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분황 원효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김원명 ( Kim¸ Won-myoung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9 No.-

        이 논문의 목표는 원효 사상이 불교 사상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한국학 측면에서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방향의 정당화를 위해, 원효사상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현대 연구 성과들을 간단히 정리하고, 불교 외적 영향과 한국학적 영향을 탐구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원효 연구의 외연을 한국학이란 관점에서 심리학, 고고학, 역사학, 철학적인 방법을 활용해 간학문적 연구로 확장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원효 연구자들의 기존 연구를 다루었다. 그는 불교뿐만 아니라 유가 도가류의 서적들을 공부하고 씨름하며 내면화했다. 이런 불교 외적 영향을 밝히는 연구의 필요성을 다루었다. 둘째, 고대 한국말 ‘한’에 담긴 고대 한국인의 존재 이해를 다루었다. 원효의 실존적 근본경험이 고대로부터 전해져 온 한국의 ‘문화목록어’라 할 수 있는 우리말 ‘하나’ 혹은 ‘한’의 이해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보고, 그 안에 담긴 존재 이해를 다루었다. 셋째, 고대 한국인들이 만들어 놓은 고인돌의 별자리에 대한 철학적 해석과 고인돌을 통해 본 하늘 사랑과 그가 살던 시대의 살아있는 전통 종교인 풍류(風流)를 다루었다. 하늘 사랑과 하느님 사상 전통과 단군왕검 조선 건국 이야기를 연관해 다루었다. 넷째, 단군왕검의 홍익인간 이념과 대감굿 그리고 한국 고대 정치·사회제도인 화백(和白)의 지혜전통을 원효의 홍익중생과 연관해 다루었다. 다섯째, 신라에는 이전부터 당시까지의 세계적 교류 증거들이 있는데, 이는 다양한 문화가 오랫동안 다양한 경로로 신라에 들어와 축적된 점이지대의 문화교류 증거들이다. 위 내용들은 원효의 일심(一心) 이해와 일심에 바탕한 화쟁(和諍) 사상을 낳을 수 있는 원동력이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원효 자신의 근본경험이 그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집단적 한국인의 근본경험과 한국인의 고유성과 독특성과 깊은 연관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고대 한국인의 계통발생적 지혜가 원효의 개체발생적 지혜를 가능하게 한 불교철학 이해의 바탕이 되었음을 한국학적 관점에서 살펴볼 단서들을 밝히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uniqueness’ of Wonhyo Thought in the aspect of Korean Studies, even though it is a Buddhist thought. In order to justify the direction of this study, we briefly summarize the results of modern research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 thought and explore the influence of Korean studies. This study extended the extension of Wonhyo’s research from the previous research 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using psychology, archeology, history, and philosophical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studies. First, the existing research of Wonhyo researchers was dealt with. He studied, wrestled, and internalized the books of Confucianism and Taoism as well as Buddhism. In this chapter, I dealt with the need for research to elucidate influences other than Buddhism. Second, I dealt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ancient Koreans in the ancient Korean word ‘Han’. Wonhyo’s existential fundamental experience understands the Korean words ‘Hana’ or ‘Ha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ultural catalog language’ transmitted from ancient times, and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existence contained in them. Third, it deals with th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stellations of dolmens made by ancient Koreans, the love of heaven seen through the dolmens, and Pungryu(風流), the living traditional religion of the time in which he lived. It deals with the love of heaven, the tradition of God’s thought, and the story of the founding of the Dangun Wanggeom Joseon Dynasty. Fourth, Dangun Wanggeom’s ideology of Hongik-ingan, Daegam-gut, and the wisdom tradition of Hwa-baek(和白), an ancient political and social system in Korea, were dealt with in connection with Wonhyo’s Hongik-joongsaeng. Fifth, there are evidences of global exchanges from before to that time in Silla, which are evidences of cultural exchanges in the point zone where various cultures have entered Silla through various routes for a long time. The above contents can be seen as the driving force that gave birth to Wonhyo’s understanding of one heart and the idea of harmony based on one heart. Wonhyo’s own fundamental experiences create his uniqueness. It has a deep connection with the fundamental experience of collective Koreans and the uniqueness of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clue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studies that the phylogenetic wisdom of ancient Koreans becam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Buddhist philosophy that made Wonhyo’s ontological wisdom possible.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 독일 , 미국 , 영국 , 일본 , 프랑스를 중심으로 -

        김원명(Won Myoung Kim),민경찬(Kyung Chan Min),양종모(Jong Mo Yang),이내선(Nae Sun Lee),장기범(Ki Beom Jang),주대창(Dae Chang Ju),최은식(Eun Shik Choi),서인정(In Jung Suh) 민족음악학회 2002 음악과 민족 Vol.24 No.-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et som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school music curriculum of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music curriculum in several developed countries. The researchers surveyed the music curriculum of the 5 developed countries, U.S.A., G.B., Japan, Germany and France, which already finished curriculum revision in recent years. The researchers have agreed upon analysing curriculum of each contry with the following four factors -- 1) outline of school education system, 2) time allotment and operation of music class, 3) frames and basic structure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mission statements and contents of music education, and 4) draw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The drawn implications are as follow: First, each countries recognized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and emphasize music class in school education. Second, there are many different points between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of music class of USA and Europe. In Europe, students should study music class certainly, but in USA, students can choose music class widely. Third, every countries state very persuasively about necessity and what should be of music education. However korean curriculum statements, in comparison of these countries, are very difficult and vague for teacher and students to understand it. Fourth, each countries aim at learning of musical concepts or musicological understanding instead of learning of musical technique. We now get to some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for korean school music education. First, korean music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adequately. Second, we raise relative importance of music class in school education. Third, we should differentiate the aims of music education for each stages. Finally, there should be more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es on music curriculum for improvement of our music educ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홍대용(洪大容)의 세계관 변화와 그것의 현대적 의의

        김원명 ( Won Myoung Kim ),서세영 ( Se Young Seo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대표적인 북학자 중 한명인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세계관 변화를 고찰하고, 그의 세계관 변화 속에서 그가 일찍이 당시 수준에서 현대적인 글로컬화된 철학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그의 세계관 변화를 고찰하는 것은 조선의 역사에서 지식인들의 세계관 변화의 추이를 대표해 살펴보는 것이다. 당시 조선 지식인들이 명(明)을 중화로 인식하고 조선을 동이(東夷)로 인식하던 것을, 명의 멸망 후 조선을 소중화(小中華)로 청(淸)을 북쪽 변방으로 인식했던 것이, 18세기에 이르러 변화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는 것이 홍대용의 세계관 변화이다. 홍대용의 세계관은 35세(1765~6년)에 있었던 북경 여행을 계기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의 말년인 50세(1780년) 전후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의산문답(醫山問答)」에 이르러서는 그의 철학적인 사유와 함께 완성된 세계관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세계관이 전통적 세계관에서 어떻게 어떤 내용으로 질적인 변화를 하는지, 그리고 그것의 철학적 의의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홍대용의 학문이 원숙할 때 이른 경지는 모든 곳에 곳에 도가 있고, 그래서 모든 곳이 중심이 된다는 것이다. 홍대용의 세계 인식은 조선 지식인의 전통적 세계관인 화이관을 벗어난 것이다. 그는 지원(地圓), 지전(地轉)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나만의 중심을 무화(無化)시키고 전통적 화이관을 해체하였다. 이것을 현대적으로 풀이하면, 다원주의적이고 글로컬적인 세계 인식을 갖게 되었던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그에게 이제 도(道)는 모든 곳에 있는 것이며, 지역으로도, 종족으로도, 문화로도, 시간적으로도 각각이 모두 스스로 중심이 되는 것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는 지역성과 세계성이 동시에 가능해지는 현대적 의미의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선구적으로 주창하고 사유했던 철학자로 해석된다. 그에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은 각자의 자리에서, 인사(人事)와 천시(天時)에 따른 각자의 온전한 도(道)를 적절하게 이룰 수 있는 존재로 해석되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Hong, Dae-Yong(洪大容, 1731 ~ 1783)`s view of the world, who wa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in school of North scholarship in Cho-seon(朝鮮) Dynasty in ninth century and had the glocalized philosophical view of the world. What we study th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means to look over trends of the change of Cho-seon dynasty intellectuals` view of the world at that time. At the time, Cho-seon intellectuals recognized Cheong(淸) as a marginal north, Cho-seon as the cultural center after destruction of Ming(明). However, this world view is changing in 18th century. The change of Hong`s view of the world represents this change of it in 18th century. Th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was begun in his age 35 years old(1765-6) when he had been traveling in Beijing. His philosophical view of the world is shown in his later work Questions and Answers In Hospital Hill(醫山問答, 1780). In this paper, we research a qualitativ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from traditional one. And we research that it has what philosophical significance. In Hong`s one, everywhere is a center and Dao is everywhere, which is beyond the traditional one which is so called hwayigwan(華夷觀). That is based on the theory that Earth is round and turns, which denies only one center in the world. He has the pluralistic and glocal view of the world. In space, time, culture, and even race, there is no only one center, every space and time, and regional culture, and even race have their own center and have their own Dao. He can be interpreted for us as a philosopher who advocated glocalization pioneeringly in modern meaning which can be local and global at the same time. All human being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are ones who could achieve their own Dao in their place in accordance with a right time and a right work.

      • KCI등재

        부산 음악비평문화의 최근 흐름-정기간행물 3종에 게재된 음악비평의 정량적 분석-

        김원명 ( Kim Won-myoung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6 No.-

        이 연구는 부산지역 문화예술 분야의 대표적 정기간행물이라 할 수 있는 월간 『예술에의 초대』와 월간 『예술부산』, 그리고 계간 『예술문화비평』에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비평들을 통해 최근 7년 동안의 지역 음악비평문화의 현황을 파악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세 잡지에 실린 비평들 중 음악관련(국악, 실용음악1) 포함) 비평을 전수 조사하여 목록으로 만들고, 그 횟수와 비중·필자·세부장르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세 잡지에 실린 음악비평 편수는 『예술에의 초대』에 87편, 『예술부산』에 144편, 『예술문화비평』에 65편으로 모두 296편에 달했다. 조사대상 기간이 약7년임을 고려하면 월평균 3.5편의 비평이 이루어진 셈이다. 음악회를 비롯한 전체 음악활동의 규모에 비해 비평 활동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 음악비평을 수행한 필자들의 수는 『예술에의 초대』에 13명, 『예술부산』에 37명, 그리고 『예술문화비평』에 21명으로 조사되었다. 두 잡지 이상에 중복 기고한 12명을 감안하면 실제 필자의 수는 57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이 단 한 편의 비평만 썼을 뿐이며, 2편 이상 쓴 필자들 중에서도 지속적·적극적 활동을 했다고 볼 수 있는 필자는 6~7명 정도에 그쳤다. 그럼에도 56명이라는 수치를 통해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것은, 향후 여건이 좋아진다면 음악비평 문화가 지금보다 활성화될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한편 비평 내용의 세부 장르를 살펴보면 두 월간지의 경우 서양 클래식음악 분야에 대부분 혹은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관현악과 오페라 등 비교적 규모가 큰 음악 행사에 집중되었다. 반면 『예술문화비평』의 경우 계간지의 특성상 시평의 비중이 두 월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고, 서양 클래식음악과 국악 그리고 실용음악의 비중이 거의 같은 수준으로 게재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state of music criticism culture of Busan during the last 7 years through the criticisms contributed on the monthly magazines Invitation to the Arts and The Arts Town Busan, and the quarterly Criticism of Art & Culture. For this purpose I have looked into and cataloged all the music criticisms contributed to the three magazines issued during 2011~2017, and analysed the data quantitatively focusing on frequency, writers, and genres. The number of music criticism was 87 in Invitation to the Arts, 144 in The Arts Town Busan, and 65 in Criticism of Art & Culture respectively. This means monthly average was 3.5. The number of writers was investigated 13 in Invitation to the Arts, 37 in The Arts Town Busan, and 21 in Criticism of Art & Culture respectively. Taking into account the multiple contributors(12) to more than two journals, the actual number of writers was 57. More than half of the writers contributed only one article and there were no more than 6~7 writers who had worked actively and continuously. By this point, we can anticipate a certain more activated music criticism culture if better condition were given henceforth. The genres of the contents of the music criticisms show us some interesting facts. The cases of the two above-mentioned monthly magazines, almost all or a greater parts focus on western classical music events, especially big size concerts including orchestral music or opera. But the quarterly Criticism of Art & Culture show some different aspects. It had contained much more comments on current topics in comparison with the two monthly magazines. Especially this magazine had provided nearly equal weight on western classic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opular music.

      • KCI등재

        대행선사(大行禪師)의 한마음 사상을 중심으로 본 업과 삶

        김원명(KIM, Won-Myoung)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이 논문의 목적은 ‘대행(大行)스님(1927-2012)의 한마음 사상에서 개인의 삶이 결정되어 있다는 것인지, 결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인지’를 묻고, 이에 대해 답을 찾는 것이다. 논문의 진행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 개인의 삶이 결정되어 있어 선택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내용들을 살펴본다. 둘째, 개인의 삶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신의 선택에 의해 바뀔 수 있다는 것처럼 보이는 내용들을 살펴본다. 셋째, 앞의 두 내용이 서로 어긋나는 바, 이 어긋나는 것들이 병존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이 어긋난 바들을 회통할 수 있는 것인지, 회통의 근거는 무엇인지 등의 내용들에 대해 한마음 사상 안에서의 해결 가능성을 밝힌다. I seek to answer the venerable question, “In Hanmaum thought by Seon Master Daehaeng Kunsunim, has an individual life been determined, or not? ” in this paper. First, the responses that an individual life has been determined and cannot be chosen in the system of Hanmaum thought. Second, the responses that an individual life has not been determined and can be chosen in the system of Hanmaum thought. Lastly, the foregoing both are contrary to each other, how can these contrary ones be compatible? How will these be reconciled? What is the basis of reconciliation? We conclude this paper with my own attempt to give an appropriate response to the problem of whether an individual life can be chosen in the system of Hanmaum thought by Seon Master Daehaeng Kunsunim.

      • KCI등재

        원효의 화쟁 글쓰기

        김원명(Kim Won-Myoung)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2 No.52

        인문학의 위기 시대에 그 위기 극복의 방법은 살아있는 인문학을 하는 것이다. 살아있는 인문학은 우리의 현실 삶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반성하고 주위를 돌아보며 느끼고 생각하는 데서 저절로 우러나오는 우리에게 사무친 우리말을 쓰고 우리글을 쓰는 것이다. 영어 몰입교육은 인문학을 더욱 위기로 몰아갈 것이다. 뜻을 드러내고 뜻을 새롭게 하는 글을쓰라는 이규보의 주의론(主意論)이나 신의론(新意論), 뜻을 전달하는 글을 쓰라는 홍석주의 달의론(達意論)은 당시 한문몰입교육시대의 과거시험 문체 글쓰기나 모방적 글쓰기 또 실용성 현실성이 없는 무실(無實)한 글쓰기에 대한 반성이다. 사람의 삶을 자유롭고 풍요롭게 하는 다양한 글쓰기로 서로 소통하고 이해하고 어울려야 한다. 위대한 철학자들이 저술뿐만 아니라 대화, 편지, 기도문, 시, 이야기 등을 통해 그들의 철학함을 보여주었듯이 다양한 글쓰기를 장려해야 한다. 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다양한 글쓰기 모델들은 잡종적 글쓰기, 늪의 글쓰기, 편집술 글쓰기, 사무침 글쓰기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원효의 화쟁 글쓰기가 제시한다. 화(和)의 정신을 베다에서 그리고 불교내적으로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원효 시대의 정치·종교·사회전통 상황 모두가 화쟁을 창안하는 근본적인 계기가 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신라의 화백회의의 신성성과 만장일치제등은 고조선 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으로 원효에게 있어 내재적이며 주체적인 계기가 될 수 있다. 화백회의에서는 모든 의견들이 다 마땅함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신성한 만장일치 의견을 도출해낸다. 이것은 원효가 열고 닫음을 자재하게 하며[開合自在] 하나도 아니고 다르지도 않은[不一不異] 화쟁 글쓰기를 하며 도출하는 것과 유사하다. 화쟁 글쓰기는 '회통(會通) 글쓰기'와 '화회(和會) 글쓰기'와 불가분리다. 회통과 화회는 소통을 목적으로 하지만, 비판하거나 설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그 뜻을 이해하면 그 글들이 서로 통한다[會通]. 조화를 이루며 그 뜻을 이해한다[和會]. 우리는 '비판'만 하거나 '따지기'만 하는 논리를 좋아하지 않는다. 우리는 설득당하는 걸 기분 나빠한다. 우리는 세계를 바라볼 때, "본디 모든 것이 '우리'로 어울려 있다"고 본다. 우리는 "사람과 사람은 물론이고 사람과 불, 물, 바람, 풀, 나무, 벌레, 동물 등이 본디부터 '우리'로 어울려 있다고 본다." 더불어 어울리기 좋아하는 이들이 따지고 비판하고 설득하는 게 잘 맞지 않는건 당연하다. 현대의 다원주의 지구촌 사회에서 필요한 평화로운 이해와 공존의 시대에 적합한 조화와 이해와 소통의 한국적인 '다 살리는' 인문학적 지구촌 글쓰기는 '화쟁 글쓰기'가 될 수있다. 여기서 '다-살림 글쓰기'는 원효의 '화쟁 글쓰기'를 현대적으로 설명하는 미래 글쓰기 대안을 제시하는 오래된 새로운 용어다. This essay makes an introduction of a few classical criticisms & theories about Chinese writing in Goryeo dynasty Joseon dynasty. Classical criticisms & theories about Chinese writing are a theory of Juei(주의론) of Kyubo Yi(이규보) in Goryeo dynasty, a theory of Daleui(달의론) of Seokju Hong(홍석주) in Joseon dynasty. And what will follow is that this essay makes an introduction of many criticisms & theories about Korean writing today. Criticisms & theories about Korean writing today are a swamp writing(늪의 글쓰기), an editing writing(편집술 글쓰기), a writing of touching the heart & sinking into the mind(사무침 글쓰기) etc.. The comparison between criticism theories about writing of two times, Chinese writing time and Korean writing time, gives us lessons which teach us the good writing method and spirit that writes sincerely and really a writing sprung up from sincere & real experiences of one's life. This essay makes a new and old proposal which is a Wonhyo's Hwajaeng writing(화쟁글쓰기) that do away with contradict opinions and lead a higher wider deeper opinion. In Hwajaeng writing, all writers can be approved a good writer in some sense. All writers can be jumped up highly widely deeply because they are all there-being sprung up from there at that time every moment. This essay makes a new proposal as my interpretation which is a Dasalim writing(다 살림 글쓰기).

      • 불교사상에서의 평화론

        김원명(KIM, WonMyoung) 평화나눔연구소 2021 인간과 평화 Vol.2 No.2

        논자는 현대적인 평화학 연구자들의 평화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이 ‘폭력의 부재’라든가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사회구조적인 외부적 조건이 조성된 상태’만을 언급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불교적 의미의 평화론은 현대적인 평화론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보다 더 근본적인 내면의 평화를 전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본문에서는 두 부분으로 글이 나뉜다. 첫째, 인도에서의 고전적인 불교의 평화론을 다루었다. 인도에서의 초기불전에 나타나는 불교 전통에서는 기본적으로 ‘불살생(不殺生)’과 ‘비폭력(非暴力)’이 원칙이다. 승려는 불살생 계율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전륜성왕(轉輪聖王)도 누구나 옳다고 할 수 있는 법인 정법(正法)으로 다스리면서 비폭력과 자비의 정치를 실천해 주변국이 굴복하도록 해야 한다. 다만, 경전 일부에서 불가피한 경우 선한 의도의 방어적 폭력과 방어전쟁을 인정한다. 즉, 재가 신도들에 한해 정법수호를 위한 방어전쟁을 허용하고, 승려는 정법수호를 위해 무기를 든 재가 신도들과 친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경우 모두 ‘고요한 마음’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동북아시아 대승불교권의 평화론을 다루었다. 대승불교권에서의 평화론에는 근본적으로 불교의 보살도 정신에 기반한 불교 본래 정신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에서의 고전적인 평화론이 그대로 적용됐다기보다는 나라마다 처한 환경에 따라 다소 탄력적으로 적용됐다. 그리고 일부 사이비 불교도들이 불교를 전쟁에 이용한 경우도 있었다. 이들 나라에서는 공통적으로 국가에 예속된 불교라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그래서 호국불교 전통이 있었다. 그래서 전면적인 전쟁반대나 불살생보다는 정법수호의 방어전쟁 허용에 대한 폭넓은 해석으로 전쟁에 참여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원의 침략에 대해 승군이 참여한다든가, 조선시대 일본의 침략에 대해 승병으로 참여했다. 일본에서는 침략전쟁에 장군으로 참가한 불교도도 있었고, 승려도 승리의 기원을 위해 참여했다. 불교의 평화론은 인간 의식의 본래성에 대한 깊은 탐구를 통해 일체중생 및 만물의 평등을 자각하고, 그로 말미암아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행이라는 사회적 실천을 통해 사회적 평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두가 깨달은 세상이 아니기 때문에 불살생과 전쟁반대만으로는 온전한 평화를 이룰 수 없었다. 그래서 붓다는 재가자들의 정법수호를 위한 방어전쟁을 일부 허용했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든 ‘고요한 마음’을 잃지 않아야 한다. I believe that modern pacifist researchers" basic ideas about peace are limited to mentioning only the "absence of violence" or "state conditioned by social structure" in which people can live like human beings. Peace theory in the Buddhist sense seems to presuppose inner peace fundamentally that is overlooked in modern peace studies. The main text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ly, I deal with the classical Buddhist theory of peace in India.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in India, "non-killing(不殺生)", and "non-violence(非暴力)" are the basic principles. A monk must adhere to the precepts of "non-killing". Even Charkravartin(轉輪聖王) should rule by just law(正法) which is the universal principle. However, in some Buddhist scriptures, defensive violence and defensive war can be admitted when it is avoidable. In other words, only the believers are allowed to wage a defensive war for the protection of the just law, and then, the monks can be the friends armed for defensive war. In both cases, they need to keep a "silent mind". Secondly, I deal with the peace theory of Mahayana Buddhism in Northeast Asia. The theory of peace in the Mahayana Buddhism retains the original Buddhist spirits based on the Bodhisattva Way(菩薩道). However, the classical peace theory in India was not applied as it is, but rather flexibly applied for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Also, some pseudo-Buddhists used Buddhism in war. These countries had the inherent limitation that Buddhism is subject to the state, so there was a tradition of patriotic Buddhism. Therefore, rather than all-out opposition to war or non-killing, there were many tendencies to participate in the defensive war for the just law by broad interpreting permission. In Korea, monks participated for defensing the invasion of Won (元) during the Korean dynasty(高麗) or the invasion of Japan during Joseon dynasty(朝鮮). In Japan, there were Buddhists who participated in the aggressive war as general, and even monks participated in prayer for victory. The Buddhist theory of peace is to realize the equality of all beings through a deep exploration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reby realize social peace through the social practice of great mercy and compassion(大慈大悲) of the Bodhisattva. However, in reality, since everyone has not realized, complete peace could not have achieved only by non-killing and opposing war. So, the Buddha allowed Buddhist believers to participate in some defensive wars for protecting the just law. In any ca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to lose ‘silent mind’.

      • KCI등재

        박이옥의 음악세계와 부산 음악문화에 끼친 그의 영향

        김원명(Won Myung Kim) 민족음악학회 2002 음악과 민족 Vol.23 No.-

        Eeok Park(1937-2000), who was an important musician of Busan city, died at April lst, last year. He worked through life as a conductor, a player, and also as a composer. Especially, Eeok Park devoted his life to wind orchestra. He established three big wind orchestra, that is Busan Symphonic Band Orchestra, Myungusng symphonic Band Orchestra, and Busan Police Wind Orchestra, and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introducing marching band in Korea. Eeok Park worked for several important musical organizations such as Korea Band Association(KBA) as a vice president, Bussan Branch of KBA as a president, and Korea Marching Band Directors Association(KMBDA) as a chairman of a board of directors. Conclusively, Eeok Park was a glorious and proud musician of Busan. He was born, educated in Busan, and lived through his life in Busan. But he played a nationwide role in Korean music culture as well as a local role in Busan music culture. He was a leading hero in the history of wind music of Busa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 고향과 말 -만해와 원효를 중심으로-

        김원명 ( Kim Won-myou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0 존재론 연구 Vol.24 No.-

        이 글은 첫째, 고향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사색을 만해의 오도(悟道)와 원효의 오도의 순간을 통한 고향 체험을 비교하면서 맛보고자 한다. 둘째, 우리가 현재 사람들과 공유하고 사색하는 데 사용해야만 하는 언어에 대한 철학적 사색을, 만해의 불교대중화 고민 속에서의 언어에 대한 불교적 사색을 통해 그리고 원효의 불교대중화 고민 속에서의 언어에 대한 불교적 사색을 통해 시도하고자 한다. 불교적 오도는 만해에게는 삶의 근원으로서의 고향 체험과 같은 것이며, 원효에게는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런 체험은 그들이 중생구제 중생이익을 위한 삶의 여정을 가게 하는 실마리가 되었다고 본다. 그들의 불교대중화 길에서 그들의 오도 전달을 위한 언어 이해가 어떠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들은 모두 『대승기신론』의 언어 이해에 바탕한 진리의 언어와 중생의 언어 사이에 소통가능한 길에 대한 사색을 하고 있다. 가장 쉬운 말로 진리를 중생에게 소통하는 실천으로 만해는 당시 번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원효는 중생의 말로 그들의 깊은 믿음을 바탕으로 이에 도달케 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has two purposes. First, aims at getting a taste of somewhat through a philosophical comparative speculation about the meaning of home in moment when Manhae & Wonhyo had experienced an enlightenment. Second, tries to speculate philosophically the meaning of language in the process of their difficulties which Manhae & Wonhyo had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expressing the Buddhist enlightenment to the public. Their Buddhist enlightenments were, for Manhae, like home experience as the origin of life and for Wonhyo, to come back to the origin of One mind. Their experiences like this lead to have the journey of their lives to save common people indifferent to them. So I examined how did they understand the language giving them their Buddhist enlightenments in the journey. They all speculate the communicative way between language of truth and one of common people in the base of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Buddha’s) one sound & many sounds(of common people’s understanding)’ in the Awakening of Faith written by Aśvaghoṣa. Manha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ranslation which is the easiest way to be understood the truth to the ordinary people. Wonhyo taught the easiest words to them to understand the truth based on their deep belief which they would come back to the origin of One mind.

      • KCI등재

        원효의 비불교적 배경 시론(試論)

        김원명(Kim Won-Myoung) 새한철학회 2009 哲學論叢 Vol.58 No.4

        이 논문의 목표는 원효철학이 불교적 사유 틀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비불교적인 측면의 '고유함', 그 고유함의 '시원'을 추측적으로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원효의 실존적 근본경험이 그가 살던 시대의 살아있는 말 가운데 고대로부터 전해져 온 한국의 '문화목록어'라 할 수 있는 '한', 그가 살던 시대의 살아있는 전통 종교인 풍류(風流), 단군신화와 대감굿 그리고 화백(和白)의 지혜전통, 그리고 다양한 문화가 오랜 동안 다양한 경로로 들어와 축적된 점이지대의 문화교류와 관련이 깊지 않을 수 없다. 그의 개체발생적 지혜가 고대 한국 중 하나인 신라인의 계통발생적 지혜와 다르지 않은 것들일 것이기 때문이다. 즉 그의 불교철학 이해의 바탕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원효 철학의 비불교적 측면의 기원을 추측하였다. 에티엔느 세헤(Antoine Étienne Renaud Augustin Serres, 1786-1868)의, '개체발생(Ontogeny)은 계통발생(Phylogeny)을 반복한다'는 주장 이후, 헤켈(Ernst Haeckel, 1834-1919)은 '개별적 유기체의 배아발달은 그 종의 진화의 역사와 동일한 길을 따른다'고 주장했다. C.G.융(Jung, Carl Gustav, 1875-1961)은 이를 의식과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원효의 '근본경험'은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생겨나는 모든 역사적이고 영적인 유산들이 축적된 집단무의식'과 관련이 있다. 원효 자신의 경험이 바로 한국인의 경험이며, 동시에 인류의 경험이라 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give a bright to Wonhyo philosophy in the respect of non-Buddhism. To justify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the modern research results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 philosophy were cleanup simply. Recent studies tend to reveal a correlation between the non-Buddhist factors and the Buddhist ones in Wonhyo philosophy. His existential fundamental experience was correlated with the ancient Korean collective wisdom which could be revealed the ancient Korean 'Han', poetical religion of ancient Korea, 'Daegamgut' and 'Hwa Baek', the Cultural exchanges and the evidences of the Shilla and the world at that time. According to Antoine Étienne Renaud Augustin Serres(1786-1868), 'ontogeny recapitulates phylogeny.' Ernst Haeckel(1834-1919) proposed that the embryonal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organism (its ontogeny) followed the same path a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its species (its phylogeny). According to C. G. Jung(1875-1961)'s theory, Wonhyo's 'individual fundamental experience' in Wonhyo's individual brain system is the self-development of collective unconscious of humanity which has been accumulating historical and spiritual heritage of humanity. Therefore Wonhyo own's experience is Koreans' experience, at the same time, is the experience of mank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