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산집행 유형에 따른 LINC+ 참여 대학 간 산학협력 성과 차이 분석

        김훈호(Hoonho Kim),김영식(Young-sik Kim)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산학협력 고도화형 LINC+ 사업에 참여한 50개 일반대학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예산 집행 유형과 이에 따른 산학협력 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각대학의 항목별 예산 집행 비율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LINC+ 참여 대학들의 예산 집행 유형을‘산학협력 관련 교육프로그램 및 기업 연계 집중형’과 ‘산학협력 인프라 집중형’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이와 함께 LINC+ 참여 대학들의 예산 집행 유형에 따른 산학협력 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산학협력인프라 집중형’ 대학들의 ‘계약학과 재학생 비율‘이 ‘교육프로그램 및 기업 연계 집중형’ 대학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타 종속변수들에서는 예산 집행 유형에 따른 산학협력 성과 차이가 나타나지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해 LINC 3.0의 경우 사업 예산 편성 및 집행에 대한 대학의 자율성을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효과적인 사업비 집행 및 성과 제고를 위한 대학 및 정책당국의 지원이 필요함을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LINC+ 사업의 산학협력 성과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과 함께이에 기반한 정책 수정 및 보완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types of LINC+ budget execution of individual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LINC+ and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erformance differences based on the derived budget execution types,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INC 3.0.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ploits LINC+ budget execution dataset of 50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LINC+ from 2017 to 2019 utilizing cluster analysis, OLS and fixed effect model.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LINC+ budget execution can be divided into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program and industry linkage centered universities’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infrastructure centered universities’. Furthermore, ‘infrastructure-centered universities’ we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atio of students involved in contract department with industry than ‘program and industry-linkage centered univers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LINC 3.0 and suggestions for policy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사교육 참여 예측 모형 탐색

        김영식(Kim, Young-sik),김훈호(Kim, Hoon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3

        그 동안 사교육 수요의 원인 분석과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하나의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들 중에는 그러한 이유를 그 동안 사교육 수요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 모형이나 변수들이 상당히 제한적이었으며, 그로 인해 중요한 변수를 간과하거나 보다 직접적인 변수들을 통합․분리해 내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과 함께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네 가지 머신러닝 기법 즉, ‘랜덤 포레스트’, ‘나이브 베이즈 분류’, ‘서포트 벡터 머신’, ‘인공신경망 모형’을 적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각 기법들의 예측성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머신러닝 기법이 갖는 성능과 한계를 조망해 보고, 향후 사교육 영향 요인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분야의 연구로 확대 가능한지 여부를 함께 검토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 패널 Ⅱ의 1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머신러닝 기법에 따라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를 예측하는 변수는 상이하였으며, 네가지 기법의 분석 결과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예측 변수는 하나도 존재하지 않았다. ‘방과후 자율학습 참여여부’ 변수가 그나마 세 가지 기법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었으나, 상대적인 중요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시험 자료를 기반으로 각 머신러닝 기법의 사교육 참여 예측률을 산출한 결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과 나이브 베이즈 분류 기법이 서포트 벡터 머신 기법이나 인공신경망 기법보다 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본 및 변수 선정 과정에서의 편의를 줄이고 분석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머신러닝 기법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나, 분석의 목적이나 자료의 구조에 적합한 머신러닝 기법을 선택하기 위한 적절한 검증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re’s a plenty of literature on the demand of private tutoring across east-asian countries, particularly in the republic of Korea. To predict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more accurately,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and applied. However, the methodologies have some deficits. First of all, they are unable to give a solution for which variables in the dataset should be considered as explanatory variables to effectively predict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Also, they are easily exposed to over-fitting and risk being affected by outliers and noise.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multiple machine learning mechanisms including Random Forests(RF), Naive Bayes Classifier, Support Vector Machin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on the 1ST year dataset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And to evaluate and compare our those results of multiple machine learning mechanisms, each model’s performance was calculated by Correct Classified Rat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ased on test dataset.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RF outperforms othe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rom the perspective of prediction accuracy.

      • KCI등재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사교육비 지출 예측 모형 탐색

        김영식(Kim, Young-sik),이호준(Lee, Ho-jun),김훈호(Kim, Hoon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4

        고교 유형과 대학 입시의 큰 틀이 변화하고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수요 또한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수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예측 모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사교육비 지출 예측 변수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추출된 변수들을 활용하여 최소자승법을 활용한 회귀분석과 고정효과 모형 및 확률효과 모형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보다 타당성 높은 사교육비 지출 예측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랜덤 포레스트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예측력이 높은 변수들은 ‘남성보호자 월평균 소득’, ‘독서량’, ‘창의적 체험활동 만족도’, ‘진학 관련 월평균 방과후학교 비용’, ‘진로교육 활동 만족도’ 등이었다. 추출된 주요 변수들을 사용하여 최소자승법 및 고정효과 모형, 확률효과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등학교 학생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를 가장 적절하게 예측하는 분석 모형은 ‘확률효과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모델 및 주요 결과를 보다 정교화할 경우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 요인을 보다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증거 기반(evidence based)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정책 대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요컨대, 본 연구는 실증적 자료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교육 경감 정책의 효과를 탐색적으로 가늠해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교육학 분야에서도 머신러닝과 같은 새로운 실증 분석 방법이 보다 활발하게 사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A plenty of previous research attempted to reveal variables predict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cross Asia-pacific regions, particular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netheless, due to the several defects, such as restricted analytic models, limited variables of dataset, and endogeneity problems caused by the omitted variable bias, the findings of prior studies has not been consistent. Considering tho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d the application of Random Forests(RF),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machine learning,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o predict each individual’s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using the 2nd year dataset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more desirable model in predicting individual student’s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based on the comparison among OLS,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 affected the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male parent’s monthly income, number of book to read in a mon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 career education, and month expenditure on after-school classes for advancement, etc.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school random effect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in predicting each individual student’s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demands for private tutor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regarding more rigorous methods for predicting variable related to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 KCI우수등재

        혁신고등학교 학부모의 학교 인식 및 대학입학시험 준비 양상에 관한 연구

        신원규(Shin, Won Kyu),김훈호(Kim, Hoonho)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본 연구에서는 혁신고등학교 학부모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및 학교활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그러한 인식이 자녀의 대학입학시험 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A혁신고등학교의 2학년 학부모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고등학교 학부모는 자녀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전까지 학습 분위기나 교육 여건, 지리적 위치 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진학 후 학교생활을 경험하면서 인식이 조금씩 변화하였다. 둘째, 혁신학교의 특성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학부모가 더 많았으며, 적은 학급당 학생 수나 다양한 동아리활동, 학생부종합전형 이점 등을 인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대입을 위한 교과공부가 여전히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별한 대입준비 불안이나 전략은 없었으며, 대입을 앞둔 학생과 학부모에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그동안 논의되어 왔던 혁신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학교의 교육과정이나 학교활동에 대한 부정적 결과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혁신학교의 특성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와 대입에 대한 막연한 불안함에 근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rents perceive the curriculum and school activities of Innovation schools and how such perceptions affect their children s prepar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To this end, four parents at ‘A’ Innovation High School in Chungnam province were interviewed.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of Innovation High School had a negative image of the learning atmosphere, educational conditions, and geographical location before their children entered the Innovation schools, but such negative perceptions gradually changed as they experienced school lives. Second, there were still more parents who did not know the exact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chools. Parents were aware of the positive aspects of Innovation high schools such as small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various club activities, and the benefits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However, such positive aspects of Innovation schools were undervalued because parents still recognized that effective prepar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defining excellence in high school. Third, there was no particular anxiety or strategy for university entrance preparation was found in parents of Innovation schools, and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parents of other general high school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nxiety regarding Innovation schools is caused by the inaccurate information parents had before they experience Innovation schools, rather than actual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curriculum or activities of Innovation schools. Based on such results, som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awareness of Innovation schools are proposed.

      • 충남교육청 폐교재산 활용 유형 분석

        최준렬(Choi, Joon Yul),김훈호(Kim, Hoonho),김은경(Kim, Eunkyu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 No.

        충청남도교육청의 폐교재산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폐교의 개념, 폐교의 현황 및 활용 실태, 국내외 폐교 활용 사례, 폐교활용 관련 법령 분석, 타 교육청의 폐교재산 활용 실태 분석, 충남교육청의 폐교재산 활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2019년 3월 1일 현재 3,784교가 폐교되었으며 이중 2,375교가 매각이 완료되었고, 1999년 교육부는 폐교재산 활용 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매각과 임대 등의 사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다. 충청남도교육청은 폐교된 262교 중 209교를 매각하고 43교를 보유하면서 관리하고 있다. 이중 14교는 대부, 1교는 자체활용, 9교는 보존관리하고 있어 19교가 활용방안 모색이 필요한 학교이다. 여기에 이전교 3교를 포함하여 22교가 활용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충청남도교육청은 폐교재산의 매각, 대부, 자체활용, 활용방안 모색을 하면서 폐교재산 활용을 위한 촉진법에 근거하여 지방자치단체를 우선 대상자로, 교육용 시설, 사회복지시설, 소득증대시설 사업에 한정하였다. 활용이 어려운 여건에 있는 폐교재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활용유형을 보존관리지정, 대부 또는 매각, 주민 직접 활용, 지역주민협의의 4유형으로 구분하여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는 22교 중 7교는 미래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보존관리로 지정하여, 5교는 주민의 희망을 반영하여 대부하거나 매각을, 1교는 주민이 직접 활용을, 9교는 아직 활용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주민과 협의하여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활용유형을 제시하여 합리적으로 폐교재산을 활용하는 방안이 주민과의 갈등을 줄이고 폐교재산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ursued to analyze the utilizing types of closed school facilities in Chungnam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CPO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ncept of closed school, number of closed schools, the actual closed schools being utiliz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cases for closed schools utilized, the laws related to closed schools, case studies of the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utilizing types of CPOE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closed schools since 1982 is 3,784 schools in 2019. 2,375 schools of them were sold and 1,409 schools are managed by provincial office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enacted the special law for pushing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in 1999.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s have tried to utilize the closed schools. The number of closed schools from 1979 to May, 2019 is 262 schools in CPOE.. Till May 2019, 209 schools of them have been sold. 43 schools have been manag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14 schools have been rented; 1 school will be used for the CPOE; 9 schools have been kept for future uses; and 19 schools are needed ideas for efficient utilizing. In addition to those schools 3 schools which were closed not because of integration but because of school moving were added for efficient utilizing. CPOE sold and leased closed schools based the special law for utilizing closed schools: the law enacted the purpose of selling and leasing closed schools only for educational, social welfare, and residents’ earning facilities. The closed schools experiencing difficulty for utilizing would bee being managed by 4 criteria: Keeping schools, leasing or selling, residents’ self utilization and cooperation with residents to use the closed schools. 7 schools of 22 schools having difficulty will be kept for future usage; 5 schools by lease or sale; 1 school by residents themselves; 9 schools will be discussed with residents more. CPOE will follow this types of utilization model for using closed schools. This model will help offices in CPOE to manage the closed schools rationally and regally.

      • KCI등재

        통합운영학교 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분석

        전제상(Je Sang Jeon),김훈호(Hoonho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최근 들어 학교급이 다른 과소규모 학교의 통합 운영을 통해 학교의 소멸이 지역의 소멸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 소규모 학교의 재정운용 비효율성 문제도 함께 해소하고자 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통합운영학교는 여전히 상당한 한계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운영학교 교원 및 시 도교육청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통합운영학교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개선 사항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운영학교는 이질적인 교직 문화나 교원 자격제도로 인해 긴밀하게 교류 협력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교원들 스스로도 상대 학교급의 교육과정이나 학생지도에 관심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마다 수업시간이 상이하여 교육과정 운영이나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학교 시설 설비 및 기자재 운용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통합운영학교는 별도의 학교 유형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에 전담 지원부서가 부재하며, 학교급별로 예산이 별도로 배정되어 편성 및 집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겸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나 직원 등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통합운영학교는 교직원 모두에게 비선호 학교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통합운영학교 배치 교원 연수 제공, 초 중등 복수자격 연수 제공, 통합학교 신설, 복수자격 교사 양성, 통합학교 교장(감) 자격제도 신설 등을 제안하였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olicy trend to merge and integrate small-sized schools in different school levels to prevent school closure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financial management of small sized schools in Korea. However, despite high policy interest, many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still face considerable limi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of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through interviewing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and regional educational office government officials. First,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major challenges faced at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includ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teaching staffs due to disparity in teaching culture and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Moreover, it was found that teachers show low interest in their counterpart’s curriculum and student learning. Second, class hours were different for each school level, so there wer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curriculum operati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peration,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operation. Third, there is no dedicated support department designated for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in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nd budget is allocated separately for each school level. In addition,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s show low preference towards working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chools because concurrent positions are not recognized in current school system, which lead to insufficient incentiv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revising the guidelines for managing integrated management schools, providing training for teachers assigned to integrated schools, providing multiple qualif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aff, establishing integrative school leadership system(school principal) in order to improve integrate school management.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 탐색

        함은혜(Ham Eun Hye),김은경(Kim Eun Kyung),김훈호(Kim Hoonho)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 및 교사 수준에서의 자유학기제 운영 역량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표적집단면담을 실시하고 자유학기제의 정책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학교 조직 운영 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유학기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학교와 교사의 역량 요소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운영 역량으로 ‘교과 수업’, ‘자유학기 활동’, ‘교과 수업과 자유학기 활동 간 연계·조정’, ‘평가’의 4개 영역에서 총 11개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고, 학교 조직 운영 역량으로 ‘소통·협력’, ‘자원운용의 효율성’, ‘지속가능성’의 3개 영역에서 총 11개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와 관련하여 학교와 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와 역량을 이해하는 개념적 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chools and teachers competencies on managing the free-semester. First, reviewing a large extent of case studies and runn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5 researchers, the first draft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school management competencies was drawn, and each element of the competencies was articulated. Next, applying the Delphi metho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et of competencies was evaluated by the expert panel which consisted of 8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change of the free-semester at school, and 4 researchers and professors serving as a school consultant for the free-semester. As results, we finalized the free-semester management competency model which consists of the total 22 elements, 11 for curriculum management and 11 for school management.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of school and teacher competencies for the free-semester management.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상옥(Park, SangOk),함은혜(Ham, EunHye),김훈호(Kim, HoonHo),이재준(Lee, Ja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이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근 3년 간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과 그렇지 않은 성 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 참여는 성인들의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와 ‘주인의식’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사적신뢰’ 및 ‘공적 신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삶의 질’ 수준을 통제할 경우 ‘주인의 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네 가지 사회적 자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삶의 질’ 수준을 통제할 경우 사회적 자본의 하위 영역 중 ‘주인의식’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평생교육 참여의 효과가 삶의 질 수준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평생교육 참여가 주인의식이나 네트워크 등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지속 적인 관심과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programs have an effect on building social capital. Approximately 700 females and males participated in our surve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had a positive impact on increasing social capital, specifically network as well as citizenship. After controlling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was significant only for network. Second,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levels of citizenship once controlling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practical expectation of lifelong learning for enhancing social capital was discussed.

      •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 분석-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최혜림(Hyerim Choi),홍혜인(Hyein Hong),김훈호(Hoonho Kim)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2010~2014학년도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의 변화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에듀데이터 서비스시스템(EDSS)에서 제공하는 학교정보 공시 및 에듀파인(학교회계시스템)의 2010~2014학년도 자료를 패널자료로 구성하여, 공분산 분석 및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한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분석분석(ANCOVA)을 활용 한 동아리 운영 변화 분석 결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도입 이후 창의적 체험활동이 확대 되었으며, 특히 2014학년도 자율동아리가 도입되면서 빠르게 확대되는 추이를 보였다. 그리고 단위학교에 자율성에 부여됨에 따라 학교마다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한 패널 회귀분석 결과, 학교유형, 자율학교 지정여부, 학교 규모, 학교 평균 사회경제적 배경, 학교평균 학업 성취도 수준 등의 학교 특성에 따라 단위학교 내의 동아리 수 및 동아리 참여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지속적인 확대는 현행 교육과정 취지상 바람직한 추세이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이 학교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또 다른 형태의 교육 기회 격차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위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의 다양성은 보장하되 교육 기회 격차로 나아가지 않도록, 인적 · 물적 자원 제공, 단위학교 홍보 등 정책적 · 제도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ime series changes of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and influence of school factors on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especially focusing on high school club activities. Panel data from 2010 to 2014 derived from EDSS and Edufine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ANCOVA and Fixed-effect regression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has been increased since an implementation of 2009 curriculum revision. Second, school type, level of curricular autonomy, school size, school average SES, school average CSAT scores significantly affect school club activities. Expansion of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seems desirable; yet, the fact that it is affected by school factors implies an in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Thus, government’s support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is necessary for the sake of vitalizations of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in less-privileged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