은 3.79로 과정별 현업적용도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료평가의 경우 교육생의 전체 현업적용도 평균값이 3.75임에 비하여 동료의 현업적용도 분석 결과는 3.98로 매우 높은 현업적용도 수준을 보이고 있다. 공통문항 세부 항목별 현업적용도의 경우 업무활용도, 업무능력향상도, 성과향상도 모두 교육생과 동료의 차이검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초점집단면담 결과 업무 태도의 긍정적 변화, 업무의 관계망 이해, 자신감 증대, 새로운 업무에 관심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개선 사항으로 첫째, 공통 직무교육을 할 때 세부 직무로 구분하여 교육과정을 이원화하는 것이다, 둘째, 구체적인 사례가 교육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최신 전문지식을 교육내용에 포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ansfer by mix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ultimately aimed to yield systematic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alternatives. To do so, a transfer questionnaire was created in advance with cooperation from researchers and educators.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 a questionnaire, a peer evaluation,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ere implemen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00 learners, 35 peer evaluators and 9 interviewees. The results yielded that 1) the average of common questions in transfer was 3.70 and the average of each course questions in transfer was 3.79. Accordingly, each course questions mea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common questions. 2) Peer evaluation mean was 3.98 and leamer’s self-evaluation mean scored 3.75. Therefore, peer evaluation mean was higher than that of leam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task utility, task ability improvement, and outcome improvement. 3)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ositive transformation of one’s attitude toward his/her job, the deepen understanding of connections within job tasks, and increased attention toward new tasks were yielded. Concern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alternativ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yielded. First, when conducting the public job training, it is required to divide the training into several specific tasks, ultimately dualize the curriculum. Second, specific example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Third, up-to-date specialized knowledge should be placed in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플립러닝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유형, 전달유형, 운영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성취도 차이에 관한 연구

        노혜란(Roh, Hye Lan),최미나(Choi, Mina),박선희(Park, S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이 연구는 대학에서 플립러닝이 적용된 6개 교과목의 온라인 콘텐츠 대하여 개발 유형, 전달유형, 운영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유형은 플래시형 2개반과 동영상형 4개 반으로 구분하였고, 전달유형은 PC형 4개반과 모바일형 2개반 구분하였으며, 운영유형은 성적에 5%를 반영한 의무수강형 3개반, 비의무수강형 3개반으로 구분하였다. 설문문항은 온라인 콘텐츠 만족도 19개 문항과 성취도 8문항을 개발하였다. 2013년 2학기에 총 161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t검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첫째, 온라인 콘텐츠 개발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내용 영역에서 플래시형이 동영상형 보다 유 의미하게 높았고 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전달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시스템 영역에서만 PC형이 모바일형보다 높았으나 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온라인 콘텐츠 의무수강 여부에 따라 만족도의 모든 영역과 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다. 비의무수강 유형이 유의미하게 만족도가 높았으나 성취도는 반대로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플립러닝을 적용할 때 온라인 콘텐츠에 대하여 학생들의 긍정적인 태도와 성취도의 성과를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교수설계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development type, delivery type, and operation type of online contents of six subjects which flip learning is applied in university. The development types of online contents were divided into 2 classes of flash type and 4 classes of moving type. The delivery types were divided into 4 types of PC type and 2 types of mobile type. The operation types were divided into 3 classes of obligatory type reflecting 5% and 3 classes of non-compulsory type. The online cont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19 items, and the achievement questionnaire developed 8 questions about content understanding.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3,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t-test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moving type of the online contents developmen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lash type in the content area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hievement.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mobile type according to delivery type was higher than PC type only in system area item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hievement.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areas of satisfaction level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operation type. The satisfaction level of non-compulsory clas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the achievement was l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students positive attitudes and performance achievement on online contents when flipped learning is applied.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의 실천학습 설계 요인 탐색

        노혜란 ( Hye Lan Roh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기업에서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천학습을(Action Learning) 대학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실천학습 설계요인 프레임웍을 개발하여 S대학교의 ``교육공학`` 강좌에 1차로 4팀(19명), 2차에 16팀(78명)을 대상으로 설계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교육에 실천학습을 적용하기 위하여 첫째, 실천학습의 시연을 강화한 워크숍, 둘째, 교내외 스폰서의 확보 및 연계 전략, 셋째, 과제 해결 방법과 내용의 전문성 강화, 넷째, 온라인 보고 및 피드백 강화 등이 주요한 설계 요인으로 탐색되었다. 과제유형에 따른 실천학습의 수준을 파악하여 과제설계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천학습 과정의 메시지를 녹취,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유과제형(학습자들이 과제를 직접 선정)이 과제제시형(학습자들에게 과제를 선정하여 제공)에 비하여 실천학습 활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대학교육의 실천학습에서는 학습자들이 과제를 스스로 선정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탐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design factors of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is research figures out design factors of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of S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twice to find out design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orkshop with action learning rehearsal should be included as designing factor. Secondly, defining sponsor of action learning and aligning learning strateg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 Thirdly, task solving method and content expertise should be enhanced. Lastly, on-line feedback and report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design factor.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on level of action learning is as follows. Problem-opened task type which learners select task topic has higher level of action learning than problem-given task type. To design web-based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roblem-opened task type is desirable. For doing that, task selecting procedure and criteria of task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팀학습에서 팀메타인지가 팀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혜란(Roh Hyelan),최미나(Hyelan Roh)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how team metacognition effects have an influence on team interaction in team learning that participated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this study, we developed 17 items for measuring team metacognition and 19 items for measuring team interac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 object of this study was 113 students on 13 teams who participated a team learning program in the university of Ch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in the following. The first, there is a one factor of team metacognition that influence positively to team interaction level. It is ‘to determine together about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whenever team learning’. The seconds, there are three factors of team metacognition for predicting team interaction improvement. The positive effect factors were ‘various tools use to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s’ and ‘to determine together about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whenever team learning’. The negative effect factor was ‘discussion of what will do before starting team learning.' Therefore, it can be told that the program administrator should support adjusting a pre-determined plan of team learning under the cooperation of the team members whenever it takes place, even though they already had a whole plan before starting team learning. 이 연구는 팀학습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팀메타인지가 팀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팀메타인지를 측정하기 위한 17개 문항과 팀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1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충북 소재의 대학교에서 실시한 팀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15개팀의 1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첫째, 팀학습에서 팀상호작용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팀메타인지 요인은 1가지로 ‘팀활동 때마다 시작 전 내용과 방법을 함께 결정’하는 것이었으며, 둘째, 팀학습에서의 팀상호작용 역량 향상을 예측하는 팀메타인지 요인은 3가지로 ‘내용의 이해를 위해 다양한 도구 활용’과 ‘팀활동 때마다 시작 전 내용과 방법을 함께 결정’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팀학습을 진행 전에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들이 팀학습의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더라도 매번 팀활동을 시작할 때 구성원이 모두 참여하여 공동으로 팀활동 계획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정 보완하도록 지원해야 하며 새로운 학습도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 학습공동체에서 구성원의 사고양식에 따른 만족도,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 분석

        노혜란(Roh, Hye-Lan),최미나(Choi, Mina)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대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라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고양식은 Sternberg & Wagner(1991)가 개발한 사고양식 검사도구 중에서 기능범주의 3가지 사고유형을 진단하는 15개 문항을 활용하였고, 협력적 자기조절은 DiDonato(2013)가 개발한 6개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집단응집성은 박하나(2015)가 10개의 문항으로 측정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충북 소재 대학교에서 실시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2015년 2학기부터 2016년 1학기까지 참여한 89개 팀 1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기술통계, ANOVA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첫째, 사법형 학생들의 ‘열의를 가지고 참여’에 대한 만족이 입법형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지도교수 면담 도움’과 ‘주간학습 보고서 도움’에 대한 만족은 사법형 학생들이 행정형 학생들보다 높았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 정도에 대한 6가지 모든 항목에서 행정형보다 사법형과 입법형 학생 들이 높았다. 셋째, 집단응집성에서는 과업 응집성 항목 중에서 ‘갈등’ 정도에 대하여 사법형이 행정형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문제 발생시 팀원이 서로 도움’에 대한 인식은 행정형보다 입법형이 높은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들의 사고양식이 학습공동체 활동의 만족도,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과 관련이 있고, 특히 사법형과 입법형이 행정형보다 학습공동체 활동에 긍정적인 사고양식임을 알 수 있었다. 행정형의 경우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다소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 하는 결과로서 팀 및 리더 구성과 워크숍 등의 맞춤 지원 전략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how different were satisfac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in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inking style of university’s students. To conduct this study, we used three type questionnaires that thinking styl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5 items by Sternberg & Wagner(1991), co-regulation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6 items by DiDonato(2013), and Group cohesiveness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0 items by Park(2014). An object of this study was 193 students on 89 teams who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in the university of Chungbuk province in the 2015 fall semester and the 2016 spring semester. The results of statistics and ANOVA analysis were in the following. First, the type of jurisdiction had meaningful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type of legislation’s one in ‘participation with enthusiasm’, and the type of jurisdiction had meaningful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s one in ‘usefulness of professor’s counsel’ and ‘usefulness of weekly learning reports’. Second, the type of jurisdiction and the type of legislation had meaningfully higher awareness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s one in all items of co-regulation. Third, the type of jurisdiction had meaningfully higher awareness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 in ‘conflict’ and the type of legislation had meaningfully higher awareness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 in ‘inter-helping when problem occurred’ among group cohesiveness’s items. As a result, we could have several implications. Above all, thinking styles of students were related to satisfac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Especially, the type of jurisdiction and the type of legislation were a positive style in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 This result had an implication that the type of administration feels difficult to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the university needs to support an adaptive strategy to the type of administration, such as composition of the team and workshop for them.

      • KCI등재

        플립드 러닝 도입을 위한 선행요건에 대한 연구

        노혜란(Roh Hyelan),섭미영(Seop Miyoung)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4 교육발전 Vol.34 No.1

        Flipped learning is the inverted learning method that has traditionally taken place inside the classroom now takes place outside the classroom and vice versa. Scholars proposing flipped learning commonly emphasize the essence of learning in learner’s inquiring mind. The relationship of teacher and learner is not a master-servant relationship but the relation of cooperation requiring continuous reflection. Flipped learning is one of challenges requiring a lot of preparations to teachers, learners and people concerned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requisite for the introduction of flipped learning to establish the learning successfully. In conclusion, in order to succeed in flipped learning, first of all, outside classroom activities should be properly linked to inside classroom activities and good online lectures and a variety of classroom activities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ir educational goal. Second, teachers should have monitoring and evaluate students’ learning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part in the lesson and to individualize students’ learning. Third, learners should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ely and manage their learning by themselves with the value of learning. Forth, for the high quality of online lecture,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their humor and reveal their passion and give learners some learning strategies to the successful online learning. Fifth, parents should understand and support flipped learning and school and government should support learners and teachers with proper physical environment, training and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