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 ) (나비목: 잎말이나방과)의 우화와 교미 행동

        조점래,정진교,양창열,서보윤,염기홍,Cho, Jum Rae,Jung, Jin Kyo,Yang, Chang Yeol,Seo, Bo Yoon,Yum, Ki H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3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 (Matsumura))은 팥의 꽃과 꼬투리를 가해하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팥나방 성충 우화와 교미 시간대, 성충 나이 및 더듬이 제거가 교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충 우화는 16L:8D 광 조건에서 불이 켜지고 4시간 이내에 대부분 이뤄졌다. 대부분의 교미가 암 기간 동안 이뤄졌으나, 불이 켜진 직후에도 교미하는 개체들이 일부 관찰되었다. 우화 당일의 성충은 교미를 하지 않았으나 우화 후 4일된 성충의 교미율이 가장 높았다. 더듬이가 제거된 수컷 또는 암컷은 더듬이가 제거되지 않은 반대 성의 정상 성충과 교미를 하지 못하였다. The adzuki pod worm, Matsumuraeses phaseoli (Matsumura) is an insect pest that attacks the flowers and pods of Vigna angularis. The circadian rhythms of eclosion and mating, and the effects of age and antenna ablation on mating success, were investigated. With a photoperiodic regime of 16:8 (Light:Dark) h, most adult eclosion was observed within 4 h after lights-on. Most adult mating was observed during the scotophase, although some occurred within 2 h after lights-on. However, the adults did not copulate on the day of emergence. The mating rate increased with adult age: being higher in the 4-d-old adult pairs than pairs of lower age. Most of the antennectomized males or females did not copulate with normal individuals of the opposite sex.

      • KCI등재

        우리나라 천적 연구의 현황 및 미래 전략: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조점래,김정환,서미자,최선우,임언택,이경열,Cho, Jum Rae,Kim, Jeong Hwan,Seo, Meeja,Choi, Seon U,Lim, Un Taek,Lee, Kyeongyeoll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3

        Since 1995, researches on natural enemies have been conducted extensively in Korea. Research papers on natural enem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from 1990 to 2020 were 130, which is 8.4% of all published papers during the same period. In 1990s, most research papers study the searching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emies, whereas the proportion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field application using the developed natural enemies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0s. A total of 37 excellent natural enemi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24 indigenous and 13 introduced natural enemies. In addition, 28 kinds of booklets and/or manuals were developed for field application of natural enemies. Although success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achieved since that period, more researches on search for and/or introduction of excellent natural enemy suitable for the Korean cultivation environment, mass production technology that can reduce cost, and quality control program in producing and distributing natural enemy remain to be pursued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compatible way with natural enemies and other crop protection agents including synthetic insecticides. 우리나라의 천적 연구는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5여 년이 지난 지금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약 130편으로 전체 약 1,550편의 8.4%가 천적에 관한 논문이었다. 이들 논문 중에는 1990년대에는 천적을 탐색하여 생물적 특성 연구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았고, 2010년대에는 개발된 천적을 농가 현장에 적용하는 논문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국내 토착 천적이 24종, 도입 천적이 13종이 개발되어 총 37종의 우수 천적이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천적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천적 활용 기술서 및 매뉴얼을 약 28종 이상 개발되었다. 이처럼 지금까지 천적 탐색, 생물적 특성 연구, 및 생산·이용 기술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앞으로 추진하여야 할 과제도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농작물 재배상황에 맞는 우수 천적을 탐색하거나 도입하는 연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중 대량생산 기술, 천적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및 천적과 저독성 작물보호제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알기생벌 Telenomus remus Nixon (가칭: 밤나방검정알벌) [검정알벌과]의 첫 보고 및 생물적 특성 연구

        조점래,서보윤,최준열,이관석,서미자,김정환 한국환경생물학회 202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40 No.2

        In this study, Telenomus remus Nixon (Hymenoptera: Scelionidae) was first reported as a natural enemy of the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J.E. Smith) (Lepidoptera: Noctuidae) egg collected from corn fields in Korea, and its biological characteristics was stud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the parasitoid emerged from S. frugiperda eggs was identified as T. remus. We found that T. remus can attack the eggs of S. frugiperda, Spodoptera litra and Spodoptera exigua under a laboratory condition. The longevity of T. remus female adult was longer than that of male adult. The egg-to-adult period of T. remus was not affected by the host age and sex. T. remus female adult laid at least 1-3 eggs a day to a maximum of 37 or more eggs, and the most oviposited on the 3rd to 4th day after emergence. The host preference for oviposition of T. remus adult was high in the order of S. litura>S. exigua>S. frugiperda. T. remus preferred to parasitize 1- and 2-day-old host egg rather than 3-day-old host egg. When compared to the sex ratio of T. remus progeny, the rate of female progeny was higher at the initiation time of oviposition, while the proportion of male progen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female adult age, especially after 8-day-old adult. This information may be useful for improving T. remus mass rearing system and developing a biological control program to control S. frugiperda.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옥수수 포장에서 채집한 열대거세미나방 알덩어리로부터 우화한 알기생벌을 형태 및 분자동정하여 검정알벌과 (Scelionidae)의 Telenomus remus Nixon (1937) [(가칭)밤나방검정알벌]로 최초로 확인되었다. T. remus 성충의 수명 및 발육기간 (알-성충까지)은 기주 종류 및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T. remus 암컷 성충은 우화 후 바로 산란하고, 하루에 1~3개에서부터 최고 37개까지 산란하였으며, 우화 후 1~2일째 가장 많이 산란하였다. 총 산란수는 기주로 열대거세미나방 알을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118.4 (7.0~352.0)개, 담배거세미나방의 알에 서는 평균 164.9 (5.0~372.0)개로 담배거세미나방 알을 사용하였을 때 산란수가 많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T. remus의 산란 기주 선호도는 담배거세미나방>파밤나방>열대거세미나방 순으로 높았다. 기주 알의 나이에 따라 T. remus의 선호도가 달랐는데, 1~2일 된 알을 선호하였다. T. remus 자손의 암수 비율은 기주와 상관없이 암컷의 비율이 수컷보다 높았으며, 산란 초기에는 암컷 산자의 비율이 높다가 나이가 들수록 수컷 산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았다. 교미하지 않은 T. remus 암컷이 산란하여 부화한 경우, 100% 수컷 성충으로 arrhenotoky type의 단위생식을 보여주었으며, 교미하여 산란한 경우, 암수의 비율은 8.0 : 2.0로 암컷의 비율이 높았다. T. remus는 중복기생자 (gregarious egg parasitoid)가 아닌 단독기생자 (solitary egg parasitoid)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T. remus의 생물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는 실험실 조건에서 대량생산을 위한 정보로 활용하거나 생물적방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영기별 약제 감수성

        조점래,송원례,황선영,김홍선,이정운 한국응용곤충학회 199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5 No.3

        실내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영기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시험된 약제 모두 유충의 영기가 높아질수록 약제감수성은 낮았다. Chlorpyrifors-methyl과 chlorpyrifos의 독성은 3령부터, etofenprox+PAP와 deltamethrin은 2령부터 현저히 떨어졌다. 포트시험결과 deltamethrin을 제외한 4약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담배거세미나방의 방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야외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은 전 영기가 혼재되어 있고 영기별 약제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약제선택은 물론 유충 발생초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the laboratory study, the toxicities of chlorpyrifos-methyl, chlorpyrifos, etofenprox, etofenprox+PAF' and deltamethrin for different larval instars of S. litura decreased significantly as larvae aged. LCso values for chlorpyrifos- methyl and chlorpyrifo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rd instar larvae, while those for etofenprox+PAP and deltamethrin-increased from 2nd instar larvae. In pot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ol efficacy were observed among each treated plots and over 90% control efficacy at 5 d after treatment was obtained in all of the treated plots, except treatment with deltamethrin. Therefore four insecticides excluding deltamethrin will be effective for controlling S. litura. However, it will be probably important to select appropriate insecticides and decide a proper time of treatment because the developmental stage is a significant factor in deciding insecticide efficacy because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of the tobacco cutworm inhibit in fields.

      • KCI등재

        Electroantennogram and field responses of Korean population of the rice leaf 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Lepidoptera: Crambidae), to sex attractant candidates

        조점래,최경산,박홍현,엄기홍,정진교,서보윤,이민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16 No.1

        A series of studie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sex attractant for monitoring the rice leaf folder,Cnaphalocrocis medinalis, in Korea, based on the previously reported pheromone composition in this species. (Z)-13-Octadecenal (Z13-18:Al) was most active in electroantennogram (EAG) and field tests. (Z)-11-Hexadecenal (Z11-16:Al), (Z)-11-octadecenal (Z11-18:Al), (Z)-11-hexadecenyl acetate (Z11-16:Ac), (Z)-13-octadecenyl acetate (Z13-18:Ac) and (Z)-13-octadecenol (Z13-18:OH) individually elicited significant EAG responses, but were not individually attractive in field trials. (Z)-11-Octadecenol (Z11-18:OH) alone was inactive in both EAG and field tests. The addition of Z11-18:OH and Z13-18:OH to the binary mixture of Z11-18:Al and Z13-18:Al, as the previously reported composition of the Japanese ble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rap catches of males in field trials. In contrast, the Philippine and Indian blends were not attractive to this species. Interestingly, when Z13-18:Ac alone was added to the binary mixture of Z11-18:Al and Z13-18:Al, the trap catch number was the same as that of the Japanese blend.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four-component blend (Z11-18:Al/Z13-18:Al/Z11-18:OH/Z13-18:OH=11/100/24/36) and the three-component blend (Z11-18:Al/Z13-18:Al/Z13-18:Ac=11/100/11) can be used as sex attractants for monitoring the Korean populations of C. medinalis.

      • KCI등재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 성분에 대한 수컷의 촉각 반응

        조점래,김정환,서보윤,서미자,이관석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4

        본 연구는 성페로몬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 및 중복 교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페로몬 성분인 Z9-14:Ac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은 농도 의존적으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조사한 7성분 중 Z9-14:Ac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가장 컸다. 성페로몬의 혼합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단일 성분에 비해 컸다.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은 실험실 조건에서 중복교 미가 가능하고, 첫 교미율이 58.3%인데 비해서 두 번째 교미율이 72.2%로 증가하였다. 교미한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과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의 차이가 없었다. 성페로몬 트랩에 교미하지 않은 수컷이 시험기간 중에 포획되지 않았다. 대조구인 교미하지 않은 암컷 성충을 장착한 트랩에서도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은 포획되지 않았다. 비록 실내에서 교미한 수컷 성충은 성페로몬 성분에 대해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처럼 촉각 반응을 보였다고 할지라도 실제 야외 망실 하우스에서 교미를 한번 한 수컷 성충은 비행 능력 등 활력의 문제로 트랩에 포획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야외 노지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에 대한 수컷 성충의 유인 정도는 추후 좀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AG (electroantennogram) response of Spodoptera frugiperda male to sex pheromone compounds and whether or not S. frugiperda male adults would undergo double mating. The EAG response of S. frugiperda male adult to Z9-14:Ac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as the dose increased. Among the 7 sex pheromone components investigated, male EAG recording was the highest to Z9-14:Ac. The EAG response of S. frugiperda male adult to the mixed sex pheromone component was greater than that to the single component. Male adults of S. frugiperda were capable of double mating under laboratory condition, and the secondary mating rate increased to 72.2% compared to the 58.3% of primary mating rate. The EAG response of mated S. frugiperda male adul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unmated S. frugiperda male. In the net house test with sex pheromone lure, mated male adults were not captured during the test period. Also, strangely, unmated male adults were not captured even in a trap equipped with virgin female adults, although the antennae of mated male adult were responded to the sex pheromone component in the laboratory. Probably, it is thought that the mated male adults may not have been caught in the trap be due to flight ability which has been decreased after mating. The field attractiveness of S. frugiperda male adults to sex pheromones remains to be further elucidated.

      • 작물-해충-천적 상호작용에서 천적 유인물질 탐색

        조점래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개박하(catnip plant)에서 발견된 물질인 nepetalactol과 nepetalactone이 야외 칠성풀잠자리붙이를 유인하고(Boo et al. 1998), 해충이 식물체를 가해하면 식물체가 천적을 유인하기 위해 분비하는 휘발성물질에 대한 연구보고(Bouwmeester et al., 1999)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분비 휘발성물질은 초식성 곤충의 기주탐지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초식성 곤충 (Visser, 1986) 뿐만 아니라 이들의 천적(Tumlinson et al., 1992)도 유인하고, 산란행동이 이들 기주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조절됨(Hartlieb et al., 1999)에 따라 이러한 기작을 해충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Agepoulos et al., 1999). 농약살포로 해충의 약제저항성 유발, 천적류 감소, 및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농약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농약대체물질 개발 및 그 이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문제해충의 정확한 발생을 예찰하고, 방제를 위해 곤충 자체가 분비하는 성페로몬을 이용하거나 해충과 작물과의 관계에서 해충이 가해한 작물에서 분비되는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천적을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휘발성물질 탐색에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본 소모임에서 해충의 가해를 받은 식물이 분비한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목화진딧물이 가해를 받은 착새단고추가 분비하는 휘발성 물질이 천적을 유인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소개함과 동시에 작물-해충-천적 상호작용에 천적유인물질 탐색에 관련된 세부기술들 을 함께 검토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한 동시 교미교란제의 현장 적용 기술

        조점래,박창규,박일권,김용균,Cho, Jum-Rae,Park, Chang-Gyu,Park, Il-Kweon,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3

        교미교란(mating disruption, MD) 기술이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를 동시에 교미교란(simultaneous MD, SMD)하는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이 SMD 기술을 현장에 접목하는 데 필요한 요인들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MD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각 처리 지점에 10 mg의 성페로몬을 여러 가지 밀도로 사과나무에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 농도 가운데 두 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MD 효과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SMD 효과는 왁스 및 polyethylene 제형 모두에서 나타났다. 두 사과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 농도로 3월 말에 1회 처리한 경우 수확기까지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해 효과적 교미교란을 유지시켰다. 인근 무처리 과수원에서 SMD 처리 과수원으로 이주하여 들어오는 교미된 암컷의 이입을 막기 위해 울타리 처리 기술이 적용되었다. 암컷 유인제를 개발하기 위해 6종류의 사과 과실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 가운데 terpinyl acetate (TA)가 선발되었다. 서로 다른 TA 농도 처리에서 0.05%가 성충 유인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TA와 설탕을 혼합한 것을 암컷유살제(female attract-to-kill technique, FAKT)라 명명하였다. 사과 과수원 가장자리를 따라 6 m 간격으로 FAKT를 설치한 울타리 처리는 교미된 암컷을 포획하였고, 이들은 난황형성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난모세포를 지니고 있었다. FAKT가 가미된 SMD 처리는 높은 MD 효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SMD 단독 처리에 비해 신초 피해를 현격하게 줄였다. Mating disruption (MD) has been widely used to effectively control Grapholita molesta in apple orchards. A simultaneous mating disruption (SMD)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control both G. molesta and G. dimorph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actical parameters to apply the SMD technique to field conditions.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amount of SMD lures, a dispenser containing 10 mg pheromone was placed at different numbers of trees in an orchard. Application at every other tree (= one dispenser per two trees) was relatively safe to expect effective MD efficiency in both wax and polyethylene (PE) formulations. One time application at the end of March was enough to maintain a year round MD efficacy against both species. A fence treatment using food trap was applied to prevent any immigratory mated females from nearby untreated regions. To enhance the food trap by adding host-derived secondary compounds, terpinyl acetate (TA) was screened to be effective to attract females of Grapholita molesta among six compounds contained in apple fruit extracts. Among different TA concentrations, 0.05% TA treatment was the most effective to attract the adults. A mixture of TA and sugar was effective to attract and kill females and called FAKT (female attract-to-kill techniques). FAKT was treated at approximately 6 m interval at the edge of the apple orchards. The females trapped by the FAKT included mated females possessing vitellogenic oocytes. SMD supplemented with FAKT maintained the high MD efficacy and significantly suppressed leaf damage induced by the two insect pests compared to control or single SMD treatment.

      • KCI등재

        피망에서 브리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 증진 연구

        조점래,김정환,서보윤,박부용,서미자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4

        피망 작물에서 점박이응애 및 칠레이리응애의 수직 분포 및 확산 정도를 알아보고, 주간 브릿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확산은 점박이응애의 접종 밀도 및 위치에 따라 달랐다. 점박이응애를 상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하였을 경우 방사 5일까지도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머무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당 100 마리를 접종했을 때 이미 방사 1일차에 하위엽까지 이동하였다. 반면에 하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 후 1일차에 중·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3일차는 상위엽에만 존재하였다. 주당 100 마리를 접종한 경우 접종 1일차에 상위엽까지 이동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이후 칠레이리응애의 접종 위치에 따라 이들이 확산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점박이응애가 없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를 하위엽에 방사하여도 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상위엽에 방사하면 방사 후 3일까지 는 상위엽에 머물러 있었다. 점박이응애가 있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는 방사 이후 먹이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망 세개 주를 상부 또는 하부에 실로 연결하고, 2, 3번 작물에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후 1번 작물의 상·하위엽에 각각 칠레이리응애를 방사하였을 경우 연결된 실을 통해 이웃 작물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방사되는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증진하기 위해서 가능하다면 작물체 간격을 좁혀주거나 작물체를 인위적으로 연결하여 준다면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 가능하여 방사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방제효과도 크게 증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ispersion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Phytoseiulus persimilis, were investigated within and between green pepper plants.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an artificial bridge with threads on dispersal of P. persimilis between the plants. The extent of spread of T. urticae depended on its infested density and location. When 10 adults of T. urticae were inoculated on upper leaf, they stayed on the upper leaf until 5 days after inoculation. However, when 100 adults were inoculated on an upper leaf, they dispersed to the lower leaf within a day. In condition that 10 adults of T. urticae were inoculated on the lower leaf, they started to move toward upward within a day. In the absence of T. urticae, P. persimilis tended to move to the leaves where T. urticae was present when both T. urticae and P. persimilis were inoculated together within a plant. An artificial bridge with threads between two plants was helpful to disperse P. persimilis to neighboring plants. Therefore,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dispersal of P. persimilis can be promoted by supplying the artificial bridges among plants and by narrowing the distances between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