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월호 참사 보도에 등장한 SNS 취재원 분석

        金珍玉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세월호 참사 보도에 등장한 SNS 취재원 분석: ­조선일보, 한겨레, 중앙일보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 비교 ­ 소셜미디어의 장점은 전통적인 미디어에 비해 확산 속도가 빠르고, 확산의 범위에 제한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저널리즘의 환경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빠르게 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언론사들이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세월호 참사 보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 방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유력 언론사인 <조선일보>, <한겨레>, <중앙일보>를 선정하여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우선 크게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기사유형, 소셜미디어 유형, 지배적 내용, SNS 인용문 형태, SNS취재원의 정보 사실여부, SNS취재원 유형’을 분석하여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각 신문사별로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으로 구분하여 위와 같이 6가지 조작적 정의를 통해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 간에 수치상의 차이는 있었으나, 괄목할만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 간 차이보다는 오히려 신문사별로 비슷한 양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SNS취재원이 인용된 기사는 경성뉴스의 소재로 쓰이기보다는 사람들의 이목을 끌거나 감성을 자극하는 내용에 주로 쓰였다는 것이다. 방금 언급했듯이 세월호 관련 보도 중 SNS취재원이 가장 많이 등장한 내용은 사고과정이었고, 반면 분석과 조사를 통해 깊이 있게 다뤄져야하는 원인·진단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조선 후기 '中庶' 용어와 中人의 庶孼 인식

        김진옥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조선시대 신분 구조 속에서 ‘中庶’라고 불리었던 中人과 庶孼에 대해 주목하였다. 4신분제 안에서 中人層에 속해 있던 중인과 서얼은 각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중서’라는 이름으로 동일시되어 불려왔다. 이 때문에 기존 연구에서는 중인과 서얼이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둘 사이의 내적인 균열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중서 용어의 등장과 변화에 대해 용례를 분석하고, 19세기 중인통청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중인의 서얼 인식을 살펴보았다. 중인과 서얼을 합칭한 ‘중서’는 조선시대 官·私撰 자료에 등장한다. 중서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한 17세기에는 戰亂으로 군사력 강화와 군역제 정비가 시급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良役變通이 논의되어 정책상 중인과 서얼을 동일한 범주에 포함시키면서 중서 용어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즉, 중서는 사회적 신분개념으로서 등장한 것이 아니라 국가 통치의 일환으로 등장한 용어였다. 그러나 18세기 말 무렵 기록에는 중서에서 중인과 서얼의 의미가 분리되는 양상이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갑자기 나타난 것이라기보다 이전부터 서서히 이루어진 결과였다. 중서는 양역 대상으로 많이 언급되어 왔는데, 이 문제는 영조 26년(1750)에 均役法이 제정·시행되면서 일단락되었다. 관직의 경우는 서얼이 순차적으로 許通하게 되면서 중인과 서얼이 진출할 수 있는 관직의 범위가 달라지고 있었다. 이렇게 18세기 중반부터 서서히 중서의 의미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고, 결국 19세기 이후 중서 용어가 기록상에서 사라져갔다. 19세기에는 중서 내부에서의 균열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데, 중인의 입장에서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1851년의 중인통청운동이다. 『象院科榜』은 중인통청운동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며, 중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상원과방』을 면밀히 분석해보면, 통청운동 과정에서 중인들은 서얼을 자신들과는 다른 부류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중인의 서얼 인식은 세 가지 측면에서 드러난다. 첫 번째는 통청 요구의 비교 대상으로서의 서얼이다. 중인들이 비교 대상으로 삼은 것은 양반이 아니라 서얼이었고, 이들이 반드시 양반이 되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두 번째는 사회적 위상의 비교 대상으로서의 서얼이다. 중인은 최소한 서얼이 허락된 관직에 자신들도 허통되려면 서얼과 동등하거나 더 나은 위상을 갖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은 모방의 대상으로서의 서얼이다. 중인들은 서얼의 독특한 上疏 전달 사례와 매우 비슷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상소를 전달하려 하는 등 서얼을 모방하였다. 이는 현실에서의 위상이 서얼보다 아래에 있었던 중인들의 열등감이 표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Chungin and Seoeol, who were called 'Chung-seo‘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Chungin and Seoeol, who belonged to the Middle class(中人層) in the four-hierarchy system, were called by the same name 'Chung-seo,’ even if they had separate identities. Consequently, previous studies failed to properly investigate the way Chungin and Seoeol recognized one another and the internal t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With such conside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n the appearance and changes of the term 'Chung-seo' and the recognition on Seoeol by Chungin that was found in the process of Chungin Tongchung Movement(中人通淸運動) in the 19th century. 'Chung-seo', a term collectively referring to Chungin and Seoeol, appears in governmental and private compilation material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where the concept of Chung-seo first appeared, reinforcement of military force and maintenance of military service system was in urgent need due to war. In such situation, 'Yangyeok byeontong(良役變通)' was under discussion, creating the term 'Chung-seo' by including Chungin and Seoeol in the same category in terms of policy. Viz, Chung-seo was a term that appeared as a part of national governance, not as a concept of social status. However, in records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 meaning of Chungin and Seoeol seems to separate in discussion of Chung-seo. Such phenomena was not sudden, but was a result that apperared gradually from the past. Chung-seo had often been discussed as the subject of 'Yangyeok(良役),' and this matter was concluded by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Gyunyeokbeop(均役法)' in the 26th year of King Yeongjo(1750). In terms of government post, Seoeol began to succeed, changing the range of government posts that Chungin and Seoeol could take. As such, the meaning of the term Chung-seo began to change gradually from the mid-18th century. Ultimately, the term Chung-seo disappeared from record after the 19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tension within Chung-seo appears on the surface. Chungin Tongchung Movement in 1851 shows this tension well from the side of Chungin. 『Sangwon-kwabang(象院科榜)』 is the only data which explains the process of Chungin Tongchung Movement and directly presents the voice of Chungin. The analysis of 『Sangwon-kwabang』 confirms that, in the process of the Tongchung Movement, Chungin have been recognizing Seoeol as different groups from themselves. The recognition of Chungin on Seoeol is threefold. First is Seoeol as a subject of comparison in terms of goal of the Tongchung. The subject of comparison by Chungin were Seoeol, not Yangban, and they did not necessarily seek to become Yangban. Next is Seoeol as a subject of comparison in terms of social status. Chungin had a need to prove that they have equivalent or better status than Seo-ol if they wanted to succeed in the public offices where Seoeol were allowed to hold. Last is Seoeol as a subject of imitation. Chungin imitated Seoeol, as can be seen in their attempts to deliver their appeals in the very similar method of the unique appealing method of Seoeol. This demonstrates the inferiority of Chungin, whose status were below that of Seoeol in reality.

      • 북송 당인 묘지명 연구

        김진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北宋 黨人 墓誌銘 硏究 全北大学校 敎育硏究生院 中語中文專業 金镇玉 从中国古代文学来考察,北宋时期的诗、词、文、赋等都有了前所未有的成就,该墓志铭也不例外. 到目前为止有关宋代文学特别是对诗、词的研究成果是五花八门,令人瞩目的.而宋代墓志铭研究成果倒相反绝无仅有。因而本论文要根据北宋政治特征、士人心态来研究宋代墓志铭的形成、发展、其特征. 北宋的政治特点以积弱积贫、党争频繁为主要特点。这频繁的北宋党争大致可以分为两大党争,一是在仁宗朝庆历年间发生的庆历党争,二是经历神宗(熙宁,元丰)、哲宗(元祐,绍圣)、徽宗(崇宁)三朝发生的新旧党争。庆历党争由范仲淹庆历新政改革引发,新旧党争由王安石变法改革引发。特别是由王安石变法改革在政治上、文学上引起的影响更大。宋代士大夫是因为政治家、学术家、文学家于一身,互相渗透,互相影响,所以这三个身份不能分离。自从范仲淹以后,北宋的著名文人几乎无一例外地被卷入党争漩涡。政治风波决定了他们的命运,也深深地影响了他们的文学创作。在这里说的他们就是范仲淹、欧阳修、王安石、司马光、苏轼、曾巩等很多著名的文学家。因此这些党人死后被撰写的墓志铭里有党争的内容是理所当然的。 北宋的墓志铭因文体上的改革由过去简略的叙事方式变成具体的、详细的叙事方式,再加上收到中唐韩愈的影响以叙事为主的墓志铭变为以叙事议论为主的墓志铭。韩愈主要用史传笔法和古文笔法来进行墓志铭创作,熟练运用记叙、抒情、议论等多种表现手法来表现墓主生前的生活和德行。这样就使得原本枯燥的墓志铭变得史传文学一样具有可读性。换句话说,之前歌功颂德的墓志铭经过韩愈等人的贡献慢慢变成了抒发情感表现人物的具有可读性的史传文学。欧阳修、王安石等除了北宋的文坛代表人物以外很多文人学习韩愈的笔法,因此北宋的党人墓志铭具有上述的文体性格。 按照北宋党争时期把北宋党人墓志铭的题材可分为五个。在庆历党争时期党人墓志铭的题材是郭皇后废位事件、赵元昊叛乱、侬智高叛乱、庆历年间范仲淹改革方案。而在新旧党争时期只有一个题材,那就是王安石变法改革。北宋时期党人墓志铭的撰者用上述的记叙、抒情、议论等多种表现手法来表现由这些题材引起的墓主言事和行绩。 北宋党争时期,党人墓志铭的撰者心里都有着实录与避祸的矛盾。随着党争性格从证见之争到意气之争之变,这撰者心里的矛盾越来越大了。撰者在撰写墓志铭时在找实录和避祸的均衡点上下苦功夫。撰者保持着均衡为了要避党争的祸和弹核运用了撰写技巧。撰写技巧是指写墓志铭时运用的代替法、曲笔、他行状援用等。撰写者为了要避祸运用这些技巧以外,他们又制造出各种形式的墓志铭变体,比如省略志文的、削除官职․功绩的、凸显特定事件的、避讳省略撰者的、省略和墓主的关系的,这些变体慢慢形成了北宋墓志铭特征。 北宋党人墓志铭是在政治学上、历史学上、文学上很有价值的史料。可是研究阶段是不外萌芽期水准,令人遗憾。这三个学界的专门家一定要把北宋党人墓志铭积极努力地研究下去,应该要提高研究成果。

      •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이 만 1,2세반 영아-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옥 배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이 만 1,2세반의 영아-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이 만 1,2세반의 영아-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을 실행하기 위해서 관련 문헌고찰 및 예비연구를 통해 활동의 목표와 내용, 전래놀이의 종류와 그에 따른 교수·학습방법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는 교사에게 본 연구에 대한 목표를 인식시키고 전래놀이 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여 놀이의 활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사교육을 실시하였다.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의 적용기간은 2017년 7월 31일부터 2017년 9월 23일까지 8주 동안 16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1,2세반 중 실험집단 2개반 영아 11명과 담임교사 2인, 통제집단 2개반 영아 11명과 담임교사 2인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은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을 주2회 각 20분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자유놀이를 실시하였다.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이 만 1,2세반의 영아-교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imetz(1992)의 ‘교사용 애착 Q-set’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의 집단별 상관계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영아-교사의 애착 안정성에 대한 사후검사의 집단 간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4.490, p<.05). 즉,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이 실시된 실험집단의 영아들은 통제집단의 영아들 보다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 점수가 더 높았다. 결과적으로 전래놀이를 통한 접촉활동은 만 1,2세반의 영아와 교사의 애착형성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육현장에서 영아와 애착형성에서 어려움을 격고 있는 보육교사들에게 영아와의 애착을 형성하는 과정의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on attachment formation of infant-teacher in an one and two-year class. Study problem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mposition of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on attachment formation of infant-teacher in an one and two-year class? To carry out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purpose and contents of the activity, kinds of traditional plays, and the resul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selec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pilot studies. Next, to improve the skills to use plays, teacher training was conducted by arousing teacher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raising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lays. The application period of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was from July, 31, 2017 to September, 23, 2017, and 16 times were conducted for 8 weeks. Study objects are 11 infants and two class teachers of two experimental groups, and 11 infants and two class teachers of two control groups of one and two-year classes of a daycare center in Daejeon. For the experimental groups, 20 minutes of contact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play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and for the control groups, free plays based on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on infant-teacher in an one and two-year class, 'Attachment Q-set for Teachers' of Nimetz(1992) was used as a measuring tool. For collected data,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a correlation coefficient by groups of prior and post scor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by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and covariance analysis(ANCOVA)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showed that an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a post test of attachment stability of infant-teache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F=4.490, P<.05). That is, attachment stability score toward teacher of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is higher than that of infants in the control groups. In conclusion, contact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affects attachment formation between infant and teacher in an one and two-year class. Therefore, this study helps nursing teachers having a difficult time of attachment formation with infants in real childcare as basic data of the process to form attachment with infants.

      • 고전소설 영역본 내 문화고유어의 번역사례와 분석

        김진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nslating is a work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about the culture of people who have unique tradition, custom, characteristics and so on, through the language of the literature text.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translate the classical literature more than modern literature because it helps to understand other unique culture and national spirit well. Above all, translated texts of classical novels in Korea is excepted from translated text external, which is only on target readers, because of regarding all of readers-source culture's reader influenced by educational or environmental elements, target culture's reader and the readers of both ones. In this points, translated texts into English of Korea's classical novel are only chosen optionally in accordance with readers. The first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ultural-specific terms and categorize the terms on the translated text into English of Korea classical novels in Korea. The second is to analyze, through the example of translation of the cultural-specific terms on the translated texts of classical novel in Korea, about how to translate the terms and how to control about information of the terms. Thus it is to seek that translation of the cultural-specific terms is in focus on which culture, whether it is intended or not into one special culture. Final aim is to seek which translation strategies, among the Venuti's translation strategies and Schleiermacher's alienation, adapt to the translation of cultural-specific terms. There are a theories to understand this study, they are five translation supermemes and the 8 evolution of translation memes. other theories applied for this study are Venuti's translation strategies- foreignization, domestication and Schleiermacher's alienation. By analyzing the example of cultural-specific terms' translation on translated texts of classical novel in Korea, it could be found that there are 6 kinds of categorizations about cultural-specific terms, each categorization's terms translated primarily free, word-for-word and transliteration.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ome ways to translate cultural-specific terms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is is very limited study on translation of cultural-specific terms on the translated texts of classical novels in Korea but it has value that the texts are analysed as a communication with information and culture of source culture. And clearly,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to illuminate the way of translation related to cultural-specific terms on the translated text into English of the classical novel in Korea.

      • 『장자』메타포의 교육적 재해석

        김진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간은 교육이라는 삶의 필연적 과정을 통하여 인간다운 지위를 확보하는 교육적 존재이다. 그런데 현전의 교육학은 교육을 학교라는 제한된 공간 안의 교사와 학생의 활동으로 한정하고, 여기에 타학문을 응용하여 교육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러한 굴절된 교육학적 흐름에서 교육을 인류 보편적 현상으로 재개념화 하고 독자적인 교육학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학풍이 교육본위론이다. 이 논문은 교육본위론의 담론 중의 하나인 교육의 재개념화에 입각하여 동양 심리 교육서 중 고전의 하나로 간주되는『장자』를 재해석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며, 양자간의 접합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장자(莊子)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道ㆍ자연관ㆍ인간관ㆍ인식론을 개관하였다. 우선 道는 우주만물의 근원인 본체론적인 도와 우리가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마음의 상태인 경지론적인 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장자의 도는 후자에 더 가깝다. 또한 장자에 의하면 자연은 누구의 주재함이 없이 스스로 변화하는 자연이연(自然而然)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인간을 고정된 자의식, 즉 성심(成心)을 가진 존재로 보고 이를 극복하여 도의 경지에 이르러야 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그의 인식론의 핵심은 우주만물을 서로 분별하고 구분하는 시시비비(是是非非)에서 벗어나 하나의 세계로 통찰하는 것이다. 『장자』의 메타포들을 교육적으로 재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은 어디에도 예속되지 않은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이상향을 의미한다. 이것은 장자가 전해 주는 원대한 꿈의 세계로, 작은 앎(小知)에서 벗어난 큰 앎(大知)의 자유로운 세계이다. 여기에 도달한 사람을 지인(至人)이라고 하는데, 지인은 각자가 처한 현실에서 벗어나 도의 경지에 이르는 사람을 말한다. 그러나 이를 곧 교육학이 추구하는 교육적 사회, 즉 교육공동체나 교육적 인간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장자』의 정와(井蛙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메타포로써 인간이 현실 세계에만 몰두하는 고정적 시각에서 벗어나, 새롭고 진정한 세계로의 비약과 변혁을 일구어 가야한다는 점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함의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무용지대용(無用之大用)의 함축적 의미를 교육적 가치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현전의 교육학은 학업성취라는 관점으로 인간의 가치를 판단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그러나 장자는 도와 상통하는 본원적 관점에서 사물을 보면 모두가 가치 있는 존재라고 인식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인간을 보면 오히려 쓸모없을 것 같은 사람도 보다 더 큰 쓸모(大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장자의 경지의 도를 교육소재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목 외에도 교육의 소재는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자생자화(自生自化)를 교육활동으로 거론하면서 무위자연을 하화(下化), 그리고 자생자화를 상구(上求)의 메타포로 파악하여 양자의 관계성을 논의하였다. 무위자연은 가르침에 있어 인위적인 것을 배제하고 인간의 본성을 비추어 준다는 의미에서 하화의 원리라고 말할 수 있고, 자생자화는 배움에 있어 스스로 나를 격상시키는 변화로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상구의 원리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장자 사상의 도추(道樞)를 하화의 방법으로, 좌망(坐忘), 심재(心齋)를 상구의 방법과 결부시켜 탐색해 보았다. 도추는 도의 관점으로 존재하는 만물을 그대로 비춰준다는 의미에서 하화의 방법으로, 그리고 좌망과 심재는 자아를 해체하는 수양공부로서 상구의 방법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이어서『장자』의 우언(寓言)ㆍ 중언(重言)ㆍ 치언(&#24053;言)은 체도의 과정에서 직접적 가르침을 대신하여 우화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하화의 방편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985168;도는 걸어가면서 이루어진다&#985169;는 도행지이성(道行之而成)은 상구활동으로 탐구하였다. 도는 관념을 통해서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적 활동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의미로 상구활동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본위론적 관점에서 장자의 사상을 재해석해 보는 것이었다. 이상의 논의에서 보았듯이 장자 안에서 새로운 교육관 확립에 도움이 되는 많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장자 사상이 방대하고 심원한 까닭에 최소한의 논의를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이 방면에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 장자 사상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천착이 이루어져 새로운 교육관 확립에 공헌해야 한다고 본다.

      • 헤도닉가격접근법을 이용한 도시녹지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추정 : 전주시 아파트 단지를 사례로

        김진옥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green space services provided by urban green space by applying hedonic price method based on the case of apartments in Jeonju city. As the type of urban green space, this research selected total 4 types of urban green space including the green space within apartment complex, besides mountain· forest, river· stream· lake, and city park for analysis. This research intended to measure unlimited convenience that apartment residents enjoy out of urban green service inside· outside apartment complex, without stopping at measurement of marginal value through the estimation of hedonic price function for the first time in urban green service field. In the process,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illuminated and analyzed the establishment of sample material, measurement of green service variable, selection of function form, verification of spatial dependency, and the matter of determination of demand curve, which had been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es. This research selected apartment complexes in Jeonju city sized over 300 houses as the analysis target, and established 2 sample data utilizing the survey data besides 2015 apartment real transaction price. Sample data of real transaction price utilized in analysis was based on 7,923 houses from 170 complexes, and the survey samples were 322 houses from 80 complexes. To presume hedonic price function, this research utilized distance, extent, attraction index, and view, etc. as the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level of service of each urban green space. Before assumption of hedonic price function, as the result of comparing basic statistics value by dividing the two samples into two administrative areas, Deokjin-gu and Wansan-gu, a difference appeared in house market of the two administrative areas. Therefore, in respect of assumption of hedonic price function, real transaction price sample was departmentalized into two administrative areas, and the whole sample of Jeonju city was utilized for survey sampl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ssumption of hedonic price function, double-log function appeared proper for real transaction price sample in case of priority function form, while semi-log function for survey sample. As the result of analyzing spatial model due to existence of spatial dependency in both samples,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SAR) appeared proper. When investigating the presumption result of variables, both of two samples coincided with the advanced research in respect of exclusive use space, physical characteristic of house such as level, characteristic of complex such as ground· underground parking lot,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 such as whether of existence of general hospital, etc. Both of two samples displayed affirmative (+) influence of the extent compared to distance between green area within the complex and city park on the apartment price. Also, in the survey sample, distance from the river· stream· lake negatively (-) influenced apartment price, while the view of river· stream· lake affirmatively (+) influenced apartment price. This research presumed convenience by assuming marginal willingness to pay function based on the subordinate value after deriving implicit price using green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apartment price statistically.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nvenience of each city green type using coefficient estimation of presumed payment intention function, in case of real transaction price sample, annual convenience per house on green service within the complex appeared 41,681won, while in case of survey sample, 72,623won. Annual convenience per house on the service provided by city park around the complex displayed 233,034won ~ 386,529won, in case of real transaction price sample, while survey sample 122,6904won ~ 240,029won, accordingly, convenience assumption result value appeared similar in the two samples. In respect of river· stream· lake, which significantly appeared statistically only in survey sample, annual convenience per house appeared 103,371won in case of view, and 111,972won in case of acce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