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p-amp의 옵셋 전압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새로운 방식의 회로에 관한 연구

        김한슬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산 증폭기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차동 입력 트랜지스터의 부정합이나 온도 등의 원인으로 옵셋 전압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옵셋 전압은 전달되는 신호를 왜곡시키고, 시스템의 오동작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패널 드라이버단의 데이터 신호를 증폭시키는 버퍼에서 옵셋 전압이 발생한다면 디스플레이의 화소, 또는 밝기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연산 증폭기를 오픈 루프로 사용할 경우 입력단에서 발생하는 1mV~수십mV 크기의 옵셋 전압이 이득의 값에 곱해져 그 값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에 옵셋 전압을 저감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기술들이 요구 된다. 일반적으로 옵셋 전압을 저감시키는 기본적인 회로는 auto-zero 방식과 offset averaging 방식이 사용된다.[1]-[4] 기존의 옵셋 저감 방식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효율적으로 옵셋 전압을 저감하는 회로이다. 하지만 auto-zero 방식의 회로의 경우 비연속적으로 옵셋 전압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옵셋 전압 저감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Offset averaging 방식 회로의 출력전압의 평균적인 값은 input level과 같지만 원천적으로 옵셋 전압을 저감시키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옵셋 저감 회로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회로를 응용&융합하여 더 높은 효율을 가지는 3가지 방식의 옵셋 전압 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각각의 회로들은 cadence spectre 시뮬레이션을 통해 30mV의 옵셋 전압이 1mV 미만의 옵셋 전압으로 저감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설계한 옵셋 전압 저감 회로는 TSMC 2V 0.18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모의실험과 레이아웃을 수행하고 칩으로 제작하였다.

      •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

        김한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sabled have various limitations in their daily life. These limitations become a factor that keeps health problems unsolved without timely responses and even it could make their physical condition worse. In order to prevent potential health deterioration of the disabled and to resolve their social disadvantage, political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restrictions in daily life are important. Overseas nations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and they consider them when selecting welfare recipients.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the disability-related limitations of daily living’, which is questionnaire the Australi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uses to measure disability by applying the concept of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could influence unmet nee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from 2018 to 2020 (1st-3rd). Focusing on adult disabled panels who are over 19 years old and got registered as the disabled from 2015 to 2017, this study analyzed them with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for determining effects of the Disability-related limitations of daily living on the unmet needs. The degree of disability-related limitations of daily living consist of 14 items with four-point Scale. This study analyzed subjects by dividing groups. After combining scores of the 14 items, if the point is 29 points or m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group a high restriction group in daily life. If the point is 14 points or more and less than 29 points, this study considered the group a medium restriction group in daily life. If the point is less than 14 points, this study considered the group a low restriction group in daily life. This study set the unmet need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researched whether the research subjects had ever experienced sufficient treatment at a hospital or clinic within the past 6 months or not. It include variables including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disability-related factors and conducted analysis. Considering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nder, it operated every analysis by each gender.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disability-related limitations of daily living' increased, the odds ratio of experiencing unmet needs increased gradually in case of men,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women, the odds ratio of experiencing unmet needs were 1.79 times (95% CI: 1.33 - 2.39) in the medium restriction group compared to the low restriction group and it was significant, but the odds ratio of experiencing unmet needs in the high restriction group were 1.58 times (95% CI: 0.80 - 3.12) compared to the low restriction group and it was not significant in a specific phase. Second, in case of men, limitations on emotional regulation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are factors of experiencing the unmet needs, and in case of women, pain due to chronic diseases appeared to be a factor to experience the unmet nee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ach item from the disability-related of daily living on the unmet need experience, in case of men, the odds ratio of experiencing the unmet needs were high in the order of movement restriction of legs or feet, head injuries such as bumping or falling, and emotional control restriction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In case of women, the odds ratio of experiencing the unmet needs were high in the order of movement restriction of leg or foot, pain due to chronic disease, and restriction in gripping or lifting. Third, in case of men, the men with disability had the other reasons except burden of medical expenses of experiencing the unmet needs and the women with disability regarded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as a factor to experience the unmet needs.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s of the disability-related limitations of daily living on the unmet needs. It is likely to happen that the disabled with the disability-related limitations of daily living could have high risk to experience the unmet needs and the risk of the unmet needs and reason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conditions and gend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medical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that considers the disability-related limitations of daily living including chronic diseases, pain, and mental health and to provide policies of improving medical accessibility that reflects individual needs and necessity of the disabled, society, and environment. 장애인은 일상생활에 다양한 제약을 가진다. 이러한 제약은 적시에 건강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어 장애인의 건강상태를 악화시키기도 한다. 장애인의 잠재적 건강 악화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장애인의 사회적 불리를 해소하기 위해서 일상생활 제약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은 중요하다. 해외 국가에서는 장애인의 ‘활동 및 사회참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복지대상자 선정과정에서 이를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 및 사회참여’ 개념을 반영하여 장애를 측정한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 2020년(1차 - 3차) 장애인 삶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15년 ~ 2017년 사이에 장애등록을 마친 만 19세 이상의 성인 장애인 패널을 대상으로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화 추정 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을 활용하였다.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는 4점 척도로 14가지의 문항을 가진 변수로, 본 연구에서는 14가지 문항의 합산점수가 29점 이상인 경우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높은 군, 14점 이상 28점 이하인 경우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중간인 군, 14점 미만인 경우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낮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미충족의료는 최근 6개월 이내 병·의원에서 충분한 진료를 받지 못한 경험 여부로 알아보았으며,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 장애관련 요인을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성별에 따른 역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모든 분석은 성별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높아질수록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오즈비는 남성에게서 단계적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낮은 군에 비해 중간인 군이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1.79배(95% CI : 1.33 - 2.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남성의 경우 불안, 우울 같은 감정조절의 제한이, 여성의 경우 만성질환으로 인한 통증이 성별에 따라 특징적으로 미충족의료를 경험 가능성이 높은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사항으로 나타났으며,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사항별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다리나 발의 움직임 제한 > 머리를 부딪치거나 떨어지는 등 머리를 다친 적이 있는 군 > 불안, 우울 같은 감정 조절의 제한이 있는 군 순으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 다리나 발의 움직임에 제한 > 만성질환으로 인한 통증 > 잡거나 드는 것에 제한이 있는 군 순으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높았다. 셋째,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에 따른 미충족의료의 발생 원인별 미충족의료 경험 분석에서 남성 장애인에게 있어 진료비 부담 외의 원인이, 여성 장애인에게 있어 진료비의 부담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일상생활 제한 정도에 따라 진료비 부담 외의 이유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단계적으로 증가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가 미충족의료 경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 정도에 따른 미충족의료 경험과 발생 이유는 성별과 조건에 따라 다른 특징을 나타냈다. 장애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는 인식과 개별화된 복지서비스의 필요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장애 정도, 유형에 따른 획일적인 서비스 제공에서 만성질환과 통증, 불안, 우울 등 장애관련 일상생활 제한을 고려한 포괄적인 지원과, 장애인의 개인 욕구와 필요, 사회, 환경 등을 반영한 의료접근성 제고정책이 필요하다.

      • The Role of FOXA3 in Testicular Steroidogenesis

        김한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teroid hormones, such as testosterone, regulate crucial stages of development and are essential for homeostasis of important physiological functions in animals. Biosynthesis of testosterone, which mainly occurs in testicular Leydig cells, is regulated by steroidogenic proteins, such as StAR, P450C17 and HSD3β. NUR77 is one of the prime factors that regulate steroidogenesis in Leydig cells, in which NUR77 is expressed in response to LH/cAMP signaling pathway. As a transcription factor, NUR77 regulates the expression of steroidogenic genes. The Fork-head box (Fox) transcription factors are evolutionarily conserved in organisms and regulate diverse biological processes during development as well as adult life. Among the Foxa subfamily, Foxa3 is the only member that is expressed in both male and female gonads. In the testis, FOXA3 is mainly expressed in interstitial Leydig cells. In this study, I focused on elucidating a role of FOXA3 in Leydig cells, specifically its impact on testicular steroidogenesis through an interaction with Nur77. Over-expression of FOXA3 in MA-10 cells, a mouse Leydig tumor cell line, repressed the cAMP-induced Nur77 promoter activity, which resulted in the reduced promoter activity of NUR77-target steroidogenic genes (Star, P450c17 and Hsd3β). Accordingly, FOXA3 over-expression repressed the expression of endogenous Nur77 and steroidogenic genes in MA-10 cells. Further studies revealed that FOXA3 physically interacts with NUR77 and decreases NUR77 transactivation on the target steroidogenic gene promoters. In mouse primary Leydig cells, adenovirus mediated over-expression of FOXA3 caused the reduced expression of Nur77 and its target genes such as Star and Hsd3β, which resulted in the decreased production of testosterone. All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XA3 regulates the expression of steroidogenic genes in Leydig cells, fine-tuning steroidogenesis in the testis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동물 발생과정에서 결정적인 단계를 조절하며 중요한 생리 기능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이다. 정소 Leydig 세포에서 주로 일어나는 테스토스테론의 생합성은 StAR, P450SCC, P450C17 및 HSD3β 와 같은 스테로이드 합성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 NUR77은 정소 Leydig 세포에서 스테로이드 생성의 주요 조절인자 중 하나인데, Leydig 세포에서 LH/cAMP 신호에 대한 반응으로 발현이 된다. Nur77 단백질은 전사인자로서 스테로이드 생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Fork-head box (Fox) 전사 인자는 생물체에서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는데, 성체시기 뿐 아니라 발생과정에서도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한다. Foxa 하위 군 중에서는 FOXA3가 유일하게 남성과 여성 생식선에서 모두 발현되는데, 정소에서 FOXA3는 주로 간질성 Leydig 세포에서 발현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Leydig 세포에서 FOXA3의 역할을 조사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FOXA3가 NUR77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소steroid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생쥐 Leydig 종양 세포주의 하나인 MA-10 세포에서 FOXA3의 과발현은 cAMP에 의해 유도된 Nur77 프로모터 활성을 감소시켰는데, 이로 인하여 NUR77 표적인 스테로이드 생합성 유전자 (Star, P450c17, Hsd3β)들의 프로모터 활성이 감소되었다. 그런 관계로 MA-10 세포에서 FOXA3를 과발현 시켰을 때 Nur77 및 스테로이드 생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좀 더 자세한 연구결과 FOXA3가 NUR77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며, NUR77의 표적인 스테로이드 생합성 유전자들의 프로모터에서 FOXA3가 NUR77의 전사기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쥐의 정소에서 분리한 일차 Leydig 세포에서 아데노 바이러스 매개에 의한 FOXA3의 과발현은Nur77 과 그 표적 유전자들, 예를 들어 Star 및 Hsd3β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테스토스테론 합성도 줄어들게 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틀어 볼 때, FOXA3는 Leydig 세포에서 스테로이드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정소에서 스테로이드 합성을 미세 조정할 것으로 기대된다.

      • 지역적이고 지속적인 환경동아리 특성 탐색

        김한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nd continuous environment club” with ‘e-아름다운 세상’, a environment club, which is conducting constant environment club activity, of S high school: an engineering specialized high school in the city of Paju, as a subject of the study. Data creation was accomplished with surveying on self-report such as Activity plan, Portfolios on the resource-circulation-leadership program, Individual opinions on activity, Pictures of 25 1~3 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the members of the club, on the overall club activities. The results based on data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nd continuous environment clubs” are : First, place-based education, with local community as the center, has been conducted via exploration of the ecosystem of local stream. The students understood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observing plants and animals inhabiting the stream and directly experiencing the nature. They realized the preciousness of the local ecosystem sharing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se activities to local-community members. This led to the attention and affection to the neighborhood and the nature of it, and this affection formed responsible attitude to preserve and protect the “My neighborhood” in which I live. Second, opportunities for practical research was provided. The students found realistic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local society that they are living in. The students discovered and set the realistic objectives to solve for the problems that actually matter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region they are living in. The students conducted student-led project education that shares the result with the members of community through operating the stand and conducting campaign in and out of the school. Throughout the activities, the students not only improved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their local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roblems, but also gained the function to solve those problems. And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onstant practice, built living attitude for the nature, and habitualized proactive action. Lastly, students gained responsibility to club activity learning culture of community through ‘Nature Study Community’ formed with common interest which is nature. Additionally, they became more active in the club activity via interaction with the members of the club, they experienced change and growth reinforcing and improving their own abilities. Consequently, meaningful changes and growth of individuals and the group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club activity.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local and continuous environment club activity enhanced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built eco-friendly attitude of the students, providing students with direct and continuous interaction utilizing the places of the students` neighborhood. And suggests that the club activity made students acquire the knowledge and functions they need to solve the problems, and made them practice in their every day life. And it also suggests that the communal learning and meaningful interaction had impact on the maintaining the long-term club activity with active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to the club activity. The finding implie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s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neighborhood and spontaneous student-led project learning are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environment club in many types and to manage environment clubs in proper ways, and lastly that interaction within the education community that enhance participation and maintain the activity is the crucial factor.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지속적인 환경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경기도 파주시 소재의 공업계 특성화 S고등학교 환경동아리 ‘e-아름다운 세상’을 연구 대상으로, “지역적이고 지속적인 환경동아리”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생성은 환경동아리 ‘e-아름다운 세상’의 동아리원인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25명이 작성한 동아리 활동 계획서, 자원순환 리더십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개별 활동 소감문, 사진 등과 동아리 활동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자기 보고서 형태로 작성한 설문지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적이고 지속적인 환경동아리”의 특징은 첫째, 동네 하천 생태탐사를 통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장소기반교육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하천에 서식하는 동식물들을 관찰하고, 자연을 직접 경험하면서 자연의 가치를 이해했다. 이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공유하며 지역 생태에 대한 소중함을 깨달았다. 이는 동네와 동네 생태에 대한 애정과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장소에 대한 애착은 내가 사는 동네인‘우리 고장’을 스스로 지키고 보호하겠다는 책임감 있는 태도를 형성하게 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실제적 탐구의 기회가 제공되었다. 학생들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실제 환경문제를 발견하였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사하고, 계획한 것을 생태지도와 교내외 캠페인 및 부스 운영 등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공유하는 학생 주도의 학습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지역사회의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과 이해 증진뿐만 아니라 환경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능을 습득하였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환경을 위한 태도를 함양하고, 실천을 생활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환경이라는 공동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형성된 환경학습공동체를 통해 공동체의 문화를 형성하며 동아리 활동에 책임감을 갖게 되었다. 동아리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동아리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능력을 강화하고 개발하며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였다. 결과적으로 공동체와 개인의 의미 있는 변화와 성장은 동아리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역적이고 지속적인 환경동아리”는 학생들의 거주 지역 내 장소를 이용해 자연과의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환경감수성 증진과 친환경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자연 속에서 스스로 실제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 해결을 수행하며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이를 일상생활에서 행동으로 실천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동아리 활동에 책임감을 갖고 참여하며, 장기적으로 지속하는 데에는 학습공동체 형태의 동아리 활동을 통한 공동체적 학습과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바람직한 환경동아리 운영과 다양한 형태의 환경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학생들의 거주 지역에 초점을 둔 장소기반 환경교육과 학생 주도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환경교육, 마지막으로 동아리 활동의 참여를 강화시키고, 활동을 지속하게 하는 학습공동체 내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 부족상황에서의 보유 효과 바이어스가 전투력에 미치는 영향

        김한슬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부족 상황 하에서 보유효과 바이어스가 부대 전투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공공재에 속하는 국방은 총 효용을 높이는 방향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예하부대의 자원 청구량을 충족시켜 자원을 분배하는 것은 총 효용을 극대화시키는 방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유효과와 같은 제한된 합리성 때문에 군 공급사슬 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전쟁과 같이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상급부대로부터의 주기적인 보급을 받지

      • 지하공간 복합개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 공모안의 통합환승몰을 중심으로

        김한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거대 도시화가 진행되며 도시의 고밀도 현상 및 한정된 지상 가용공간, 인구 집중화 등의 문제가 노출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하공간이 주목되며, 그 잠재적 활용 가치가 부각 되고 있다. 과거 도시기반 시설 및 터널과 지하철 등 특정 기능에 집중되어 주로 사용되었던 지하공간은, 최근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다양한 용도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수행되는 복합공간 형태로 개발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혼재된 복합적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하공간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수성은 지하공간의 복합개발 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지상공간과의 단절, 공간 위치의 절대 좌표 부족에 의한 방향성 상실, 조망 부족 등 지하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한계점은‘다양하고 이질적인 프로그램의 혼재’라는 복합개발의 특성과 만나 전체적인 공간 파악과 공간의 질서를 명확하게 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지하공간 복합개발 시 지상공간과의 연속성 부족은 위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다. 현대 도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지하공간을 주목하며 기대하는 점은 대안적 공간으로 지하 자체만을 개발하는 것이 아닌, 지하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 가치 활용을 통해 지하와·지상 위에 있는 도시 자원을 연계해 입체적 도시공간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지하공간 개발의 근본적인 목표이다. 따라서 현대의 도시계획에 있어 입체적인 도시 공간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하공간 복합개발의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입체적 도시공간 구축을 위한 지하공간 복합개발 시 연속성 형성을 주요 요인으로 바라보며, 이의 실현을 위한 전략으로 ‘지하공간의 공공성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하공간 복합개발 시 공공성 형성의 효과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공공적 성격을 띠고 있는 동시에 교통 네트워트 및 도시 공간구조와의 연속적 관계 형성에 대한 계획을 필수 시 하는 복합환승센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다. 지하 복합환승센터 모범 사례로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 공모안을 선정해, 기존의 종합적 평가가 아닌‘공공성 측면’에 집중해 공모안을 재평가한다. 이 과정을 통해 지하공간 복합개발 시 공공성 표현에 있어 효과적이며 우수한 표현 방식을 도출한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우수한 표현 방식을 바탕으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시 공공성 형성을 위한 계획 요소 및 전략을 정리한다. 본 연구는 종합적 측면에서 평가된 계획안을 ‘공공성 측면’에 집중해 재분석·재평가 함으로써 공공성 표현 방식을 집중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효율 적이며 우수한 공공성 계획 요소를 도출해 정리하는 과정에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저궤도(LEO) 소형위성의 De-tumbling 제어를 위한 자기토커 출력 추정 및 설계 최적화

        김한슬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소형위성의 De-tumbling 제어를 위해 위성 의 궤도를 묘사하고 IGRF 모델을 이용하여 궤도 위에서의 자기장을 구현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목표 안정화 조건을 충족하는 자기토커 의 쌍극자 모멘트를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쌍극자 모멘트 조건을 갖 는 자기토커의 설계를 최적화하였다. 최적화 방법으로 부피와 전력 소모의 정규화된 값의 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입력 변수로 전선의 지름, 입력 전류, 자기토커의 단면적 및 두께를 선정 하였다. 목표 안정화 조건 4~6시간 이내에 인공위성의 각속도 0.5 deg/s 이하로 가정하였을 때 쌍극자 모멘트 3Am^2일 때 시뮬레이션 에 사용된 인공위성의 자세가 안정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때의 설계 최적값으로 전선의 지름 150um, 입력 전류 67.2mA, 자기토커의 단 면적 900cm^2, 두께 1.001cm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감은 수 496회, 부 피 13.26cm^3, 전력 2.56W의 값을 얻었다. 이는 최대 부피 대비 90%, 최대 전력 대비 88.64% 적은 값으로 인공위성의 설계 시 내부 공간 과 전력에 대한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값에 대한 검증으로 모든 입력변수의 제한 조건 내의 모든 결과값에 대 해서 그래프로 나타냈으며, 그 결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결과값 이 설계 최적값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