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전문적 도움추구행동 관계에서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효과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조절된 매개효과

        류혜진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ctual-ideal self discrepancy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by college students and by psychological distress. The study also examine whether perfectionistic ha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ydy were 343 students(152 males, 191 females) between the ages of 19 and 28 who wer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The mediationg, modualt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The resul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actual-ideal self discrepany, psychological,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psychological distress had a full mediatio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ual-ideal self discrpancy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Thus, higher levels of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mong college students increased psychological discomfort,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help-seeking behavior.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a moderating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was observed. High level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indered help-seeking behavior even when psychological discomfort was high, as compared to the low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group. Finally, the study confirm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by combining the mediating model of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the moderating model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comf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Thus, whe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is high, psychological discomfort increases, and help-seeking behavior also increases. However,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howed a decrease in help-seeking behavior compared to those with low levels, despite experiencing elevated psychological discomfort. The results underscore the influence of perceived self-discrepancy on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its direct impact on help-seeking behavior, with implications for tailored counseling interventions based on individual tendencies.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전문적 도움추구행동의 관련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효과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세에서 28세 사이의 학생 343명(남성 152명, 여성 191명)을 대상으로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전문적 도움추구행동, 심리적 불편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SPSS 25.0과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의 결과,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전문적 도움추구행동, 심리적 불편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전문적 도움추구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불편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는 심리적 불편감을 높이고, 높아진 심리적 불편감은 도움추구행동을 하는데 영향을 끼친다. 세 번째, 심리적 불편감과 전문적 도움추구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도움추구행동을 저해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심리적 불편감이 높더라도 도움추구행동이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모형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조절모형을 결합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전문적 도움추구의 관계에서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높으면 심리적 불편감이 증가하고 도움추구행동 역시 증가하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도움추구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불일치가 심리적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불편감은 도움추구행동을 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있는 개인은 심리적 불편감을 호소함에도 도움추구행동을 하지 않거나 불편감을 감추려할 수 있기에, 상담 초기개입 시 개인의 성향을 파악하고 차별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우울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에 따른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소연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istributed avoidanc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To this end, the 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scale CES-D, the Korean version of the Pure Delay Behavior Scale, the Avoidance Distribu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Checklis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Acceptance-Behavior Questionnaire-II were administered to 231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34 yea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among depression, procrastination, dispersive avoidance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the mediation of the distributed avoidance emotional regulation was confirmed.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ispersive avoidance emotional regulation was confirmed.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flexibility ha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process of depression affecting procrastination. This means that the more depressed a person i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engage in procrastination if they use the avoidance distribu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This means that you can follow the appropriate emotional regulation method that suits yo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identifie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and furthermore, the factors that regulate them. 본 연구는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에 따른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세-34세 남녀성인 23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우울척도(CES-D), 한국판 순수지연행동척도(PPS),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ERS), 한국판 수용-행동 질문지-II(AAQ-I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울, 지연행동,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심리적 유연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우울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의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우울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과정에 심리적 유연성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일수록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사용하면 지연행동이 잦아질 가능성이 높으며, 개인이 가진 우울과 심리적 유연성의 수준이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쳐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택하지 않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정서조절 방식을 따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이를 조절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유연성에 따라 지연행동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성인 초기 남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고우리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defensiv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on the satisfaction of heterosexual relationships in children in early adulthood. To verify this,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4 men and women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in a relationship living nationwid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ACRO v4.2 progra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degre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ati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defens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perceived by the survey subjects,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defens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were low, and rati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moderat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defens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on rati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defens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he lower the rati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self-defens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rati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survey subjects, it was found that self-defens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rati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gender satisfaction, and that the role of parents can reduce the ambivalence of self-defense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factors affec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suggested the basis for intervention measures to increase relationship satisfaction, suggesting the need to develop and utilize programs for early adults.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성인 초기 자녀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현재 연애 중인 남녀 3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MACRO v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이성관계 만족도,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의 정도를 살펴보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 수준이 낮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이성관계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관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자녀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며, 부모의 역할을 통해 자기방어적 정서표현의 양가성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이성관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방안의 근거를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고, 대학교 상담센터, 가족센터의 청년 프로그램 등 성인 초기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 이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위계적 조직문화가 안전행동과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안전 발언과 심리적 부담의 매개효과

        류수민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examines how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shown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sites affects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nd mediating effect of safety voice and psychological burden.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data of 300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workers were analyzed for direct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through SPSS 27.0 and Macro 3.4, and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mong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centraliz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and centralization and red tape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accidents. Second, authority had a negative effect on safety voice and centralization, red tape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den. Third, safety voice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s and negative effects on safety accidents. Fourth, psychological burden was not significant to safety behaviors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fety accidents. Fifth, safety voice ha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uthority on safety behavior, and safety voice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formality on safety behavior. In the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on safety accidents, safety voi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inally, psychological burden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on safety behavior, and psychological burden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ower and red tape on safety accidents.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of industrial sit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ach hypothesis. In particular, to overcome the factor limiting safety remarks due to psychological burden, workers speak freel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was implied that positive results for accident prevention would be brought about when an environment that actively encourages safety remarks is created by providing space and feedback, and preparing appropriate responses and reward systems for remark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bility to protect one's own safety by providing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to workers about the risks that may occur when safety remarks are not made. 본 연구는 제조, 건설 현장에서 보여지는 위계적 조직문화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안전발언, 심리적 부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건설업, 제조업 종사자 300명의 데이터를 SPSS 27.0과 Macro 3.4를 통해 직접효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각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위계적 조직문화 중 집권성은 안전행동에 부의 영향을, 집권성, 레드테이프는 안전사고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집권성은 안전발언에 부의 영향을, 집권성, 레드테이프는 심리적 부담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안전발언은 안전행동에 정의 영향을, 안전사고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넷째, 심리적 부담은 안전행동에 유의하지 않았고, 안전사고와는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다섯째, 집권성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전발언은 부의 매개효과를, 공식성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전발언은 정의 매개효과를 가졌고, 위계적 조직문화가 안전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전발언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조직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부담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집권성, 레드테이프가 안전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부담은 정의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각 가설 결과에 따른 차후 산업현장의 위계적 조직문화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고, 특히 심리적 부담으로 인한 안전발언 제한 요인 극복을 위해, 조직 차원에서 근로자가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공간과 피드백을 제공하고, 발언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보상 체계를 마련하여 안전발언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환경을 조성할 때, 사고 예방에 대한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올 것임을 시사했다. 또한, 안전발언을 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 근로자에게 꾸준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안전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역량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자기관이 결혼 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정현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결혼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과 태도 등 결혼 의향 수준에 대해 살펴보고 가족 요인인 부모의 부부관계와 개인 요인인 자기관이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데 있다. 이를 토대로 개인 상담 장면에서 상담적 개입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미혼의 대학생이며, 수집된 자료 342부를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결혼 의향과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면, 결혼 의향은 중간수준이었으며, 하위변인별로는 정서적 결혼 의향, 기능적 결혼 의향, 당위적 결혼 의향 순이었다.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부부관계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하위변인인 심리적 조화, 갈등과 권위는 모두 중간값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자기관은 비교적 뚜렷한 자기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인 상호의존적 자기관, 독립적 자기관은 모두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 변인들과 결혼 의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결혼 의향은 성별, 부모의 부부간 심리적 조화, 상호의존적 자기관, 독립적 자기관, 주관적 경제수준, 종교, 연령순으로 정적 상관이, 부모의 부부간 갈등과 권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관련변인이 결혼 의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적 결혼 의향은 성별, 부모의 부부간 심리적 조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당위적 결혼 의향은 성별, 종교, 주관적 경제수준, 부모의 부부간 심리적 조화, 부모의 부부간 갈등과 권위,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결혼 의향은 성별, 부모의 부부간 심리적 조화, 부모의 부부간 갈등과 권위,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결혼 의향은 개인적 특성과 가족 환경 특성이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세분화된 결혼 의향 유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결혼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하여 상담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marriage intentions, including detailed plans or thoughts,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family factor of parents’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individual factor of self-construal, comprehensivel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s of counseling intervention for individual counseling cases. To this end,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and 342 collected survey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overall tendency of variables rela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marriage intentions, their marriage intentions were moderate, with the sub-variables in the order of emotional, functional, and normative marriage intentions. The research subjects perceived their parents' marital relationship positively, with the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harmony and conflict and authority all above the moderate level. In addition, self-construal showed a relatively distinct definition with the sub-variables of interdependent and independent self-construal all above the moderate level. Second, when it comes to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marriage intentions, the university students’ marriage inten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der, psychological harmony between parent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subjective financial status, religion, and age,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conflict and authority in the marriage of par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 of the related variables on marriage intentions, gender and psychological harmony between parents affected emotional marriage intention, gender, religion, subjective financial status, psychological harmony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authority in the marriage of parents,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ffected normative marriage intention. In addition, functional marriage inten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psychological harmony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authority in the marriage of parents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revealing that both individual and famil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marriage intentions and that such factors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different types of marriage intention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and information on marriage in the counseling field.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사회불안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김미진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사회불안 간 상관에 관한 메타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은 2012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 24편이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사회불안 관계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사회불안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평균효과크기()는 .29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였다. 또한, 분석 결과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의 이질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사회불안 관계에서 이질성에 기여하는 변인을 알기 위해 조절효과 분석을 하였다. 자녀의 연령, 부와 모의 유형, 심리적 통제 측정 도구, 사회 불안 측정 도구에 관한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자녀의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자녀의 사회불안에 관한 이해를 증진하고 부모 양육 태도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사회불안 관계에 관한 학술지 연구물들의 통합적 모델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작업에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meta-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en's social anxiety in 24 academic journal articles that had published in Korea from 2012 to 2022. This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research foun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 was .29, of medium magnitude.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heterogeneity across the effect sizes calculated in each analysis. To identify a variable contributing to the heterogene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hildren's age, parents’ type, tools to measure psychological control, and tools to measure social anxiet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he children's age. In summary,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social anxiety an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ttitudes as a related factor. In addition, the study has particular significance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cademic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para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 총기 범죄자의 심리적 문제에 관한 고찰

        나상필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seriousness of gun crime is beyond description. A serious crime is perpetually occurring, causing massive casualties and secondary damage. In the U.S., it has the world's largest gun possession and casualties are among the world's leading threats. Although the U.S. regards gun ownership as human rights and defines legitimacy in the Constitution, it runs counter to the function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many are calling for the abolition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a relic of the 18th century. For political reasons, however, abolition seems difficult and mass production of the victims is inevitable unless it is abolished. Although Korea strictly regulates the ownership of guns, it is too early to be reassured in gun crime since gun crime is still not eradicate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illegal guns, and it is possible to purchase cheap firearms if one decides to. Although gun crime has a huge impact on society, it is highly likely that gun crime is considered part of crime that should not be questioned and that the motive for crime is not known properly. Gun crime is quite different from ordinary crime. Unlike crimes aimed at murder, rape and robbery, which are in the form of a common crime, gunmen are generally very tired and commit crimes in trouble.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motive for the crime of gunmen was related to psychology through case studies. As we saw in the main body, the shooter has been stressed by people in the process and lacks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and the support around it, so he is self-reliant, wants to isolate and find solace in his or her own mind. In the mind, the anger and resentment over the caused stress, revenge, and post-war stress are so sensitive that they are accumulated that they are mistaken and misjudged. In the early days of stress, frustration and depression were accompanied by the cumulative stress of fear and intense anger caused by the inability to overcome anger but to overcome it and the inevitable continued stress. In addition, most gunmen were not motivated by simple murder, robbery, drugs, and violence. In other words, the motive for the shooting spree was closely related to psychological defects, which are one of the main cause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considered the risk of crimes in countries that are allowed to own firearms, such as the United States as means of gun ownership, their relevance to crimes, and the general concept of firearms. The main body examined the causes of crime based on the five actual incidents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shooting spree, and it was analyzed that gunmen had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anger, depression, and mental illness, which affected the cause of the crime in the context of the war. It was interpreted that motivation for shooting rampage crimes was highly influenced by psychological problems, and in order to prevent crimes in advance, it presented various measures, including the need for psychological testing in places where guns were handled by soldiers, reserve forces, police officers, and others. The final conclusion suggested that the three aspects of the shootings, namely, the means of owning firearms, the results of firearms, and the psychological problems, each of which function as a cause, are indivisible, interconnected, and only psychological prevention consistent with gun management is a top priority. 총기 범죄의 심각성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한 순간에 대량의 인명 피해가 발생되고 2차 피해까지 유발하는 심각한 범죄로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세계 최대의 총기 보유량을 가지고 있으며 인명피해 또한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위협적이다. 미국은 총기 소유를 인권이라고 여기며 헌법에 정당성을 규정하고 있으나 오히려 인권보호의 기능에 역행하고 있으며 18세기 유물인 수정헌법을 폐지하자는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정치적인 이유로 폐지는 어려워 보이고 폐지하지 않는 한 앞으로도 크고 작은 피해자 양산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총기 소유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지만 여전히 총기 범죄가 근절되지 않고 있으며 불법 총기류의 실태 파악조차 어렵고 마음만 먹으면 값싼 총기류를 구입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총기범죄에서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이렇게 총기 범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하지만 묻지마 범죄의 일부로 간주하고 범죄 동기를 제대로 규명하지 않는 경향이 짙다. 총기 범죄는 일반 범죄와 상당히 다르다. 일반 범죄의 형태를 띤 살인, 강간, 강도 등 목적 범죄와 달리 총기 난사범은 대체로 정신상태가 매우 지쳐 있는 등 문제 상태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등 심리와 분명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중심은 총기 난사범의 범죄 동기가 심리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사건 사례를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 살펴보았듯이 총기 난사범은 상호과정에서 사람들로부터 스트레스를 받아왔고 문제 해결의 역량 부족과 주변 지지력을 받지 못함으로써 자책에 빠지고 상호관계의 단절과 고립을 원하고 오로지 자신의 마음에서 위안을 찾는다. 마음속에는 원인된 스트레스에 대한 분노와 원망, 복수심 그리고 전후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한 반응과 스트레스가 누적되면서 잘못된 사고와 판단을 한다. 스트레스 초기에는 상대방에 대한 노여움으로 시작되지만 이를 극복할 의지를 갖지 못하고 피할 수 없이 지속되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두려움과 극심한 분노를 자주 느끼며 스트레스가 누적됨에 따라 좌절 및 우울증이 동반되었다. 이에 더하여 정신분열증 등 각종 정신질병으로 변질되어 가는 상태로 치닫는 등 사례에서 대부분 총기 난사범은 단순 살인이나 강도, 마약, 강력 등 일반 범죄의 동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총기 난사범죄의 동기는 심리적 결함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하나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서론에서는 총기 소유와 관련하여 수단으로서 미국 등 총기소유 허용 국가의 범죄의 위험성, 묻지마 범죄와의 관련성, 총기의 일반적 개념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본론에서는 총기 난사와 관련하여 결과로서 실제 발생된 다섯 가지 사건을 바탕으로 범죄에 이르게 된 원인을 집중 검토 하였는바, 일반적으로 총기 난사범은 분노, 우울, 정신질병 등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가 있었고 전후맥락으로 보아 범죄의 원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총기난사 범죄의 동기가 심리적 문제에 영향을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뜻으로 해석되고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총기관련 인허가 및 관리의 개선뿐 아니라 군인, 예비군, 경찰관 등 총기를 업무로 취급하는 곳에서 심리검사의 필요성 등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총기 난사의 결과와 관련하여 세 개의 측면 즉, 총기 소유는 수단, 총기 난사는 결과, 심리적 문제는 원인으로서 각각 작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들은 분리할 수 없고 상호 유기적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총기 관리에 부합하는 심리적 예방만이 최우선적인 정책으로 고민할 과제임을 제시하였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사회불안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최정윤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대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경험과 현재 겪는 사회불안 어려움의 관련 정도를 알아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세에서 28세 사이의 학생 307명(남성 153명, 여성 154명)이었다.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Hayes가 제안한 Process Macro 4번 모델을 활용하여 부트스트랩 분석 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사회불안 척도의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사회적 수행 불안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IAS척도와 SPS척도를 사용하고, 분석시에는 합산하여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경험와 사회불안, 대학생의 자기비난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경험 모두 사회불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도 자기비난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성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경험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학생의 자기비난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다루기 위해 대학생의 자기비난을 멈추도록 할 수 있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the current difficulties by social anxiet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7 students (153 males, 154 females) between the ages of 19 and 28 who wer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 confidence interval was calculated using the Process Macro No. 4 model proposed by Hay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econd, both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criticism. Third, when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was controlled, self-criticism was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social anxiety. Similarly, wh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was controlled, self-criticism was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social anxiety. At this time, both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still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anxie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experience directly affects social anxiet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m through self-criticism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o stop self-criticism to deal with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can be effective.

      • 심리적 빈곤과 재범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심리적 빈곤층의 범죄성 치유에 관한 연구

        최재혁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idens and demands for equity grow, various social problems occur. And if the settling structure of social conflicts works poorly, social deviations and crimes germinate. This criminality is much influenced not by practical poverty but by ‘psychological poverty’ and ‘relative depriv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poverty on crimes and then looked into the healing program of criminality for psychologically poor population. When crimes are caused not by practical poverty but by psychological poverty, to make welfare policies and guarantee livelihood incomes based on national budget could not decrease crime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rimes appropriately and settle down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sycho-social equity and analyze its relationship with crim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author made convicted inmates in the B Correctional Facility in a district of Seoul, mainly inhabited by people in poverty, describe their self-evaluated level of economy (the level of psychological poverty) when they were put into the prison, and then examine the difference of crime rate between the psychologically wealthy and the psychologically poor, together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tes of economy and crimes (in order to distinguish from the effect of practical poverty on crimes, inmates whose income was steady, who had stable occupations, and who or whose families had a house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data 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poverty-oriented criminality and the degree of disappointment (self-destruction) were used supplementary material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stronger the psychological poverty, the higher the incidence of repeat offense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level of deprivation was conducted, thus finding out the level of psychological poverty, and then the rate of repeat offenses wa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entry (the number of actual executions of sentence by correctional facilities), thu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overty and repeat offens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ronger the psychological poverty, the higher the incidence of repeat offenses. And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poverty and the incidence of repeat offenses in general. In addition, severe psychological poverty had positive effect on the incidence of repeat offenses. This relationship was most true in violent crimes (aggressive crimes) and the degree of poverty and aggression presented a direct proportion (the rate of repeat offenses would increase). This finding seems to show the fact that at the moment when the sense of psychological poverty becomes intensified, aggression functions as a mediating factor. Therefore, if psychological poverty improves, the incidence of repeat offenses seems to decrease at least in the crimes of violence and theft. Therefore, the psychological poverty and the incidence of repeat offenses ar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relative deprivation, trust in nation and society, and consciousness of equity, and the rate of relationship is not fixed but changeable by the times and societies.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overty and the incidence of crimes is higher in Korea, government must try to settle down economic problems, poverty and distribu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examine the sense of relative poverty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and of specific classes in society, thus measuring their anger and hostility against society and improving unreasonable social policies and directions. Finally, since aggressive crimes, derived from relative deprivation and anger, will generate don’t-ask-me crimes, namely motiveless crimes, and their modality will be severe, studies on these crimes and criminal psychologies must be additionally conducted in the future, thus securing the soundness of society. 본 연구는 빈부의 격차가 커지고 형평에 대한 요구가 커질수록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데, 사회적 갈등 해결구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 일탈과 범죄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범죄성은 실제의 빈곤 보다는 ‘심리적 빈곤감’과 ‘상대적 박탈감’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로 심리적 빈곤감이 범죄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고 심리적 빈곤층에 대한 범죄성 치료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범죄가 실제 빈곤보다는 심리적 빈곤감(빈곤)에 원인이 있는 경우 아무리 국가 예산을 투입해 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생계수익을 보장해도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올바른 범죄예방정책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심리사회적 형평에 대해 주의를 환기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빈곤층이 주로 거주하는 서울 수도권 소재 B 교정기관의 입소자 중 형이 확정된(범죄가 인정된) 수형자를 대상으로, 입소 시 스스로 생각하고 인식하는 경제수준(심리적 빈곤 수준)을 기술하게하고, 심리적 부유층과 심리적 빈곤층의 범죄율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실제 빈곤이 범죄에 미친 영향과 구분하기 위해 실제소득 수준과 안정된 직업, 본인 또는 가족소유의 주택을 보유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대한 상관관계를 대조군으로 사용한다). 보충자료로, 심리적 빈곤 정도에 따른 범죄성과 무망감(자포자기)의 정도의 차이에 연구를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심리적 빈곤이 강할수록 재범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가설 증명을 위해, 심리적 빈곤감의 정도는 설문지의 값을 통해 느끼는 박탈감의 수준을 구하고, 재범률은 수용횟수(교정시설에서 실제로 형을 집행한 횟수)를 통해 구한 다음 심리적 빈곤감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빈곤이 심할수록 재범발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심리적 빈곤과 재범발생률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심리적 빈곤이 심할수록 재범의 관련성 간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경우 폭력범죄(공격적 범죄)가 가장 심했고, 빈곤의 정도와 공격성은 정비례(재범률이 높아질 것이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빈곤감이 강력해지는 어느 순간 공격성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최소한 폭력범죄와 절도범죄의 경우 심리적 빈곤이 낮아지면 재범발생은 낮아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사회 전체적인 상대적 박탈의 정도, 또는 국가와 사회에 대한 신뢰감, 형평에 대한 의식에 영향을 받으며, 결과 값이 항상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시대와 사회에 따라 변동 가능하다. 한국의 경우, 심리적 빈곤에 따른 범죄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국가 정책적으로 경제적인 문제와 빈곤, 분배의 문제가 적절하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지는 않은가 고민을 해본다. 또한 주기적으로 교정시설 내 수형자들의 상대적 빈곤감 측정과 사회 특정집단의 빈곤감 측정을 통해 특정집단의 사회에 대한 분노와 적대감을 측정하고, 불합리한 사회정책이나 방향에 대해 숙고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대적 박탈과 분노에 기인한 공격적 범죄는 묻지 마 범죄와 같은 동기 없는 범죄를 발생시키고 그 양상도 강력해지게 되는데, 사회 건전성 확보를 위해 이러한 범죄와 범죄 심리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었으면 한다.

      • 심리적 안녕감에 재무관리역량이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홍시라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경제활동을 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재무관리역량,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재무관리역량이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 크기를 도출하였고,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또한 경제적 여건은 매 단계에 변인으로 포함하여 효과 크기를 비교하였다. IBM SPSS 25와 SPSS PROCESS Macro v4.0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재무관리역량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재무관리역량의 세 가지 구성요소 중 재무관리태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역할을 하였고, 재무관리기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적 여건이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했지만, 이보다 재무관리역량이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 외적ㆍ상황적 원인인 소득과 재산의 중요성을 넘어서, 개인이 개발할 수 있는 내적 요소로 재무관리역량의 중요성을 입증함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재무관리역량의 세가지 구성요소 중 재무관리태도와 재무관리기능과 심리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과적으로 자본주의 체제의 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행복 증진을 위하여 재무관리에 대한 국가의 각종 교육 및 제도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며,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상담 및 심리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firmed for adult men and women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To this end, the size of the indirect effect of financial compet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erived by mediating self-efficacy, a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indirect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economic conditions were included as variables at each stage, and the size of the effect was compared.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IBM SPSS 25 and SPSS PROCESS Macro v4.0, it was confirmed that financial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Next,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financial competency, self-efficacy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mpetency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mpetency skil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economic condition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effect of financial compet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self-efficacy was gre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ng the importance of financial competency as internal factors that individuals can develop beyond the importance of income and property, which are external and situational causes among various variable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mpetency attitude, financial competency skil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financial competency. As a result, in order to promote individual happiness in the Korean society of the capitalist system,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various education and systems for financial competency, and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applying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to improve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