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 태조∼태종대 정치와 정치세력

        김윤주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조선 태조∼태종대의 정치변동에 따라 정치세력의 구성과 권력관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즉, 고려 말에 서로 다른 정치적 경험을 하였던 사람들이 건국 이후의 새로운 권력관계에 어떻게 편입되었고, 태조∼태종대 정치변동의 국면에서 어떠한 권력구조를 형성하였는지 살폈다. 고려 말의 이성계세력과 反이성계세력의 정치적 대립이 해소되면서 왕조 교체가 이루어진 만큼, 조선 건국 이후의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정치세력의 판도에서 나타났다. 일단 건국을 주도한 사람들은 개국공신에 책봉되면서 지배층의 상층부를 점하였고, 태조대의 정치운영을 주도하였다. 그들은 기존의 체제를 고수한다는 원칙 아래 제도 개혁을 점차적으로 진행시켰고, 새 왕실의 당위성을 인정하는 지배층을 포용함으로써 정치적 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천여 명의 개국원종공신을 책봉한 것은 지배층에 새 왕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한편, 고려 말에 反이성계세력이었던 사람들 일부가 정계에 복귀하였다. 조선왕조가 고려 말의 갈등과 대립을 타협과 조정으로 풀어나가고자 한 데에는 기존 구세력의 사회적 위상을 무시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그들을 등용하여 건국 초의 정치적 안정에 도움을 받고자 하였던 의도가 있었다. 태조는 왕권을 강화하기보다는 국가와 왕실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력한 편이었는데, 이러한 상황 하에서 태조는 도평의사사 체제를 통해 개국공신과의 협력과 논의를 바탕으로 하는 ‘君臣共議’의 정치운영을 행하였다. 도평의사사의 구성원이 대부분 공신으로 구성되었고, 그들이 여러 주요 아문의 수장까지 겸하고 있었던 정황을 보았을 때, 도평의사사가 국정의 현안을 토론하고 결정하는 주요 기구였음이 파악 가능하였다. 태조는 건국 초기의 왕실 기반을 안정시키기 위해 대신과 종친에게 兵權을 分掌시키는 체제를 가동시켰다. 그리하여 신의왕후 소생 왕자들을 비롯한 종친들도 병권분장체제를 통해 상당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태조대 중반 이후 병권이 정도전 등의 대신에게 집중되면서 대신과 종친의 권력관계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그것이 陣圖 훈련을 익히지 않은 절제사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핵사태로 이어지고 정도전⋅남은이 요동 공벌을 추진하는 움직임과 맞물리게 되면서, 제1차 왕자의 난이 발생하였다. 이후 왕위는 정종이 물려받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이방원에게 집중되었다. 이후 이방원은 제2차 왕자의 난을 겪고 나서 왕위에 올랐다. 태종은 권력 싸움에서 이기고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국왕으로서의 권위와 권력 강화에 노력하였다. 그는 왕권을 지지해주고 향후 정치운영에 도움이 될 공신들을 필요로 했다. 태종은 공신세력의 향배가 정치변동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깊게 인식하였고, 정권의 지지기반이 될 수 있도록 각 공신이 단합하기를 원하였다. 태종 4년(1404)에 개최된 개국⋅정사⋅좌명공신의 회맹은 공신을 결집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공신세력은 의정부⋅육조⋅사헌부 등을 장악하였으며, 특정 사안이 발생할 때마다 그들 공동의 입장을 내세우며 정치 운영의 구심점이 되었다. 한편, 태종은 기존에 왕조 교체를 반대한 이력이 있는 사람들을 더욱 적극적으로 포용하고자 했다. 태종 원년(1401) 권근의 주장에 따라 정몽주⋅김약항⋅길재를 節義의 표상으로 받들어 추숭했는데, 이후 前歷으로 인해 정계 진출에 제약을 받는 경우는 점점 사라져갔다. 정치체제와 법제 등에서는 구조적인 전환이 모색되었다. 국가 守成을 위해 본격적인 제도 개편이 이루어졌다. 태종대에는 고려 말의 법제에서 ‘묵은 폐단[舊弊]’으로 분류된 것을 없애고 중국의 역대 제도를 참고하여 좀 더 ‘朝鮮的’인 정치체제와 법제를 구축하려는 시도가 많아졌다. 이에 대해 당시의 정치세력은 ‘維新의 정치’를 이루게 되었다고 스스로 평가하기도 하였다. 태종대에는 국왕 권력의 상대적인 우월성을 더욱 강조하는 ‘君臣之分’의 엄격한 실천이 요구되었다. 이는 국왕의 권력이 강할수록 국가와 종사의 안정을 이룰 수 있다는 태종의 신념에서 비롯하기도 했지만, 국왕을 정점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지배체제를 갖추고자 하는 정치세력의 의도와도 부합하였다. 그리고 태종은 왕실 친인척의 권력을 제약하기 위해 『春秋公羊傳』의 ‘君親無將’ 원칙을 활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원칙은 유교적 군주라는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왕자의 난’과 같은 변란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었다. 태종 14년(1414), 정치적 협력을 통해 정치운영을 해왔던 태종과 공신들은 후계 구도를 염두에 두고 정치세력의 재편을 강구하였다. 태종은 나이와 덕망을 고려하여 공신을 육조보다는 의정부에 소속시키려 했고, 공신들도 이에 동의하였다. 태종은 집권 초부터 후계 구도를 고려하고 있었다. 태종은 본인의 경험상 적법하지 못한 왕위 계승 절차가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측면을 잘 알고 있었다. 태종은 선양을 한 후에라도 상왕으로서 병권과 인사권만 쥐고 있다면, 정치적 변란이 발생한 소지를 없앨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결국 태종은 선양을 통해 왕위를 넘겨주었고, 兩上체제를 지속하는 가운데 권력은 안정적으로 세종에게 이양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change generated in the formation of political power and the relation of power according to the shift in politics from king Taejo's reign to king Taejong's of the Joseon Dynasty. That is, this thesis looked into how those people who had gone through political experience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would be assigned to new power relationship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and what power structure they formed in the shift in politics from king Taejo's reign to king Taejong's. As the dynasty had shifted after the resolution of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power for Yi Seong-gye and against Yi Seong-gye, most dominant change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appeared in political relationship. Those people led the foundation were installed as Gaeguk meritorious retainers, occupying the upper part of the ruling class and taking the led in political oper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They proceeded system reform gradually under the principle that they would keep existing system, and embraced the ruling class which accepted the appropriateness new royal family aiming at stable security of political base. First above all, the installation of about 1,396 of Gaeguk meritorious retainer was very effective in instilling positive recognition on new dynasty into the ruling class. Meanwhile, some of Yi Seong-gye's opponents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returned to political world. The intention of Joseon Dynasty that attempted to settle down the conflicts and oppositions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with compromise and modification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ocial status of former powers wasn't negligible, and to get help from the old powers by appointing them for the political stability in the early foundation. King Taejo concentrated on setting up the basis for the nation and royal family rather than on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nd under such situation, he operated politics which was conducted through the 'consultation between the sovereign and subject[君臣共議]' based on the collaboration and discussion with Gaeguk meritorious retainers through Dopyeonguisasa system[Office of Joint Councilors].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members of Dopyeonguisasa were the meritorious retainer, and also were the heads of major public offices, it's easily understandable that it was a major organization at where discussion and decision on the national affairs were made. King Taejo ran the system of distributing military power to portfolios and royal family aiming at stable base of royal family in the early stage of national foundation. As the result, royal family including the princes by Queen Sinui exercised considerable level of influence through the military power distribution system. However, as the military power became concentrated on the portfolios including Jung Do-Jeon when the reign of King Taejo had reached the middle term, he relationship between portfolios and royal family became endangered. That caused extensive impeachment against Jeoljesas(節制使) who hadn't get trained Jindo(陣圖) training, ending up in the outbreak of the first Revolt of the Prince as the impeachment situation interlinked with the movement of attacking Liadong pursued by Jeong Do-jeon and Nam Uen. After then, King Jeongjong ascended to the throne, but actual power was concentrated on Yi Bang-won. After the second Revolt of the Prince, Yi Bang-won succeeded to the throne. As King Taejong succeeded to the throne as the result of victory from power struggle, he tried to strengthen his authority and power as a king. He was in need of meritorious retainers who will support his royal authority and help him for hereafter political operation. He deeply perceived that the attitudes of meritorious retainers affect the shift of politics greatly, and so he wanted the meritorious retainers to unite as the supportive base for his power. The covenant of Gaeguk⋅Jungsa⋅Jwamyeong meritorious retainers that held in 1404(4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was the chance for the meritorious retainers to unite. Since then, the enfluence of meritorious retainers seized Uijungbu[State Council], Yukjo[Six Ministries], and Saheonbu[Inspection Institute] and became the pivotal figure putting forth their collaborative position whenever specific issues happened. Meanwhile, king Taejong wanted to accept more actively those people who opposed the shift of dynasty. In 1401(1st year of King Taejong's reign), King Taejong looked up to Jeong Mong-ju, Kim Yak-hang, Gil Jae as the symbols of fidelity, resulting in the withering of restriction to entering into political world due to one's past. A structural switch was looked into in Political system and legislative system. Full-scale of system swift was conducted to succeed ancestors' accomplishment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there were many attempts of eliminating the things classified as old abuses from the legislative system of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n building up the political and legislative systems more like Joseon Dynasty referring to Chinese systems of many generations. For this, the political force at that time assessed themselves that they had achieved 'the politics of revitalizing reform'. In the reign of King Taejong, a strict practice of 'discriminated status between the sovereign and subject[君臣之分]' which emphasizes the relative superiority of king's force was required. It was attributed to the King Taejong's belief that the stronger stability in the nation and the heir of the main family of a clan goes with the stronger king's force, which was in 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of the political power which wanted centralist control system with the king at its peak. Besides, King Taejong applied the principle of 'sovereign's relatives are not allowed to resist against the sovereign[君親無將]' of ≪Chunchugongyangjeon(春秋公羊傳, Gongyang commentary to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biography)≫. Such principle could prevent the recurrence of uprising like Revolt of the Prince without harming the image of Confucian sovereign. In 1414(14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the king and meritorious retainers that operated politics through political collaboration conceived to reorganize political force with succession structure in their mind. King Taejong tried to assign meritorious retainers to Uijungbu rather than to Yukjo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ir ages and high moral reputes and the meritorious retainers agreed it. Such succession structure has been in his mind from the early stage of his reign. King Taejong knew well the negative aspect of improper procedur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through his experience. He was sure to avoid the potential of political uprising he kept holding military power and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as the abdicated king after turned over the throne. after all, King Taejong vacated the throne, and the power devolved on King Sejong stably in the midst of Dual-Kingship system being in operation.

      • 아동복지시설의 기능변화와 지역아동복지센터 운영 방안 연구

        김윤주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Functional Changes in Child Welfare Facilities and the Management of Local Child Welfare Centers kim, yun ju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hanges there were in the roles and function of child welfare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ir growth as primary part of a child welfare delivery system and how they could newly function as local child welfare centers to address problems with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with local children and their needs. And it's also meant to make a case study of model local child welfare centers in terms of management in an effort to suggest in which way child welfare facilities could serve as local child welfare centers providing inclusive and professional servic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is study: 1. Discuss the necessity of local child welfare centers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ing roles and functions of child welfare facilities. 2. Examine the state and management of local child welfare centers providing inclusive local services to find out what problems they are faced with. 3. Investigate in which way local child welfare centers should be managed and how child welfare facilities could function as a delivery system of integrated professional services for local community. After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hich was one of qualitative approaches. The literature investigated included relevant textbooks, dissertations, academic books, statistical data released by government agencies, online materials and data on the state, performance and programs of local child welfare center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nine employees from Blue Town Child Center.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problems with the model local child welfare centers were as follows: First, a shortage of childcare personnels and ensuing heavy workload resulted in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service. Second, material resources available were deficient. The local child welfare center wasn't funded enough to provide all the food service,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geared toward improving children's ability, leisure life or cultural life, all sorts of other programs and even support for families. More realistic financial aid was required to allow the center to offer a wide variety of professional programs. Third, children didn't take part in programs provided by the local child welfare center a lot nor had interest in them. Locals weren't well informed about what the local child welfare center did.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the management of local child welfare centers: First, more specialized and integrative child welfare services are required. Local child welfare centers should be responsible for providing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services, taking care of ordinary children as well as children in need of special care and even offering supportive service for local community to which the children belong. Second, a securement of sufficient finance is required to ensure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local child welfare centers. Their budget should be regulated to a realistic level by estimating how much it actually costs to run the centers. They must be aided in terms of personnel expenses, and the working fund should be increased to a realistic level. Besides, giving better treatment to workers is one of problems that need an immediate attention. Third, there should be a network between them and local community. Networks that link all the public and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should be set up, and it's needed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the discovery and use of private resources available and for local resident involvement. The use of private resources makes it possible to overcome the financial deficiency of the nation and the limits of the publ... [ 국 문 요 약 ] 아동복지시설의 기능변화와 지역아동복지센터 운영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윤주 본 연구는 기존의 주요한 아동복지전달체계인 아동복지시설의 발전과정과 변화추이에 따라 아동복지시설의 역할과 기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 아동복지시설들이 보호아동과 지역아동의 문제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역아동복지센터로의 기능 변화를 제시하고, 지역 아동복지센터의 시범운영 사례 연구를 통해 아동복지시설이 지역사회의 통합적 전문서비스를 제공할 지역아동복지 전달체계로의 기능을 할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아동복지시설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에 따른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설치운영 필요성을 살펴보고, 둘째, 지역사회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지역아동복지센터의 현황과 운영사례를 통해 지역아동복지센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셋째,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운영방안을 통해 아동복지시설이 지역사회의 통합적 전문서비스 전달체계로 발전해 나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질적 방법 중의 하나인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를 위해서 관련 교과서, 논문, 학술서적과 정부기관 발행관련자료 통계자료 및 인터넷자료,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사업현황과 실적, 프로그램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푸른마을아동센터에 근무 중인 직원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시범운영 중인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운영에서 다음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첫째, 아동관리 인력부족으로 인한 업무과중에 따른 서비스의 질의 저하이다. 둘째, 물적자원의 부족이다. 현재 지역아동복지센터에 지원하고 있는 운영비로 급식, 공부,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아동의 특기, 여가, 문화프로그램 등을 개발·보급하며, 가족에 대한 지원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수준의 재정적 지원이 따라주어야 한다. 셋째, 아동의 참여도과 관심부족이다. 지역주민에게 지역아동센터의 기능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심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운영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아동복지 종합기능 수행에 따른 전문 서비스 제공이다. 지역아동복지센터는 교육, 사회복지서비스, 보호가 필요한 아동 및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보완적 기능은 물론, 아동을 둘러싼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지지적 서비스 기능까지 담당하여야한다. 둘째,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안정적 재정확보이다.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운영에 실제 소요되는 평균 비용을 구체적으로 추산하여 예산을 현실적인 수준으로 확대 지원해야 하며, 인건비 지원은 당연한 것이기에 지역아동센터로의 현실적 운영비 지원과 함께 종사자 처우개선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다. 공공·민간 복지네트워크에 의한 복지기관간 연계망 구축과 더불어 민간 자원의 발굴 연계 및 주민참여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국가 재정 및 공적제도의 한계를 보완하는 복지공동체를 실현하여 확대된 복지인프라를 지역단위 네트워크에 정착시켜 효율적인 서비스 공급시스템을 구축하여 아동복지의 질을 향상 시켜야 한다. 넷째, 기존 아동복지시설의 자원활용 및 확보이다. 기존 아동복지시설과 공존을 통하여 유휴공간의 확보나 인적․물적 자원의 확보 면에 있어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보다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자원활용 노력을 통하여 지역아동복지센터만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 진로 탐색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농촌지역 고등학생의 진로의사 결정 능력과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주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탐색 집단 상담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 및 진로 성숙도 향상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강원도 화천군 농촌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학생 3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그중 17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여 총 12회에 걸쳐 진로 탐색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고 19명을 통제 집단으로 하여 집단 상담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두 집단에 대해 각각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진로 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농촌 지역 고등학생의 의사 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의 검증은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농촌지역 고등학생들의 진로의사 결정에서는 차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진로 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진로성숙도의 태도점수와 능력 점수가 실시하지 않은 집단보다 유의한차로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진로성숙도의 태도 부분의 계획성과 독립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험 집단의 태도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진로성숙도의 능력 부분 중 직업 세계의 이해 능력과 직업 선택의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험 집단의 능력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진로 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의 태도 및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진로 상담에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폭넓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자기 평가 보고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김윤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의 평가 방법을 따라가고 있고, 수행평가라는 이름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대부분 지필식의 평가가 대부분이다. 이런 현실에서 학생들은 수학 학습 평가의 결과에 따라 흥미와 자신감을 잃어버리고 수학 학습에 있어서 교육 소외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입시제도의 개선과 더불어 학습자의 다양한 개성 계발, 잠재 능력의 배양,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수행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였는데 평가방법과 지침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수학 교과 특성상 학습부진을 겪고 있는 많은 학생들에게 적용할 평가자료 또한 너무 어렵게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행평가의 유형 중『자기평가 보고서』를 선택하여 『자기평가 보고서』의 실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검증해 보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서울 S중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정수와 유리수 단원을 중심으로 실험집단(37명)은 자기평가 보고서를 비교집단(37명)은 전통적인 계산위주의 평가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험 후 전체 집단의 학업성취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둘째, 전체집단의 사전 조사를 통해 수준별로 상⋅중⋅하위 집단으로 분류 하였는데 그 결과 특히 실험집단의 중위집단의 성적이 비교집단의 중위집단의 성적보다 조금 더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중위집단의 학생들 스스로가 다시 한 번 학습내용을 상기할 수 있게 활동하고 스스로를 평가해보는 과정에서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을 판단하여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짧은 기간에 짧은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는 하나 자기평가 보고서의 실시가 중위집단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효과적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상위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은 상위집단의 학생들은 학습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학습능력과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고 단기간에 실시된 자기평가 보고서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실험에서 사용된 평가지의 문항이 상위집단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하위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은 자기 평가 보고서가 하위집단의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태도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해 본다. 자기평가 보고서는 수업 종료 전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다 보니 여러 가지의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능력, 학습 내용 이해 정도 등을 판단하여 학습 능력 신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시간 안에 학생들에게 효과적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 평가 항목과 활용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in terms of math academic achievement are there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a self-evaluation report, and a comparative group, which conducted a calculation-based evaluation?" To conduct this study, each of two classes in the first grade in S Middle School in Seoul was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as each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37 students) conducted a self-evaluation report, and the comparative group (37 students) conducted a conventional evaluation. Through this study,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 of the whole group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experiment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being . Second,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each of the whole groups w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subgroups. As a result, particularly, the middle subgroup of the experimental group clearly showed a small improvem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reason of this was determined to be effective because it helped learning of the students in the middle subgroup in the process that it reminded the students of the learning materials, facilitated them to form math concepts, and helped them to identify their own problems and insufficient areas. Although this was conducted in a short time in a short term, but conducting 'a self-evaluation report' can be considered effective for math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 subgroup. The reason that the upper sub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upper subgroup students had learning ability to understand learn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mselves by themselves, and therefore they are not affected by the effect of a self-evaluation report. Also,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determined to be not effective for the upper subgroup students. In addition, the reason that the lower sub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s thought to be because there were not sufficient factors causing the lower subgroup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and attitude for learning.

      • 특수교육보조원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김윤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used a special assistan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ake advantage of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problem and the purpose was to find ways to improve. This research is the subject of a special school for mentally disabled in Daegu four people of the special teachers, parents, four people were involved. Visit the school to conduct in-depth discussion, and as you've never met, e-mail and phone survey of parents of 2. Based on leading research to creat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depth discussi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ook at the recognition of special teachers and parents, special assistant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 role that will handle the danger, maladjustment arbitration act, move, and said suppor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must be placed first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And depending on the student's disability should be plac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lasses. The teachers and parents is the same opinion.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qualifications conditions and needs more than had high expectations. If they have problems in safety management of the student responsible for the problem was with a special teacher who is responsible, parents, administrators, teachers, special education assistant was the opinion of all responsibility. The school personnel management must be managed directly from the two groups were identical. Second, special teachers and parents to take advantage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creased satisfaction. Third, the special problems, and improve teacher training an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has to. And parents demand more of the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Special teachers and parents to improve maintenance of the common opinion that the requirements were less. Proposal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Daegu, a limited number of areas and there is a limit to apply the results were to generalize. Second, to expand into other disorders were the need to study. Third, this research assistant in the special education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low pay and insecure forms of employment was about to be taken to improve this.

      • 운보 김기창의 회화연구-1970년 이후의 바보화풍을 중심으로

        김윤주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88-Year-Anniversary-Exhibition of painter Unbo Kim Ki-chang, who has been playing a bridgehead role of painting history of Korea in spite of having trouble with lost of auditory sense, was held in July 2000. 「'Babo'("Simpleton") Art 88 year s」, the title of exhibition, just like he said, “‘Babo’ is incomplete and there is no end on art, so there is no complete art. That's the reason why I paint ‘Babo' landscape", it has tendency of recollection. There is scarcely a painter who holds a exhibition title of the 88-Year- Anniversary-Exhibition in all modern painter of Korea's painting society. A living advanced aged leading man, Unbo's this exhibit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the second 88-Year-Anniversary-Exhibition in Korea's painting history. The world of Unbo's art, through the long time about 60 years, are as complicative as our modern history of art and has a little difficult problem because a periodic experiment or trend has a characteristic which is often generated simultaneously. However his early realistic works accomplish foundation which are reflected on humors and jokes based on a vivid description. The world of his works are various in change of style and the subjects are originated from the manners, which shows a certain consistency. After 1975, he became absorbed in modernizing work for technique of folk painting and ideological base of late Chosun Period with diverse subject matter like landscape, flowers, birds, and etc in his <Babo Painting>. On this article, we are to study 'Babo' painting, which tries to creative work which remasterize unique artistic property of folk painting which was mainly trend and concentrated made in short time after 1975, focus on formative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 We looked into the meaning of this study in part Ⅰ and were to understand the stream of world of his work through his whole life so far in part Ⅱ. Finally, in part Ⅲ, we divided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Babo' painting in two separate period focused on the folk painting and it's elements then grasped the work trend and characteristic of both period. 청각을 잃은 신체장애를 딛고 한국 근대 미술 후반의 핵심적 위 치로부터 현대 미술에 이르는 회화사의 교두보 역할을 한 작가인 운보(雲甫) 김기창(金基昶) 화백의 미수전(米壽展)이 2000년 7월에 열렸다. “바보란 덜 된 것이며 예술은 끝이 없으니 완성된 예술은 없다. 그래서 바보산수를 그린다.”라고 한 그의 말처럼 「바보예술 88년」 이라는 제목이 붙은 미수전은 화력 60년을 넘는 인생만년의 전시회 여서 회고전(回顧展)의 성격이 짙다. 우리 화단에서 근?현대 작가를 통틀어 미수전이란 이름을 걸고 전시회를 펼친 작가는 손으로 꼽을 정도라고 한다. 현재 생존하는 고령의 거목인 운보의 이번 전시는 우리 미술사상 두 번째의 미수 전으로 그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운보의 예술세계는 60여년이라는 긴 시기에 걸쳐 우리 근?현대 미술사만큼이나 다소 복잡한 구분이 가해지고 시대별 실험이나 경 향이 동시다발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어 난해한 점도 없지 않으나 초기의 사실 경향의 작품들은 탄탄한 사실묘사력을 바탕으로 해학 과 익살이 반영된 경향을 구사하는 토대를 이룬다. 그의 작품세계는 양식의 변화가 다양한 가운데 주제는 풍속에 기 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주제에 있어서 어떤 일관성을 보여주 고 있는 부분이다. 1975년 이후 그는 <바보회화>에서 산수, 화조 등 에 걸쳐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조선시대 후기의 민화적인 기법과 사상적인 근거를 현대화하는 작업에 몰입하게된다. 미수전에는 운보의 전 경향에 걸친 대표작들이 전시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75년 이후 짧은 시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된 대표적 경향 인 민화가 지니는 독특한 예술성을 재 구현해내는 창조적 작업을 시도한 바보회화(바보산수, 바보화조, 서상도, 장생도)를 조형적, 사 상적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의의를, 제 Ⅱ장에서는 운보의 전 생애를 통 하여 표현된 그의 작품세계의 흐름을 파악하고, Ⅲ장에서는 풍속화 와 민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조형적 특성과 바보회화를 두 시기 로 나누어 그 시기의 작품경향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키팔 활동이 초등 영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김윤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 교육에서 키팔 활동이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영역과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 키팔 활동이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와 영어 읽기 및 쓰기의 학습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62명을 대상으로 총 16주에 걸쳐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은 키팔 활동의 방법으로 전자 우편(email)을 통한 교류 활동, 국제 우편을 통한 교류 활동, 화상 대화를 통한 교류 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내용과 편지를 쓰고 읽는 활동을 하였고, 비교반은 현행 교과서의 일반적인 지도 방법으로 단어 읽기와 쓰기 학습을 하였다. 실험 연구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영어 학습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팔 활동이 영어 정의적인 태도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p=.000), 편지 쓰기에 대한 성취감(p=.000), 영어 수업에의 적극적인 참여도(p=.005),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효과(p=.001), 영어 쓰기 능력에 대한 효과(p=.000), 영어권 문화 이해(p=.000), 키팔 활동을 계속 하고 싶은가(p=.000) 등의 항목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 수준 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실험반 학생들이 키팔 활동을 통해 영어 학습과 영어권 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키팔 활동을 한 실험반과 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한 비교반의 사후 평가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에 비해 평균 점수는 조금 높았으나, 유의 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 이유로는 1) 실험 연구 기간의 한정, 2) 영어 평가 도구와 키팔 활동의 연계성 부족, 3) 학습자들의 영어 편지 쓰기에 대한 부담감 등이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키팔 활동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는 활동이지만 영어 학습 능력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서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서 운영되어야 하겠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키팔 활동은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고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내지 못하였지만 교육과정과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면서 장기간에 걸친 학습 활동으로 편성하면 상당한 효과를 거두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ach English based on keypal activities such as e-mails, portal mails and video conference,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nd interes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Are keypal activities effective for encouraging th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2. Are keypal activities significantly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6th grader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two classes of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who showed approximately the same English proficiency in a test of English reading writing. The subjects were taught for 16 weeks. The experiment group focused on exchanging activities in class. They exchanged e-mails and portal mails, and had video conferences.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traditionally using the textbook and the teacher's manual.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keypal activities, the students were given a post-experiment test and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keypa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e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p=.000; the achievement in writing letters p=.000; the rate of positive participation in English learning p=.005; the effect on English reading p=.001; the effect on Engilsh writing p=.000; the understanding of English culture p=.000; the desire of continuation for keypal activity p=.000). The interest of the experiment group by itself increas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keypal approach focused is more effective than the textbook approach in enhancing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 students did not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through the keypal activities. When the students took a test after the experiment, there wasn't much different in the scores that they took before the experiment. This is perhaps because the keypal activities were not closely related with the current English curriculum.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related with our curriculum of English to make it more effective and to keep it for a long period even though keypal activities affect positively on students' affective filter, It would be go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through keypal activity because the students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their interest. Therefore, it would be go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keep learning English by themselves if teachers keep this activity for longer period.

      •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적 자본 : S시 데일카네기 ceo과정 교육참여자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100세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 글로벌 경쟁사회,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빅 데이터, 평생학습사회 등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우리 사회를 규정하는 다양한 단어들 속에서 덩달아 정신없이 쫓기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시대적 맥락과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의 끊임없는 노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학습은 곧 인간의 본능적 욕구이자 건강과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의미 있는 타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고 그 학습을 통해 인간은 성장한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라면,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는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끊임없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사회 환경 속에서 ‘나’를 형성하고 ‘의미 있는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를 통해서 만난 사람들이 그 만남을 통해서 신뢰나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데 있어 구성원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한다. 또한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학습과 실천으로 이어지고, 그들의 독자적인 학습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 어떤 도움이 되는지를 검토해 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