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온저장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로와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의 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환,김황용,한만종,최만영,황석조,이미숙,Kim, Jeong-Hwan,Kim, Hwang-Yong,Han, Man-Jong,Choi, Man-Young,Hwang, Seok-Jo,Lee, Mi-So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3

        미끌애꽃노린재와 칠레이리응애를 온도 6, 8, 10, $12{\pm}1^{\circ}C$, 습도 $70{\pm}10%$, 광주기 24시간 암조건에 저장하여 생존을, 산란수 등을 조사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 성충의 70% 생존율이 가장 높은 온도는 줄알락명나방 알을 제공한 $10^{\circ}C$로 저장기간은 36일이었다. 피장기간별 산란수는 $10^{\circ}C$에 $10{\sim}50$일까지 저장한 결과, $37.1{\sim}120.5$개로 무저장 산란수 224.5개 대비 산란율은 $16.5{\sim}53.7%$로 감소하였다. 칠레이리응애 성충의 생존율이 가장 높은 온도는 $8^{\circ}C$이다. 저장기간별 산란수는 $8^{\circ}C$에 점박이응애 알을 먹이로 제공하여 $7{\sim}42$일 저장한 결과, 산란수는 $11.9{\sim}18.9$개로 무저장 산란수 26.4개 대비 산란율은 $45.1{\sim}71.6%$로 감소하였다. We have investigated some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urvival rate and fecundity, of Orius laevigatus and Phytoseiulus persimilis, which have been stored at 6, 8, 10, $12{\pm}1^{\circ}C$, RH $70{\pm}10%$, in dark condition. Overall,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cold storage was $10^{\circ}C$ for O. laevigatus and $8^{\circ}C$ for P. persimilis. 70% of adult O. laevigatus could survive for 36 days at $10^{\circ}C$. The O. laevigatus stored at $10^{\circ}C$ for $10{\sim}50$ days laid $37.1{\sim}120.5$ eggs. Since fresh (no storage) O. laevigatus laid 224.5 eggs, comparative fecundity of stored adults was $16.5{\sim}53.7%$ of normal fecundity. P. persimilis stored at $8^{\circ}C$ for $7{\sim}2$ days with (food eggs of Tetranychus urticae) laid $11.9{\sim}18.9$ eggs. Since fresh P. persimilis laid 26.4 eggs, comparative fecundity of stored adults was $45.1{\sim}71.6%$ of normal fecundity.

      • KCI등재

        총채벌레 천적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김정환,김황용,변영웅,김용헌,Kim, Jeong-Hwan,Kim, Hwang-Yong,Byoun, Young-Woong,Kim, Yong-H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국내종인 으뜸애꽃노린재와 유럽종인 미끌애꽃노린재의 알, 약충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수명, 포식량 및 포장밀도에서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15{\sim}30^{\circ}C$에서 알 부화율은 각각 $46.7{\sim}88.2%$와 $65.0{\sim}89.9%$였고, 알기간은 각각 $3.1{\sim}14.9$일과 $3.1{\sim}13.5$일이었다. 두 종의 약충 발육기간은 각각 $9.4{\sim}42.8$일과 $9.3{\sim}42.0$일이었고, 약충기간 생존율은 각각 $2.4{\sim}96.5%$와 $4.3{\sim}80.6%$였다. 두 종의 산란수는 15,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28.1, 107.9, 123.6, 127.3, 18.1개와 101.8, 218.6, 224.5, 219.5, 15.7개였고, 성충수명은 각각 63.4, 40.1, 22.1, 18.3, 11.0일과 70.6, 66.4, 32.6, 34.5, 7.3일로 으뜸애꽃노린재에 비해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수가 많고 성충수명은 길었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온도와 일장에 의한 산란수는 $18^{\circ}C$, 16L:8D에서 각각 105.8개와 109.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1.0개와 63.0개였다. $25^{\circ}C$, 16L:8D에서 각각 142.4개와 191.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31.8개와 198.8개로 으뜸애꽃노린재는 $18^{\circ}C$, 10L:14D에서에 거의 모든 개체가 휴면하지만 미끌에꽃노린재는 휴면하지 않는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꽃노랑총채벌레 2령 하루 포식량은 각각 14.3마리와 10.9마리이다.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서 으뜸애꽃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에는 꽃당 1.8마리로 증가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3월 중순부터 증가하여 6월 상순에는 꽃당 6.6마리로 증가하는 과밀도 현상을 보였다. With the comparison of native Orius strigicollis (Poppius) to European O. laevigatus (Fieber), we investiga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period, fecundity, life span, predation ability, and augmentation after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five temperature condition, $15^{\circ}C\;20^{\circ}C,\;25^{\circ}C\;30^{\circ}C$, and $35^{\circ}C$. In the case of O. strigicollis, egg period was $3.1{\sim}14.9$ days (hatchability: $46.7{\sim}88.2%$),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4{\sim}42.8$ days (survival rate: $2.4{\sim}96.5%$).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28.1, 107.9, 123.6, 127.3, and 18.1, respectively. Life span of adults was 63.4, 40.1, 22.1, 18.3, and 11.0 day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O. laevigatus, egg period was $3.1{\sim}13.5$ days (hatchability: $65.0{\sim}89.9%$),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3{\sim}42.0$ (survival rate: $4.3{\sim}80.6%$) days.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101.8, 218.6, 224.5, 219.5, and 15.7. Life span of adults was 70.6, 66.4, 32.6, 34.5, and 7.3 days, respectively. In long-day condition (16L:8D), fecundity of O. strigicollis and O. laevigatus was 105.8 $(18^{\circ}C){\sim}142.4(25^{\circ}C)$ and 109.5 $(18^{\circ}C){\sim}191.5(25^{\circ}C)$, respectively. In short-day condition (10L:14D), fecundity of them was 1.0 $(18^{\circ}C){\sim}31.8(25^{\circ}C)$ and 63.0 $(18^{\circ}C){\sim}198.8(25^{\circ}C)$, respectively. Daily prey consumption of second instar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14.3 and 10.9, respectively. In greenhouse, density of O. strigicolli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y and peaked about early July (1.8 individual/flower), while that of O. laevigatu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rch and peaked about early June (6.6 individual/flower).

      • KCI등재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외부기생봉 굴파리좀벌 (Diglyphus isaea)의 생태적 특성 및 저장 조건 구명

        김정환,변영웅,김용헌,김황용,Kim, Jeong-Hwan,Byoun, Young-Woong,Kim, Yong-Heon,Kim, Hwang-Y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아메리카잎굴파리 외부기생봉인 굴파리좀벌의 온도별 알, 유충, 번데기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 저온 저장력 등을 조사하였다. 굴파리좀벌의 알기간, 유충기간, 번데기 기간은 $25^{\circ}C$에서 각각 1.3일, 4.5일, 6.3일이었다.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은 $25^{\circ}C$에서 각각 305.3마리, 657.0마리, 25.1일이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영기별 굴파리좀벌의 산란선호성과 흡즙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90.2%와 82.8%가 3령 유충에 집중되었다. 굴파리좀벌의 저온저장에 따른 50% 생존기간은 꿀물 20%희석 용액을 제공할 경우 $5^{\circ}C,\; 10^{\circ}C,\;15^{\circ}C$에서 각각 180일, 150일, 90일이었다. 굴파리좀벌 저온저장 후 산란수는 저장기간 30일, 70일, 140일에서 각각 190.8개, 104.0개, 89.4개였다.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lyphus isaea (Walker), an ectoparasite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At $25^{\circ}C$, development time of D. isaea was estimated as 1.3 days for eggs, 4.5 days for larvae and 6.3 days for pupae. Adult longevity was 25.1 days, and a female adult could lay 305.3 eggs throughout its lifetime. Number of L. trifolii parasitized or killed by the wasp was 962.2 individuals/adult. Most of all parasitized or killed larvae were identified as third instar. With 20% honeyed water as food source, half of the adults could survive 180 days at $5^{\circ}C$, 150 days at $10^{\circ}C$, and 90 days at $15^{\circ}C$. After storing at $10^{\circ}C$ with absolute honey for 30 days, 70 days and 140 days, a female adult in room temperature laid eggs 190.8 individuals, 104.0 individuals and 89.4 individuals, respectively.

      • KCI등재

        참딱부리긴노린재의 발육, 산란, 포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김정환,김황용,변영웅,최만영,강은진,Kim, Jeong-Hwan,Kim, Hwang-Young,Byeon, Young-Woong,Choi, Man-Young,Kang, Eun-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참딱부리긴노린재의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도 $20{\pm}1$, $25{\pm}1$, $30{\pm}1$, $35{\pm}1$, $37.5{\pm}1$, $40{\pm}1^{\circ}C$, 습도 $80{\pm}10%$, 광주기 16:8(L:D)에서 발육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알부터 성충우화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14.8^{\circ}C$, 유효적산온도는 399.1일도였다. $35^{\circ}C$에서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알 기간은 5.6일, 부화율은 81.1%, 약충 기간은 14.3일(1령 3.2, 2령 2.2, 3령 2.7, 4령 2.7, 5령 3.6일)이었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33.8일, 산란기간은 29.2일이었다. 총 산란수는 111.2개, 하루 최대산란수는 14.8개(7일차)였다. 알과 약충은 $37.5^{\circ}C$까지만 발육하고 $40^{\circ}C$에서는 발육하지 못했으며, $40^{\circ}C$에서 총 산란수는 22.1개였다. 참딱부리긴노린재 1령, 3령, 5령, 성충의 담배가루이 번데기 하루 포식량은 각각 1.9, 7,3, 18.7, 29.5마리였다.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Geocoris pallidipennis were investigated at a constant temperature ($20{\pm}1$, $25{\pm}1$, $30{\pm}1$, $35{\pm}1$, $37.5{\pm}1$ and $40{\pm}1^{\circ}C$), under long day illumination 16:8 (L:D) and constant relative humidity ($80{\pm}10%$). From egg to adulthood,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and the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 were $14.8^{\circ}C$ and 399.1 day-degree,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at $35^{\circ}C$ were as follows. The egg period was 5.6 days (hatchability: 81.1%) and the nymphal period was 14.3 days (1st: 3.2, 2nd: 2.2, 3rd: 2.7, 4th: 2.7, 5th: 3.6). Female longevity was 33.8 days and the oviposition period was 29.2 days. Total egg production was 111.2 eggs and the maximum daily egg production was 14.8 eggs (in 7th days). However, although some eggs and nymphs developed at $37.5^{\circ}C$, G. pallidipennis could not develop at $40^{\circ}C$, The total egg production at $40^{\circ}C$ was only 22.1 eggs. When G. pallidipennis was fed on Bemisia tabaci pupae, daily prey consumption by nymphs (1st, 3rd and 5th) and adults was 1.9, 7.3, 18.7 and 29.5, respectively.

      • KCI등재

        굴파리좀벌(Diglyphus isaea)을 이용한 시설재배 토마토 작형별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밀도억제 효과

        김정환,변영웅,이관석,김황용,Kim, Jeong-Hwan,Byoun, Young-Woong,Lee, Gwan-Seok,Kim, Hwang-Y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서로 다른 세 가지 시설재배 토마토 포장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기생천적인 굴파리좀벌의 인위적방사에 의한 밀도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봄 작형(3-7월)은 4월 하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밀도가 주당 1마리일 때부터 굴파리좀벌을 $m^2$당 0.5-1.7마리씩 6회(총 5.8 마리$/m^2$) 방사한 결과, 조사 시작기인 5월 17일에 비해 조사 종료기인 7월 6일의 아메리카잎굴파리 방제가는 97.6%였다. 방사종인 굴파리좀벌의 점유율은 88.9%로 우점 하였다. 여름 작형(6-10월)은 7월 상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밀도가 주당 0.4마리일 때부터 굴파리좀벌을 $m^2$당 0.3-0.4마리씩 5회(총 1.8 마리$/m^2$) 방사한 결과, 천적의 효과가 나타나는 7원 22일부터 11월 3일까지의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평균 치사율은 84.4%였다. 그러나 방사종인 굴파리좀벌의 점유율은 13.8%로 매우 낮은 반면, 나머지 86.2%는 외부에서 유입된 자생 잎굴파리 기생봉들이 점유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굴파리민좀벌(Chrysocharis penthus)이 58.5%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가을 작형(7-12월)은 9월 중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밀도가 주당 0.7마리일 때부터 굴파리좀벌을 $m^2$당 0.4-1.3마리씩 4회(총 2.7마리$/m^2$방사한 결과, 조사시작기 인 9월 22일 대배 조사 종료기인 12월 16일의 아메리카잎굴파리 방제가는 85.7%였다. 방사종인 굴파리좀벌의 점유율은 83.4%로 우점 하였다. Biological control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using Diglyphus isaea (Walker) has been evaluated in tomato greenhouse, for three seasonal culture types: spring type (March-July), summer type (June-October) and autumn type (July-December). For spring type, totally 5.8 $individuals/m^2$ of D. isaea has been released at six times from late April, when the density of L. trifolii was about 1.0 individuals/plant. Corrected mortality of Liriomyza trifolii caused by parasitoids was 97.6% at early July, and the proportion of D. isaea was 88.9% of all parasitoids collected in the greenhouse. In the case of summer type, totally 1.8 $individuals/m^2$ of D. isaea has been released at five times from early July, when the density of 1. trifolii was about 0.4 individuals/plant. Corrected mortality of L. trifolii caused by parasitoids was 84.4% during the whole season, but the proportion of D. isaea was very low (only 13.8%). Immigrating parasitoids such as Chrysocharis penthus were synchronized to control the leafminer in the greenhouse. For autumn type, totally 2.7$individuals/m^2$ of D. isaea has been released at four times from mid September, when the density of L. trifolii was about 0.7 individuals/plant. Corrected mortality of f. trifolii caused by parasitoids was 85.7% at mid December, and the proportion of the D. isaea was 83.4%.

      • KCI등재

        갈고리뱀잠자리붙이의 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김정환,조점래,이미숙,강은진,변영웅,김황용,최만영,Kim, Jeong-Hwan,Cho, Jum-Rae,Lee, Mi-Sook,Kang, Eun-Jin,Byeon, Young-Woong,Kim, Hwang-Yong,Choi, Man-Yo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는 온도(15, 20, 25, $30^{\circ}C$), 습도($70{\pm}10%$), 광주기(16L:8D)에서 갈고리뱀잠자리붙이의 생물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알에서부터 번데기까지의 발육영점온도 및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9.6^{\circ}C$ 및 270.3일도였다. $25^{\circ}C$에서 갈고리뱀잠자리붙이의 알 기간은 4.4일, 유충은 5.5일, 번데기는 6.9일이었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34.9일, 산란 기간은 28.7일이었고, 총 산란수는 515.2개, 1일 최대 산란수는 54.8개였다. $25^{\circ}C$에서 갈고리뱀잠자리붙이에 의한 싸리수염진딧물의 1령, 2령, 3령 및 성충의 일일 포식량은 각각 18.9, 47.2, 57.7 및 91.0마리이었다. 따라서 갈고리뱀잠자리붙이는 진딧물의 포식성 천적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own lacewing Micromus angulatus (Stephens)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15, 20, 25, and $30^{\circ}C$) and $70{\pm}10%$ relative humidity under a photoperiodic regime of 16:8(L:D) h. The developmental threshold and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 from egg to pupa for M. angulatus were $9.6^{\circ}C$ and 270.3 day-degrees, respectively.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gg, larva, and pupa at $25^{\circ}C$ was 4.4, 5.5, and 6.9 days. respectively. The longevity of an adult female M. angulatus was 34.9 days. The oviposition period for M. angulatus was 28.7 days, in which it laid a total number of 515.2 eggs during its life span. The maximum number of eggs laid by a female in a day was 54.8. Daily consumption by M. angulatus at $25^{\circ}C$ was 18.9 $1^{st}$ instars, 47.2 $2^{nd}$ instars, 57.7 $3^{rd}$ instars, and 91.0 adults of the glasshouse potato aphid, Aulacorthum solani. Therefore, M. angulatus could be a promising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aphids.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 학술연구자들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인문사회분야와 과학기술분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정환,김재훈,황재영,Kim, Jeong-Hwan,Kim, Jay-Hoon,Hwang, Jae-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3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이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학술연구자들은 종전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학술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달라진 정보환경에서 국내 박사과정 학술연구자들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5개의 범주내에서 13개의 질문 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집단 면접조사를 하였다. 5가지 범주는 (1) 일반적인 학술정보 활용 패턴 (2) 학술정보 활용 이유(태도), (3) IT Skill과 정보활용능력, (4) 물리적 도서관 이용 대비 전자정보 접근, (5) 전자정보 활용과 관련된 전반적인 견해 등이다. 특히,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자들과 과학기술분야 학술연구자들을 균등하게 선발하여 면접조사를 함으로써 두 집단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학술정보 활용 목적, 정보활용능력, 인쇄자료 대비 전자자료 활용 비율, 연구 아이디어나 지식을 얻는 경로 분야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학업이나 연구와 관련하여 주로 활용하는 자료, 즐겨찾는 학술 포털사이트 분야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digital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and IT change rapidly, researchers have utilized scientific information by relying on more complex and various media than before. This study performed a group interview with thirteen questions derived from five categories in order to understand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Korean doctoral researchers in this information environment. The five categories are (1) identifying information resource usage pattern, (2)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resources and reasons for use, (3) IT skills and information literacy, (4) physical library use vs electronic access, and (5) attitudes toward the digital libra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wo groups of researchers selected equally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in science and technology by doing the interview. The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goal of using scientific information, information literacy, the ratio of using written materials to electronic resources, and routes of acquiring research ideas or knowledg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materials used for studies or researches and in favorite scientific portal sites.

      • KCI등재

        파프리카의 겨울작형 시설재배에서 천적을 이용한 해충 밀도억제 효과

        김정환,변영웅,김황용,박창규,최만영,한만종,Kim, Jeong-Hwan,Byeon, Young-Woong,Kim, Hwang-Yong,Park, Chang-Gyu,Choi, Man-Young,Han, Man-J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 주로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2005년 11월과 2006년 2월에 2회에 걸쳐 $m^2$당 3.3마리를 방사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를 트랩 당 2.0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방제를 위해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2007년 1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4 회에 걸쳐 $m^2$당 232.3마리를 방사하여 담배가루이 밀도가 7월 말까지 트랩 당 6.6마리 이내로 억제되었으며, 8월 하순부터 담배가루이 성충이 외부에서 온실내로 급격히 많은 수가 유입되었으나 작기종료로 피해는 없었다.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방제를 위해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2008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7회에 걸쳐 $m^2$당 44.5마리를 방사하여 차응애 밀도를 잎 당 1.7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는데, 이는 담배가루이 천적인 지중해이리응애도 차응애를 포식하였기 때문이다. 전딧물 방제를 위해 진디벌뱅커플랜트를 $660m^2$당 5.5포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윌까지 7회에 걸쳐 $m^2$당 9.5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 밀도를 잎 당 2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natural enemy application against four insect pests on greenhouse sweet pepper in winter cropping system. Orius laevigatus ($3.3/m^2$) was released at two different times (Nov. 2005 & Feb. 2006) to control Frankliniella occidentalis, western flower thrips (WFT). Throughout the cropping season, the lowest level recorded of WFT was less than 2.0 individuals per yellow sticky trap. Amblyseius swirskii ($232.3/m^2$) was released four times (Nov. 2007 ~ Aug. 2008) to control Bemisia tabaci, tobacco whitefly (TWF). Until July 2008, TWF population had been suppressed lower than 6.6/trap. Phytoseiulus persimilis ($44.5/m^2$) was released seven times (Apr. 2008 ~ Aug. 2008) to control Tetranychus kanzawai, tea red spider mite (TRSM). As a result, TRSM population was suppressed lower than 1.7/1eaf. To control aphids, Aphidius colemani ($9.5/m^2$) was released seven times (Oct. 2004 ~ Jan. 2005), with the transplantation of banker plants ($5.5pot/660m^2$). As a whole, aphid's population has been successfully reduced to less than 2.0/leaf.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뇌졸중 후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김황용(Hwang-Yong Kim),허명(Myoung Heo),김다운(Da-Woon Kim),김정환(Jeong-Hwan Kim),곽연상(Yeon-Sang Kwak),손재광(Jae-Kwang Son),장환석(Hwan-Seok Jang),최경현(Kyeong-Hyeon Choi),이제성(Je-Seo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2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급속히 증가한 반면에 뇌졸중 재활분야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국내에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뇌졸중 상지기능 개선에 효과가 검증된 단계별 반복적 팔 보조 프로그램(Graded Repetitive Arm Supplementary Program ; GRASP)을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 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본인 상태에 맞게 3단계로 구성하여 동영상으로 제작한 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구글 플레이에 등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병원에서는 재활치료 후 남은 시간에 자가 운동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고, 퇴원 후 가정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이 쉽게 따라 운동 할 수 있는 자조관리 재활훈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뇌졸중 후 상지기능 회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Smartphone application programs for stroke rehabilitation are few, if any, in Korea while wireless internet access is getting much easier and general smartphone application programs are rapid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rtphone application program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of individuals with stroke, and to register it in the Google play. This study used the Graded Repetitive Arm Supplementary Program (GRASP) as the basic rehabilitation program and modified it for the Korean culture. GRASP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on improving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y of the individuals with stroke. The smartphone application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levels of video segments which were made by the researchers for the study.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pected to provide stroke patients with an useful guide to exercise by themselves at home or in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