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숙인의 알코올중독문제

        김유자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서비스체계가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초기 단계이다. 특히 우리사회에서는 소외 받는 취약계층을 위해 관심을 가져 주는 곳은 없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1997년 IMF라는 국제 금융위기를 맞이하면서 소외계층은 갈 곳 없이 길거리로 나 앉게 되었다. 이것이 노숙인들이였다. IMF를 통해 노숙인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6년간의 시간이 흘렀으나 아직까지도 문제 해결은 보이지 않고 노숙의 장기화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숙의 장기화를 가져오는 여러 요인 중 노숙인의 알코올 중독에 대한 심각성을 규명함으로써 이에 대한 효율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문헌연구와 경험적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문헌연구에서는 노숙의 원인과 경로, 음주를 하게 되는 원인을 기존의 국내외 관련 연구들로 고찰하였다. 경험적 조사연구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쉼터에서 생활하는 노숙인을 대상으로 2003년 5월 4일에서 5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고, 면접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답변을 얻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입력 및 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산술평균, 분산분석(ANOVA),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노숙인 알코올 중독과 알코올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연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 문제는 연구 조사 한 결과, 알코올 중독의심 여부가 전체 31%로 현저히 심각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알코올 중독은 노숙 기간이 길어지며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둘째, 노숙인들이 알코올 중독이 되기까지의 원인을 개인별로 조사한 결과 동료들과 어울리기 위해서이며 또한 술을 마시게 되면 따로 떨어져 있는 가족이나 친인척, 친구들이 더욱 생각이 나고 현재 자신의 모습를 떠올리게 되며, 과거를 그리워하면서 동시에 잊고 싶기 때문에 술을 마신다고 한다. 셋째, 알코올 문제로 인해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는 많은 부분에서 사회에 재통합에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의 경우 교육이나 기술 습득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숙인의 37%는 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그 만큼 사회 통합에 뒤쳐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공동체 생활함에 있어서 대인관계를 보면 술을 마시고 싸우거나 방 동료들과의 갈등으로 강제 퇴소를 당하는 경우도 있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노숙인의 알코올 문제는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음주를 통해 만성화되고 의존적이게 되는 것으로 노숙의 장기화라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국가차원의 알코올중독 전문치료 센터가 체계적인 재활서비스 전달체계로서 개발이 필요하다. 연계된 지역사회재활서비스나 전문가의 개입 치료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알코올중독노숙인의 상태 및 기능손상정도에 따라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잠재적노숙인인 쪽방, 일세방 노숙인들을 위한 자활 사업이 한층 강화되어야 한다. 아직 쉼터나 시설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잠재적 노숙인의 일시적인 노숙을 개선하여 만성화 되는 것을 예방하여 사회로의 재통합을 도와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를 실천하는데 있어서 대상자는 자기결정의 원리를 기본적인 가치로 인정해야 한다. 공동체 생활을 하는 노숙인에게 있어서 자신의 의사를 분명히 할 수 있는 의지를 가질 수 있어야만이 단주의지를 확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욕구의지는 단주를 할 수 있는 요인도 되지만 사회로의 복귀하는데 자기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는 뒷받침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노숙인들에게 자기관리를 할 수 있는 교육과 분위기를 조성해주어야 한다.

      •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김유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rapid change of education paradigm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has requested the change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On Feb, 12, 2004,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policy for reducing expenditure for the private education'aiming to restore confidence for public education system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activity to improve the standard of living. After-school program is not only for supporting school education but also for developing individual character and aptitude. There are a bunch of literatures study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character development thus the adolescence is the period for finding character and aptitude and understanding hersel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plan for active implementation of after school progra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program satisfaction for youths and their self-este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th to December 21st, 2004. The total subjects were 255 (Kyoungse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survey by by-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o obtain the program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All differences in contentment level of lecturer, class environment, teaching and the overall were significant in academic years. The tuition level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distinction of sex. The satisfaction of after school was not significant in type of guardian and number of siblings.With respect to contentment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ll differences in lecturer, tuition, class environment, overall and total satisfactions were significant. 2. With regard to self-esteem on after school satisfaction, teaching was significant. The ex-post study showed that youths were distinguished by a difference in lecturer and overall satisfac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give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fter school program requires diversification in quantity and quality. Second, the content of program and lecturer in after school program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self-esteem. Therefore, an activity plan for after school program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needs of youth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launching after school program. Second, after school program should be diversified. Finally, contents of after school program should be classified in academic level. Based on the result and the implication of the current study,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First, to be more generalized, this study should be tested with various school data at the census. Second, future study should reflect divers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since this study considered only satisfaction (level) when seeking for an activity plan to improve self-esteem. Fin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analysis but should be extended into the study on the effect.

      • 학교급식 운영형태에 따른 중학생의 급식 만족도 연구

        김유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충남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현행 급식 형태 중 직영급식을 실시하는 중학교 2개교와 위탁급식을 실시하는 중학교 2개교를 대상으로, 학생 및 학부모들이 느끼는 학교급식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급식의 품질경영을 추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으로는 2003년 6월 10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조사자의 일반환경에 관한 내용과 학교급식에 관한 내용으로 직영급식교 학생 400명과 위탁급식교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고, 학부모의 경우 직영급식교 학부모 200명, 위탁 급식교 학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통계분석은 SAS 버전 8.2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자료는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같은 성별내에서 직영급식을 받는 학생들과 위탁급식을 받는 학생들에 따라 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퍼센트로 요약하였고, χ2 검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의 만족도에 관한 의견은 직영급식을 받는 남학생의 53%, 위탁급식을 받는 남학생의 9%, 직영급식을 받는 여학생의 65%, 위탁급식을 받는 여학생의 26%가 매우 만족 또는 대체로 만족한다고 응답하고 있어 직영급식이 위탁급식보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현저하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 메뉴에 대한 선호도는 직영급식과 위탁급식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여 모든 메뉴에서 위탁급식보다 직영급식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반찬으로는 돈가스가 1위이고, 가장 선호하지 않는 반찬으로는 고등어 조림과 깻잎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위생 만족도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하면 직영 급식을 받는 학생들과 위탁급식을 받는 학생들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식판과 수저에 있어서는 직영급식을 받는 남녀 학생의 약 80%가 청결하다고 답한 반면, 위탁급식을 받는 학생들은 10%에서 20%만이 청결하다고 하였다. 학교급식 후 달라진 식생활 변화로는 '맛이 없거나 처음 먹어보는 음식도 먹어보게 되었다'는 항목에 직영급식교 여학생의 70%, 위탁급식교 여학생의 52%가 각각 답하였다. 또한 직영급식을 받는 학생들은 음식을 골고루 먹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을 많이 했지만 위탁 급식을 받는 학생들은 간식을 더 먹게 되었다는 부정적인 답을 한 비율이 높았다. 학교급식 형태에 따라 학교급식 개선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하면 남 녀 학생모두 급식형태에 관계없이 가장 많이 선택한 3항목 중 한 가지는 '메뉴를 다양하게 해서 학생들이 선택하게 하자'는 것이었다. 그 다음 여학생이 많이 답한 항목은 후식 제공이었다. 위탁급식을 받는 학생들이 직영급식을 받는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선택한 항목 중 하나는 음식의 맛이었는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비율로 선택하였다. 음식의 질 향상도 남녀 모두 위탁급식을 받는 학생들이 더 많이 선택한 항목이다. 위탁급식을 받는 여학생의 41%, 직영급식을 받는 여학생의 25%가 앞으로 급식 개선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3가지 중 하나로 위생을 선택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직영급식을 받는 학생들은 위탁급식을 받는 학생보다 나눠주는 양의 변화, 아침식사 제공 등을 더 원하고 있었고, 여학생의 경우는 식당 인테리어, 나눠주는 방법 변화 등에도 위탁급식 받는 학생들과 차이가 났다. 2. 회기분석에 의하면 직영급식과 위탁급식간의 차이는 위탁급식에 비하여 직영급식을 받는 학생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교급식에 더 만족감을 나타냈다. 속이 불편한 경험이 없을수록, 음식량, 음식의 온도 및 간이 알맞다고 느낄수록, 메뉴에 대해 남기지 않고 잘 먹을수록, 식사시간이 충분하다고 느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식단·조리방법이 다양하다고 생각할수록, 위생이 청결하다고 느낄수록, 학교급식이 가정식사와 비교하여 좋다고 생각할수록 더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만족감을 나타내는 설명력도 높았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성별, 학년, 속이 불편한 경험을 통제했을때 직영급식이 위탁급식보다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감이 평균 1점 이상 높음을 알 수 있다. 급식형태, 성별, 속 불편 경험을 통제했을 때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급식에 만족한다는 것은 괄목할 만하다 (p=0.004). 급식형태, 학년, 속불편 경험을 통제했을 때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급식에 대해 더 만족했는데, 그 차이가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은 단순회귀분석때보다 다른 변수들을 고정시킨 다중회귀분석에서 더 커졌음을 알 수 있다 (b=0.20에서 b=0.49). 3. 학부모의 경우 학교급식에 대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직영급식의 경우 응답자의 73%가 만족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는 3.5%에 불과 했으나 위탁급식의 경우 만족스럽다고 답한 경우가 한 명도 없었으며 응답자의 44%가 전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답해 직영급식과 현저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의 다양성에 대한 응답은 직영급식교의 78.5%의 학부모가 다양하다고 답한 반면에 위탁급식교의 22.4%의 학부모만이 다양하다고 응답해서 직영급식과 위탁급식의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학교급식개선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으로는 메뉴를 다양하게 해서 학생들이 선택하도록 하자와 학교급식 위생에 대한 개선과 음식의 질 향상, 음식의 맛 향상에 많은 응답을 하였고 직영급식과 위탁급식간에는 대체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급식형태별 학교급식 만족도에서는 직영급식이 위탁급식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학교급식의 만족도를 더 높이기 위하여는 외형적인 급식형태에 의존하기보다는 다양한 메뉴, 음식의 맛 개선, 음식의 질 개선, 후식제공, 식당 인테리어 개선, 새로운 음식개발과 조리방법의 개선, 각종급식기기의 청결과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을 적용한 체계적인 위생과 식품안전성 확보에 더 주력하는 급식방법을 직영급식 및 위탁급식 형태별로 각계의 전문분야의 지원을 받아 개선하여 시행하여야 한다고 본다. 2. 또한 학교급식이 보다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전반에 걸쳐 학생들의 의견 반영을 위한 최대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 이 연구에서는 충남의 일부 지역만을 선정하여 직영급식과 위탁급식간의 만족도를 연구하였는데 전국의 급식학교를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실시한다면 좀더 객관적이며 보편성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through investigating the levels of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forms of school food service for two middle schools managing the National Food Service and another two middle schools managing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in Chu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National Food Service than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and girls were more satisfied than boy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of the menu between the National Food Service and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They preferred the National Food Service to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And 'Pork Cutlet' was their favorite food. As a consequence of the analysis of inquiring into students' eating habits, it was found that many students under the National Food Service answered positively that they were able to eat all kinds of food. However many students under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answered negatively and that they came to eat more snacks than before. 2.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ational Food Service and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The students under the National Food Service were more satisfied than the students under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and boys were more satisfied than girls. When they had no experience of stomachache, students though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nd the salt were good enough to make the food delicious. And when they didn't leave the food and they had enough time to eat the foo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was high. When gender, grade and the stomachache were controll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National Food Service was higher by one point than that of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When the form of food service, gender and stomachache were controlled, the higher their grade were, the more satisfied with the food service they were(p=0.004). 3.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parents' satisfaction levels. 73.0%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National Food Service and only 3.5% of them were not. None of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and 4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never satisfied with th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s of school food service under National Food Service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levels under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It is thought that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school food service includes 'the variety of menu choice', 'taste of food', 'the quality of food', 'offer of dessert', 'the interior of the cafeteria', 'development of cooking style', and 'systematic hygiene' according to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It is thought that to raise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school food service, schools have to try their best to reflect the students' opinion on school food service. This study was about the satisfaction levels of National Food Service and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in some parts of Chungnam.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would present a little more objective and universal results. Key Word : School Food Service, Satisfaction, National Food Service, Contracted Management Food Service

      • 흡연 예방교육이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효과

        김유자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세계적으로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의 피해가 심각한 가운데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흡연을 시작하는 연령이 계속 낮아지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흡연률 및 흡연 경험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 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설계 유사실험연구로 초등학생에게 흡연 예방교육을 실시한 후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건강행위의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N시 지역 25개 초등학교 중에서 2개교를 임의 선정하여 각 학교 4~6학년 전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S 초등학교 학생을 실험군 (71명)으로, 생활 환경 및 제반 여건이 비슷한 인근 N 초등학교 학생을 대조군 (70명)으로 임의배정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실험군에는 흡연 예방교육을 주 1회 1시간씩 총 5주간 5시간을 실시하였으며, 교육이 끝난 2주 후에 사전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03년 5월 28일부터 7월 1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χ^(2)-test 와 t-test로 검증하였고, 실험 전 · 후 차이는 t-test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흡연 경험률은 14.2%이었으며, 흡연하는 가족원이 있는 경우가 52.2%이었고, 흡연경험 아동들의 흡연동기의 78.9%가 호기심이었다. 흡연경험 아동의 최초 흡연시기는 36.8%가 초등학교 3학년 이전이었다. 2. 제 1가설, '흡연 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에 대한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연에 대한 지식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지지되었다 (t =4.14, p = .001). 3. 제 2가설, '흡연 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흡연에 대한 태도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연에 대한 태도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지지되었다 (t =3.654, p = .001). 4. 제 3가설, '흡연 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행위의 실천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연에 대한 건강행위 실천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기각되었다 (t =0.859, p = .392).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흡연 예방교육이 초등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동들의 최초 흡연 경험시기가 선행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의 흡연 예방교육이 저학년 때부터 체계적으로 시작해야 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similar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prior·post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that affect the knowledge about smoking, attitudes, and the practice of health behavior after executing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mok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for the research object, it selected 2 elementary schools located on N city random as an object of the whole children in 4~6 grade in each school. This study executed a pretest for the whol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arranging the experimental group(67 children) to one school and the control group(67 children) to the other school optionally. Then, it has executed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moking for 5 hours in 5 weeks by one hour a week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osttest was executed by a similar method to the pretest after two weeks when finishing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mok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ion was executed from May 28, 2003 to Jul. 10, 2003. As for the collected data, the general features of object were verified with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and the verification of homogeneity i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was executed by the χ^(2)-test and t-t est, using the SPSS-PC program. Also,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prior·post experiment was executed by paired t-test and t-tes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empirical rate of smoking for the object was 14.2%, and it took 52.2% in case of having the smoking family members. The 78.9% motives of smoking for the children with the experience of smoking were curiosity. The 36.8%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moking first were before the elementary schools in the third grade. 2. As for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moking may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knowledge scores of smoking', it was supported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scores of smok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 (t = 4.14, p= .001) 3. As for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moking may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ttitude scores of smoking', it was supported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scores of smok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 (t = 3.654, p= .001) 4. As for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moking may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s of practice of health behavior', it was rejected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practice of health behavior of smok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 (t= 0.859, p= .392) From the research result above, it presented that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moking would be effective arbitration method for changing the children's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The period of the first smoking experience of the children became lower from the result of prerequisite research. Accordingly, this researcher is to suggest that the preventiv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started from the lower grade systematically.

      • 비행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개념, 우울성향과의 관계

        김유자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s, self-concept and depression of normal groups with those of delinquent juvenil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 of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s, self-concept and depression in delinquent juveniles. 167 high school students and 188 delinquent juveniles accommodated in a vocational training school in Pusan were administered Paental Rearing Attitude Inventory, Self-concept Inventory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s of normal groups and those of delinquent juveniles. But, delinquent juveniles perceived more control than normal groups in maternal rearing attitudes. 2) The moral-ethical self and the personal-self of delinquent juveniles were more negative than normal groups. 3) Delinquent juveniles were more depressive especially in self-criticism, guilty feeling, physical and emotional symptoms. 4)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 types of delinquency. 5) Theft-delinquents were showed higher scores of self-criticism, guilty feeling, and somatization than violence-delinquents. 6) Theft-delinquents were more negative in physical-self, and personal-self than violence delinquents. The suggestions,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of study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 노인의 역할수행과 종교생활·경제상태에 따른 성공적 노화

        김유자 대구한의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formance, religious life and economic status of seniors, and successful aging. In order to do so, 329 males and female of 60 years of age or older from Daegu area were selected and survey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survey questions, 30 random recipients were chosen for a preliminary survey. After restructuring the survey questions, the main survey took place.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o the people willing to participate and getting their cons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1st, 2012 and February 10th of the same year. SPSS 18.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hile AMOS 18.0 was utilized for performing path analysis on the model for successful ag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ales, younger people, people with more education and higher mean household income, and those who live with a spouse are shown to be more active in terms of the role within the family boundary. Analyzing the role outside the fami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lmost the same results are witnessed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e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hav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tiveness. When it comes to the religious life, males, one person household, and those with higher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turned out to be more active. Christians were the most active and Catholics, Buddhists, and those without a religion followed suit.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level and mean household income and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economic status. Second, as far as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goes, older people, college graduated, and people with a higher mean household income and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children.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and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who are Christian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erfection of self. People with active life participa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ose who are younger, have higher education, and people with a mean household income and people with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Self-acception factor of successful aging was high if a person has a higher education, a mean household income, and a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Christians scored highest in terms of self-acception, and Catholics, Buddhists and those without a religion followed suit. Self-regulating life of successful ag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people with younger age, a college education, a high mean household income and a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Third, after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path-coefficients, 7 out of the 8 paths (role within the family ⟶ religious life, role within the family ⟶ economic status, role outside the family ⟶ economic status, role within the family ⟶ successful aging, role outside the family ⟶ successful aging, religious life ⟶ successful aging, economic status ⟶ successful ag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 CR ±1.96 and p<.05). Role within the family (β=.299), role outside the family (β=.192), religious life (β=.131) and economic status (β=.330) were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In short, higher role performance within and outside the family, more active religious life and being wealthier is show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ccessful aging. These factors combined explained 43% of the variations in successful aging variable. When it comes to the direct effects on successful aging, role within the family (.195 at p<.01), role outside the family (.119 at p<.01), religious life (.051 at p<.05), economic status (.165 at p<.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uccessful aging consisted of significant relationships such as religious life and economic status affecting role within the family (.068 at p<.01) and role outside the family (.039 at p<.01). Also, role performance within the family was proven to be the strongest variable explaining successful aging. 이 연구는 노인의 역할수행과 종교생활, 경제상태에 따른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녀 3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조사도구는 조사 대상 30명을 임의 선정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내용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한 후 문항을 재구성하여 최종 확정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는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의사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전 동의를 구한 다음, 2012년 1월 1일부터 2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성공적 노화에 대한 모형 검정은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 내 역할은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내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배우자와 동거하는 사람이 적극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 밖 역할도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내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동거하는 사람이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적극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종교생활은 남자보다는 여자가, 배우자와의 사별․별거․이혼의 상태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종교는 기독교-천주교-불교-무교 및 기타의 순으로 적극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제상태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내 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높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중 자녀에 대한 만족은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대졸일수록, 가구 내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성공적 노화 중 자기완성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종교 중에서는 기독교를 믿는 사람이 자기완성도가 높았다. 성공적 노화중 적극적 인생참여는 남자가,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내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적극적인 인생참여 정도가 높았다. 성공적 노화의 타인수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내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높았다. 성공적 노화의 자기수용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내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종교는 기독교와 불교- 천주교- 무교 및 기타 순으로 높았다. 성공적 노화의 자율적인 삶은 연령이 낮을수록, 대졸 일수록, 가구 내 월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았다. 셋째는 연구모형에서 각각의 경로계수들을 통하여 경로들이 유의미한지를 알아 본 결과, 1개의 경로를 제외하고 7개의 경로(종교생활←가정내역할, 경제상태←가정 내 역할, 경제상태←가정 밖 역할, 성공적 노화←가정 내 역할, 성공적 노화←가정 밖 역할, 성공적 노화←종교생활, 성공적 노화←경제상태)가 CR이 ±1.96이상으로,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정 내 역할(β=.299)과 가정밖 역할(β=.192), 종교생활(β=.131), 경제상태(β=.330)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 내와 가정 밖의 역할수행도가 높을수록, 종교생활이 활발할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43.7%였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가정 내 역할 .195(p<.01), 가정 밖 역할 .119(p<.01), 종교생활 .051(p<.05), 경제상태 .165(p<.01)로 유의하였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종교생활과 경제상태가 가정 내 역할에 .068(p<.01), 가정 밖 역할에는 .039(p<.0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 내 역할수행이 성공적 노화에 가장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