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ontology model and reasoner to build an autonomic system for U-Health smart home

        김진 포항공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과학 기술이 발전하고 컴퓨터가 사람의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로 들어오게 된 이후, 그 활용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어왔다. 그 중,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도와주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왜냐하면 나이가 들어가면서 건강을 지키고 질병에 걸리지 않는 데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건강에 대한 우려에 대해 스마트 홈 시스템이 그 대한으로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스마트 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려할 점이 존재한다. 나이든 사람들이 지닐 수 있는 질병의 다양성과, 질병에 의한 진단의 복잡함에 따른 어려움, 스마트 홈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에 대한 관리와 네트워킹 등, 많은 문제점들이 풀어야 할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포항공대 U-health 스마트 홈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써,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초기 단계의 수행결과이다. 연구의 목적은 시멘틱 웹 기술들을 이용하며 구축한 온톨로지와 리즈너를 만드는 것이며, 이는 U-health 스마트 홈을 위한 자율 컴퓨팅 환경 구축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스마트 홈에 관련한 많은 온톨로지들이 이미 구현이 되어있지만, 해당 온톨로지에 대한 정당성과 타당성을 언급하기는 어렵다. 온톨로지 구현의 목적은 해당 시스템에 최적화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 모델에 합리성을 부가하기 위해 국제 표준인 CIM 모델을 변형하여 구축함으로써 스마트 홈 내부에 있는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였고, 추가로 다양한 클래스와 프로퍼티들를 생성함으로써 의사 결정 시스템이 상황을 인지하여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SWRL로 작성된 규칙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의 영리한 판단을 내릴 수 있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논리적인 의사 결정 흐름을 생성하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자율화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연구들과 구분이 되는 있는 점은 다양한 분야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 구축이라는 것이다. 단순히 상황을 인지하기 위함이 아닌, 인지 후 시스템에 의한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의사결정, 스마트 홈 시스템 내부의 기기들에 대한 합리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문제 상황에 대한 제기와 파악, 연구의 목적이 기술되어 있다. 2장에서는 U-health 스마트 홈에 대한 관련 연구들과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나 개념에 대한 전반적인 정의들이 설명되었고, 연구에서 해당 기술들이 어떻게 사용되면 기존의 연구들과 어떠한 점이 다른 지에 대한 설명이 되었다. 3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사용될 스마트 홈을 위한 자율 컴퓨팅 환경에 대한 설명이 기술되었다. 이 자율 컴퓨팅 환경은 분산된 모듈에 의한 프레임워크로 되어 있으며, 각 모듈의 역할과 의사결정에 의해 필요한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4장에서는 제시된 모델의 구현 목표와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본 모델을 이용한 리즈너의 역할과 구현에 대한 방법이 예시와 함께 기술되었다. 또한, 국제 표준인 CIM에 대한 설명과 온톨로지로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된 요소와 시멘틱 웹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CIM 요소의 변환방법과 활용에 대한 설명이 되었다. 추가로 의사결정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생성된 요소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으며, 의사 결정의 논리적인 흐름에 대한 검증과 모델의 무결성 보장을 위한 리즈너의 설명이 되어있다. 5장에서는 온톨로지 모델과 리즈너의 구현환경과 사용가능한 시나리오가 기술되고, 해당 시나리오를 지지할 수 있는 의사 결정을 위한 SWRL 규칙 생성을 위한 구현 방법이 기술되었다. 마지막 6장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요약과 공헌,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 기술되었다. 본 모델은 U-health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사용될 모델이기 때문에 해당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이 되어야 할지에 대한 언급과 데이터 흐름에 대한 시퀀스 다이어 그램이 설명되었다. Two primary concerns for our aging society are preserving good health and avoiding disease. A Smart Home system is one possible way to solve this complex problem. However, it is very complex to build a smart home system for several reasons. First, it is hard to track the behavior of elderly people at home, because each person has unique needs and behavior. 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for a system to know whether a given behavior is normal or not. Second, medical symptoms are very complex. Current medical treatment uses various disease symptoms to choose one or more appropriate medical specialists. Third, there can be many heterogeneous technologies at home that use different transport protocols, management data, command languages and specifications. These technologies are a mix of standard and proprietary solutions, making it difficult to build a universal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which is a part of POSTECH U-Health smart home project, was started. This thesis,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makes two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area. The first contribution is general architecture for the U-Health smart home project at POSTECH. The requirements are introduced and proposed in this thesis. The second contribution is a semantic model that can be used by an autonomic system to make intelligent decision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To create the appropriate model, various semantic technologies, which use OWL as the programming language, Prot?g? 3.4.2 as a tool for ontology creation and SWRL as a language for reasoning, were used. Furthermore, for reasonable ontology, open standard CIM version 2.22, which is defined and published by DMTF, was used as a framework.

      • Design of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ology for Government-sponsored R&D Programs using a Performance-Effectiveness-Efficiency Matrix

        홍대근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study proposes an evaluation methodology for government-sponsored R&D programs to manage and operate them effectively through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proposed methodology considers three aspects: performanc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R&D programs. First,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defined as the examination of various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results achieved by R&D programs. In this evaluation, weighted-sum model is employed. This model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research types (basic, applied, development) and three performance criteria (science and technology, economy, society) with weights. Normalization is also applied to adjust different units of evaluation indicators by using z-scores in this model. Second, effectiveness evaluation measures an extent to what a program has achieved its objectives. In this evaluation, portfolio model is employed. This model compares R&D programs' targets which are set before starting R&D activities and the outputs which are really performed in R&D programs. Third, efficiency evaluation implies a measurement of how efficiently a system uses R&D programs' resources to generate outputs. In this evaluation, The BCC model in DEA is employed because R&D activity shows not only constant returns to scale but also varible returns to scale. AR model is also employed because the weight flexibility in DEA can produce unrealistic efficiency scores. Then a Performance-Effectiveness-Efficiency Matrix (PEE-Matrix) i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ree evaluations to diagnose states and suggest guidelines of R&D programs. The PEE matrix can compare and analyze every program in terms of the score and rank. In order to apply the proposed methodology in practice, case study was performed in 16 R&D programs supported by a government foundation in Korea. An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an expert interview was carried out targeting nine program directors and two managers of the Frontier support center.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is useful to evaluate and manage government-sponsored R&D programs. In last, this study provided a balanced view of R&D evaluation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sponsored R&D programs using the PEE matrix.

      • Continuous Microfluidic Process for Electroporation and Extraction of Microalgal Cells

        김보람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미세조류의 전기천공과 추출을 위한 연속 미세유체공정의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와 바이오리파이너리 경제성 확보를 위해 업스트림(upstream)과 다운스트림(downstream) 관점에서 공정 개선을 위한 미세유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 1장에서는 미세유체 기반의 미세조류 연구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다루었으며,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으로 분류하여 경제성확보를 위해 개발된 다양한 미세유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기존 보고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학위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전반적인 개요를 제시 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업스트림관점에서 우량 균주 제작을 위한 새로운 도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미세유체기반의 형질전환 장치를 개발하였다. 동물세포와 달리 두꺼운 세포벽으로 형질전환 효율이 낮은 미세조류는 외래유전자의 저항성이 높아 유전 또는 대사 공학적 균주의 개량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전극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 세포가 직접적으로 전극면과 닿지 않게 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이 높은 폴리이마이드 필름 기반의 전기 천공 장치를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상용화 제품과 비교하여 약 50배 긴 지속시간에서 우수한 세포 생존율과 개선된 전달 효율을 검증하였다. 또한 ptCrCFP 외래 유전자를 주입하여 형질전환체의 제작을 형광단백질 발현과 PCR로 검증함으로써 실제 미세조류의 유전공학 장치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장시간 장치 사용에 따른 전극면 손상도와 전달 효율을 측정하여 3시간 동안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콜로니의 수를 이론적으로 계산함으로써 형질전환의 한계를 확률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연속미세유체 장치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와 바이오리파이너리 다운스트림 공정에서 갖는 에너지 대비 낮은 추출 효율 개선을 위한 연속흐름방식의 세포의 분리 미세유체장치를 개발하였다.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아스타잔틴은 의학, 기능성식품, 사료, 화장품 등 응용 가치가 높아 전세계적으로 시장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자연유래 아스타잔틴은 합성 아스타잔틴 대비 안정성과 항산화활성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합성 아스타잔틴 대비 낮은 경제성은 자연유래 아스타잔틴 시장의 한계이므로 생산성 증대 또는 추출 효율 증대와 같은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극복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크기별 분리 공정 개발을 통해 아스타잔틴 함유량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Haematococcus.pluvialis의 추출률을 개선하고자 한다. 나선형 미세유체 채널 내부의 유동과 이차관성으로 발생하는 Dean 유동은 크기에 따라 세포가 받는 전체 힘이 달라 측면 이동을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출구의 위치에 따라 세포의 크기가 다르게 분리됨을 검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분리된 세포들은 유체역학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응력에 의해 아스타잔틴이 쉽게 추출됨을 검증하였다. 특히, 지용성 물질인 아스타잔틴은 구조적 특성으로 물상에 노출 되었을 때 액적을 형성하며 다른 물질과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정제 공정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세유체 기반의 미세조류 추출 연속 공정 시스템은 큰 세포만을 선별하여 추출 효율을 증진시키고 작은 세포는 추가 배양 공정을 통해 추가 아스타잔틴 축적 후 추출하는 공정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배양에 소모되는 시간을 감소함으로써 전반적인 다운스트림 공정을 개선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제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제 4장에서는 본 학위 논문에서 수행한 연구에 대해서 요약하고 개발된 장치의 응용 가능성과 향후 전망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In this thesis, a novel continuous microfluidic platform capable of precise control of hydrodynamic flow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biomass and biorefinery in two distinct studies. Chapter 1 covers the study of microalgae based on microfluids, and describes various microfluidic systems developed to improve the process by classifying the biomass and biorefinery processes of microalgae into upstream and downstream. Also, based on the previously reported research results, an overall overview of the research in this dissertation was presented. In Chapter 2, we recognized the need for a new tool for producing a superior strain from an upstream perspective and developed a microfluidic transformation device. Unlike animal cells, microalgae that have low transformation efficiency due to thick cell walls and high resistance to foreign genes. Thus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genetic or metabolic engineering strain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an electroporation device with high cell viability based on a polyimide film was developed by reducing the gap between electrodes and preventing the cells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electrode surface. As a result, excellent cell viability and improved delivery efficiency were verified at a duration approximately 50 times longer than that of commercial product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transformants by ptCrCFP foreign genes was verified by fluorescence protein expression and PCR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actual microalgae as a genetic engineering device. The result of damage on surface of electrodes demonstrated that possibility of reuseable device. In Chapter 3, we developed a microfluidic device for separating cells in a continuous flow method to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with low consume energy in the microalgae biomass and biorefinery downstream processes. Astaxanthin, well known as an antioxidant, has high application value in medicine, functional food, feed and cosmetics, and the market is growing worldwide. In particular, natural astaxanthin is of increasing interest due to its superior s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synthetic astaxanthin. However, lower economic efficiency than synthetic astaxanthin is a limitation of the naturally derived astaxanthin market, which is a problem that must be addressed through various approaches such as increased productivity or increased extraction efficiency. In this study, we aim to improve the extraction rate of Haematococcus.pluvialis, which is known to have the highest astaxanthin cont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separation process by cell size. The flow inside the micro channel and the secondary inertial Dean flow generated by spiral channel induces lateral movement due to the different total force received by the cells depending on the size. As a result, cells was sepa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outlet, and additionally, the separated cells easily extracted astaxanthin by shear stress generated by hydrodynamic flow. The developed continuous process-based microfluidic system includes a sequential process strategy to improve overall downstream processes. The separated large cells flow directly to the extraction process, and the small cells can flow to the additional culture process as a supplementary step and then to the final extraction step. As such, the passive-based separation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a large-scale system because of the high throughput compared to an active separation system based on optical analysis of a single cell. The innovative platform and results presented in this thesis provide new tool to overcome limitation of transformation in the challenging area of upstream, and provide insight that can improve downstream.

      • The design of all-dielectric metasurface for selectively blocking Near-Infrared region of solar spectrum

        김은종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Blocking near-infrared region (NIR) is indispensable for saving energy consumed to maintain an interior temperature in buildings. The methods of blocking NIR a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blocking NIR without visible light for applying to windows. The other is blocking the overall solar spectrum including visible light because the visible light accounts for 45% in the solar spectrum. Thus, we designed the metasurface of two types, respectively. In the transparent metasurface blocking NIR, simultaneously enhancing transmission in visible light and blocking in NIR remains challenging. Here, we demonstrate the trans-parent all-dielectric metasurface selectively blocking the NIR by using TiO2 nanocylinder and ITO layer. The ITO layer is implemented as a back reflector because the ITO is trans-parent in visible light whereas the ITO becomes reflective materials in the long-wavelength region (λ > 1500 nm). The designed metasurface exhibits a high average transmittance of 70% in visible light and high solar energy rejection (SER) of 90% in NIR.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metasurface is maintained over a wide range of an incident angle of light. Therefore, the metasurface gives an advanced guide-line for design energy-saving applications. In the opaque metasurface blocking NIR, the previous all-dielectric metasurfaces have difficulty in reflecting overall NIR because the reflection region is too narrow. Here, we demonstrate the all-dielectric metasurface blocking almost overall NIR by using amor-phous Si (a-Si) and SiO2. Since amorphous Si has a high refractive index (~3.3) and high extinction coefficient in NIR, the designed metasurface exhibits high reflection (1050 nm ≤ λ ≤ 2320 nm) as well as high absorption (λ < 1040 nm), thereby leading to high solar energy rejection (SER) of 94% in NIR.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metasurface is independent over a wide range of incident light. Furthermore, a-Si substrate constituting the metasurface can be readily deposited on other materials such as glass and plastic film, so the proposed metasurface has high applicability for a large-area fabrication rather than crystalline Si and GaAs.

      • 진화 프로그래밍 기반의 CLEAN 기법을 이용한 산란점 및 고유주파수 추출

        최인식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9631

        과거의 레이다 시스템은 단순히 표적물을 탐지하고 표적물까지의 거리 및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레이다는 이러한 속도 및 거리 정보뿐만 아니라,표적물의 종류를 인식하여 아군과 적군을 구별하는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레이다 표적물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성벡터로는 크게 산란점과 공진주파수가 있습니다. 산란점은 표적물에 존재하는 고 에너지 방출점이며, 공진주파수는 표적물의물리적인 크기에 의해 정해지는 고유한 값입니다. 공진주파수는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잡음에 매우 민감합니다. 산란점은 상대적으로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잡음에는 강한 반면, 각도에 따라서 그 위치와 크기가 변하므로 많은 저장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본인의 연구는 이러한 산란점과 고유주파수를 더욱 정확하게 추출할 뿐만 아니라, 잡음에도 강건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먼저, 저는 더욱 정확한 1차원 및 2차원 산란점 추출을 위해서 Evolutionary programming (EP)을 이용한 CLEAN 알고리즘 (EP-based CLEAN)을 개발하였습니다. EP-based CLEAN 기법은 원하는 개수의 산란점을 가장 큰 에너지를 가지는 것부터 차례대로 추출해 내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EP-based CLEAN 기법은 기존의 산란점 추출기법에 비해서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잡음에 강건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1 Fbin안에 위치한 산란점들을 구분해 낼 수 있는 해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추출된 파라미터값들이 기존의 CLEAN기법에 비해 매우 정확합니다. 본논문에서는 개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포항공대 compact range에서 측정한 데이타에 적용해 보았습니다. 또한, 개발된 새로운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존의 다른 방법들과 표적인식 성능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을 이용한 4개의 서로 다른 표적물에 대한 구분결과로부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Prony 방법이나 FFT-based CLEAN방법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임을 알수 있었습니다. 또한 2차원 산란점 추출에 있어서 도 IFFT를 이용한 ISAR 영상, 2-D MEMP (Matrix Enhancement Matrix Pencil) 방법과 본인의 알고리즘을 비교하여 보았습니다.본인의 알고리즘은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직교좌표계가 아닌 극좌표계에서 구현되는 알고리즘입니다. 또한, 2-D MEMP방법과는 달리 산란점의 갯수를 잘못 예측하더라도 추출한 파라미터값의 정확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가지 실험을통하여 본인의 알고리즘이 2차원 산란점 추출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가짐을 보여주었습니다. 고유주파수는 표적물을 구분하기 위한 또 하나의 특성벡터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유주파수는 표적물이 정해지면 각도에 상관없이 그 값이 일정합니다. 따라서, 산란점을 이용한 구분방법보다 간단하며 저장공간도 감소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다 신호에 있어서 후기 응답신호는 초기 응답신호보다 그 에너지가 훨씬 작으므로,잡음에 민감합니다. 따라서, 훌륭한 고유주파수 추출법은 잡음에 강건해야하며 또한 고유주파수의 갯수를 몰라도 추출이 가능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고유주파수의 갯수는 일반적으로 미리 알수없기 때문입니다. 후기 응답에서의 EP-based CLEAN 알고리즘은 위의 두가지 성질을 만족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특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기존의 Prony 방법과 E-pulse 방법을 제안한 알고리즘과 비교해 보았습니다. 다음으로, 저는 초기 응답과 후기 응답신호를 구분하지 않고 동시에 적용할수 있는 일반화된 EP-based CLEAN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일반화된 EP-based CLEAN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한번의 신호처리를 통하여 산란점과 고유주파수를 동시에 추출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은 앞으로 표적인식기법의 구분성능 향상에 매우 유용하게쓰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시간-주파수 영역의 EP-based CLEA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이동보상기법을 제시하였습니다. 시간-주파수 영역의 EP-based CLEAN 알고리즘을 이용한 ISAR 영상기법은 기존의 Adaptive wavelet transform (AWT)기법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계산시간은 다소 많이 걸리지만, 더욱 향상된 영상을 얻을수가 있습니다. 앞으로 컴퓨터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계산시간을 단축시킬 수만 있다면, 본인의 알고리즘은 레이다 신호처리 분야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해상도가 1차원에서 0.5 Fbin으로 제안되는 문제점과 계산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 본 논문에서 사용한 undapmed exponential model이나 damped exponential model보다 더욱 정확한 모델로 알려진 GTD(Geometrical Theory of Diffraction)모델을 이용한 방법의 개발등은 앞으로 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When a radar target is illuminated by a short-duration electromagnetic (EM) field, the transient response has an early-time response and a late-time response. The early-time response occurs while the field passes across the target, so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local features (scattering centers) on the target. After the field has completely traversed the target, the late-time response which is related to the global features (natural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target begins to appear. Because the selection of proper feature vectors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target identification it is recommended that feature vectors contain information on early-time scattering centers and late-time natural frequencies simultaneously.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scattering centers and complex natural resonance (CNR) frequencies extraction. One-dimensional (1-D) and two-dimensional (2-D) scattering centers have been used as important features for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ATR).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various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techniques. The well-known techniques are model-based methods and a FFT (fast Fourier transform)-based CLEAN method. The model-based method has a high resolution, but is not robust to random noise. The FFT-based method has robustness, but does not have high resolution.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a novel method, called evolutionary programming (EP)-based CLEAN, which has high resolution and robustness at the same time. The 1-D and 2-D EP-based CLEAN use the 1-D and 2-D undamped exponential models and EP for an optimization of cost function. The EP-based CLEAN algorithm has many advantage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First, it takes advantage of the FFT-based CLEAN method and model-based methods simultaneously. Second, it is very fast compared to the genetic algorithm (GA)-based method since it extracts the parameters of each scattering center step-by-step. Third, fals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cattering centers does not affect the accuracy of parameter extraction, as does the model-based methods. Fourth, the extracted parameters of the scattering centers are very accurate since they do not have a bias, as is the case with the model-based methods. Fifth, it does not require transforming of the coordinates of the measured data from polar to Cartesian in 2-D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use synthesized data composed of several ideal point scatterers and measured data at the compact range of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TECH). We will show the high-resolution characteristic and the robustness to random noise through simulations. We will also show the accuracy of extracted parameters compared with the matrix enhancement and matrix pencil (MEMP) method, a high-resolution method. The natural frequencies are also used as efficient features for radar target recognition. For natural frequency extraction, we use a late-time EP-based CLEAN which is a time-domain CLEAN algorithm. The late-time response has small energy compared to the early-time response. Therefore, a good resonance frequency extraction method must be robust to random noise and insensitive to the estimation of model order. Our algorithm meets these requirements. We will show these characteristics using the synthetic data and measured data at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arch range. Finally, we performed a motion compensation using time-frequency EP-based CLEAN. When a target has a complex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tion, the radar image by using IFFT can be blurred. The inverse sythetic aperture radar (ISAR) image contains the information of a two-dimensional distribution of scattering centers. Therefore, the motion compensation is needed for obtaining a cleaned ISAR image. Time-frequency motion compensation replacec the Fourier transform with the time-frequency transform. In this dissertation, we use the time-frequency EP-based CLEAN algorithm which is more accurate than the conventional adaptive wavelet transform (AWT). We used the simulated MIG-25 data for the verification of our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