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구 지역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음악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태웅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초등학교 시기는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성장․발달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한 인간이 평생을 살기 위해 당연히 갖추어야하는 학습습관과 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정서는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아동에게 크게 영향을 끼치며 올바른 정서를 갖춘 아동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조화롭고 자신의 자아실현을 위해 끊임없이 열중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초등학교 시기에 올바른 정서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세계화추진위원회는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10대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중 단기과제의 하나인 「방과 후 아동지도제도 도입」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에 따른 자녀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과 사회가 함께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교육해야 할 책무가 있음을 제시했다. 이는 더 이상 아동의 방과 후 지도는 가정만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가 그 해결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해야 할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지금까지 각 가정에서 맡아오던 아동의 보호 및 지도에 대한 책임을 이제는 사회가 분담해야 할 시기가 되었음을 고지하고, 아동보호의 공적 책임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맞벌이 부부와 편모․편부의 취업활동을 돕고, 아동들을 안전하게 보호․지도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구되는 부분이다. 아동의 방과 후 시간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지도함으로써 기혼 여성들이 마음 놓고 취업 전선에서 일을 할 수 있고, 기혼여성이 취업의 기회를 갖거나 이미 취업을 하고 있는 여성에게 자신의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회적 차원에서 지원을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아동 양육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방편이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게다가 방과 후 아동지도는 「여성발전기본법」에서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과 후 아동의 보호와 건전한 생활을 위한 시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을 연계시키고, 학교수업시간과는 차별화하면서 이루어져야 할 특성을 가진다. 즉, ‘방과후학교’ 교육자는 부모와 학교 교사의 역할을 함께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아동들이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받게 되는 사랑과 신뢰를 충분히 부여하면서, 또한 학교에서 교사들이 제시하는 올바른 인성 교육과 실습 위주의 교육 역시 행해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학교 교육과 연계하여 지도하되, 학교교육의 연장이 아니라 보다 자유롭고 새로운 방법으로 아동을 다루고 지도해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중점을 두고 획일화된 학습이 아닌 다원화된 실천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전 학년의 발달특성을 감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의 학습영역과 가정에서의 생활영역을 종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들이 방과 후 아동지도를 통해 안전하게 보호되고, 가정에서 부모를 대신하는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며, 학교교육을 보완하는 활동을 위해 창의성 개발과 사고력 신장을 위한 활동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이론적 검토,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음악분야 방과 후 학교의 실태 및 공공단체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과 후 학교 음악활동 사례에 대한 조사, 앞으로 갖추어지고 보완되어야 할 방과 후 학교 음악활동 개선 방안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론적 검토는 최근에 발표된 논문과 신문기사 등 문헌을 보고 분석하였으며 ‘방과후학교’의 음악활동 실태는 대구 시에서 2006년 현재 ‘방과후학교’ 시범학교로 지정되어서 운영되고 있는 대구시 교육청 지정시범학교 'DE'초등학교, 'S'초등학교, 'C'초등학교, 'G'초등학교와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D'초등학교, 그리고 대구광역시 공공단체를 선정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음악활동분야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지역별로 있을 수 있는 충분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각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의 실태를 정확히 분석해야만 그에 따른 올바른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서는 대구 시에 모든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해야만 하지만, 인적, 물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현재 ‘방과후학교’ 시범학교로 운영하고 있는 5개 학교와 대구시 공공단체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방과후학교’로 그 실태분석을 제한한다. 대구 시에서 5개 학교를 분석하는 것으로는 여러 가지 객관성의 차원에서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하여 제2의 제3의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대구시의 ‘방과후학교’ 음악활동의 문제점들과 실태를 보다 제대로 알고 훨씬 더 발전된 개선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윤선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첫 상 담 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 커리큘럼 중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좌를 수강하면서 상담 실습에 참여한 연구참여자 25명의 경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큰 표본을 통해 모집단을 더 완벽하게 묘사하며 개별 사례의 특별함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은 25명의 경험 내 용으로부터 4개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경험에서 나타난 구체 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로서 기대감과 부담을 동시에 가짐’ 영역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첫 실습에 대한 설렘과 기대감을 보였지만 자신의 부족한 상담역량을 인식하 고 실습에 부담감을 느낀 경험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부담을 덜어내고자 스스로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노력하는 모 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상담 수행과정에서 상담자로서 전문성의 한계를 절감함’ 영역에서는 상담 실습 중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어려움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 들이 상담 실습 중 경험한 다양한 어려움은 부족한 상담역량으로 내담자 선정 부터 막막하게 느껴짐, 전문성의 한계로 상담 방향을 확신하지 못한 채 성급 하게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신을 발견함, 주 호소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 해 상담 중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견하여 당황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로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함’ 영역에서는 이전까지 학교 장면에 서 피상적인 일회성 상담을 해왔던 연구참여자들이 여러 회기의 과정으로서 상담을 진행하면서 상담에 자신감을 느끼고 상담자로서 자부심을 얻게 된 경 험들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실습 경험을 통해 공감과 지 지로 내담자의 깊은 내면을 끌어낼 수 있음을 배우고, 전문성을 높여 내담자 를 돕고자 하는 초심을 떠올리며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이 영역에서는 상담자로서 내담자를 조력하여 상담 목표를 달성 해 보람을 느끼고, 실제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연구참여자들 스스로 자 부심과 자신감을 갖게 된 경험 등이 드러났다. 넷째, ‘실습제도 및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 절감’ 영역에서는 연구참여자들 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토대로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이 주요 범주 로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실습에 직접 도움이 되는 과목 편성 필요, 실 습 내용을 충분히 연구하고 나눌 수 있는 사례연구 시간이 확보되어야 함, 졸 업 전 상담 실습이 한 번 뿐이라는 두려움과 아쉬움, 실습 중 상담자의 불안 을 낮추어 줄 슈퍼바이저의 지지와 적극적인 피드백이 필요함, 학교상담 매뉴 얼의 필요성 절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을 자세히 분석하여 실습 전, 중, 후에 초심상담자가 겪는 다양한 경험을 파악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전문상담사 양성과 관련되어 초심상담자가 겪는 어려움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기존의 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가 되 기 위해 노력하는 양성과정에서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이 갖는 의미와 한계를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 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에 처음 참여하는 교육 대학원생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상담 전공 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의의 의의과 가치를 확인하고 전문상담교사 양 성과정과 관련 해당 과목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 과목의 수정 및 보완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주요어 : 전문상담교사, 상담, 교육대학원,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 상담 실습

      • 대구광역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암(明暗)

        임영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MOE’s(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olicy on the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has been carried out, and to evaluate its process and results. To complete the study’s objective, this study uses documents analysis and interview as th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s a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explored in the study. Firstly, what are the positive aspects(the light)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Secondly, what are the negative aspects(the shade)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Thirdly, what are the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congruency’, ‘continuity’, ‘systematicity’, ‘specificity’, and ‘validity’ as positive aspects of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followings: First, the DMOE failed to realize the plan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creativity. Furthermore,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re existed gaps in satisfaction level for each concrete project and perception on the factors that restricted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hird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discussed. Firstly,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s inevitable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Due to this, it is crucial to constantly revise them based on reality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as a sugges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it was discussed that the direction of policy should be placed on the expression of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through daily classroom classes. Finally, the meaning of 'question'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lassroom with questions' as an alternative to DMOE’s creativity education were examined. The practical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One of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rom 2001-20 through an overview and analysis of pros and cons. Thi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lso provides organized data on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despite the DMOE has not published a white paper on the creativity education policy.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rough an overview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it has a limitation in specifically dealing with cases of creativ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other limitation to the study is that it collected data through a small number of interviewees because it conducted interviews to supplement the literature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광역시교육청(이하 대구시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의 전개 과정을 되돌아보고, 그에 대한 명암(明暗)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문헌 분석과 면담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무엇인가? 둘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무엇인가? 셋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정합성, 지속성, 체계성, 구체성 및 타당성의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우선, 대구시교육청이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2002~2008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실태 조사에 대한 분석에서 사업별 만족도와 장애 요인에 대해 관리자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한 세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이 논의되었다. 우선, 교육 정책의 집행 과정에서 관리자와 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는 불가피하다는 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에 맞게 끊임없이 수정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둘째, 지난 20년간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으로 일상적인 교실 수업을 통해 학생의 일상적인 창의성의 발휘에 정책의 방향성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질문’의 의미와,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의 대안으로 ‘질문이 있는 교실’의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한계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과 명암의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평가 작업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추후 대구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때 기초자료로 유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이 그간의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별도의 백서를 발간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난 20년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여 기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을 통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기에 창의성 교육에 대한 수업과 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은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본 연구는 주 연구 방법인 문헌 분석의 보완을 위해 면담을 수행하였기에 소수의 면담자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요구 분석

        강세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개선요구를 분석하여 대구시의 전보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구광역시 초등교사들의 전보제도에 대한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2. 초등교사 전보제도 운영의 실태는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3. 지역 교육청간 전보제도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4. 대구광역시교육청 인사전보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개선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내 4개 지역교육청의 초등교사 364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행 전보기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도는 다소 양호한 편이나 만족도는 낮았으며 전보기준 설정시 교사들의 의견이 별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전보 희망 학교를 선택한 이유로는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전보 되기를 희망하는 교사가 과반수가 넘었으며 근무분위기가 좋은 곳과 규모가 큰 학교도 교사들이 선호하는 학교로 나타났다. 3) 교사들은 달성군 교육청과 서부교육청에 부여하는 승진 가산점이 전보 희망에 매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거주지와 거리가 먼 달성교육청과 서부교육청을 기피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가산점 부여기준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4) 전보점의 구성항목인 경력점, 근무평점점, 개인 및 집단가산점 중에서도 근평점축소와 개인가산점축소에 대한 개선 요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청간 전보조건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대구시 전체를 단일 전보권으로 하자는데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ransferenc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 corresponding remedial needs, so that it may show the directions of improving current transference system in the municipal level. For these goals, the basic assignments can be outlined in detail as follows: 1 How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recognize current transference system? 2. How they recogniz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current transferenc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teachers. 3. How they recognize current transference system between local offices of education? 4. What they request and need in current system of personnel transference in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otal 364 elementary schoolteachers sampled as subjects from 4 district offi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h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questionnaire survey as specially designed. The results of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a question asking "Do you have overall comprehension about current criteria of transference?",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understood the criteria. However,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their opinions were not well reflected on setting up new transference criteria. 2) For a question asking "Why did you select your desired schools to transfer?",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they wanted to transfer into schools near to their home. Of course, many of them preferred the schools with good working atmosphere or large-sized schools. 3) Lots of respondents thought that current promotion incentive points as provided by Dalseong/Seobu Office of Educ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desire for transference into another school. Many of them had high tendency to shirk aforementioned offices because of long distance from their home, while recognizing that the current criteria of incentive points are not fair. 4) For transference incentive points such as career points, work rating and individual/group incentive points, it was most often pointed out that current curtailed work rating and individual incentive points should be improved sooner or later. For the practical policies to relieve imbalanced conditions of transference between local offices of education in a region, all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to a proposal that the Daegu metropolitan area should be considered as a single transference coverage.

      • 초등 실과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조선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실과 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설정된 연구내용은 ‘첫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효과를 분석 한다’ 는 것이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4월에서 6월까지 3개월 동안 실과시간에 주 1회 연차시로 80분씩 총 24차시에 걸쳐 실험반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실과교과에서 단원별, 차시별로 진로교육 관련 지도요소를 뽑고 지도 요소에 따라 동기유발자료 및 활동자료로 16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단원 마지막 차시에는 단원과 관련 있는 직업을 탐색하여 직업사전 만들기를 하였다.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반과 비교반 모두 진로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의도적 표집 방법에 순응하여 연구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고, 진로인식 검사지는 신뢰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였으며 4점 척도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내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 paired-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진로인식을 검증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은 진로인식의 하위 요소인 아동의 자아인식 능력, 일의 직업의 세계 능력,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능력,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진로교육 내용이 학년 발달단계에 따라 일관성 있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단기에 걸쳐 적용하였으므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가정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초등학교에서는 담임교사가 모든 교과를 가르치므로 담임교사에 대한 진로교육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소양교육이 필요하겠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약 3개월간의 실험을 진행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 접근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개별 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나타나는 개별 학생의 진로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최문성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이 지적장애 학생의 선택하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결정하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이 지적장애 학생의 참여하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1학년 지적장애 학생 1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기간은 2018년 8월 27일부터 10월 22일까지 기초선 5회기, 중재1,2 10회기, 반전 5회기에 걸쳐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은 류숙렬(2002)의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기윤아(2003)의 자기주도적 놀이 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등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Hoffman, Field, 그리고 Sawilowsky(2000)이 개발한 Self-Determination Observation Checklist(SDOC)를 박종옥(2013)이 수정 보완한 관찰기록체크리스트를 지적장애 학생에 맞게 재구성한 자기결정력 관찰체크리스트를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기결정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일대상연구의 ABAB 방법을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선택하기, 의사결정하기, 참여하기의 발생빈도수를 표로 제시한 단순선 그래프로 제시하였으며, 연구 장면에서 나타나는 대상 아동의 말과 행동을 관찰, 연구자의 소감을 종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은 지적장애 학생의 선택하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이 프로젝트학습의 내용구성을 학생 스스로 또는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동기 및 흥미를 높임으로써 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과제를 선택하기 위해 질문하는 선택하기 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은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결정하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다양한 상황에서의 역할극과 인형극에 참여하면서 긍정적인 강화와 활동 중 성공을 경험함으로써 의사결정 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프로젝트학습은 지적장애 학생의 참여하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상황의 제시와 교과서가 아닌 활동 중심 및 문제 해결 중심의 참여 과정에서 선택, 의사결정의 기회가 증가되고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생각을 말하거나 교사나 또래의 지시 및 요구에 반응하는 일련의 프로젝트학습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참여하기 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 과학 영재 프로그램에 나타난 탐구 과정 기능 분석

        천지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 프로그램에 제시된 과학 탐구 기능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영재 학생들의 탐구 능력 요소의 위계에 맞게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 탐구 과정 기능을 바탕으로 기초 탐구 과정 기능과 통합 탐구 과정 기능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명시적으로 제시된 탐구 과정 기능과 비명시적으로 제시된 탐구 과정 기능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 프로그램에 제시된 기초 탐구 과정 기능을 분석한 결과, 관찰과 측정 요소의 비율은 높은 반면 분류 요소의 비율은 낮았다. 또한 명시적 상황보다는 비명시적 상황에서 기초 탐구 과정 기능의 빈도가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통합 탐구 과정 기능에서는 변환과 자료해석 요소의 비율은 높은 반면 문제인식과 가설설정 요소의 비율은 낮았고, 명시적 상황의 빈도가 비명시적 상황의 빈도보다 높았다. 둘째, 학생의 수준에 따라 탐구 과정 기능 비율을 분석한 결과 기초 탐구 과정 기능과 통합 탐구 과정 기능 모두 명시적 분석과 비명시적 분석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 전체의 과학 탐구 과정 기능 요소를 분석한 결과 기초 탐구 과정 기능과 통합 탐구 과정 사이의 빈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 요소를 비교한 결과 관찰, 자료변환, 자료해석 요소는 높은 비율을 나타낸 반면 가설설정, 문제인식, 분류 요소는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영재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영재 프로그램에 과학 탐구 과정 기능이 골고루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문제를 파악하고 탐구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즉 문제인식, 가설설정, 결론도출, 일반화 요소의 비율을 늘려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博物館 敎育을 통한 美術 鑑賞 프로그램 開發

        이미련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Today's understanding-oriented art education presents several new forms of art education method unlike the former education which was interested in only developing originality. Aesthetic educati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DBAE that is, art education based on learning belong to it.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of art education method, each section,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has to be taught generally. Therefore the necessity of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of it calls for the museum education. One of the tasks which the future art education will deal with is lifelong learning, that is, bringing up academic ability essential to enjoy and understand the art for the abundant life, which has to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appreciation education. Many scholars recommend a museum as a suitable place where these aims can be accomplish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is, to implement the appreciation education with high quality which helps abundant aesthetic experience and expression in contact with the real specimens, relics and works in a museum by extension of appreciating reference materials in the textbook and to develope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which values the museum as a educational and cultural institution by expanding the program connected with school.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education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checked, and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the museum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In addition, the effective metho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show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importance of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rongest point of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is appreciation of real materials irreplaceable with duplicates, of which unique characteristics students can feel directly.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direct observation learning, conversation, meaning endowment, internalization, students bring up their own aesthetic sense, and make independent learning method of appreciation education. Third, it gives the chance to understand cultural space, to foster the quality as a cultured citizen and the proper cultural consciousness of general culture such as our history and tradition. Most of schools conducts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museum once a year, and the actual conditions are as follows. The 90% of teachers answer that the museum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elementary education. The museum which teachers like and visit often is National Daegu Museum. The major programs used there are students' taking notes themselves, writing up reports and work sheet(for appreciation) made by guiding teacher's own, and the minor are listening to guide explanation of museum's education officer and using guide book and work sheet offered by museum. On the other hand, the work sheet for students made by museum and the guide explanation by a specialist in education are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ost necessary for the appreciation through the museum education in museum. 79% of all are negative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the program of museum is based on the school curriculum. The passage evok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school, and has close connection with this study. The work sheet(for appreciation) most essential to teachers is a guide or supportive instrument which makes appreciators watch the work carefully and find the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it has the intention which makes watch art work with affection and interest and catch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work as a whole, and has a goal to help self-appreciation. The problem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examined, and there are the solutions for this problem: designing and conduct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 of appreciation education, supplying the materials of teaching·learning and reference for the appreciation education and developing of work sheet(for appreciation) with contents related with school curriculum about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which has various appreciation materials.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Furthermore, art work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and a investigation was made in connection with National Daegu Museum. Work sheet(for appreciation) was developed by relating articles in exhibition with the contents of textbooks of 3, 4, 5, 6 grade. It can be used for self-leading appreciation in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of school or free appreciation on Saturday with no class. The museum education using work sheet(for appreci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et up to make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ctivity of art curriculum easy, foster appreciation criticism ability on art work effectively, and give direct and practical help to understand the art history and express activity of art. 오늘날의 이해 중심 미술 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 향상에만 관심을 두었던 기존의 미술 교육과 달리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의 미술 교육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학문에 기초한 미술 교육인 DBAE와 미적 교육, 다문화 미술 교육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이러한 새로운 미술 교육 방식의 변화에 따라 미술사, 미술 비평, 미학 등 각 영역이 관련지어 종합적으로 지도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지도자의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됨으로써 박물관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또한 미술 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 중의 하나는 평생 학습으로서 미술을 즐기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학력을 기르는 일로써 감상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수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장소로 많은 학자들이 박물관 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를 통한 참고 작품 감상에서 나아가 박물관에서 실제의 표본, 유물, 작품을 접함으로써 질 높은 감상 수업을 구현하여 풍부한 미적 체험과 더불어 표현에 도움이 되게 하고 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의 확대를 증진하여 교육적인 기관, 문화적 기관으로서 존재 가치를 높여줄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 감상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둔다. 위에 열거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과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학교와 박물관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효율적인 미술 감상 교육의 방안을 본 연구에서 제시해 보았다. 우선 박물관 미술 감상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감상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실물 감상 교육으로 어떤 복제품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작품 고유의 특성을 직접 느낄 수 있다. 둘째, 직접 작품을 관찰, 학습, 대화, 탐구, 의미부여,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미의식을 키우고 자주적인 감상 교육의 방법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셋째, 문화 공간에 대한 이해와 문화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키우고 또한 우리의 역사와 전통 문화 등 문화 예술 전반에 올바른 문화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박물관을 통한 감상 교육을 연 1회 정도 실시하고 있어 그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 교육 과정에서 박물관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가 전체의 90%였으며 교사들이 선호하고 자주 방문 하는 곳으로 국립 대구박물관을 꼽았다. 그 곳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은 학생 스스로 메모하여 보고서 쓰기와 학교 인솔 교사가 직접 만든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가 대부분이었고 박물관 교육 담당자의 안내 설명 듣기와 박물관에서 제공한 가이드 북, 워크 시트를 활용한 경우도 소수 있었다. 한편 박물관에서 감상 교육을 할 때 가장 필요한 요소를 묻는 질문에는 박물관에서 제작한 학생용 활동지와 교육 전문가의 안내와 설명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기존 박물관의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느냐는 질문에 부정적인 응답을 한 경우가 전체의 79%였다. 이는 학교와 연계한 박물관 감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일깨워주는 본 연구의 의의와 관련이 깊다. 인솔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는 감상자에게 감상 작품을 주의 깊게 보도록 하여 작품의 의미 내용을 찾아들어가게 하는 안내 또는 보조적 역할을 하는 도구라 할 수 있으며 미술품에 친근감과 흥미를 갖고 보게 하여 작품이 지닌 성격이나 의미를 전체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의도를 가지며 자기 감상을 돕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감상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으로 감상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설과 감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참고 자료의 보급, 다양한 감상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에서의 감상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 과정과 연계된 내용의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 개발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감상 미술품을 분석하고, 국립 대구박물관의 미술픔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3, 4, 5, 6학년과 관련된 미술품을 교재 내용과 관련지어 미술 감상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워크 시트형 감상용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학교 현장 체험 학습에서의 자기 주도적 감상이나 토요 휴업일의 자유 감상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워크 시트형 감상용 활동지를 활용한 박물관 미술 감상은 미술 교과의 미적 체험 활동과 감상 활동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미술 작품에 대한 감상 비평 능력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으며 미술사 이해와 미술 표현 활동에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설정해 보았다.

      •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의‘놀이수학’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 1, 2학년 교과서와 지도서 중심으로

        이재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놀이수학’ 차시에 대하여 활동에 사용되는 자료, 놀이 구성원 조직 형태, 놀이활동 구조의 유형, 수학 교과 역량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G도 3개시의 교사 100명의 지도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설문 응답을 EXCEL를 활용하여 양적처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교과서 개발 시 놀이학습이 어떻게 제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놀이활동 자료는 판, 카드, 주사위 형태의 자료보다는 기타자료의 비율이 높았으며, 기타 자료는 대체로 콩 주머니, 수모형, 연결큐브, 자 등 이었다. 또한, 놀이활동 자료는 1학년 교과서보다는 2학년 교과서와 함께 1, 2학년 지도서에서 좀 더 다양한 자료의 형태가 사용되었다. 놀이 구성원 조직은 짝 활동과 모둠 활동의 두 가지 형태만으로 조직되어 있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학급 상황에 따라 소인수 학급과 다인수 학급에서 적용이 가능한 좀 더 다양한 구성원 조직으로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놀이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놀이활동 구조 유형은 1, 2학년 교과서와 지도서의 전체에서 명령·실행형 구조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 결과에서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1∼2학년 수학교과서와 지도서의 ‘놀이수학’에 대한 놀이활동 구조 유형이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별히 단원의 내용에 따라 구조 유형이 직접 결정되어지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되도록 놀이활동 구조 유형이 각 단원별로 골고루 적용될 필요가 있었다. ‘놀이수학’ 활동과 관련된 수학 교과 역량을 분석한 결과, 놀이의 특성에 따라 정의적 역량인 태도 및 실천 역량의 비율이 다른 역량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처리 역량이 제일 낮았지만, 이 두 역량을 제외한 그 외의 나머지 역량은 비교적 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소프트웨어교육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와 관련된 언플로그 활동과 같은 것들을 도입함으로써, ‘놀이수학’의 수학교과 역량에서 정보처리 역량의 비중을 높여 학생들의 역량을 좀 더 균형 있게 신장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놀이수학’에 대해서 초등 교사들은 놀이학습이 수학 학습을 좀 더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수학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하고 수학에 쉽게 다가가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적극적으로 지도하고 있었다. 또 놀이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수학 교과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놀이활동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인식을 개선시킴과 더불어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게 학생들이 몰입하여 수학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놀이학습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지도서의 대체 활동을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고 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새로운 교과서 및 지도서 개발 시에 ‘놀이수학’의 구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놀이에 사용되는 자료의 형태가 판, 카드와 같은 평면적인 형태의 비중이 대체로 높고, 놀이 구성원 조직이 짝 활동과 모둠 활동이 대부분인 점, 놀이활동의 구조의 유형이 다양하지 못한 부분을 개선하여 수학 교과를 지루하지 않고 즐거운 교과로 인식하고 나아가 수학 교과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놀이활동 자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급상황과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놀이활동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대체활동을 다양하게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놀이학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원의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가 우선하는데,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은 놀이활동에 참여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체활동 놀이가 수준별로 가능하도록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 놀이수학, 초등 교사의 인식

      • 스크래치를 사용한 시뮬레이터의 적용이 학습자의 과학수업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현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상 구체적 조작물을 통한 학습에서 좀 더 높은 효과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특히 직접 구체물을 활용하기에는 그 규모가 매우 작거나 거대한 경우, 실제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이 적절하나 현재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아동들은 교사가 제공하는 시청각 자료나 매우 간소화된 모형을 통하여 학습하게 되어 성취도에 제약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초등 교육에서 시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면 이는 아동들의 성취수준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초등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기존의 학습 방법으로 학습 곤란을 겪었던 내용에 대하여 연구자가 스크래치를 사용하여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이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사이의 동질성을 확보한 후 실험집단에서는 연구자가 제작한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의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첫째, 아동들은 교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뮬레이터 활용을 통한 간접체험을 통하여 교육의 실제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둘째, 아동들은 실제 실험하기 힘든 내용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수업을 한 결과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스크래치로 제작된 시뮬레이터를 조작하면서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학습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고 기초적인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이는 스크래치 기반 시뮬레이터가 다양한 내용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에 새로운 기회를 가지게끔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어 : 스크래치, 시뮬레이터, 학업성취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