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불안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

        노승혜,조현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2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depression depends on the situation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strategy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50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Gyeongbuk area and their answers to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AMOS 22.0.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tress tolerance mediated not only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avoidance coping but also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voidance coping. Also, avoidance coping significantly effect on the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r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을 수행 불안과 상호작용 불안으로 세분화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수행 불안, 상호작용 불안, 우울, 고통 감내력, 회피대처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 불안 및 상호작용 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행 불안, 상호작용 불안, 회피 대처 및 우울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고통 감내력은 나머지 측정변인들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고통 감내력은 수행 및 상호작용 불안과 회피대처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를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 불안은 우울에 대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의 실제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불안관련 스트레스 경험이 사회불안 성향 대학생의 사후반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승혜,조현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xiety-related stress experiences on post-event rumination and depression with socially anxious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to determine social anxiety were administered to 352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Gyeongbuk area.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igh social anxiety (n=16) and low social anxiety (n=15) were selected. Participants received the speech task for 3 minutes to induce anxiety and completed measures of post-event rumination, depression, and negative emo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speech task, and two days after experiment. Five participants were dropped out over the experiment and a total of 26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e high social anxiety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post-event rumination and negative emotion after the speech than low social anxiety group. After 2 days, the high social anxiety group engaged in more in post-event rumination than the low social anxiety group. Anxiety decreased to baseline but depression was likely to remai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불안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불안관련 스트레스 경험이 사후반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북소재 4년제 대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질문지를 실시하여, 사회불안 성향 대학생 16명과 사회불안이 낮은 대학생 15명을 선발하였다. 불안관련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은 실험실에서 3분 동안 즉흥 발표를 수행하였으며, 발표가 끝난 직후 사후반추, 우울 및 부정정서 관련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사후반추, 우울 및 부정정서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이틀 후 다시 실험실에 방문하게 하여 동일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5명이 탈락하여 최종 2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사회불안 고집단은 저집단에 비해 발표수행 이전보다 직후에 사후반추, 불안 및 우울 정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발표수행 이틀 후 이들의 사후반추는 유지되었으나 불안정서는 기저선보다 더욱 감소하였고, 우울정서는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가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노승혜,조현주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가 지각한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가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5회 이상의 상담경험이 있는 상담자 155명을 대상으로 작업동맹,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를 측정하였다. 먼저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와 작업동맹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가 작업동맹을 예측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담자의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는 작업동맹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특히 작업동맹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유대와 강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상담자의 돌보는 태도, 현존하는 알아차림, 긍정적 사고가 높을수록 정서적 유대감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는 작업동맹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자의 따뜻하고 친절한 태도, 비판단적이고 현재를 자각할 수 있는 능력, 긍정적 사고가 작업동맹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연구의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elf-compassion, mindfulness, and positive thoughts effect on counselor's working alliance. The total of 155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d more than five sessions counselling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s of working alliance, self-compassion, mindfulness, and positive thinking.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compassion, mindfulness, positive thinking and working alliance. Especially self-compassion, mindfulness, and positive thought had much stronger correlation with emotional bond which is the subtype of working alliance. Secondly, this study showed that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effect on working alliance, and mindfulness, positive thoughts as well.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counselor's kindness and non-judgment attitude, ability to aware the present, and positive thought could be useful to improving working alliance. Lastly sever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자기비난 체험과정에 대한 현상학 연구

        조현주,노승혜,이현예,정현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The present study explored self-critical experience(e.g. when, what, how, why) of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self-criticism. Participants included seven individuals with high scores on the K-FSCRS(Korean version of the Forms of Self-Criticizing/Attacking & Self-Reassuring Scal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bout a self-critical experience based on five open-ended ques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to meet the standards of adequacy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Meaningful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emerg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duction based on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read raw data repeatedly to avoid bias associated with researchers’ perception of self-criticism and used the hermeneutic circle methodology. Analysis of the process of self-criticism resulted in 12 categori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비난 체험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자기비난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자기비난 체험과정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 대상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공고문과 QR 코드를 통해 모집하였다. 이들 가운데 K-FSCRS에서 자기비난 점수가 높은 대학생 7명을 최종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총 2차례에 걸쳐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에 참여하였고, 1주일간 자기비난 경험 기록지를 작성하였다. 이들의 자료를 전사한 후, 현상학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문제, 자료수집, 분석과정에서 본질직관, 반성과 자유변경, 상호주관적 환원, 해석학적 순환과 같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했다. 분석결과, 자기비난 체험과정은 6가지의 구성요소, 12가지의 하위구성요소, 그리고 125개의 의미단위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자기비난의 체험과정은 자기비난을 일으키는 촉발동기, 자기비난 과정(방식/지속성), 자기비난의 소멸로 이어지며 이러한 체험과정의 배경에는 사회문화적 맥락, 가족맥락, 또래맥락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자기비난과 관련한 정신병리 연구 및 개입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MLCP)이 우울 경향 대학생의 우울, 반추, 마음챙김, 자기자비 및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효과

        정혜경,노승혜,조현주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2

        본 연구는 우울 경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Mindful Lovingkindness Compassion Program: MLCP)이 우울 및 관련 변인 개선에 도움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 지역 대학생 1,081명을 대상으로, 우울 질문지(CES-D)를 실시하였다. CES-D를토대로 우울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들을 선별하였고, 이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34명을 프로그램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에 할당하였다. MLCP는 Gilbert의 자비중심치료에 기반한 것으로, 주로마음챙김 훈련과 자비심상 훈련으로 구성된 구성되어 있다. 처치집단은 8회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처치 없는 대기 통제 집단이었다. 이들 모두, 사전, 사후 우울, 반추, 마음챙김, 자기자비, 사회적 유대감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처치 집단은 한 달 후까지추적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처치 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의 MLCP 처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처치 집단의 사후- 추적 대응표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우울과반추는 더 감소하였고 마음챙김, 자비 및 사회적 유대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 참여 후 한 달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indful Lovingkindness-Compassion Program(MLCP) on depression, rumination,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social connectedness in students prone to depression. The total of 1,081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CES-D. Finally, 34 students who got over 19 points in CES-D were selec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MLCP) composed of 8 sessions or the control group. To identify the effect of MLCP, pre- and post data was analyzed using ANOVA, and paired  test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sustaining effect of MLC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rumination, and an increase in mindfulness, compassion, and social connectednes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effect of MLCP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intained at the follow-up assessment 4 weeks late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주거지원 가정을 중심으로

        류석진,노승혜,이동훈,박성현,오세준,조현주 한국재활심리학회 2016 재활심리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출소자의 가정 복귀 시 출소자와 배우자가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출소자 및 배우자가 경험하는 위험요인과 함께 출소자 본인과 가족을 보호하는 요인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출소자 7명과 출소자의 배우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출소자가 가정에 복귀한 후 경험하는 위험요인에 대한 영역들은 개인 내적 영역과 개인 외적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하위범주는 개인 내적 영역에서 총 7개, 개인 외적 영역에서 총 6개로 구분되었다. 한편 출소자 가족의 보호요인은 사회적 영역과 부부 관계적 영역으로 나뉘었으며 각각 6개, 10개의 하위범주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출소자의 심리적 재활과 사회 재통합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비난 방식 척도(Form of Self-Criticism Scale: FSCS) 개발 및 타당화

        정현희,조현주,노승혜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4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for forms of self-criticism for adults.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hen confirmed. The preliminary study consisted of a scale which extracted items from previous interview data where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self-criticism participated. For face validity, we consulted experts to formulate items of the Form of Self-Criticism Scale (FSCS) and conducted a survey with 369 university students using FSCS and FSCS-related psychological scales.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FM) analysis indicated that FSCS demonstrated the best model fit when it consisted of 26 items with three factors—Blame, Monitoring, and Comparing. Blame consisted of items that could measure forms of self-criticism when one considered oneself insufficient. Monitoring included items for evaluating ways that one pushes oneself to reach their internal standard. Lastly, items for assessing the tendency of one’s self-stress and pressure due to their comparisons with others were fou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SCS, construct and concurrent reliability, and test-retest validity demonstrated that the study’s results were acceptable. Finally,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 possible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비난 방식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비 연구는 자기비난 수준이 높은 대학생에게 실시한 면담 자료와 기존의 자기비난 척도를 참고하여 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내용타당도를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자기비난 방식 척도(Form of Self-Criticism Scale: FSCS)의 문항을 개발하였고, FSCS와 관련 심리적 변인 척도들을 총 369명의 성인에게 설문하였다. 탐색적 구조방정식(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분석 결과, 자기비난 방식척도는 총 26문항으로 책망, 검열 및 비교의 3요인 구조로 확인되었다. 여기서 책망은 스스로 부족하다고 여기어 질책하고 다그치는 방식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검열은 내적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현재의 모습을 채근하는 방식의 문항들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비교하기는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탓하고 낙담하여 자신을 밀어붙이는 모습과 관련되어 있다. 자기비난 방식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구인 및 공인 타당도 그리고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