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AN 의 모니터링과 분석을 위한 환경 구축

        김종현 ( Jong-hyun Kim ),정기현 ( Gi-hyun Jung ),최경희 ( Kyung-hee Choi ),김상중 ( Sang-joo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CAN 은 처음에는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해 고안되었으나 잡음에 강하고 신뢰성이 높아 공장자동화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1:1 통신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방식으로 변화되면서 장치의 기계적인 동작뿐만 아니라 전자, 소프트웨어적인 동작에 대해서도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CAN 기반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적인 오류를 찾아내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공유메모리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의 확장성 분석

        안중석(Joong-Seok Ahn),김진표(Jin-Pyo Kim),김종현(Jong-H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병렬 컴퓨터와 병렬 알고리즘의 설계에서 확장성 (scalability)이 중요한 성능 척도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ustafson의 고정 시간(fixed-time) 모델을 이용하여 공유 메모리 다중프로세시 시스템의 확장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작업부하의 크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로세서의 수를 증가시키면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세서의 수가 증가할 때 실행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작업부하의 크기를 증가시킨 경우에는 동기화 오버헤드가 speedup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동기화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이 확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동기화 하드웨어의 지원이 시스템의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스템의 구조가 변하지 않고 단순히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만을 향상시키는 것은 확장성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메쉬 다중컴퓨터를 위한 최적 I / O 노드 배치 방법

        안중석(Joong-Seok Ahn),강준효(Jun-Hyo Kang),김종현(Jong-H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B

        메쉬 또는 하이퍼큐브 구조를 가지는 다중컴퓨터에서의 I/O 병목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쉬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다중컴퓨터에서 I/O 노드들이 배치되는 방법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분석하였다. 최적 I/O 노드 배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방법들과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최적 배치 조건을 적용한 경우에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네트워크상에 통신량이 많아질수록 성능 차이가 더욱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액세스에 지역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지연시간이 크게 개선되었다. 즉, 화일 관리 및 문제 분할 등을 통하여 지역성을 높이는 것이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러스 구조에서는 지역성이 낮은 경우에 완전 I/O 임베딩이 일반적인 임베딩보다 훨씬 더 안정된 성능을 보인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 스테레오 비전 및 End-to-End Learning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

        윤예중 ( Ye-joong Yoon ),송지환 ( Ji-hwan Song ),변형섭 ( Hyeong-seob Byeon ),박배성 ( Bae-seong Park ),김종현 ( Jong-hyu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자율주행 기술에서 스테레오 비전과 End-to-End Driving은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신호등 인식과 주행에 적용하였다. 신호등 인식은 좌우 카메라로부터 적색 원을 인식한 후 스테레오 비전을 통해 신호등과의 거리를 추정한다. 주행 시스템은 End-to-End Learning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출력값인 가변저항을 조향각으로 변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마보정을 통한 데이터 증강을 통해 빛에 대해 민감하지 않게 모델을 학습하였다. 추후 신호등 인식 시 HSV 필터가 빛에 민감한 점과 주행 시 가변저항 값이 일정하지 않은 점이 해결된다면 더욱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무 뿌리의 전분지수 측정과 이를 활용한 조직감의 유전특성 분석

        김헌(Hun Kim),김종현(Jong Hyun Kim),어중혁(Joong-Hyuck Auh),김종기(Jongkee Kim)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전분-요오드반응을 적용하여 무 조직의 Hunter ‘b’ 값을 측정하여 전분 지수(starch index)를 구하고, 이를 통해 전분 함량과 경도를 간편하게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무 조직의 호화조건은 60℃에서 20분 이상 침지하는 것이 요오드 반응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색차계를 이용한 Hunter ‘b’ 값은 전분 농도와 고도의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²=0.948). 이를 토대로 비교했을 때 일대 잡종 무조직의 색도와 경도는 품종간에도 고도의 상관을 나타내어 (r²=0.703) 무의 조직감을 비교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일대 잡종 무와 양친, 여교잡 세대 및 후대를 대상으로 조직의 전분 지표를 측정한 결과, 양친 중 무의 조직감이 낮은 쪽이 우성으로 작용하며, 잡종 강세가 약하게 나타나는 형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As one of the major storage carbohydrates, starch correlates with the tissue firmness and cell wall contents as well as contributes to the textural quality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roo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imple method to evaluate starch content and tissue firmness by measuring the color (Hunter ‘b’) of iodized radish slice as a starch index. The gelatinization of radish slice was optimized by swelling at 60℃ for 20 min, and the Hunter ‘b’ value and the concentration of iodized potato starch were highly correlated (r²=0.948). This relationship was also effective to the analyses of inheritable texture traits of three F₁ hybrids and their breeding lines. The heritability of tissue firmness of radish root, based on starch index and compressibility, turned out to be fairly high, ranging from 0.47 to 0.93. However, heterosis was relatively low. This method is simple and rapid, and, therein, could be employed as a quick evaluation for qualifying radish texture since the correlation between Hunter ‘b’ value and starch content was consistent among different cultivars. The present study also revealed that either parental line which exhibits a relatively less firm in texture of the root was dominant.

      • 넙치의 백화현상 규명에 관한 연구 I. 멜라닌 색소 생성에 미치는 효소와 기질의 영향

        최영준,강석중,조창환,명정구,김종현,Choi Yeung Joan,Kang Seok-Joong,Cho Chang-Hwan,Myoung Jung-Goo,Kim Jong-Hyun 한국양식학회 1990 韓國養殖學會誌 Vol.3 No.2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효소 및 관련 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자연산 정상넙치와 양식산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 미립자 사료와 생물먹이인 Artemia 및 Rotifer에 대하여 단백질의 함량, 멜라닌 색소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아미노산 조성 및 비타민A와 C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정상넙치표피는 육질에 비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나, 백화넙치인 경우는 대체로 비슷한 값이었다. 사료중의 단백질 함량은 미립자 사료 중 Cl이 가장 높았다. catechal oxidase의 활성은 기질과 조효소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며, 백화 유무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dopa oxidase활성도 동일한 결과였다. 정상넙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백화개체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피의 경우는 정상넙치가 백화넙치에 비하여 7.5배 가량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으로 비교했을 때, 미립자 사료는 Artemia와 Rotifer보다 우수한 단백질원이었다. 그리고 정상넙치의 함황아미노산의 함유량은 백화넙치의 6.3배에 달하였다. 비타민A는 정상 및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C는 정상인 넙치표피가 백화넙치 표피에 비해 약 7.8배였으며, 미립자 사료는 100.83mg/100g으로서 사료 중 가장 높았다. 따라서 넙치표피의 멜라닌색소의 생성에는 기질인 방향족 아미노산과 함황아미노산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albinic phenomenon of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rotein content, tyrosinase activity, amino acid composition, and contents of vitamin A and C. These materials in the flat-fish feed-stuff were also tested. The amount of skin protein was higher than that of muscle in normal flat-fish. Catechol and L-dopa oxidase activity did not differ between normal and albinic flat-fish. The free amino acid of skin in normal flat-fish was 7.5 times that in albinic one. Sulfur-containing amino acid in normal flat-fish was also 6.3 times that in albinic ones. Vitamin A was not detected in both of flat-fish. The content of vitamin C in normal flat-fish was 7.8 times that in albinic one. The contents of protein, sulfur-containing amino acid and vitamin C in micro-encapsulated feed (one commercial feed in Japan) were the highest among the feed-stuff used in this experiment. The melanin formation of flat-fish skin was affected by substrates such as aromatic amino acid and cofactor such as sulfur amino aci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회적 음주자에서 매운 맛 선호도가 급성 음주 반응에 대한 Naltrexone 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김성곤,김종현,박숙현,강철중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6

        Capsaicin과 알코올이 각각 중추신경 아편계 활성도를 증가시킨다는 선행 연구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운맛 선호도에 따라 급성 음주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와 급성 음주 반응에 naltrexone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12명의 의과대학 남학생을 대상으로 두 군으로 나눈 후 cross-over design을 사용하여, 한 군(6명)은 naltrexone 25 mg을 실험 1일째에, 50 mg을 실험 2일러에 주었고, 다른 군(6명)은 naltrexone 25 mg을 실험 8일째에, 50mg을 실험 9일째에 주었다. 실험 2일째와 9일째에 각대상자의 Biphasic Alcohol Effects Scale (BAES)로 측정한 급성 음주 반응과 음주갈망, 혈중알코을 농도 등을 음주 전, 음주(0.6 ml/kg) 후 15분, 30분, 60분에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 시 Food Preference Scale 점수에 따라 모든 대상자를 매운 맛을 선호하는 군(strong preference for hot food, SP)과 매운 맛을 덜 선호하는 군(lesser preference for hot food, LP)의 두 군으로 다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altrexone을 투여 여부에 관계없이 알코올의 급성 흥분 효과는 매운 맛 선호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LP에서도 naltrexone의 투여 여부에 따른 알코올의 급성 흥분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P에서는 알코올의 급성 흥분 효과가 naltrexone 투여 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2) 알코올의 급성 진정 효과, 음주 갈망 및 혈중 알코올 농도는 매운 맛 선호도 혹은 naltrexone 투여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매운맛을 선호하는 경우 알코올의 급성 흥분효과가 naltrexone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것으로 naltrexone이 매운맛을 선호하는 군에서 알코을 의존 재발 예방 효과가 더 클 가능성을 제시한다. Objectives : Both capsaicin, a pungent substance of hot food, and alcohol, are known to affect central opioid activity. The purpose of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subjective acute responses to alcohol and the effect of naltrexone on them among those who prefer hot food to varying degrees. Methods : Twelve male medica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sing a cross-over design. One group was given naltrexone on only the first (25 mg) and the second day (50 mg), and the other group was given naltrexone on only the eighth (25 mg) and the ninth day (50 mg). On the second and the ninth day, the acute effect of alcohol was assessed in all subjects, using the Biphasic Alcohol Effects Scale (BAES) just before drinking and at 15 minutes, 30 minutes and 60 minutes after drinking (0.6 ml/kg). Alcohol craving was also measur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for craving (VAS-C) an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at the same interval. For statistical analysis, subjects of both group were re-divided into two group, those with a strong preference and those with a less preference (LP) for hot (spicy) food (SP), using the Food Preference Scale. Results : 1) Repeated measures of ANOVA (2 preference groupsX4 time blocks) on the stimulative subscale of BAES yielded no significant group by block interaction of naltrexone administration. Repeated measures of ANOVA (2 drug groupsX4 time blocks) on the stimulative subscale of BAES revealed a significant group by block interaction in SP (p=0.028), but not in LP. The paired t-test revealed that significant suppression of the stimulative subscale of BAES was observed at 15 minutes and 30 minutes after drinking when naltrexone condition was compared with no-medication condition in SP(p=0.014 ; p=0.007). 2) For the sedative subscale ofBAES, VAS-C and BAC, repeated measures of ANOVA yielded nosignificant group by block interaction by either hot food preference or naltrexone administration. Conclusion : For those who prefer hot food, the effect of stimulative acute alcohol was suppressed by naltrexone. This result strongly suggests that naltrexone could prevent relapse more effectively in those who prefer hot 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