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의과대학 기공 관련 현황 및 강의 만족도 분석

        金起震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1. Purpose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stablished subjects of Qigong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students, the author attempted a grasp of the established Qigong-related subjects at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nationwide and their students' club activities. And in order to prepare the basis for futur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the lectures, an evaluation was made on the lecture by the 'theory-practice-self study' system initiated in 'Yangseng Qigong(養生氣功) and practice' at Daegu Haani University. 2. Methods To investigate particulars on Qigong subjects at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across the country, their home pages were checked on in May, 2008 and a personal phone inquiry was also made regarding the items not to be confirmed from the home pages. The content of inquiry was compiled and sent to each college by e-mail to obtain the confirmation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r department heads. To grasp the present state of the clubs for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nationwide, the monitors for the whole clubs within the colleges were contacted by phone to inquire into, and with an agreement in advance, the monitors were inquired of their clubs' general situations in the manner of phone questionnaire. And I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Yangsaeng Qigon and Practice' which is the lecture that composed theory, practice, self study for 120 students a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 Daegu Haani University. 3. Results Nine out of 11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offered course of Qigong and 8 as a major and 1 as a cultural subject. Daeguhaani and Wonkwang colleges had the science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their regular course and the rest in the preparatory course. The subject was 1 credit for 4 colleges and 2 credits for 5 ones. Practice was arranged independently for 6 colleges. There were 6 schools with clubs related to Qigong and 12 clubs altogether in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The number of clubs were 4, the most, at Daegu college and the number of members were 61, the most, at the same school, too. As for the content of training, 6 colleges, the most, combined Junggong(精功) and Donggong(動功d). It was shown that in case of clubs without intramural space for training, there were fewer times of weekly group training, together with less training time. Of the 8 clubs with a coach, there was only one club that had a coach from Oriental medicine doctor. In the inquiry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lass of ‘Yangsaeng Qigong and practice', 69% answered positively. As to the satisfaction with class grouping, 76% answered affirmatively, and as to the question "Agreement to the plan workable?", 72% said it was satisfactory, showing lectures by class grouping were made successful as planed. As to satisfaction with theory lectures, 36% were satisfied (38% unsatisfied), as to practice 90% was satisfied (2% unsatisfied) and as to the self-study and special lectures, 36% was satisfied (23% unsatisfied), showing th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practice. To the question "Was it helpful in understanding hygiene Danjeon-breathing science?", 31% said yes (16% no) for theory, 87% yes (3% no) for practices, 32% yes (32% no) for special lectures, and 37% yes (28% no) for team assignments. 4. Conclusions As seen in the inquiring result of 'Yangseng Qigong(養生氣功) and practice' satisfaction on the subject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 Daegu Haani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were much interested in practical training of Qigong and its operational methods. Also, In their education goal, each college includes a therapy for the people's health improvement as a doctor of Oriental medicine as well as personal cultivation of their mind and body, and in the content of lectures, many colleges were including not only the concepts of breathing, its principles and history, but also its use for clinics. However, all the colleges except DaeguHaani and Wonkwang, have established the Qigong in their preparatory course, revealing their knowing it as a basic course. In addition to educat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breathing as a basis for Oriental medicin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hat the science should be placed in the regular course and taught to the students as a field of basis and clinics for Oriental medicine in order to enable practical operation in joint with clinics at the scene. The textbooks and majors of the lecturers turned out to be varied, but as seen from the result of lecture satisfaction on 'Yangseng Qigong and practice',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paredness of the lectur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 material. Despite the situation that most schools have chosen it as a major subject, the subject name was divergent among schools and the textbook and the content of practice were also not unified. At the point of globally rising interest in Qigong, this will only lead to its weak competitiveness when advancing to the world. We ourselves should be standardized and prepared. To this e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should be a common textbook for Qigong, and that specialized manpower to lecture on the subject should be cultivated. 1. 연구의 목적 기공학 과목개설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정규 교과목이외의 학생활동을 파악하고자 전국 한의과대학의 기공학 과목 개설 및 한의과대학 내의 기공 관련 학생 동아리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대구한의대학교에서 ‘양생기공학 및 실습’에서 새롭게 실시된 ‘이론-실습-자율학습’ 방식의 강의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강의개선 및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전국 11개 한의대의 기공학 과목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5월에 전국의 11개 한의대 홈페이지를 조사하였고 한의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 직접 전화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여 각 대학에 우편으로 발송하여 담당교수 혹은 학과장의 확인을 받았다. 전국 11개 한의대 기공 동아리 현황 파악을 위해서 2007년 10월에 11개 한의과대학 전체동아리 회장에게 전화 연락하여 기공 관련 동아리를 조사하였고, 조사된 기공 관련 동아리 회장에게 전화 설문방식으로 사전 동의를 구해 소속 동아리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 2008년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양생기공학 및 실습’을 수강한 본과 1학년 120여명을 대상으로 모든 강좌가 끝나고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3. 결과 11개 한의대학 중 기공학이 개설 되어 있는 학교는 9곳이었고, 그 중 전공으로 개설된 학교는 8곳, 교양으로 개설된 학교는 1곳이었다. 대구한의대와 원광대학교 한의대학교가 각각 본과 1학년 2학년에 배치가 되어 있었고, 나머지 학교들은 예과에 배치가 되어 있었다. 1학점으로 된 학교가 4곳, 2학점으로 된 학교가 5곳이었다. 실습 시간이 있는 학교는 6 곳이었다. 11개 한의대학 중 기공관련 동아리가 있는 학교가 6곳이었고, 12개의 동아리가 있었다. 동아리 수는 대구한의대에 4곳으로 제일 많았고, 회원수에서도 대구한의대가 61명으로 제일 많았다. 수련내용에 있어서는 정공과 동공을 병행하는 곳이 6곳으로 제일 많았다. 교내에 수련 공간이 없는 동아리의 경우 주당 단체 수련 횟수 및 수련 시간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승이 있는 8개의 동아리 중 1개의 동아리만이 한의사 출신 스승이 있었다. ‘양생기공학 및 실습’ 강의 전반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69%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분반에 대한 만족도’는 76%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계획서와의 일치가 잘 되었냐’에 대한 답변도 72%가 만족한다고 답해 분반에 의한 강의가 계획대로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론 강의의 만족도는 14%가 만족, 38%가 불만족으로, 실습은 90%가 만족, 2%가 불만족으로, 자율학습 및 특강은 36%가 만족, 23%가 불만족이라 답해 실습이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생기공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냐’는 질문에 이론은 31%가 그렇다, 16%가 그렇지 않다고, 실습은 87%가 그렇다, 3%가 그렇지 않다고, 자율학습은 32%가 그렇다, 32%가 그렇지 않다고, 특강은 32%가 그렇다, 32%가 그렇지 않다고, 조별과제는 37%가 그렇다고 28%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4. 결론 대구한의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공학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학생들은 ‘기’의 실질적인 수련, 운용 방법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 대학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개인의 심신 수련뿐만 아니라 한의사로서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치료에도 그 목표가 있었고, 강의 내용에서도 기의 개념, 원리와 역사뿐만 아니라 임상에 활용하는 내용 또한 다수의 대학에서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구한의대학교, 원광대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에서는 예과에 개설이 되어 기공을 기초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공학이 한의학의 기초로 이론적인 기의 개념을 교육하는 것 외에 실제 임상과 접목하여 실질적 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본과에 개설하여 한의학의 기초 및 임상 분야로 학생들에게 교육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교재와 강사의 전공이 다양하였는데 기공학 강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강사의 준비상태 강의 자료의 만족도에 따라 강의의 만족도가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가 전공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상황에 교과목명이 다르고, 교재, 실습내용 또한 통일되지 않고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세계로 나아갔을 때 경쟁력이 약할 수밖에 없다. 우리 스스로 표준화하고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강의할 수 있는 기공학 공통 교과서가 있어야 할 것이고, 기공을 전문적으로 강의할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교수자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 재선택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성인대학생을 중심으로

        우정미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 재선택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위치한 2∼3년제 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최종 498부의 설문지를 SPSS 22.0과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교수자 재선택, 학습몰입의 수준 차이를 확인하였다.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소인 전문성 및 전달성은 대학 유형, 연령대, 직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뢰성은 대학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공감 및 친근감은 대학 유형과 학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소인 외모 및 주변 환경은 대학 유형과 학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표현성은 대학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 재선택은 대학 유형과 결혼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몰입은 대학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성인대학생이 교수자 재선택의 경로에서 총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 재선택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학습몰입의 매개로 성인대학생이 교수자 재선택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하는 교수자가 성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다면 성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와 함께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itment to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communication and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among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attending a two or three year college or a university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 Province and analyzed a final total of 498 questionnaires with the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and the level of commitment to learning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ism and delivery, subelements of instructors' verbal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ype of college, age group, and occupation. Reli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ype of college, and sympathy and intim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ype of college and the grade. Under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ppearanc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type of college and the grade. Expressive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ype of college.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type of college and marital status. Commitment to learning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type of college. Secondly,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d total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th of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by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but it had no direct significant effects on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by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via commitment to learn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if instructors make use of thei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lessons for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t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commitment to learning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lessons.

      •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 운영 실태조사 및 위생수준 평가

        박숙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시설 운영실태와 위생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평가, 급식시설 현장평가를 통해 위생수준을 점검하여 나타난 위생관리 문제점의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지역아동센터 시설운영주체는 개인이 가장 높았으며, 이용아동 수는 전체지역에서 20명 이상 29명 이하인 곳이 6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사가 있는 센터는 전체 7.0%, 조리사가 있는 센터는 전체 56.5%로 예산부족으로 인해 채용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종사자들의 겸직으로 급식운영이 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일지 중요도-수행도 비교 결과, 식단표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보다 수행도의 점수가 높았으며, 급식운영일지, 검수일지, 조리사 면허증, 검식일지, 조리원 위생교육일지, 재고조사표, 건강진단결과표, 소독실시필증, 비품대장표 항목에서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대구지역은 식단표의 중요도가 4.54점, 경북지역은 건강진단결과표의 중요도가 4.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구지역은 식단표, 위생점검일지의 수행도가 4.51점, 경북지역은 식단표가 4.61점으로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생관리 운영 실태조사 결과, 종사원의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시설은 87.9%로 대구·경북지역 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대부분 위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위생교육 받은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는 시설은 70.8%로 조사되었다. 위생교육 받은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설 및 기기 부족이 30.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위생시설 실태조사 결과, 오염·비오염구역 구획구분이 되어있는 시설은 전체 48.2%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전처리용·조리용 개수대가 구분되어 있는 시설은 전체 53.0%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내부벽·바닥 타일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은 전체 44.2%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온장고는 대구지역 31.9%, 경북지역 12.0%가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위생관리 중요도-수행도 비교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료 선입선출, 구매한 식재료의 주기적인 유통기한 확인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 구매한 식재료의 주기적인 유통기한 확인, 식재료 검수일지를 작성․보관 항목에서 대구·경북지역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p<0.05). 수행도는 작업 전 작업자들의 건강상태 확인, 식재료 검수일지를 작성․보관, 식재료와 조리된 음식은 바닥에서 60cm이상 떨어진 곳에 보관, 보존식 보관 및 관리기준 준수 항목에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급식시설 현장심사 결과, 대구지역의 경우 시설관리 32.0/45점(71.1%), 개인위생관리 17.7/24점(73.6%), 작업위생관리 28.0/48점(58.3%)으로 전체 평균 77.7/117점(66.4%)로 나타났다. 시설관리, 개인위생관리영역에서 경북지역이 대구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대구지역과 경북지역 모두 작업위생관리영역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 중점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분야로 조사되었다. 급식시설 청결도 확인 결과, 기구·용기영역에서 칼은 전체 37.5%, 도마는 전체 42.9%, 식판은 전체 100%, 행주는 전체 42.9%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설·설비 영역에서 싱크대는 전체 50.0%, 작업대는 전체 12.5%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냉장고 손잡이는 모든 센터에서 부적합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위생영역에서 작업자 손은 전체 57.1%, 고무장갑은 전체 100.0%의 센터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급식 운영에 있어 위생관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도록 영양사의 배치가 필요하며, 효율적으로 위생관리가 되기 위해 급식시설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매체, 매뉴얼을 개발하여 위생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에 시설 및 기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시설이 많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offers preliminary data to strategize improvements of sanitation management problems revealed by inspecting sanitation level, through the field evaluations on foodservice facilities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items and management of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Most of Community Child Centers are privately owned, and the numbers of children 20 to 29 was 63.0%, the highest. Only 7.0% and 56.5% of the centers had nutritionists or cooks, respectively, due to budget deficit, and foodservice are run by employees holding other works. As a result of comparing importance-performance in foodservice journal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score of importance is higher than that of performance in all items except for menu.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items such as foodservice journal, inspection journal, cook license, meal sampling, sanitation education journal, inventory tag, health examination result list, certificate of disinfection and equipment register(p<0.05). The highest importance scores were menu in Daegu with 4.54 and health examinations result tables in Gyeongbuk area with 4.56. The highest performance scores were menu and sanitation check journal in Daegu with 4.51 and menu tables in Gyeongbuk area with 4.61.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of sanitation management found that 87.9% of employees had regular health inspec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egu and Gyeongbuk(p<0.05). Most of sanitation educations are necessary, and it is found that contents of sanitation educations are applied to fields in 70.8% of facilities. Among the reasons why the contents of them are not used in the fields, the rate of shortage of facilities and devices is 30.1%, the highest one.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of sanitation facilities found that separated of contaminated and non-contaminated areas are 48.2% of all, and they are significantly more founded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1). separated of sinks for pre-processing and cooks are 53.0%, and they show significant higher rate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5). Interior wall, floor tile installation are 44.2%, and they are significantly more founded in Daegu than in Gyeongbuk(p<0.05). 31.9% of centers in Daegu and 12.0% of centers in Gyeongbuk area were equipped with hot holding table(p<0.05). As a result of comparing importance-performance in sanitation management show that importance is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item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l items except for FIFO of stored food and checking of periodic expiration date(p<0.00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items such as checking of periodic expiration date and ingredients to create and store logs inspection, is found between Daegu and Gyeongbuk(p<0.05). For the performance, some items are shown as higher in Daegu than in Gyeongbuk: examination health check before working, ingredients to create and store logs inspection, handing food on working table with at least 60cm hight from floor and preserved food and managing compliance standards(p<0.05). The results of field examinations of food-service facilities, the score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sanitation management is 32.0/45(71.1%); personal hygiene management, 17.7/24 (73.6%); and foodservice processing sanitation management, 28.0/48 (58.3%), and average scores of which is 77.7/117 (66.4%) in Daegu. The levels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sanitation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are higher in Gyeongbuk than in Daegu, and both of which show the least level in foodservice processing sanitation management which should be thus intensively managed. As result of cleanliness check in foodservice facilities, it is found that knife is suitable for 37.5% of all centers, chopping board 42.9%, food tray 100%, and dishtowel 42.9% in cooking utensils and that sink 50.0%, working table 12.5% in facilities/equipments. And grip of refrigerator is unsuitable for all centers. In personal hygiene, hands of workers and rubber gloves are suitable for 57.1% and 100% of all centers. In the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ments of nutritionists are needed to improve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and the sanitation education is thought to be provided to managers based on developments of various medium and manual, for the efficient sanitation management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should be continuously supplied to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due to relative lack of them.

      • 학교 교재원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태훈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의 교재원 현황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학교급별 교육과정 내의 교재원 관련 내용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재원의 규모와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 초․중․고등학교 내 교재원의 유무, 교재원 보유 현황, 교재원의 구성요소 현황, 교재원의 활용 사례 등을 파악하여, 둘째, 교재원의 운영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과의 관련여부를 분석한 후, 셋째, 교재원 운영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교재원의 조성 면적과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학생, 학부모 만족도 평가 및 학교폭력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넷째, 효과적인 교재원 운영을 위한 교재원의 면적과 구성요소, 적정비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 429개 초․중․고등학교의 교재원 관련 자료를 전화, 메일, 학교정보공시사이트 및 직접 방문하여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 교재원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설립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정하였고 교재원 활용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재원의 보유 면적을 조사한 결과 학교교지대비 교재원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초등학교 0.79%, 중학교 0.16%, 고등학교 0.17%로 초등학교가 중․고등학교에 비해 학교교재원 면적 평균 비율이 약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원의 각 구성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화단, 화분, 밭 등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가장 많은 규모를 차지했으며, 동물 사육을 위한 사육장과 수족관, 연못, 기상 및 지질 관찰을 위한 암석원, 백엽상, 기상대의 순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재원 활용 관련 학교급별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가 126개 주제, 중학교 6개 주제, 고등학교 4개 주제가 교재원을 활용한 교육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넷째, 초․중․고등학교의 학급당 교재원 면적과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만족도, 학부모만족도, 학교폭력 심의건수와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중․고등학교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교재원 면적이 많을수록 학생, 학부모 만족도는 높아졌으며 학교폭력 심의건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재원 면적과 학급당 교재원 면적의 평균을 분석해 본 결과, 학급당 교재원 면적 평균은 초등학교는 6.26㎡, 중학교는 1.23㎡, 고등학교는 1.53㎡으로 나타나, 초등학교는 교육과정 속에 나타난 교재원 관련 주제를 학습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교재원 면적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학교급별 학급당 교재원 면적은 평균 면적 이상을 확보해야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재원 구성요소별 면적은 초등학교의 경우 식물재배 면적 평균이 54.15㎡, 동물사육 면적 평균이 15.57㎡, 지질․기상 관찰 면적이 5.25㎡로 3개 항목에 대한 비율은 약 7:2:1가 적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성요소별로 모두 1곳 이상을 갖추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인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재원 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교재원 면적은 최소 3.5㎡이상, 최대 8㎡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해 볼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재원 활용 주제 수에 따라 초등학교는 더 많은 교재원 면적을 확보해야하며 중․고등학교의 경우 창의적 체험학습이나 동아리 활동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교재원 체험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성 및 정서 함양, 폭력예방, 창의인재 양성과 같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현재 마련된 교재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미흡한 요소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한다. This study was created to develop methods and scal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Gardens based on current and operating status' and having content relat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Daegu Metropolit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irst, the research is about whether or not there is Learning Gardens in the Daegu Metropolit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resent conditions and state of existing Learning Gardens and the case application for the gardens. Second, are the Learning Gardens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or textbook content, related. Third, does the Learning Gardens effect the Teacher Evaluation for Ability Development and help prevent school violence. Lastly, how to calculate the scale of composition and proportion of the Learning Gardens to be most effective in the schools. The objective an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and analyz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and the level of the school through ident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Learning Garden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from 42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urveys conducted by phone, mail, personal visits to the school information posting system site and the schools.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the program SPSSWIN 18.0(one-way ANOVA) and it ver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using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 following are the key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mparing the average area of the Learning Gardens to their school's total area, we see that the elementary school Learning Gardens occupy approximately 0.79% of their school's property, while Learning Gardens a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occupy .0.16% and 0.17% of their school's area.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each composition element of the Learning Gardens presents that the space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such as the flower bed, the pots and the field has the largest size. Next is the farm for raising animals, the aquarium, the pond, the rock garden for the weather and geological observation, the instrument shelter and the weather station.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presents that 126 topics in the elementary school, 6 topics in middle school and 4 topics in high school are related to the Learning Gardens. Fourth,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presents that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don't have any meaningful results. The elementary school has a result showing that students satisfaction(r=.461, p<.001)and parents satisfaction(r=.475, p<.001) are high, and school violence(r=-.244, p<.01) is low.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everal recommendations could be mad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verage size of Learning Gardens for each class is 6.26㎡ in elementary school, 1.23㎡ in middle school and 1.53㎡ in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 Learning Gardens should secure more area based on curriculum related topics and the level of the school. Second, the average area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is 54.15㎡, the average space for raising animals is 15.57㎡ and the average space for the weather and geologic observation is 5.25㎡. The proportion of these three items shows that approximately 7:2:1 is an appropriate ratio. Also, preparing more than one area for each compositional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various methods of operations for the Learning Gardens should be prepared by considering the school's needs. Thir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he area of the Learning Gardens with relation to each class could be made from a minimum of 3.5㎡ to a maximum of 8 ㎡. Fourth, the elementary school's curriculum topics using the Learning Gardens should secure more area.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arning Gardens will become more desirable to operate for creative experience learning and club activities. Lastly, methods enhancing the applicability and the supplement policies for the insufficient Learning Garden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have positive effects like right personality, cultivation, violence prevention and training for creative people through garden activities.

      • 대구광역시 미용학원 수강생 중 20〜30대의 학원선택요인 및 재수강분야에 관한 연구

        여주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According to Korean Skills Development Center, beauticians are one of the jobs that have potential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and demands of needs in the next ten years. To keep their reputations, many beauty academies have tried various things. However, specific curriculum that is subdivided into age groups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till need more work. People in 20∼30s who work as beauticians need to make their own decisions about their paths and plan to improve in academic efficiency as members of society. They should play leading roles in their field. This study grasps the need of retaking intensive courses and operates objective research about what specific topics do students want to retake. It also analyzes general information about students and relationship of attention between the selecting factors of beauty academy institution. It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survey. As a result, among the people in 20∼30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omen are 84.5 percent. 31.4 percent of the people go to technical colleges and 43.4 percent of them are students. There are 32.2 percent of people who have less than 300 dollars as their monthly income. 85.5 percent are single. The survey also included the routes of choosing beauty academy institution. “Curiosity” ranks as the highest (23.2%). 31.3 percent of people are taking a class for hair dresser certificate. 47.1 percent of people are taking just one class. More than half of them (56.1%) take classes for three to six months and 35.3 percent of the classes are five times a week. 49.7 percent of people take evening classes and the size of classes are usually four to six classroom size (40.7%). The important selection factors are awareness, cost, course curriculum, employment rate after taking courses, career and academic ability of instructors. 86.7 percent of people are willing to retake classes and 29.2 percent of them mention that they want to take advanced course of nail art class. They also want to take advanced make-up and hair classes.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of attention between the selecting factors of institutions, in terms of gender, course curriculum, reputation of the director, location and transportation, and cost are th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terms of monthly income, there ar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most of contents. Above all, there is a high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size of academy institution and its location and transportation.(p<0.001) To sum up, this study, the research of choosing beauty academy institutions and re-registration of advanced courses among 20∼30s in Deagu City, is willing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auty institutions. This study has its limit since it was carried out in certain location and there were some lack of advanced analysis about the significance differences. To supplement the limit, further study is required.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발표에 따르면 직업의 발전가능성이 높고 10년 후 일자리 수요가 늘어 날것이라 전망하는 전문 직종 중에 미용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용사는 현재 고부가가치의 유망직종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전문직의 미용인을 양성하는 미용학원들은 학원의 유지와 인지도 구축을 위해 수강생과 교육과목 등에 대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수강생들의 연령별 세분화된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한 연령별 맞춤식 교육과정이나 교육품질의 향상에 대한 노력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사회인으로서 자유로운 의사결정의 주체이며 본인의 진로와 학업의 능률향상을 위한 방안을 스스로 결정하고, 미용실무 및 현장에서 주도적 역할자로서의 20∼30대가 진로의 결정, 학업의 능률향상, 미용실무 및 현장에서 승급 및 승진을 위해 현재 수강중인 정규과목 외에 심화과정의 재수강이 필요한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고, 심화과정 중 어떠한 분야의 재수강을 희망하는 가에 대하여 실증적 조사 및 수강생의 일반적인 사항과 학원선택요인간의 유의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의 연구와 설문을 통한 실증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수강생의 일반적인 사항에서는 미용학원에 수강중인 20∼30대는 여성이 84.5%로 남성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전문대학 재학생이 31.4%, 직업은 학생이 43.4%, 월평균소득은 30만 원 이하가 32.2%, 결혼여부는 미혼이 85.5%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학원 선택 시 정보획득 경로에 대한 사항은 본인의 호기심이 2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수강중인 과목은 헤어자격증반이 31.3%, 현재 수강하고 있는 과목 수는 1과목 수강이 47.1%, 수강기간은 3∼6개월이 56.1%, 주당 교육 횟수는 주5회가 35.3%, 교육시간대는 저녁반이 49.7%, 시설규모는 강의실 4∼6개가 4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학원선택요인으로는 대부분이 중요 요인으로 선택되었으며, 그중에서 인지도, 수강료,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수료 후 취업률, 강사의 경력과 학력은 매우 중요함으로 높게 나타났다. 재수강을 희망하는 20∼30대 수강생은 86.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재수강 희망분야는 네일아트 심화과정이 2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심화과정과 헤어심화과정에서도 재수강을 희망하는 수강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강생의 일반적인 사항의 변수에 따른 학원선택 요인 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가설의 유의 관계 검증에서는 가설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에서 월평균소득에서는 위치 및 교통편, 학원의 규모의 요인에서는 아주 높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이와 같이 대구광역시 미용학원 수강생 중 20∼30대를 대상으로 학원선택 및 재수강 분야에 대한 조사·분석·검증한 본 연구는 향후 미용학원과 미용교육의 발전 및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구지역으로만 조사되었다는 것과 학원선택의 요인과 요인별 유의관계를 다양하게 심층 분석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의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안동시, 봉화군 기준으로...)

        김진익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Medical expenses in Korea in 2012 were 6.77% of the household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HFCE), an all-time hig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ving environments, practice behaviors regarding health care, the causes of disease and death and characteristics of medical expenditures in the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This study intended for Andong city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and Bonghwa-gun (a rural area) among longevity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Dusan-ri, Bukhu-myeon, Andong-si; Seonggok-ri, Jangsu-myeon, Yeongju-si; Baeksong-ri, Homyeong-myeon, Yecheon-gun; Gaegan 2-ri, Murya-myeon, Bonghwa-gun) as well as Daegu city ( a large city) based on data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auses of disease and death depending on the local natural environment and individual health care from a local perspective and compared and analyzed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First, Andong city with the highest health expenditure per capita and less aging population than Bonghwa-gun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hospital beds (27.42%) in medical institutions per thousand popul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ree cities; its climate could have adverse effects on plants, animals and people because fog time (292.08hr/year) was long and the amount of sunshine was 69.83hr less than Daegu city; according to a community health survey related to the rate of health care practices, the rate of physical activity was at more than moderate levels. However, there were low rates of practices in other factors. Andong city showed 10.7% higher than Daegu city in arthritis. It also showed high rate of experiencing medical diagnosis related to hypertension and diabetes for people over thirty: while it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high in special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15.7%), respiratory diseases.(36.8%) and digestive diseases(24.5%) among top eight of fifty causes of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s for chronic diseases were very high in diabetes, mental disorders, infectious diseases and liver disease.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for people over sixty in the case area in 2011 was 5,363,200 won. According to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by age group between the 0-9 year old group and a group of people over eighty, it was high for people in all age groups except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forties. Second, Daegu city with the middle level of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doctors (2.69 people) per thousand population was the highest; the temperature (19.62℃/average annual) was high and rainfall had decreased by 616.83mm for ten years, 140mm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 rate of walking practice and stress awareness were high in a community health survey related to the rate of health care practices. The rate of experiencing medical diagnosis in hypertension and diabetes people over thirty was high next to Andong city: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periodontal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and liver disease. It was high in internal secretion, nutrition and metabolic diseases (17.1%), circulatory system diseases (13.1%) and nervous system diseases (13.1%)among top eight of fifty causes of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s for chronic diseases are very high in hypertension and periodontal diseases.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for people over sixty in the case area in 2011 was 4,941,300 won. According to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by age group between the 0-9 year old group and a group of people over eighty, it was higher than one of Bonghwa-gun. Last, Bonghwa-gun with lower medical expenditure than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re were many people over sixty (36.5%).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hospital beds in medical institutions per thousand population (4.77%) and doctors (1.3 people) were low; rainfall (1,258.74mm) and humidity (68.95%) were high; according to a community health survey related to the rate of health care practices, the rate of using medical centers was high. However, the rate of experiencing medical diagnosis related to hypertension and diabetes for people over thirty was low;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higher in arthritis, hypertension, diabetes and mental disease than the control group. It was high in neoplasm (149.2%) and digestive system diseases (36.8%) among top eight of fifty causes of death in 2011; and medical expenditures for chronic diseases were very high in arthritis. The main reason why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 was low (4,552,100 won) in 2011 even though there were many people over sixty (36.5%) was that the factors of chronic diseases were less and people used medical centers a lot.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that the medical expenditure per capital by age group kept dropping from people over sixty more than one of Daegu cit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bove contents by area, there were differences by area and generation in relation to living environments, health care, the causes of disease and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individual healthcare programs to meet local needs. If several methods such as a point accumulation system or medical discounts, which can identify individuals' exercise practices, as the political support to induce differentiation between people who practice health care and those who do not, it is assumed that the importance of personal health care can be the basis of medical savings as social spread 2012년 현재 우리나라 의료비는 가게 전체 소비액의 6.77%를 지출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의 생활환경, 건강관리 실천행태, 질병과 사망원인 그리고 의료비 지출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통계청과 기상청 자료를 기초하여,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장수마을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 봉화군 물야면 개간2리) 중 중소도시인 안동시와 농촌지역인 봉화군 그리고 인근한 대도시인 대구광역시의 지역별 자연환경과 개인의 건강관리에 따라 발생되는 질병과 사망원인을 지역적 관점에서 탐색하고, 1인당 의료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 번째, 1인당 의료비가 가장 높고 고령 인구가 봉화군 보다 적은 안동시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면 1)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병상 수 (27.42%)가 많다. 2)기후에서 안개시간 (292.08hr/년)이 길고, 일조량은 대구광역시 보다 69.83hr 적어서 동,식물과 사람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3)건강관리 실천율 부분의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중 등도 이상 신체 활동율이 높은 반면 다른 요소에서 낮은 실천율과 관절염은 대구광역시 보다 10.7% 높고, 30대 이상 고혈압, 당뇨병에서 의사진단 경험율이 높게 나타났다. 4)만성질환 유병률은 대조군 보다 낮은 반면, 사망원인 50항목 상위 8종류에서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15.7%), 호흡기 계통 질환(36.8%)과 소화기질환(24.5%)이 높다. 5)만성질환 의료비 부분은 당뇨병, 정신질환, 전염병, 간질환에서 높게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사례지역의 60세 이상 1인당 의료비는 5,363.2천원이고, 연령 구간별 1인당 의료비는 0~9세에서 80세 이상 구간 중 20대와 40대를 제외한 전 구간이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1인당 의료비가 중간인 대구광역시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면 1)인구 천명당 의사 수(2.69명)가 많다. 2)기후에서 기온(19.62℃/년 평균)이 높고, 강수량은 10년간 616.83mm 줄고, 대조군보다 140mm정도 감소했다. 3)건강관리 실천율 부분의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걷기 실천율과 스트레스 인지율이 높고 다른 요소에서도, 30대 이상 고혈압과 당뇨병에서 의사진단 경험율과 같이 안동시 다음으로 높다. 4)만성질환 유병률은 대조군 보다 치주질환, 전염병, 간질환에서 높게 나타났고, 사망원인 50항목 상위 8종류에서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17.1%), 순환기계통 질환(103.1%)과 신경계통 질환(13.1%)이 높다. 5)만성질환 의료비 부분에서 고혈압과 치주질환에서 높게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사례지역의 60세 이상 1인당 의료비(4,941.3천원)가 높고, 연령 구간별 의료비에서 60대 이상부터 봉화군보다 높게 나타난 특징이 있다. 세 번째, 1인당 의료비가 대조군 보다 낮은 봉화군의 경우, 1)60세 이상 인구(36.5%)가 많고,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병상 수(4.77%)와 의사 수(1.3명)가 적다. 2)기후에서 강수량(1,258.74mm)과 습도(68.95%)는 높다. 3)건강관리 실천률 부분의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보건기관 이용율이 높고, 30대 이상 고혈압과 당뇨병에서 의사진단 경험율이 낮게 나타났다. 4)만성질환 유병률은 대조군 보다 관절염, 고혈압, 당뇨병, 정신질환에서 높게 나타났고, 사망원인 50항목 상위 8종류에서 2011년 기준 신생물(149.2%)과 소화기 계통 질환(36.8%)이 높게 나타났다. 5)만성질환 의료비 부분에서는 관절염이 높게 나타났다. 봉화군은 60세 이상 인구(36.5%)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2011년 기준 1인당 의료비(4,552.1천원)가 낮은 이유는 30대 이상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요인이 적고 보건기관을 많이 이용하였다. 또한 연령 구간별 1인당 의료비는 60대부터 대구광역시 보다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위의 내용을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면 생활환경, 건강관리, 질병과 사망원인 그리고 의료비에서 각 지역별, 세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개인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한다. 또한 건강관리 실천에 충실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차별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으로, 개인의 운동 실천을 확인 할 수 있는 포인트 적립과 의료비 할인제도 등의 방법을 도입한다면 개인의 건강관리 중요성이 사회적 확산으로 의료비 절약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본다.

      • 중장년층의 고등교육 참여 동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상훈 대구한의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중장년층의 고등교육 참여동기와 삶의 질에 관하여 대구・경북지역 전문대학,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30세 이상부터 만 64세 이하까지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전문대학의 전문학사 학위과정 학생, 학사 학위과정(학점은행제, 대면수업) 학생, 대학원 석․박사 과정 학생 총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219부를 분석한 결과이다. 중장년층의 고등교육 참여 동기가 학습성과로서 삶의 질 즉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신체적 영역, 진로 및 취업 영역, 가정생활 영역, 사회활동 영역 등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고등교육 참여 만족도 즉 교육프로그램, 교수자, 학교생활, 교육환경 및 시설 등에서 만족도의 차이에 따른 삶의 질에 미치는 유의미성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와 종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분석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 참여 중인 중장년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을 때 가정주부와 자영업의 직업군이 사무직의 직업군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로 전문대학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교육으로서 전문대학의 전문학사 학위과정으로의 중장년층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입학의 기회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월 평균소득’에 따라서는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대학원 석‧박사과정’의 참여비율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구형태’에 따라서는 ‘부부’와 ‘혼자+자녀’가 전문대학과정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종교’와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참여 중인 고등교육과정은 다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등교육 참여 실태로 고등교육 참여경로는 가장 높은 응답자의 47.0%가 꼽은 ‘지인’을 통한 경로가 가장 큰 경로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본인 스스로’가 32.9%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20대 초반의 정규 학생들에 비해 중장년층의 성인학습자들은 먼저 고등교육에 참여 중인 지인을 통하여 간접 경험을 한 후 본인 스스로의 동기부여에 의하여 입학을 결정하여 참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등교육 참여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거리’를 응답자의 31.1%가 꼽아 접근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각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시간’을 29.2%의 응답자가 꼽아 그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대도시에 비해 중소도시의 중장년층들의 학력이 낮은 것을 고려하면 대도시 인근의 대학에 재학 중인 이들에게 거리가 가장 큰 애로사항인 것은 당연한 것이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고등교육에 대한 참여 동기를 살펴보면, 가장 강한 참여 동기는 ‘학업의 즐거움’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력신장’이 그 뒤를 이었다. 관련 선행연구에서 원격수업을 위주로 한 고등교육의 경우 ‘학력신장’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이는 출석을 부르고 면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교실 안에서의 수업은 교육목표에 의한 의도된 성과 이외에도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비의도적인 성과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실에서의 고등교육은 중장년층들에게 10대 젊은 시절의 향수를 불러오고 젊음을 가져다 준다. 넷째, 고등교육 참여 만족도는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참여 만족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교수자’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3.62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교수자가 외부강사로 이루어진 대학 평생교육에 비해 정규교육의 일환인 고등교육은 체계적인 교육과정개발을 거쳐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며 대부분의 교수자가 대학교의 전임교원으로 구성되어져 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등교육 후 삶의 질은 전체적으로 평균 3.80점의 높은 점수를 보여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각하였고, 하위요인별로는 ‘정의적 영역’이 가장 긍정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고등교육이나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중장년층들이 처음 입학할 때는 지적 요구를 가지고 배움을 시작하지만 실제로 교육 참여 후에는 지적 동기와 함께 정의적 동기가 더 강화되는 학습자가 많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중장년층 성인학습자들이 교육을 통해서 배움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으며, 끊임없이 배우고자 하는 겸손한 태도로 삶의 활력을 얻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인 중장년층의 고등교육 참여 동기 중 학력신장과 사회활동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고 고등교육 참여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학업의 즐거움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참여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자아성취감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참여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고등교육 참여 동기 중 학력신장과 사회활동은 참여 만족도를 완전매개로 삶의 질 This research is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final 219 surveys about middle aged class’s participation motive of higher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Its target subject is 240 middle-aged student, between the age of 30 to 64, who attends community college or university in Daegu or Gyeongbuk area, including middle aged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 for associate degree, university for bachelor’s degre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lecturing class), or graduate school for masters or doctor’s degree. This thesis empirically proved how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in middle-age affects quality of life, including area of intelligent, justice, physical ability, career, family life, and social life, as an achievement of the education. Moreover, it proved meaningfulness, affected by quality of life from differences of level of satisfaction, such as curriculum, professors, school life, and education environment, which are also known as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satisfactory level. As a result of analysis of both major result of this research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 is created.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class who have participated in high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community collage with housekeeper and self-employment occupational cluster had overwhelmingly higher rate than white-collar occupational cluster, which expresses that opportunity of matriculation for adult learners for associated degree course in community collage has been increased. Based on ‘average monthly income,’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that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had the higher participation ratio in master’s and doctor’s degree in graduate school. Based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husband-wife’ and ‘single with children’ had higher participation ratio in community collage courses. However, based on ‘religion’ and ‘health status’, the participation ratio didn’t have differences. Secondly, for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research, the most of participation path for higher education, 47.0%, is answered paths from acquaintances. Answer of ‘by myself’ was the next highest with 32.9%. It is seemed that adult learner in middle age class have indirect experience first through acquaintances, who already has been participated in higher education, then decide matriculation to participate with self-motivation, unlike the regular students with ages of early 20s. 31.3% respondent selected that the most difficulties for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was ‘distance,’ which means there are difficulties in accessibility. the next highest portion of the answer, 29.2%, from respondents was ‘time.’ Generally, with consideration of that middle age class in small-middle size city has lower academic background than theirs in major city, the distance is surely the major difficulty for participants in attending collage. Third, in participation motive of higher education of the target subject, ‘joy of study’ was the highest participation motive, and ‘increase of academic background’ was the next highest. This research’s result was comparatively different than related preceding research, which it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answer was ‘increase of academic background.’ It is that the face to face class with attendance credit has not only intentional achievement for education objective, but also contains unintentional achievement to change quality of life positively. Classroom in higher education brings youth and reminiscence in teenager for middle aged class. Fourth, participation satisfactory level in higher education showed that ‘education curriculum’ had the highest portion, and satisfactory level about professors was the next highest with average points of 32.6. It is that higher education, the part of formal education, contains education programs through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is comparatively different than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with outside lecturer. In addition, most of professors are consisted as full-time professor, which brings the higher satisfactory level. Fifth, future quality of life after the higher education had high points of 3.80 which recognizes effectiveness on positive and active life quality. For the sub factors, ‘justice area’ is the one that affects positive life quality at the most. The reason for it is that middle aged class, who participates in higher or lifelong education, begins learning with intellectual requirement when they enter the school, but actually, there are having more numbers of learners, who strengthen their motivation of justice with intellectual motive at the same time, after the educational participation. This is considered as adult learners in middle age class gathered self-esteem about learning through the education and gathered vitality of life with modest attitude to study continuously. Increase of academic background and social activity, part of the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which is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did not have direc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but it was the factor for the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f life quality by setting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satisfactory level as a medium. Moreover, not only joy of study positively affect quality of life directly, but also participation satisfactory level was another factor for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Despite sense of accomplishment positively affects quality of life directly, it didn’t significantly affects indirectly through participation satisfactory level. Thus, increase of academic background and social activity, the part of the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affects on quality of life by setting participation satisfactory level as a full medium, and joy of study is analyzed that it affects on quality of life by putting the satisfactory level a

      • 대구한의대학교 풍수지리 입지 특성 연구

        김미송 大邱韓醫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9647

        1980년을 접어들면서 지리학계는 학문영역의 내적인 면에서 큰 변화를 겪으면서 그 중심에 풍수지리 사상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학문적 연구대상으로 부각되면서 건축학과 조경학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성과를 축적하면서 제도권에 독자적 학문영역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음택과 양택 그리고 터를 평가하고 잡는 터자리 학문에서 벗어나 실제적인 각종 인간의 삶과 직결될 것이 분명하며 향후 나아갈 길도 다양할 것이다. 이것이 풍수의 본질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공생의 문제, 인간의 행복과 번영이 직결된다. 이 행복과 번영의 중심은 우리가 얹혀 살고 있는 땅이다. 학교 역시 이 땅 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세계를 움직이는 인간을 양성하고 배출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구한의대학교 세 개 캠퍼스의 입지를 풍수적 이론체계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특히 연구는 설립자의 대학 설립 당시 캠퍼스 입지선정과 공간계획에 어떠한 풍수적 고려가 있었고, 나아가 이러한 풍수적 고려가 학교 발전과 어떠한 유의성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각 캠퍼스의 청룡과 백호 사이에 공통점이 있었다. 즉 각 캠퍼스의 청룡 산줄기들은 내청룡과 외청룡 거의 기복(起伏) 및 지현(之玄)의 변화가 없고, 또 캠퍼스를 유정하게 감싸주지 못함으로써 풍수적 기운이 약했다. 반면 백호 산줄기들은 그 길이와 형태 측면에서 거의 풍수적으로 길(吉)했다. 이러한 청룡 및 백호 산줄기의 풍수적 특성은 남녀 학생들에게 미치는 강약 기운(氣運)의 영향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추정된다. 대학 설립자의 캠퍼스 설립 당시의 풍수적 고려사항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먼저 설립자는 세 개의 캠퍼스 입지에 대해 땅의 기운이 살아 있는 소위 풍수적으로 양호한 ‘터’를 선정했다. 그리고 설립자는 캠퍼스의 주요 건축물의 지붕을 하늘의 기운을 받기 위해 오행형에 입각한 형태로 조영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립자는 풍수에서 재물과 복을 상징하는 수(水)를 강조해, 캠퍼스 곳곳에 연못이나 폭포, 물길 등의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학교 발전에 대한 의지를 담고 있었다. In the 1980s, the field of geography experienced great changes in the academic inner field. Feng-shui is situated in the main part of the change. And Feng-shui emerged as the major subject of research in Geography. Feng-shui, which had accumulated many achievements by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finally established a academic sphere of its own. Feng-shui must be have a variety of the path forward, and be linked directly with the actual human life. It will be the essence of Feng-shui. That is, Feng-shui is linked directly with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nature, and human flourishing. And the land beneath human's feet is the center of the human's happiness and prosperity. The university campuses, which are also on land, educate and raise the huma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ree campuses(Su-sung, Sam-sung, Oh-sung) of the Daegu Hanny university from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d what the Feng-shui's considerations of the university founder were applied in the campus location selection and space planning,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Feng-shui's considerations have with the development of campus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blue dragons(靑龍) and the white tigers(白虎) of each campus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is, the blue dragons of the campuses were not equipped for an up-and-down motion(起伏), and right and left motions(之玄) of the mountain ranges, and could not wrapped around the campuses tenderly. On the other hand, the white tigers of the campuses were equipp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good Feng-shui from the length and form of the mountain ranges' perspective. These Feng-shui's characteristics of the blue dragons and the white tigers are estimated to be related to the grade of the campuses students. At the time of creating the campuses, the Feng-shui's considerations of the university founder are featuring three types. First, the university founder selected the campuses' sites which were equipped for the good characteristics from the Feng-shui's perspective. Second, he made the roofs of the campuses' main buildings be built from the five elements(五行)'s perspective. Third, he emphasized the water(水), which was symbolized the property and fortune in Feng-shui. Accordingly, he revealed the will of the campuses' development by installing the ponds and waterfalls in several places of the campuses.

      • 대구 일부 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 분석을 통한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박인숙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ertain areas of Daegu, and to promote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proper for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0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Daegu in April, 2014, and the students consisted of 83 males (46.1%), 97 females (53.9%), 56 first-grade students (31.1%), 57 second-grade students (31.7%), and 67 third-grade students (37.2%). The ratio of students who had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in the last year was 17.5% and who had not received was 82.5%. For the number of meal skip, 53.0% of mal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a month, the highest, and 32.3% of femal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to three times a week, the highest (p<0.001). Regarding to grades, 50.0% and 40.4% of first-grade and second-grad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a month, respectively, the highest, and 25.8% of third-grad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to three times a week, the highest (p<0.01). For the question, ‘Do you think your eating habits are right?’, 59.0% of male students answered ‘Normal’, the highest, and 44.3% of female students answered ‘Yes’, the highest (p<0.05).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ngestion of salty and spicy strong-tasting food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or genders, 30.5% of the entire students answered ‘I don’t ingest strong-tasting foods’, and 69.4% answered ‘ingest saltier and spicier strong-tasting foods than normal’. 78.3% of the entire students answered ‘I rarely or never do overeating/binge’, and the reasons of doing overeating/binge turned out to be ‘When I skipped a meal’ (36.6%), ‘When I ate too little’ (21.5%), ‘Depends on my feelings’ (17.2%), and ‘Because of academic stress’ (12.9%). The reasons of doing overeating/bin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p<0.05). For the question, ‘Do you check the nutrition label when you purchase foods?’, 71.1% of female students and 48.2% of male students answered higher than ‘Normal’, which indicates that female students check the nutrition label when they purchase foods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p<0.05).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nutrition knowledge, the total average score turned out to be 11.19 out of 15. Although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s, the total average score of male students was 10.99 and that of female students was 11.36, which indicates that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female students is higher. For grades,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third-grade, second-grade, and first-grade students turned out to be 11.63, 11.14, and 10.71,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as grade gets higher, the total average nutrition knowledge score gets higher (p<0.05).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nutrition education demand, 58.4% of the entire students answered ‘I think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and 41.6% answered ‘I don’t think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and for the reasons of thinking nutrition education would not be necessary, 54.1% answered ‘Because even if I receive nutrition education, I wouldn’t put it in action’, the highest, followed by ‘It is enough to receive nutrition education at home’ (21.6%) and ‘The school is already giving enough nutrition education’ (12.2%). Most students answered that nutritionists would be the most suitable for nutrition education(71.7%), and for the question,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appropriate class for nutrition education?’, 46.3% and 19.5% of male students answered ‘Class through a subject’ and ‘Cooking practice’, respectively, and 32.0% and 28.9% of female students answered ‘Cooking practice’ and ‘Class through a subject’, respectively(p<0.0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demand for nutrition education, the total average score of importance was 4.13 and that of education demand was 3.91, which indicates that education demand is lower than perceived importance (p<0.001),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was higher than education demand on the all 16 items (p<0.05). The three items, nutrition label information education, traditional food culture of Korea, and food cultures of the world turned out to have lower importance than other items, and for demand, although its total average score was below 4, the six items, that is, obesity and weight control, food hygiene and preservation,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diseases and dietary life, panning diet menu and balanced diet, and right eating habits had higher average scores than other items. This study investigated eating habits and life habits, and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ertain districts of Daegu,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demand for nutrition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y recognize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because they have few opportunities to accumulate nutrition knowledge, there are few related programs, and dietary life education is included only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es. The importance of constant nutrition education is not being properly real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 is hard for students to practic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which students can participate with interests, and nutritionists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as educators for nutrition education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본 연구는 대구 일부 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을 통한 영양교육 요구도 연구의 일부분인 식습관 및 영양지식에 대해 조사를 하여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2014년 4월에 대구 일부 지역 남녀 중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 전체 180명 중 남학생이 83명(46.1%), 여학생은 97명(53.9%), 1학년이 56명(31.1%), 2학년은 57명(31.7%), 3학년은 67명(37.2%)로 조사되었다. 최근 일 년간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17.5%, 없는 학생이 82.5%였다. 결식 횟수의 경우 남학생의 53.0%가 월 1회 결식을 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32.3%가 주 1~3회 결식을 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학년별로 1학년과 2학년이 각각 50.0%, 40.4%로 월 1회 결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3학년은 주 1~3회 결식하는 비율이 25.8%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p<0.01). 스스로 자신의 식습관이 올바른가에 대한 질문에 남학생은 보통이다가 59.0%로 가장 높고, 여학생의 경우 그렇다가 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짜고 매운 자극적인 음식 섭취에 대한 조사결과, 학년간, 성별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0.5%로 조사되었으며, 69.4%의 학생들이 보통 이상으로 짜고 매운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식·폭식을 거의 하지 않거나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78.3%로 조사되었으며, 과식·폭식을 하는 이유로는 끼니를 걸렀을 때 36.6%, 식사량이 부족할 때(21.5%), 기분에 따라(17.2%), 학업 스트레스(12.9%) 등으로 나타났다. 과식·폭식을 하는 이유와 학년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식품을 구입할 때 영양표시를 확인 하는가의 문항에서 여학생은 영양표시 확인에 대해 보통이다 이상이 71.1%, 남학생은 48.2%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 학인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영양지식 조사 결과, 1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체 평균 점수는 11.19점으로 나타났다. 남녀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남학생의 전체 평균 점수는 10.99점, 여학생은 11.36점으로 여학생의 영양지식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별로 살펴보았을 경우, 3학년이 11.63점, 2학년은 11.14점, 1학년은 10.71점 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영양지식의 전체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58.4%이며,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1.6%였으며, 영양교육이 필요없다고 생각한 학생들 중에서 그 이유로는 영양교육을 받아도 실천에 옮기지 않기때문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54.1%로 가장 높았으며, 가정에서 받는 영양교육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거나(21.6%), 학교에서 충분히 영양교육을 하고 있다고 생각(12.2%)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양사(영양교사)가 영양교육에 적합한 교육 담당자(71.7%)라고 응답하였으며, 영양교육에 적절한 수업시간으로는 남학생은 교과목을 통한 수업시간에 대한 응답이 46.3%, 조리실습 19.5%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조리실습이 32.0%, 교과목 시간을 통한 수업 28.9% 순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교육 주제별 중요도․교육 요구도 차이분석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중요도 4.13점, 교육 요구도 3.91점으로 중요도에 비해 교육 요구도가 낮았으며(p<0.001), 16개 항목 모두 교육 요구도보다 중요도가 높았다(p<0.05). 식품 표시 정보 교육, 우리나라의 전통식문화, 세계의 식문화 3개 문항이 다른 문항에 비해 중요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요구도의 경우 전체 평균이 4점 이하였으나 비만과 체중조절, 식품위생 및 보존, 식중독 예방, 질병과 식생활, 식단 작성과 균형 잡힌 식사, 올바른 식습관 6개 문항이 다른 문항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일부 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과 영양지식의 수준, 영양교육의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영양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관련 프로그램과 영양지식을 쌓을 기회가 적으며, 중학생들의 식생활 교육이 기술․가정 시간에만 미미하게 포함되어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행동으로 옮기고 실천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양(교)사는 교육담당자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고 영양교육의 주체자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평생교육융합학과_대학 재학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

        서광훈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in participati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For this study, the data of 350 adult learn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were analyzed by using SPPS 14.0 program for Wind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motivation in participati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the figure of motiv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types of motivatio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M=4.553)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n unversity are as followe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s higher when the learners are female, unreligious and unmarri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were people in 60'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college education was people in 50'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was more than 4 million won according to monthly income,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occupation was higher in civil servants. Third, adult learner'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e can consider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university edu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monthly income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life satisfaction, life style, positive thinking, self-esteem, and emotional stability of adult learners in university.However, life satisfaction shows that marriage has the greatest influence.In addition, marriage, which is a sub-variable of motiv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seems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confidence is influenced by marital status and self-control is by learning-oriented motivat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university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has an effect on difficulty of task preference. Key word: adult learners, motivation,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북지역의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 최종 3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Window용 SPP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 재학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를 살아본 결과, 참여동기가 가장 높게 타나났다. 이 중, 학습지향형 참여동기(M=4.553)가 가장 높았고, 다음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성인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 학습지향형 동기에서 여성이, 종교는 무교가, 결혼여부는 미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60대가, 대학교육 참여동기는 50대가,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대학원이 월 소득에 따른 차이는 400만원 이상이, 직업에 따른 차이는 공무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재학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교육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대학 재학 성인학습자의 삶의 만족도의 하위요인과 삶의 활력소, 긍정적 사고, 자기존중, 정서적 안정감에 미치는 요인으로 월소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삶의 만족도는 결혼여부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 교육 참여동기의 하위변수인 결혼여부가 자기효능감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자신감에는 결혼여부가, 자기조절에는 대학 교육 참여동기의 하위변수인 학습지향형 동기가, 과제선호난이도에 월소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성인학습자,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