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 초등여교사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윤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ata from 285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sed for analysis. And Stress test tool by Lee Hyang Ran(1992), revised by Han Jeong Min(2006), Self-encouragement inventory,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were used for measurements.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ts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ron and Kenny(1986) model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the rela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were social life and family life orde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vealed that self-encourage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it discussed about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study.

      •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제도의 비교분석

        김윤정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업의 분권화를 위한 수단으로 물적분할과 현물출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2009년 법인세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현물출자보다는 물적분할이 조세측면에서 보다 유리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다양한 구조조정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2009년에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가 개정되었다. 이로 인하여 경제적 효과가 유사한 물적분할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와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의 조세효과도 거의 동일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업구조조정관련 과세제도는 처음 도입할 당시 급박한 국가경제위기를 타개하려는 정책적 목적이 우선시된 결과, 근본적인 과세이론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한 채 입법화되었다. 따라서 물적분할제도와 현물출자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던 과세상 문제점이 많이 부분적으로 개선되었더라도 아직까지 일부 문제점이 발견되는 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의 과세특례요건 중 사업기간 5년은 사업성장을 위한 기간이다. 그러나 이는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적응하기에는 너무 길어서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할회사 및 출자법인에 대해서만 사업영위기간을 규제하고 이전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고 있어 기업 간의 형평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계속사업기간에 대한 요건은 합병의 규정과 같이 1년 이상으로 하고 이전되는 사업을 1년 이상 계속 영위한 내국법인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법의 규정으로 인하여 물적분할의 경우에는 분할시 분할신설법인 주식 100%를 보유하도록 하고 있어 분할 후 유상증자를 통해서 해외자본 등의 제3자의 투자유치를 하고 있어 절차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자본 등의 투자유치를 지원할 필요가 있으므로 경영 지배력 확보차원에서 현물출자의 규정처럼 분할신설법인 주식의 80%만 보유하도록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발생한 자산양도차익은 분할법인 및 출자법인뿐만 아니라 분할신설법인 및 피출자법인단계에서도 과세되는 이중과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인적분할의 경우와 같이 과세특례요건이 충족하는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인하여 받는 양도가액은 분할등기일과 현물출자일 현재의 분할법인과 출자법인의 순자산 장부가액으로 보아 양도차익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인세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제적 실체의 변동여부가 아닌 분할법인의 존속여부에 따라 이월결손금의 승계가능여부가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분할법인이 존속하더라도 이월결손금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 이월결손금 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의 승계가능여부로 인하여 물적분할이 현물출자보다 조세부담이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물적분할과 달리 현물출자의 경우에는 100% 자회사를 설립하는 경우에는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완전자회사를 설립하더라도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세법상 연대납세의무가 상법상 연대책임의 범위보다 넓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대납세의무의 범위를 상법의 규정과 일치시켜서 연대책임의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부가가치세 비과세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행 부가가치세법에서는 국제적 기준에 맞추어 사업자의 부담완화 및 납세편의를 제고하기 위해서 사업자단위과세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물적분할과 같이 사업부문별로 사업양도를 하더라도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양도로 볼 수 있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농어촌특별세부과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방식의 기업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물출자로 이전된 자산의 취득세와 등록세감면분에 대한 농어촌특별세도 물적분할과 같이 비과세할 필요가 있다. As a way of Corporate Division,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has been frequently used. Prior to 2009, when the corporate tax regulations were amended, spin-off offered more tax benefits than investments in-kind did. However, Korean government made it possible for corporations to have more options for corporate restructuring by releasing amended tax regulation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investments in-kind.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investments in-kind can achieve the same tax effects as spin-off.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the Korean tax regulations on corporate restructuring were legislated with a strong focus on ways to cope with economic turmoil Korea was facing, without much discussion on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legislation. Thu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in tax issues, there are still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regulations. First,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is that a divided company and a investing company should be in that business for a minimum of 5 years. However, the 5-year requirement seems to be too long in this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5-year requirement does not apply to a transferred business, resulting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taxation equity. It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to reduce the requirement for the minimum period of transferred business operation from 5 years to 1 year. It would help ensure taxation equity as corporate planning a merger would be qualified for the special tax treatment if it has been in the business for one year. Second, in case of spin-off, Commercial Code mandates corporate to maintain 100% of the newly established enterprise founded as a result of the spin-off. In order to acquire 100% of share, corporate has to promote investment from 3rd parties involving in complicated procedures such as paid-in capital increase from overseas. Considering the fac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80% of share, not 100%, the requirement for spin-off should be lessened to 80% as well. It would help attract investment from overseas and enhance control. Third, there is a double-taxation issue. Transfer gains from both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are taxed not only at the divided company and investing company level, but also at the newly established company and the newly invested company. If the regulations changes in a way that no transfer gain is deemed to arise as a result of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providing that the transaction meets the requirement for special tax treatments. It can be done if the selling price collected from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is net book value of the surviving company (or investing company) as of date of division registration (or at the date of investment). Fourth, there is an issue involving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s allowed only if a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without considering changes in economic substance. It seems logical to allow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f there is no change in economic substance whether the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or not. The same can be said in case of investment in-kind. Fifth, as tax consequences can vary depending upon whether it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it required changes to the regulations so that corporate adopting investment in-kind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for tax purposes. Sixth, unlike spin-off, investment in-kind is not subject to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in case corporate sets up a 100% subsidiary. As a preventive measure,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should be applied even if a 100% subsidiary is set up. Seventh, the scope of joint and several obligations for tax liability under tax regulations is broader than that of under Commercial Code. It is more rational to match the extent the scope of the liabilities under tax regulations and Commercial Code. Eighth, qualifications for VAT exemption on investment in-kind should be reviewed. Under the current VAT regulations, a company or other corporate body with business units or divisions may be able to register each of them separately for VAT. It is recommended that VAT regulations be amended in a way that divisional business transfer using investment in-kind should be deem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the way business transfer through spin-off is treat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Ninth, it is not appropriate tha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In order to encourage various corporate restructuring methods, asset transfers through investment in-kind should be eligible for non-taxable treatment relating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on the exempted portion for acquisition & registration tax, as asset transfers through spin-off is exempted for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기술-사회(STS)관련 내용 분석

        김윤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textbooks for the education of the science and curriculum relating STS in chemistry chapters of Middle School first-year on the 7th curriculum. For this study, essential 8 elements in STS course suggested by Yager and type of study activity suggested by SATIA was ba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STS education in chemistry chapter of 8 kinds of Middle School first-year science textbooks was showed from 16.3% to 28.4%, average 21.4%. When the STS contents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the number of page related to STS was 82.9. Among them, 47.7 page were, as a major part, dealt with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science. STS contents were included only in a few texbooks, impling that the elements related to STS were biased to the certain subjects. Among the subjects about STS in the eight different kinds of science textbooks, 58.9% was for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sis by SATIS activity area, as a major part, a model experiment and experiment. The 7th curriculum appears to include somewhat large contents about STS compared with the 6th curriculum'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cience textbooks are well prepared for the good educational purpose on the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 diversified subjects related to STS are not still given enough and many parts of the contents. therfore the careful comparative studies and the great efforts should given to develop the outstanding science textbooks which deal the subjects of STS in many possible respects.

      •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환자 주 가족돌봄자의 돌봄 경험

        김윤정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환자들은 가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질병에 대처하고 변화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기 때문에 가족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환자의 질병 경과에 따라 그들을 돌보는 가족도 역할 변화를 겪게 되고, 그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들의 돌봄 경험과 과정을 이해하여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환자 주 가족돌봄자들의 돌봄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역동적인 상호관련성을 파악하여 건강한 가족체계 구축과 효과적인 가족돌봄자 건강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B 광역시에 위치한 B 종합병원과 S 종합병원 내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을 하고 있는 환자와 동거하며 전적으로 돌봄을 제공하고 있는 가족 1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부터 동년 11월까지 5개월에 걸쳐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실시하였으며, 개별적으로 면대면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Corbin 과 Strauss(2008, 2015)가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과 지속적 비교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72개의 개념, 33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주 가족돌봄자의 돌봄 경험을 나타내는 핵심범주는 ‘고달픔을 견디며 일상 살아내기’였다. 이 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예상치 못한 현실로 인한 충격’, ‘막막하고 어려운 투석환자 관리’였으며 현상은 ‘온 몸으로 겪어내는 돌봄의 고달픔’으로 나타났다.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은 ‘돌봄의 태도’, ‘신장이식을 둘러싼 갈등’이었으며, 중재적 조건은 ‘지지자원’, ‘경제적 여건’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서툴게 대응하기’, ‘내적 평정 추구하기’, ‘희망의 끈 붙잡기’, ‘나의 역할 재정립하기’, ‘최상의 돌봄 실력 발휘하기’였으며 결과는 ‘성숙한 삶으로 나아감’, ‘현실을 수용함’, ‘힘겹게 버텨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달픔을 견디며 일상 살아내기’ 과정은 ‘초기 미숙기’, ‘인식 전환기’, ‘역할 재확립기’, ‘역량 발휘기’, ‘돌봄 체화기’의 5단계로 이루어지며 유형은 ‘자기주도형’, ‘상황순응형’, ‘체념적방관형’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환자 주 가족돌봄자의 돌봄경험은 돌봄으로 인한 고달픔으로 힘겨웠지만 이를 견뎌내기 위해 돌봄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변화된 역할을 재정립하여 자신만의 돌봄 실력을 발휘함으로써 돌봄을 삶의 일부분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환자 주 가족돌봄자들의 돌봄 경험에 관한 실체이론을 바탕으로 그들의 시각에서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간호현장에서 임상실무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가족 간호중재를 시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용어 : 말기신부전, 혈액투석, 가족돌봄자, 돌봄 경험, 질적연구

      • 난임의 특성과 난임 극복을 위한 시술 행태

        김윤정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난임 원인을 파악하고, 난임 치료 행태 및 정부지원 여부를 분석하여 난임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울산소재 일 여성병원에서 2012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난임 치료 시술 유경험자 3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난임 원인 중 질병이 없는 경우가 70.9%이었고, 질병의 유형에서는 ‘자궁 요인’이 39.0%이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시술전 특성에서 난임 기간이 짧을수록 부부관계 횟수가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p=.023)하였다. 연령이 많을수록 피임기간이 길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p=.043)하였다. 연령이 많을수록 유산 경험이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p=.006)하였다. 평균 유산 횟수는 1.42회이었다. 셋째, 난임 치료 시술은 30대가 72.1%로 가장 많았다. 난임 극복을 위한 시술 행태에서는 인공수정이 77.0%이었고, 체외수정이 48.5%이었다. 연령이 많을수록 인공수정 시술은 적었고, 체외수정 시술이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p=.013)하였다. 시술 결과에서는 임신이 34.9%이었고, 연령이 낮을수록 임신 성공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p=.008)하였다. 전체 시술 성공률은 인공수정이 49.2%이었고, 체외수정이 50.8%이었다. 인공수정 시술의 평균 시술횟수는 2.06회이었고, 성공률은 22.3%이었다. 체외수정 시술의 평균 시술횟수는 2.36회이었고, 성공률은 36.5%이었다. 시술 행태에 따라 체외수정 시술이 인공수정 시술보다 14.2%가 많았다. 넷째, 난임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수정 시술자 중 정부지원을 받은자는 75.1%이었다. 체외수정 시술자 중 정부지원을 받은자는 70.1%이었다. 결론적으로 난임 극복을 위한 시술은 체외수정 성공이 더 높았으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 조기에 시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만 본 연구는 일 여성병원의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이기에 일반화 하기에는 제한점이 많다. 따라서 향후 여러 지역의 자료를 활용하여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난임을 극복하는 효율적인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유방암 생존자의 온코퍼틸리티(oncofertility) 관련 경험

        김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BCS) is increasing. Moreover, South Korea has more breast cancer diagnoses for premenopausal women than the West. The current trend of women delaying pregnancy and childbirth to later in life results in a situation where some women may not conceive and give birth before a breast cancer diagnosis, even though they planned to conceive later. BCS often experience fertility problems (e.g., a decline in fertility, infertility) as a result of their treatment, and fertility is an important issue among cancer survivors. Therefore,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have been proposing guidelines for preserving the fertility of cancer survivors, but so far they have not been very successful in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these guideline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accept a decline in fertility due to breast cancer treatment, and this consequence is often overlooked in the cancer treatment process. An in-depth exploration to understand the oncofertility experience after cancer treatment was undertaken to better understand the proper care needed by BC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design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explore the meaning and nature of oncofertility-related experiences of BCS. Nine women of reproductive age who had completed active treatment for breast canc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020 to February 2021 using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until saturation was reache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ll of the collected material was read, divided into semantic units, and converted into academic terms according to Giorgi’s four-step data analysis procedure (2009). Subsequently, the semantic units converted to academic terms were grouped into similar semantic units, resulting in eight constituents and 21 sub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experiences of these women could be organized into eight constituents: “infertility was unexpected because no one discussed it”; “fertility pushed out of priority”; “frustration with belat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ertility”; “even if it i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try to obtain information”; “healing community through a support group as companion on oncofertility journey”; “feeling resigned that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no longer my jobs”; “a sense of a gap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healthcare provider”; and “requiring tailored nursing care for women of reproductive ag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vealed an evolving pattern of perspectives related to their fertility. Immediately after given a cancer diagnosis, survival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se individuals. Then, during the cancer treatment, accurate information about fertility was difficult to obtain,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support groups with women in similar situations as they realized that fertility was still very important to them. In fact, many of these BCS did face a decline in fertility after treatment, which they began to realize may be irreversible, making pregnancy and childbirth no longer possible. BCS felt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healthcare providers had been ineffective, with inadequate explanations and indifferent attitudes about fertility from diagnosis through survivorship. Thus, these women wanted that other of childbearing age would obtain tailored nursing care from healthcare providers in the future, while maintaining survival as a prior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o explore experiences related to oncofertility among BCS in Korea. Through this study, by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oncofertility experiences after cancer treatment,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BCS have continuous healthcare needs over tim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to improve quality, holistic nursing car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through education at clinical sites. 전 세계적으로 암 생존자의 수가 증가하고 치료 이후 생존 기간 또한 길어짐에 따라,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가임력은 암 치료 이후 삶의 질에 있어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암 생존자는 치료 과정으로 인하여 가임력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암 생존자의 치료 이후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코퍼틸리티(oncofertility)와 관련한 다양한 간호를 제공하여야 한다. 온코퍼틸리티란 암 생존자의 가임력에 관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암 발생과 그 치료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가임력 저하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식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발표된 개념이다. 한편 유방암은 발생률과 생존율이 모두 높은 암으로, 한국의 경우 서구에 비하여 발생 연령이 낮아 가임기 유방암 생존자가 많은 편이다. 국내 유방암 생존자가 필요로 하는 온코퍼틸리티 관련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 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온코퍼틸리티 관련 경험을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적극적인 치료가 종료된 9명의 가임기 여성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6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반 구조화된 일대일 심층 면담을 이용하여 자료가 포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 (2009)가 제시한 4단계의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전체 본문을 읽고, 의미 단위를 나눈 후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학문적 용어로 전환된 의미 단위들을 유사한 의미 단위로 묶어 21개의 하위 구성 요소와 8개의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유방암 생존자의 온코퍼틸리티 관련 경험은 ‘아무도 알려 주지 않아 예상하지 못한 가임력 저하’, ‘우선순위에 속절없이 밀린 가임력’, ‘뒤늦게 직면한 가임력의 소중함으로 인한 좌절감’, ‘정확한 정보 획득의 어려움에도 전심전력을 다한 정보 수집’, ‘가임력 관련 여정을 함께하는 동병상련의 치유 공동체’, ‘임신과 출산은 더 이상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체념’, ‘의료진과의 관계에서 느낀 괴리감’, ‘가임기 여성에게 특화된 간호에 대한 요구’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방암 생존자가 경험한 온코퍼틸리티의 본질적 의미 구조는 ‘생존만이 우선인 안개 속을 헤쳐 나가며 돌아갈 수 없는 강을 건넜으나, 돌아보니 그 의미는 생각보다 더 컸으므로 앞으로 가임기 여성을 위한 배려를 소망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생존자는 온코퍼틸리티와 관련하여 암 진단 시점부터 치료 이후까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간호를 필요로 함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는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시기에 맞는 정보 제공을 포함한 논의를 하여야 하며 필요하다면 자조모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지식적인 측면과 더불어 의사소통 기술과 같은 실무적인 준비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온코퍼틸리티와 관련하여 교육 및 상담을 하는 안내자의 역할, 여러 의료진과의 연계, 특히 정서적인 측면의 공감과 지지에 있어 간호사의 역할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가 필요로 하는 온코퍼틸리티 간호를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암 환자 접점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온코퍼틸리티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유방암 생존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온코퍼틸리티 관련 전인 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 중재 및 간호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