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초,중등학교 평가시스템의 현상과 법적 검토

        전제상 ( Je Sang Jeon ) 대한교육법학회 2011 敎育 法學 硏究 Vol.23 No.1

        우리나라 교육행정체제는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지원청, 단위학교로 이어지는 다층적 구조를 가진다. 각각의 교육행정기관은 자신의 조직목적 달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교육행정기관이 소기의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떠한 성과와 실적을 가져왔는지에 관한 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교육행정기관에 대한 평가는 시도교육청평가, 지역교육청평가, 학교평가, 학교단위성과급평가 등이 있다. 시도교육청평가는 시도교육청의 책무성 강화와 지방교육 지방교육자치제의 실효성 확보차원에서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지역교육지원청평가는 1997년부터, 학교평가는 1996년부터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교육행정기관평가는 학교현장과 교원에게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초·중등학교 평가시스템의 운영 현상과 문제점은 무엇이고, 법적 쟁점과 개선방향은 어떠해야 하는 지를 탐색하였다. In Korea, there are structured the multi hierarchical nature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ies ranking fro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Local education Offices, and District education offices.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ies variously endeavor to attain its object of their organizatio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ies was evaluated for its object and goals.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ies are the evaluation of local education offices, the evaluation of district education offices, the evaluation of school, the evaluation of school-based performance, ets. The evaluation of local education offices has introduced reinforcement on an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licy of autonomy and accountability since 1996. The evaluation of district education offices has introduced since 1997, The evaluation of school has introduced since 1996.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ies affect great and small school and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udy for the legal and actual state of school evaluation system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s and the legal of school evaluation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ies and issues that those evaluation systems faced.

      • 초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 활성화 방안연구

        전제상(Jeon Je Sang),최은숙(Choi Eun Suk)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1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한 방과 후 학교는 정규 교육 시간 이후 교육 기회의 차이를 보정하여 소득과 지역에 의한 교육 격차를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이다. 방과 후 학교의 성공적 운영은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지역 사회 인사들의 좋은 학교 건설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할 때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공동체 모두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방과 후 학교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일반적인 인식을 분석을 토대로 방과 후 학교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고, 울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지를 조사하였다. 학부모의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After School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s through diagnosis and analysis of factors which are in the way of national educational policy implementation. A new educational policy of After School has been actively implemented with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a short period. Some policies are successfully implemented according to its purpose, however many policies have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ing process.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419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from april 2th to april 6th in the year 2007 in order to analyse the conditions of After School Activity. The survey consisted of perceptions about After School Activity, physical conditions of After School Activity implementation, and ideas about After School Activity improvements.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were applied to th data at .05, .01 and .001 level of significance using SPS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erceptions about After School Activity, it was found that 58.9%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necessity of After School Activity positively mainly. Finally, it was shown that parents were highly interested in After School Activity and they did show high recognition of After School Activity as well. Second, in terms of physical conditions, about high responded that After School Activity physical conditions was unsatisfied. It was found that After School Activity were not only lacking in overall facilities and teaching materials, they did not make use of related support materials provided by the After School policy.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more opportunities for After School Activity need to provided for specialized program and capacities, diverse kind of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more financial support need to be provided for that direction. In conclusion, it was proven that After School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s are many difficulties from lack of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implementing proces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in order to improve After School Activity, change of attitude toward After School Activity, normal and proper implementation of After School Activity programs, improvement of physical conditions, and the support of financial and administration, etc.

      • 미국의 교사수습제 운영실태 동향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敎育論叢 Vol.57 No.1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원의 전문성 개발 및 정책적 노력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핵심과제로 대두되어 왔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교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강조 및 학생발달 특성에 대응되는 교원의 전문성 역량 중요성은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무엇보다,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은 빠르게 변화하는 학교현장 맥락에 대응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의 현장 적응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교원양성기관의 예비교사들이 교 육실습 및 임용시험 등을 통해 학교 현장의 적응력을 키우고 있다. 하지만, 교육실습 및 임용시험의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하여 예비교원은 여전히 현장 적응력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한 현장적응력의 문제는 비단 우리나라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그 동안 주요국에서는 교원전문역량 강화 차원에서 교사수습제를 도입하고 다양한 형태로 운영해 왔다. 본 연구는 교사수습제 운영의 대표적인 국가인 미국의 운영사례(텍사주 주와 메릴랜드 몽고메리교육청)를 기반으로 한국교원교육정책 분야, 특히 교사수습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의 교사수습제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통하여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eachers efforts to develop expertise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have become a key task for any country.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in respons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development is emphasized, along with the change of core capabilities of teache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olicy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eachers ability to adapt to the field as the curriculum of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is inconsistent with the school site. Currently, prospective teachers at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re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school sites through educational practices and recruitment tests, but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hemselves to the field due to various constraints of education practice and recruitment tests. In a bid to strengthen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system are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major countr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up implications for Korea based on U.S.(Texas State and Maryland State Montgomery County) operating practices as a leading country in the operation of the probationary teacher system. In this study, a cri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e of teacher training system operation in the U.S., problems, and key feature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통합운영학교 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분석

        전제상(Je Sang Jeon),김훈호(Hoonho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최근 들어 학교급이 다른 과소규모 학교의 통합 운영을 통해 학교의 소멸이 지역의 소멸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 소규모 학교의 재정운용 비효율성 문제도 함께 해소하고자 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통합운영학교는 여전히 상당한 한계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운영학교 교원 및 시 도교육청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통합운영학교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개선 사항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운영학교는 이질적인 교직 문화나 교원 자격제도로 인해 긴밀하게 교류 협력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교원들 스스로도 상대 학교급의 교육과정이나 학생지도에 관심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마다 수업시간이 상이하여 교육과정 운영이나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학교 시설 설비 및 기자재 운용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통합운영학교는 별도의 학교 유형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에 전담 지원부서가 부재하며, 학교급별로 예산이 별도로 배정되어 편성 및 집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겸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나 직원 등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통합운영학교는 교직원 모두에게 비선호 학교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통합운영학교 배치 교원 연수 제공, 초 중등 복수자격 연수 제공, 통합학교 신설, 복수자격 교사 양성, 통합학교 교장(감) 자격제도 신설 등을 제안하였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olicy trend to merge and integrate small-sized schools in different school levels to prevent school closure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financial management of small sized schools in Korea. However, despite high policy interest, many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still face considerable limi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of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through interviewing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and regional educational office government officials. First,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major challenges faced at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includ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teaching staffs due to disparity in teaching culture and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Moreover, it was found that teachers show low interest in their counterpart’s curriculum and student learning. Second, class hours were different for each school level, so there wer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curriculum operati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peration,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operation. Third, there is no dedicated support department designated for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in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nd budget is allocated separately for each school level. In addition,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s show low preference towards working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chools because concurrent positions are not recognized in current school system, which lead to insufficient incentiv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revising the guidelines for managing integrated management schools, providing training for teachers assigned to integrated schools, providing multiple qualif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aff, establishing integrative school leadership system(school principal) in order to improve integrate school management.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비교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5

        최근 국가교육정책의 영향에 따라 교육전문직제도 개선에 관한 현장 교원들의 요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운영실태 비교를 통한 이슈와 쟁점, 그리고 개선방안 등을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교육전문직 인사제도에 있어서 국가간 이 제도의 특징과 문화, 기능과 역할에 대한 서로 다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전문직제도 운영에 관한 교육행정체제, 인사제도 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가와 지방교육청 수준에서의 선발, 교육경력과 연령 강조, 교원에 대한 장착과 행정, 학교평가와 지원의 역할 수행, 공개전형방식 채택,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강화의 특징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교육전문직 인사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Raising teachers’ demands about improving system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for an influence of national education policies recently, thispaper analyzes causes and relevant issues on such criticisms, and suggests possible solutions to the systems of educational supervisors through comparison of Korean and French.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with respect to aspects such as the extent of educational supervisors in the systems of educational supervisors, the educational supervisors culture, or the function and roles of educational supervisors. Results on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 analysis of the systems of educational supervisors in Korea and French, there were presented selection for the national and local education offices, emphasis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various rol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supervisors, school’s evaluation and support for teachers, public selection, training progra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tc.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exploring the alternative implication of korean educational supervisors system by analyzing many related the functions and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system in French.

      • KCI등재

        미국의 교사자격 기준관리 사례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전제상(Jeon, Je S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최근 2008년과 2009년 학교자율화 정책들이 연속적으로 발표되면서 시․도교육청과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재정 및 인사권 부여 등에 대한 자율적 운영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의 학교자율화 정책 강화에 따라 교사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국가적 과제로 부각되었다. 모든 교사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직무수행 기준의 영역과 내용에 관한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는 점에서 교직의 전문성과 교사의 자격기준의 의미와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미국은 교사의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국가수준의 자격기준을 마련하여 양성과정과 신규 임용, 연수, 평가, 보수 등의 기준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미국의 신규교사와 경력교사, 퇴임교사들에게 적용되는 교사 자격기준이 무엇이고 어떠한 과정을 자격을 취득하며, 교사의 질은 어떻게 관리되는 지를 분석하였다. 앞으로 교사의 질 관리에 정책적 노력이 집중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교사 자격 기준 내용은 우리나라 교사자격 기준 개발(교육과정에 기초한 교사자격기준 개발, 교사인사정책과 연계된 교사자격체계, 현직교사자격증 질 관리 강화, 교원양성기관 평가결과의 양성기관 교육과정 프로그램 반영, 국제수준의 자격기준 개발)에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a systematic manag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a topic of major concern in Korea, Korean Government recently considered to reform the school auto-policy since 2008-2009. Thus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into the meaning and qualification standards, qualification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attributes of the profession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trends, procedures for certification and achievement of qualification, types and standards of teachers’ certification in United States. This study has exploring the alternative implication of korean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by analyzing many related the functions and conditions of the qualification standards on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United States. Also the contents that appear in the teacher qualification of the United States were explo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weaknesses in korea that must be complemented teacher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 KCI등재

        일본의 조건부 채용 형태의 연수과정으로서 수습교사제 운영 동향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3

        최근, 4차 산업혁명 등을 맞이하여 학생 발달 특성에 대응되는 교원의 역할 및 전문 역량이 변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은 초임교사들은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교육실습 및 임용시험 등을 통해 학교 적응력을 키우고 있다. 초임 교사의 학교현장 적응력의 문제는 비단 한국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일본에서도 조건부 채용 형태의 수습교사제를 도입하고 1년 동안 연수제도로 운영해 왔다. 여기서는 일본 조건부 채용 형태의 연수제도로서 초임교사 교직 적응력 강화를 위한 법적 근거와 운영 실태 등을 살펴보았으며, 한국 수습교사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주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주요 시사점으로는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시스템이 교직입직단계 초기부터 작동되도록 지원, 학교조직문화 특성을 고려한 협의과정의 산물, 조건부 채용형태의 수습교사제 법적 근거 명료화, 교직 적응력 및 적격성에 관한 문제 제기를 초임교사의 조건부 채용 연수형태로 해결, 조건부 채용형태의 법적 분쟁 발생으로 평가의 공정성 정립, 조건부 채용형태에 관한 이해 당사자의 상호 협의 전제 등이 제안되었다. Recent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change in the rol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in respons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development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first-time teachers are developing their ability to adapt to schools through the curriculum, training, and recruitment exams of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The problem of first-time teachers ability to adapt to school sites is not limited to Korea, but Japan has also introduced a conditional recruitment system and operated it as a training system for one year. As a training system in the form of conditional recruitment in Japan, we looked at legal grounds and operation conditions for strengthening the adaptability of first-time teachers and the main purpose of our research i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probationary teacher system in Korea. Major implications include suppor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of first-time teachers to operate from the beginning of the teaching profession stage, clarifying the legal basis for the probationary teacher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resolving the issue of teacher adaptability and eligibility as a first-time teacher, establishing fairness in evaluation by the occurrence of legal disputes in the form of conditional employment, and conditional consultation with interested parties on the types of employment.

      • 교원연수체제 개선 요구조사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이 연구는 새로운 교원평가시스템 도입과 학교자율화 정책, 수업전문성 제고방안 등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현장 교원들의 연수 요구 실태를 분석하고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교원연수체제 개선은 1995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범운영 이래로 교직사회의 주요 과제로 부각되었으며, 교원연수체제 운영 전반과 개선사항 등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교원, 교육전문직을 포함하여 총 1,937명이었고. 회수율은 약70.8%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ver 17.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원연수체제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은 편이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에 따른 현장 교원들의 연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장 교원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연수체제와 연수프로그램 지원체제는 미흡하였다. 앞으로 교원연수체제의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으로 연수기관별 전문화 및 특성화 노력,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집중연수 대책 마련, 연수기관평가 실시, 연수기관협력체제 구축, 교원체제 개선을 위한 법령 정비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on the theoretical basis, to inquire operation for the training system, and to present and an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 for the training system. The great interesting of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has been a topic for model operation of new teacher's evaluation system in Korea since 2005.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survey questionnaire of 3 category were developed for distribution to subjects. 1,937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eacher and educational supervisors, 1,373(70.8%) of which were received and treated for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using SPSSWIN ver 17.0. It was also shared among those teachers that a new in-service train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which would promote teachers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requires analysis should be shared among trainees and staffs in training centers. Goals of the in-service training and school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model operation of the new teacher's evaluation system. The projects should be operated voluntarily and converted into various training for field experiences. Also,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인식 분석: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전제상 ( Je Sang Jeon ),주현준 ( Hyun Jun Joo ),정성수 ( Sung Soo J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관련 주체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개선방향과 세부 전략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자격·선발·임용과 역할·직무수행·평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도구를 제작하고, 경상북도 지역의 교원 1,800명, 교육전문직 370명, 일반직 공무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소속기관(학교, 교육청)과 직위(교원, 교육전문직, 일반직)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개선 방향과 세부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ers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educational supervisor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wo major research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major problems of the pers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educational supervisors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and expert group interview. Second,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perspectives by conducting a survey. The analyses found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pers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educational supervisors. At the end of the paper, the study suggest sever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ers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educational supervisors

      • KCI등재

        교원평가시스템 운영 실태 비교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주요국들은 교원의 전문성 개발 정책 노력의 일환으로 교원평가시스템 혁신에 주력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은 인력 양성 개발에 있어서 학교교육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의 역량이 공교육의 경쟁력을 결정함을 인식하고 있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1964년 교원근무성적평정, 2001년 교원성과상여금, 2010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3원 체제 교원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전문성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행 3원 체제 교원평가시스템은 서로 다른 목적으로 복잡하게 설계되어 평가의 복잡성, 비효율성, 심리적 부담감 등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은 기존 교원평가체제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정부는 2016년 3개의 교원평가시스템을 2개로 통합하여 운영하는 간소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전문성 평가에 활용하고, 교원업적평가(근무성적평정+다면평가)는 성과평가로 승진인사에 활용하고, 교원업적평가 중 다면평가는 개인성과급지급에 활용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혁을 도모하였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교원평가시스템 운영실태 비교대상으로 프랑스의 경우는 역사적으로 1802년부터 중앙집권체제로 학교교육을 운영하면서 초·중등교사에 대한 교원평가를 제도화하였다. 그 이후 1960년대 말부터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1989년, 2007년, 2010년, 2016년마다 불합리한 교원평가시스템을 수정, 보완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2017년부터는 초등학교 교사는 외부 감독관에 의해 3년마다 평가를, 중등학교 교사는 외부 감독관과 학교장에 의해 6-7년마다 평가를 실시하여, 이의 결과를 교원보수와 승진에 반영하도록 혁신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교원평가시스템을 기반으로 프랑스의 교원평가시스템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운영 실태와 특징,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Major countries are focusing on innovating teacher evaluation systems as part of efforts to develop teachers expertise. It is recognized that the ability of teachers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education. Korea has historically focused on developing professionalism by establishing a three-won system for teacher evaluation in 1964 and 2001 for teacher performance bonus and 2010 for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However, the current three-won teacher evaluation system was designed to be complex for different purposes and thus has limitations in evaluation complexity, inefficiency, and psychological burden. In response to such criticism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the government simplified the evaluation system of three teachers in 2016 to use the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evaluation, used the evaluation of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grade) for promotion as a performance evaluation, and promoted reform of the system to use the evaluation of teachers performance for personal performance and pay. Similarly, As a comparison of Korea s teacher evaluation system, France has historically institutionalized teacher evaluation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ile operating school education under a centralized system since 1802. Since then, we have had in-depth discussions since the late 1960s, and we hav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unreasonable teacher evaluation system every year in 1989, 2007, 2010 and 2016. Starting in 20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valuated every three years by outside superviso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every six to seven years by outside supervisors and school principals, thus innovating to reflect their results in teacher remuneration and promotion.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process of France s teacher evaluation system based on Korea s teacher evaluation system, its operational status, features, and policy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