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신문의 ‘자체 생산 기사’ 개념 정의 및 측정

        김춘식(Chunsik Kim),이강형(GangHeong Lee) 한국언론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7 No.3

        이 연구는 현행 신문법 시행령에 명시된 ‘자체적으로 생산된 기사’의 개념에 주목했다. 먼저, 문헌연구와 전문가인터뷰(언론학자, 인터넷신문 발행인, 기자)를 통해 저널리즘 이론의 관점에서 ‘자체 생산 기사’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지를 검토했다. 둘째, 인터넷신문 기자들의 정보원 의존도, 그리고 ‘자체 생산 기사’의 허용 범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설문조사 연구방법을 통해 살폈다. 셋째, 내용분석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하면서 보도자료 및 통신사기사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확인했다. 저자들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처널리즘’ 개념이 인터넷 공간에서의 뉴스 생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체 생산 기사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데 적절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고 판단했다. 둘째, 기자들은 통신사기사와 보도자료의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인용하여 기사를 작성하고 이를 자체 생산 기사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보도자료를 활용할 때 더 두드러졌다. 셋째, 인터넷신문 기자들은 독자적 취재를 통해 뉴스를 생산하는 데 힘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분석 결과 보도자료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인용하거나 혹은 전문을 인용하여 기사를 생산하는 경향이 강하게 발견됐다. 연구자들은 위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인터넷신문의 ‘자체 생산 기사’의 기준과 범위를 재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the ‘independently-produced news article’ which is specified in the current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etc. We scrutinized on how to define the “independently-produced news article” based on journalism theories and the interviews with relevant interested parties such as journalism scholars, online newspaper publishers, and journalists. We also surveyed the perception of online journalists in regards to their reliance on news source and the acceptable range of “independently-produced news article”. Finally, through content analysis of news contents, we identified the strategies of online journalists’ utilizing press releases and wire service copy when they produce their own news articl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churnalism” used in European journalism field can provide an appropriate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of “independently-produced news article.” The survey results also tell that the perception on the acceptable range of “independently-produced news article” can differ significantly among online journalists depending on their career experience and the organization they belong to. The content analysis also shows that online newspapers are not so much interested in producing their own news article; instead they tend to publish news articles by partially or entirely quoting press releases and wire service copy. This tendency, however, was relatively less shown in online version of the major press. Taken all together,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tandard and scope of “independently-produced news article” should be redefin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언론의 외신 인용 보도의 특징과 관행

        김춘식 ( Kim Chunsik ),채영길 ( Chae Younggil ),백강희 ( Baek Kanghui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국내 언론의 외신 인용 보도 현황을 분석하여 외신 인용 저널리즘의 특징과 관행이 어떠한지를 탐색했다. 먼저, 2013년 1월부터 2021년 4월까지 국내 언론의 외신 인용 보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언론은 정치·경제 강대국(미국, 일본, 중국)과 특정 권역 혹은 지역(서부유럽, 북한)에서 발생한 사건에 특히 주목한다. 둘째, 외신을 기사의 토대 정보를 보강하거나 설명하는 취재원으로 활용한다. 셋째, 주요 서방국가의 매체와 통신사 보도 내용을 단순 사실로 간주하여 보도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국가 간 관계를 다룰 때 주요 강대국 취재원의 관점에서 묘사하고 해석하여 사안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다루지 못한다. 다섯째, 동북아시아 관련 사안을 보도할 때 기존에 생산된 뉴스의 논조와 일관성을 보이는 외신 보도에만 선택적으로 주목한다. 인터뷰에 참가한 전문가들의 의견들은 내용분석 연구결과를 재차 확인시켜준다. 전문가들은 비서방국 사안에도 주목하고 그들의 매체를 인용하는 비중을 늘리는 등 서구 선진국 언론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언론이 서구 강대국 몇몇 언론이 만들어낸 기존의 이미지를 끊임 없이 재생산함으로써 수용자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더욱 강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외신 인용 저널리즘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려면 언론사(충분한 인적·물적 자원 투자), 언론인(전문성 구비), 뉴스 유통 업체(포털의 국제뉴스 배열), 시민(국제뉴스 리터러시 역량)의 공동 협조 및 참여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of South Korean newspapers and TV broadcasting news from January 2013 to April 2021 that quote foreign media cover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n news media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events that occur in political and economic powers (e.g.,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and specific regions (e.g., Western Europe and North Korea). Second, foreign media is used as sources to reinforce or explain the foundational information of articles. Third, South Korean news media tends to report the news coverage of media and news agency in major Western countries as simple facts. Fourth, when dealing with relations between countries, issues cannot be dealt with objectively and fairly when described and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ports from major powers. Fifth, when reporting issues related to Northeast Asia, South Korean news media selectively pays attention to foreign media repor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tone of the previously produced news.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reconfirm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and argue that the South Korean news media should reduce its dependence on the media from advanced Western countries by paying attention to non-Western issues and increasingly quoting their own media. Researchers point out that the South Korean news media could potentially strengthen the prejudices and stereotypes of specific nations or regions by constantly reproducing existing images created by several Western media. We also suggest that media (suffici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 investment), journalists (better understanding and solid knowledge of international news reporting), news aggregators (arrangement of international news on the portal), and citizens (news literacy on international agendas) should participate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 KCI등재

        유튜브 공간에서 ‘가짜뉴스의 뉴스화’: 〈고성산불〉 관련 정치적 의혹 제기와 청와대 반응 사례 연구

        김춘식(Chunsik Kim),홍주현(Juhyun Ho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유튜브 공간에서 가짜뉴스가 전통언론사에 의해 정규 뉴스로 보도되는 이른 바 ‘가짜뉴스\의 뉴스화’는 여론 형성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학문과 정책의 두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만 한다. 이 글은 편집자의 조정 및 통제, 그리고 개인의 정보생산 참여를 기준으로 유튜브 채널을 개인 유튜브 채널과 언론사 유튜브 채널로 구분한 후, 가짜뉴스의 확산과정에서 채널별 영향력이 어떠한지, 그리고 각 채널이 생산하고 확산시킨 메시지 내용의 자극 수준을 확인했다. 아울러 가짜뉴스의 확산 패턴 유형을 탐색하고, 유튜브 이용자들의 가짜뉴스 이용 정도(능동적 수용)도 분석했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인 유튜브 채널이 가짜뉴스 생산 및 확산의 주요 경로였다. 반면 언론사 유튜브 채널은 팩트 체크를 통한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대신 개인 유튜브 채널이 생산한 가짜뉴스를 뉴스로 보도하는 메신저 역할만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유튜브 상의 가짜뉴스가 정치적 성향이 유사한 동질적인 네트워크 내에서 확산되고 정치적 성향이 유사한 소비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소비되어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차원의 대응을 주문한다. Consider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fake news,’ which is propagated through social media like Youtube, on the formulation of the public opinion, its influence and pervasiveness must be dealt by the fields of academics and policies. This study will classify Youtube channels according to the arbitration and regulation of the editor,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individual in informational production. After the classification, the study reveals which classification is more susceptible to the propagation of ‘fake news,’ and examines how provocative the message these channels deliver. Along with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propagation pattern of ‘fake news’ and analyzes the usage degree of ‘fake news’ among the Youtube subscribers. Network analysis has shown that private Youtube channels served as a main channel for the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fake news. However, Youtube channels of the legacy media served as messengers of these private Youtube channels to the public, showing lack of deliberations in fact checks. “Fake news” were further propagated by Youtube channels with similar beliefs and directions, and Youtube channel users actively reacted to these ‘fake news’ by pressing “Like” buttons. Researchers point out that ‘fake news’ are spreading among homogeneous network with similar political orientation and being repetitively consumed by consumers with that political belief. This may intensify political polarization, therefore a policy-level response must be formulated for preven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동향과 쟁점 및 미래의 연구방향

        김춘식(Chunsik Kim),양승찬(Seungchan Yang),이강형(Gangheong Lee),황용석(Yong-Suk Hwang)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1

        이 논문은 1960년부터 2004년까지의 정치커뮤니케이션 관련 논문을 분석했다. 언론관련 학회나 유관기관에서 발간하는 전국 규모 전문학술지 가운데 12종의 학술 진흥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분석했다. 멕네어가 제시한 정치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토대로 하여 연구논문을 1) 정치조직을 중심으로 한 문제(정부와 언론의 관계, 수사학), 2)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문제(선거캠페인과 미디어, 비선거캠페인과 미디어), 3) 수용자를 중심으로 한 문제(정치 참여) 등 세 가지 영역의 다섯 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연구 흐름은 정치적ㆍ법적ㆍ제도적ㆍ환경의 변화 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주의정권 시절(1960년대~1980년대)에는 언론과 국가 간의 현실적 관계에 관한 논의가 대부분이었으며, 1987년 이후에는 정치민주화와 더불어 매스미디어가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특히 1990년대 들어서는 텔레비전 토론과 정치광고는 물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인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매개되는 새로운 형태의 선거캠페인 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들이 급속히 증가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research articles of political communication published in the major Korean journals during the period of 1960 to 2004. Analyzed are 222 articles judged appropriate in those journals, includ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issued since 1960, in the area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which are endors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ose articles were coded in the analytical frame of five subjects in three elements in the process by which political action is conceived and realized, which is suggested by McNair(2003): (1) political organizations (press-government relationship and political rhetoric), (2) media (campaigns and non-campaigns related), and (3) citizens(political participation). As results, we found that the trends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were responsive to the changes in political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political institutions. For example, there was an increasing number of the articles dealing with the press-government relationship in the period of authoritarian military regimes(1960s~1980s). After the so-called Democratization in 1987, there was relatively much more empirical research exploring the effects of mass media on the process of public opinion. Especially, very fast increased was since 1990s the empirical research to test the effects of the new types of election campaign such as political advertisements, televised candidate debates, and interne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민주화 이후 대통령선거 보도 관행과 방송의 민주주의 기능의 퇴행

        김춘식(Chunsik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3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치러진 대통령선거 국면에서 특정 정치세력이 경쟁 관계에 있는 정당이나 대통령후보를 대상으로 의혹을 제기하거나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사안을 폭로했을 때 방송이 이를 뉴스로 처리하면서 어떠한 묘사 방식을 동원했는가를 확인했다. 열 개의 정치적 쟁점을 선정해 방송의 보도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발견됐다. 첫째, 앵커가 뉴스의 주제를 말하고 현장에 있는 기자가 세부내용을 전하는 형식(앵커+기자 현장중계)을 채택하는 게 하나의 관행으로 굳어졌다. 둘째, 제목에 인용부호가 등장한 뉴스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증가했다. 1992년 선거에서는 2.4%에 불과했지만 2007년에는 57.7%로 절반을 넘어섰고 가장 최근에 치러진 대통령선거에서는 무려 81.3%에 달했다. 셋째, 기사에 가장 흔하게 등장한 취재원은 의혹을 제기하거나 폭로한 이들, 이러한 의혹이나 폭로의 목표 대상이 된 정당의 후보자나 관계자였다. 그리고 의혹 제기와 폭로가 고소 · 고발로 이어지기 때문인지 검찰 또한 자주 등장하는 취재원이었다. 넷째, 취재원의 발언을 전하면서 방송이 가장 흔하게 사용한 술어는 ‘단순사실 전달형’이었고 ‘주장 · 강조’, 그리고 ‘촉구 · 경고’의 순이었다. 내용분석 결과를 해석해보면 민주화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방송은 ‘감시자’ 가 아닌 ‘전달자’ 혹은 ‘증폭기’로 변모한 것으로 평가된다. 영향력이 큰 방송이 전달자 역할에 그치게 되면 정치 엘리트의 관점이 뉴스를 지배하게 되어 그들의 권력을 더 공고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변화라 말할 수 없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방송이 저널리즘의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좋은 뉴스 생산이 필수적이므로 현재의 출입처 관행과 기계적 균형성을 객관성으로 간주하는 관행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plored not only how three major televisions have changed their presidential election coverage after democratization in Korea, but also what implications the changes have related to the democratic functions of the broadcast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chose ten political issues raised by political parties to build a more advantageous position for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presidential campaigns, and analyzed how KBS, MBC and SBS reported news regarding those ten issues. A content analysis of 1,723 articles revealed that the anchor introduced the core theme of and journalist reports the body of stories was the predominent format in the prime time news program from 1997. Secondly, the use of direct quotations in headline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2.4% in 1992 to 81.1% in 2012. Thirdly, most dominant source quoted in the news was a politician or a spokesman of the party, and the percent of partisan sources were increasing over time. Finally, I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 quotations were ended with subjective or objective verb. It has been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news stories delivered simply a source’s accounts without any subjective verb.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urveillance function of TV news programs declined, and lastly main role of the broadcasting was transformed into a messenger or an amplifier for the political party. Ideally, the broadcasting suitable for the democracy ought to act as a agent of citizens and contribute to informed citizenship by providing its readers with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the important issues of the day. In this context, this study urges that the professional political journalism in practice such as balanced coverage citing both sides of conflicting arguments in headlines should b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