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어와 유연성 운동이 사무직 근로자의 기능적 움직임과 동적 균형 능력 검사, 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주은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e exercise and flexibility exercise on functional movement, dynamic balance ability and pain through the effect of core exercise group and core and flexibility exercise group on FMS, YBT and SF-MPQ scores for 8 weeks three times a week for office workers, and to examine whether the increase in core and flexibility can provide effective exercise programs to office workers with reduced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due to musculoskeletal dysfun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6 office workers in their 30s working in N group, consisting of 8 core exercise groups and 8 core and flexible exercise groups. Based on FITT-VP (Frequency Intensity Time Type-Volume Progression) of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9), weight was used without loa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nges in FMS, YBT and SF-MPQ were as follows. 1. Core and core and flexibility exercise increased FMS score after exercise than before exercise, and functional movement increased. 2. Core and core and flexibility exercise increased the YBT score after exercise than before exercise, thereby increasing the dynamic balance ability. 3. Core and flexibility exercise decreased SF-MPQ score than core exercise, which gave pain re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주 3회, 8주 동안 코어 운동 집단과 코어와 유연성 운동 집단이 FMS, YBT와 SF-MPQ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코어 운동과 유연성 운동이 기능적 움직임과 동적 균형 능력 및 통증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코어와 유연성의 증가가 근골격계 기능 부전으로 인해 신체적 수행 능력이 감소된 사무직 근로자들에게 효율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N 그룹에 근무하는 30대 사무직 근로자 16명을 대상으로 코어 운동 집단 8명과 코어와 유연성 운동 집단 8명으로 구성하여 시행했으며,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9)의 FITT-VP (Frequency Intensity Time Type-Volume Progression)를 토대로 부하 없이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하였고 사전, 사후에 FMS와 YBT 그리고 SF-MPQ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코어 운동과 코어와 유연성 운동 모두 운동 전보다 운동 후 FMS 점수를 증가하여 기능적 움직임이 증가되었다. 2. 코어 운동과 코어와 유연성 운동 모두 운동 전보다 운동 후 YBT 점수를 증가하여 동적 균형 능력이 증가되었다. 3. 코어와 유연성 운동은 코어 운동만 했을 때보다 SF-MPQ 점수를 감소시켜 통증 감소에 영항을 주었다.

      • 보건소 영양사업 실무자 역량모델 개발

        김주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양관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보건소 영양사업 실무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향후 교육훈련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건소 영양사업을 수행하는 실무자의 역량을 도출하고, 도출된 역량이 타당화 검증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직무분석을 통한 기초 자료수집과 우수성과자에 대한 행동사건면접(BEI))을 통해 주요 자료를 수집하였다. 보건소 영양사업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새로운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직무분석 자료에 기반하여 행동사건면접을 실행하고 분석하였다. 타당성 검증으로 2차례에 걸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1차 전문가검토는 식품영양학, 보건학 전문가그룹, 2차 전문가검토는 교육공학 전문가그룹을 통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공통역량에 3개 역량, 9개 행동지표, 직무역량에 5개 역량, 14개 행동지표로, 총 8개 역량, 23개 행동지표가 도출되었다. 공통역량은 연계자원과의 협력, 협력적 팀워크, 영양학적 전문가 자세로 나타났다. 직무역량은 정부수집활용, 지역사회 영양 요구도 진단, 실천중심 영양중재 프로그램 설계역량, 영양자료 개발 역량, 고객 중심의 영양지도 실행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을 가진 특정 업무에서 도출되는 직무역량은 공통 직급에서 도출되는 역량과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또한, 타당화의 단계에서는 교육공학 전문가와 내용학 전문가의 주요 검토영역이 구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로 제시된 직무역량은 지역사회 영양·식생활 문제 개선을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역할로 영양분야의 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이나 식품영양학 분야의 고등교육과정 커리큘럼 개발 확대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우수성과자 선정과정에서 우수보건소 내 성과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추후 이를 보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공통역량으로 도출된 ‘연계자원과의 협력’, ‘협력적 팀워크’와 직무역량으로 제시된 ‘정보수집활용’은 보건소 타 사업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 자아탐색을 주제로 한 도자 조형 연구 : 발과 쥐꼬리 선인장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주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아는 인간 스스로 느끼는 존재에 대한 인식을 의미한다. 인간이 자신에게 물음을 던지는 것은 본인의 존재를 의식한다는 것을 증거한다. 인간은 나 자신과 타인의 구분을 시작으로 외부세계와 내면세계를 분리하고 타자와 다른 독립적인 ‘나’를 발달시킨다. 동시에 획일화된 사회 분위기는 외부와 내면 사이에서의 균형을 잃어가게 만들고 나아가 자아 상실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자아를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개인의 욕망을 탐색하고, 성장하는 움직임의 과정을 조형적 언어를 통하여 보여준다. 현실과 닿아있는 발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자아 탐구 과정에서 발견한 성장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낸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자아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자아의식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성장의 필연성을 확인한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신체감각을 통한 자아 탐구의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의식과 신체의 연결성을 제안한다. 앞선 이론적 배경에 대한 작품 사례 연구를 통하여 예술사의 흐름 속, 자화상에서 드러나는 욕망에 대한 조형적 표현 방법과 신체를 활용한 조형적 표현 방식을 알아본다. 자아 탐색과 신체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나를 찾고자 하는 욕망과 성장에 대한 이야기를 본 연구자의 관점을 통하여 조형 언어로 제시한다. 작품 제작 및 해설에서는 작품 계획, 작품 제작 과정, 작품 해설의 순서대로 서술한다. 작품 계획에 입각한 제작 과정에서는 자아 인식과 신체 감각에서 비롯된 형태 도출을 설명하고, 소지와 안료의 사용을 설명한다. 작품 해설에서는 전반적인 연구 과정의 의의와 조형적 특징에 대해 서술한다. 이를 통하여 자아탐구의 과정이 조형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정신과 신체의 연결성을 부여하여 조형적 요소를 도출하고, 구체적인 신체와 추상적인 형상을 결합하는 조형물을 통하여 자아와 신체의 관계성을 시각화하는 다양한 방법론의 제시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notion of "self" pertains to an individual's cognitive perception of their own existence. The act of self-questioning serves as substantiation of self-consciousness. Human beings initiate their self-awareness journey b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others, thereby establishing a dichotomy between the external and internal realms, ultimately giving rise to the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and distinct "self". Simultaneously, the prevailing homogeneity within the social milieu disrupts the equilibrium between the external and internal realms, thereby resulting in a loss of balance and eventual erosion of selfhood. This research embarks upon an exploration that commence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self, delves into the investigation of individual desires, and exemplifies the trajectory of personal growth through the expressive medium of sculptural language. By scrutinizing observable movements grounded in reality and unveiling the desires for personal growth uncovered through the process of self-inquiry, this research seeks to shed light on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selfhood and artistic manifestations. The theoretical framework encompasse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self, rekindling the significance of self-consciousness through a general contemplation of selfhood, and affirming the inevitability of personal growth. Additionally, by contemplating the human body in a comprehensive sense, this study posits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self-inquiry via bodily sensations, thereby proposing a symbiotic connec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corporeal experiences. Through a meticulous analysis of relevant artwork cases within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art, this study delves into the sculptural expressions depicting desires manifesting in self-portraits, while exploring the utilization of the body as a potent means of sculptural representation. Informed by theoretical deliberations on self-exploration and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body, the researcher presents a narrative elucidating the desires and growth through their distinctive perspective, employing the idiomatic language of sculptural expression. The execution and explication of the artworks are expounded upon, delineating the project blueprint, the chronological account of the artistic process, and the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artworks. Rooted in the project blueprint, the artistic process expounds upon the derivation of forms emanating from self-perception and bodily sensations, accompanied by a comprehensive elucidation of the materials and pigments employed. The artwork interpretation elucidates the overarching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trajectory and accentuates the sculptural idiosyncrasies inherent in the artworks.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 research demonstrates the potentiality of harnessing the process of self-inquiry within a sculptural context. Moreover, by forging a symbiotic connection between the mind and body, and synergistically amalgamating tangible corporeal facets with abstract configurations within the sculptural compositions, this study proffers a repertoire of diverse methodological frameworks, engendering the visualization of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selfhood and corporeal manifestations, thus culminating in profound insights.

      • 고소설 애정 모티프의 구현 양상과 의미

        김주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고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의 시대별․유형별 변화 양상을 살피고, 시대에 따른 변화의 원인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고소설에 나타난 남녀의 결연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전기소설에는 현실을 초월한 남녀 간의 결합이 나타나며, 17세기 이후 소설은 애정의 추구 과정에서 겪는 현실적 장애와 갈등이 부각되어, 비극성이 심화된다. 17세기 후반 이후 고소설에 나타난 애정의 모습은 낭만적으로 애정이 실현되는 형태로 변화된다. 조선 후기 성행한 영웅소설은 영웅의 일대기 속에 결연 장애가 삽입되면서, 주인공이 이룬 사회적 성취를 바탕으로 낭만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가정소설은 처첩간 쟁총의 과정 속에 애정 갈등이 삽입되어, 권선징악의 차원에서 악첩이 징치되고 유교적 규범에 따른 본처가 애정을 회복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중세 사회가 해체되고 근대화로 이행되어 가던 시기에 성행한 애정소설은 인간의 기본적 욕망인 애정을 긍정하고, 현실의 질곡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한 애정의 추구가 나타난다. 시대에 따라 고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의 양상과 의미가 달라지면서 애정의 문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 또한 변화되어 왔다. 중세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고소설에서 애정 문제는 당시 시대 상황과 관련하여 강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전기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는 남녀 간의 화합을 가로막는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이를 초월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17세기 이후 소설에서 애정은 더 이상 기존의 현실과 당시의 체제를 벗어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영웅소설은 주인공이 당대의 질서 속에서 높은 지위와 권력을 획득하며 애정을 성취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가정소설의 애정 문제도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하고 유지하는 가운데 형상화되면서 기존의 지배질서와 이념에 순응하는 의미로 변하였다. 이에 반해 조선 후기 애정소설과 판소리계 소설에 구현된 애정 모티프는 인간 본연의 애정을 가로막는 중세지배 체제를 벗어나 이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를 통해 전기소설에 나타난 애정의 의미가 이 시기의 소설에 이르러 기존의 체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미로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was meant to look through pattern of the change by the eras and styles of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ancient novel, and to clarify the cause and the meaning of change according to the eras. The way for men and women to be connected, changed through the eras. In Jeongi novel, the connection beyond the reality between man and woman, appears. After the 17th century realistic obstacles and conflicts in the middle of pursuing affection were raised, and tragedy was deepened. A pattern of affection in the ancient novel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changed into a pattern of the affection realized romantically. In the heroic novel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obstacles of connection in the way to achieve fames were inserted, and he overcame the obstacles of connection during achieving of his fames with his heroic ability. In family novels, conflicts of affection during the battle to be loved between wives and concubines, were inserted, and in a didactic way, bad concubines were punished, and the wives in accordance with Confucianism regained the affection. Love novels popular in the age that the medieval time was broken down, and that people moved to modern age, tried to acknowledge love, a basic instinct of human, and achieve affection to realize a humanism. The reason why the embodied pattern of the affection motive changed according to the ages, is because readers' minds according to social cultural environment, and classic novels' features by ages and by patterns, were reflected. Based on these kinds of causes, as the pattern of the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classic novels was chang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 of affection matters also changed.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the first half of the era of a novel, criticized the absurd realities which were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showed the meanings trying to get over them. But in the novels after 17th century, all the desires of affection was realized in real life, and the affection didn't mean to try to escape from the system at that time. In heroic novels heros achieved a high position, power and affection in the system of that time. In family novels the matter of affection, while paternalism system was kept, was formed and changed into accepting the established system and idea. On the contrary the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love novels and Pansori style novel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overcame the Middle Age's system blocking the human basic affection, and tried to change that.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social meaning of affection motive embodied in the Jeongi novel, was extended to the meaning of changing the established system. Through the embodied pattern and meaning of affection motive which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ages, we can see the ideas and values which novels had about the society at that time. Because the style of affection in the classic novels has changed sensitively according to traits by ages and types, we can see the whole current of the ancient novel history through the course of the change.

      • 초등학교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교사, 특수교사, 교육행정가 집단과의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김주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적용된 중재반응의 실제적인 적용과 학습장애 선정 절차에서 요구되는 책임과 역할 및 지원요구,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대한 수정방안에 대한 인식을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조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교사 8명, 특수교사 8명, 교육행정가 2명에게 개방형 질문을 바탕으로 하여 계획된 절차에 따라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선별검사 대상 학생에 대해서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 행정가들은 공통적으로 전반적인 학습부진을 나타내는 학생들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수교사들은 학습장애 선별과 관련한 단순학습부진이 선별되거나 문화·환경적인 요인을 배제 할 수 없는 등의 다양한 선별실태에 대해 언급하였다. 중재반응 프로그램에 대해서 일반교사들은 기존 학습부진 프로그램이 중재반응을 대신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았고 따라서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나 지도 내용, 담당자, 평가 도구 등도 기존 학습부진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응답하였다. 특수교사들은 중재반응 프로그램은 학습장애를 신중하게 선별하자는 목적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았고 따라서 학습부진 프로그램과는 그 성격을 달리 하기 때문에 특수교사에 의해서 전문적인 방과 후 중재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학교 상황에 다른 주관적인 평가기준이나 해당 학생에 대한 부정적 표찰, 학습장애 선별 대상 학생의 증가 등을 프로그램 운영 시 유의점으로 언급하였다. 행정가들은 학습장애 판별을 위한 중재반응 프로그램은 반드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협력하는 형태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따른 책임과 역할에 대해 일반교사, 특수교사, 행정가들은 선별검사 대상 선정 및 방과 후 집중적 중재를 일반교사의 주요한 책임과 역할로 인식했고 특수교사의 책임과 역할로는 관련 업무 담당 및 안내와 자료제공, 자문의 역할을 언급하였다. 학교 내에서 책임을 역할로 인한 교사간 갈등이 발생할 시에 관리자로서의 갈등해결방법으로 교육 행정가들은 합리적인 업무분장외이는 학교 현장에서 해결방법이 없다고 인식했다. 셋째,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에 따른 지원요구에 대해서 일반교사, 특수교사 모두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통일된 지도 및 평가 자료 지원에 대해 공통적으로 언급했다. 이 외에도 일반교사는 일반교사 대상의 학습장애 연수, 보조인력 및 진단전문가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특수교사들은 중재 및 진단을 위한 전문 학급 신설, 관리자 대상 연수, 상부기관의 업무에 대한 확실한 인지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교육 행정가들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문 인력 배치를 위한 조치, 관련 예산 배정 등이 시급한 지원이라고 인식했다. 넷째, 「학습장애 선정 조건 및 절차」의 수정방안에 대해서 교사들은 각 조건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세부 지침의 형태로 내려와야 함을 공통적으로 지적했고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중재반응 기간, 학부모 동의의 문제, 배제요인에 대한 고려, 지도교사의 소견서 등에 대한 내용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인식했다.

      • 기록관 전시의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통령기록전시관을 중심으로

        김주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measured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user loyalty of archive exhibition service and tested how service quality of archive exhibition service influences user satisfaction and user loyalty such as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 order to be based on an evaluation of the SERVQUAL scale, this study referred to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based on the SERVQUAL scale and also related to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museology and thus designed evaluation scale of 44 items. It is comprised of service quality variables of 33 items under 7 categories, satisfaction variables of 2 items, loyalty variables of 2 items, and demographic variables of 7 items.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of users visiting permanent exhibition in Presidential Archives & Exhibit Hall and a total of 229 response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via frequencies, descriptiv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rrelations, t-test, anova, nonparametric tests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was analyzed that service quality factors of exhibition content, exhibition presentation, exhibition explanation, staff, visitors circulation positively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So the higher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service quality factors of exhibition content, exhibition presentation, exhibition explanation positively influenced user loyalty. So the higher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user loyalty. Third, it was analyzed that us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user loyalty. Fourth, user's satisfac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viewing behaviors and motivation in satisfaction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roups. To improve quality of exhibition content service, as a factor,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exhibition content should be organized diversely and should have discrimination. To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after viewing of exhibition, completion of content should be improved. Exhibition should be comprised of exhibition content, focusing on historical importance and characteristics, through close cooperation among curator, conservation experts, historians, and related field experts. The exhibition should also be able to lead the culture of deba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service quality scale of archive exhibition service and empirically tested whole relations of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satisfying visitors and attracting more visitors.

      •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 자기성찰, 전문성 발달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김주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mpathy on creative arts therapy professionals and interns on their degre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nsequent mediation effect of self-refle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from 267 participants including creativ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ith arts therapy certificates and students in undergraduate or master’s degree programs who are conducting clinical practices and internships. The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to verify the indirect effect of final resul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that the empathy of creative arts therapy experts and interns would affect the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verified. Second, the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self-reflec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e arts therapy experts and interns was also supported.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a low level of empathy could still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self-reflection trai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es the possibility of professional growth of a therapist in terms of therapy performance and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on a specific training strategy by exploring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reative arts therapy professionals and interns. 본 연구는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능력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학사 또는 석사과정에서 임상실습 및 인턴십을 수행중인 전공생과 예술치료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예술치료 전문가 267명에게서 받은 설문지를 연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 산출 결과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능력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둘째,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공감능력과 전문성 발달수준의 관계를 자기성찰 수준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낮은 공감능력도 자기성찰 훈련을 통해 전문성 발달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 성과와 관련된 치료사의 기질이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전문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하였고, 예술치료 전문가 및 인턴생의 전문성 발달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치료사 요인을 규명하여 구체적인 훈련 전략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 디지털 신디사이저의 등장과 그 이후의 음악 분석 연구 :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를 중심으로

        김주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why the electric piano sound of Yamaha DX7 released in 1983 has become one of the best sounds of the times. Many musicians used Yamaha DX7 and even though there were enough data referred to as the best digital instrument, but there were no analytical and systematic studies about the reason. To support this curiosity, the study contains data analyz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 when Yamaha DX7 firstly release, its manufacturing method, the principle how to make sound, and the music using the electric piano sound. The study was conducted recording in the same environment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other electric pianos which are similar family to the electric piano sound of Yamaha DX7 and was expressed as a waveform and an overtone spectrum which can be visually compared using as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Yamaha DX7 was an instrument that could compensate for shortcomings of analog instruments since the digital music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Yamaha DX7’s own electric piano sound has a new sound synthesis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before and is well combined and widely used with pop music at the time. Before 1980s, the electric guitar was mainly used in lots of songs, but since Yamaha DX7 released, the role of the keyboard in pop music has been more expanded. Since then, so many musicians still remember the electric piano sound of Yamaha DX7 and they variously use it in pop and other genres. Since the appearance of digital synthesizers, MIDI was appeared and its technologies have developed, now is the time to easily meet analog instruments or discontinued instruments as virtual instruments. Beside Yamaha DX7, there are many other virtual instruments and synthesizers, and it means even though time goes by, musicians get ideas by old instruments and create new music in them. This study investigates evidence on how Yamaha DX7 becomes the best sound of the time, but as a musician, it also contains the meaning of having interest of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technologies that are currently developing, the new technologies to create music based on them 국문요지 본 논문은 1983년도에 출시된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가 어떠한 이유로 시대를 대표하는 사운드가 되었는가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되었다. 많은 음악가들이 YAMAHA DX7을 사용했고 오늘날까지 명기라고 언급된 자료는 많았지만 그것이 어떠한 이유 때문이었는지 분석적이고 체계적으로 밝혀진 자료가 없었다. 이러한 궁금증을 뒷받침하기 위해 YAMAHA DX7이 등장한 그 시대의 배경과 악기의 제조방식, 소리를 만드는 원리, Electric Piano Sound가 사용된 음악에 대해 분석한 데이터를 담았다.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와 비슷한 계열의 다른 Electric Piano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같은 환경에서 녹음을 진행하였고,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파형과 배음 스펙트럼으로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YAMAHA DX7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아날로그 악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악기였고, 이전과 다른 새로운 소리의 합성 방식을 가지며 당시 흥행하고 있던 팝 음악과 접목되어 많이 사용되면서 YAMAHA DX7만의 Electric Piano Sound를 만들어낸 것이다. 1980년대 이전 음악에서는 일렉트릭 기타가 주가 되는 곡들이 많았다면 YAMAHA DX7 등장 이후부터는 건반악기의 역할이 확장된 음악이 많아졌다. 오늘날에도 FM 피아노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음악가들이 아직까지 YAMAHA DX7의 Electric Piano Sound를 기억하며 팝, 가요 등 대중음악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디지털 신디사이저 등장 이후 미디가 출현하고 현재 기술이 더욱 발전되면서 아날로그 악기 또는 YAMAHA DX7과 같은 단종된 악기들을 가상악기로 쉽게 만나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시간이 흘러도 음악가들은 옛날 악기들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으며 그 안에서 새로운 음악을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YAMAHA DX7이 어떻게 그 시대를 대표하는 사운드가 됐는지에 대한 근거 자료를 조사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음악가로서 그 안에 시대적 배경, 현재 발전하는 기술 또는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그런 것들을 바탕으로 음악을 만들어 나가길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