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원효 일심의 정의와 의미

        김원명 ( Won Myoung Kim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일심의 정의와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심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 『기신론소(起信論疎)』와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을 중심으로 일심 관련한 원효의 설명들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원효는 『기신론』의 일심이문 설명 근거를 『입능가경』을 통해 찾고,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을 설명한다. 그리고 원효는『금강삼매경론』에서도 같은 문장을 인용한다. 일심의 무생무멸(無生無滅) 본래적정(本來寂靜)한 측면을 심진여문이라 하고, 본각인 일심의 체가 “무명을 따라 움직여 생멸을 일으켜(隨無明動作生滅)” 심생멸문이라 하는 것이고, 심생멸문에서는 “여래의 본성이 숨어있어 나타나지 않으”(如來之性隱而不顯)므로 여래장이라고 한다. 둘째, 일체의 경계는 마음이 지은 것으로 일심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는 원효가 『십지경론(十地經論)』을 근거로 설명한 것이다. 일체 경계는 일심으로서 끝이 있지 않지만 없지도 않다. 그래서 다 알 수 있지만,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는 경계가 아니다. 체로서의 불심과 상으로서의 망법이 서로 훤히 비추며 보는 바가 없으며 보지 못하는 바가 없다. 이와 같은 원효의 설명은 『금강삼매경론』에서 『화엄경』 <십지품>에 근거한 일심의 화엄적 설명으로서 『기신론소』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일심의 경지는 있는 것도 아니며 없는 것도 아니다.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착각이고 허망한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생각은 허망한 것 즉 망념이기 때문이다. 또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실제로 없지 않다. 원효는 모든 상을 분석하여서는 일심의 자성을 얻을 수 없으나, 도를 닦아 구하면 그것이 나투니, 그래서 실제로 없지 않다고 한다. 일심은 일체의 사려 분별이 사라진 경계의 마음으로 그 체가 적정하여 머무름이 없는 마음(無住之心)으로서 결정성의 경지이다. 넷째, 일심은 무이(無二)하며 불이(不二)이고 적멸(寂滅)하지만 그것이 전체 연에 따라 적멸하고 생동하므로 생동과 적멸도 불일불이(不一不異)하다. 다섯째, 일심이 무명을 연하여 다심이 된다. 일심(一心)이 무명(無明)을 연하여, 중생(衆生), 육근(六根), 육정(六情), 육진(六塵), 육도(六道), 사상(四相) 모두 지은 것이다. 일심은 무명과 화합한 힘 때문에 이런 다심을 일으킨다. 이것은 유전문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환멸문으로 말하여, 무명을 제하면 일심으로 다시 돌아간다. 여섯째, 결국 일심의 경지는 부처님 지혜의 경지로서, 네 가지 지혜로 나타나고, 일심의 체는 다섯 가지 모양으로 설명된다. 일심의 체는 대략 다섯 가지 모양(五相)이니, 첫째 취하는 대상의 차별된 모양을 멀리 떠난 것(遠離所取差別之相), 둘째 취하는 주체의 분별하는 집착에서 벗어난 것(解脫能取分別之執), 셋째 삼세의 때에 두루하여(遍三世際) 평등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等), 넷째 허공계와 같아서(等虛空界) 두루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遍), 다섯째 유?무와 일?이 등의 변견에 떨어지지 아니하여(不墮有無一二等邊) 마음이 작용하는 곳을 벗어나(超心行處) 언어의 길을 넘어서 있는 것이다(過言語道). 또 일심에서는 “여덟 가지 식이 모두 전의하여(八識皆轉)” “네 가지 지혜로 원만하게(四智圓滿)” 나타나는데,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이다.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One Mind(一心). I looked them up focusing on "Gisinronso(起信? 疎)" and "Geumgangsammaegyoungron(金?三昧??)" which have lots of Wonhyo`s explanations about One mi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onhyo commented One mind two ways of "Gisinron" and "Geumgangsammaegyoungron", he quoted sentence in "Ipneunggagyeong"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Simjinyeomun is inner carlm side of One Mind, Simsaengmyeolmun is outer apparent and disapparent side of One Mind. Second, all the boundaries which the mind made are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Wonhyo quoted sentence in "Sipjigyeongron(十地??)"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Third, the stage of One Mind is not real and is not non-real. Mind is the boundary of the disappearance of any calculative mind. Fourth, One Mind is not different and is not distinct and carlm, but according to conditions it is carlm and is full of life, therefore they are not different and same(不一不異). Fifth, One Mind becomes many minds because of brightnessless(无明). If we would remove brightnessless in many minds, they could go back to One Mind. Sixth, finally the state of One Mind is that of Buddha`s wisdom, is appeared to four kinds of wisdom(四智), is explained in five different shapes(五相).

      • 원효 『열반경종요(涅槃經宗要)』에 나타난 일심(一心)

        김원명 ( Kim Won-myou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원효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일심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기신론관을 통해 원효의 일심 사상을 논구하였다면, 본 연구는 『열반경종요』를 통해 원효의 일심 사상을 논구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심(一心)이 바로 불성(佛性)이라는 것이다. 오직 부처만이 체득하는 것이므로 불성이라 하고, 그 특징을 세 가지로 말할 수 있다. ①불성일심은 모든 극단적인 견해를 멀리 여의어[遠離諸邊] 도무지 해당되는 것이 없고[都無所當], 해당되는 것이 없어 해당되지 않는 것도 없다[無所不當]. ②인과의 측면에서 보면, 비인비과(非因非果)도 되고 작인작과(作因作果)도 된다. ③일미(一味)로 적정(寂靜)한 측면과 육도(六道)에 유전(流轉)하는 측면이 모두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약초의 일미(一味)와 가는 곳에 따른 다양한 맛을 말하는 『열반경』의 설명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둘째, 일심(一心)이 바로 열반(涅槃)이라는 것이다. 열반일심의 특징은 세가지로 들 수 있다. ① 열반일심은 모양을 떠나고 성품을 여의었으며[離相離性], ‘공’도 아니요 ‘공 아닌 것’도 아니며[非空非不空], ‘나’도 아니요 ‘나 없음’도 아니[非我非無我]라는 것이다. 이는 모든 극단적인 것을 떠난다는 불성일심과 거의 다르지 않다. ② 일심(一心)이 다심(多心)으로 자재하게 변하여 나툴 수 있다는 것이다. 원효는 『열반경』 인용문을 통해 일심(一心)이 이심(異心) 즉 다심(多心)으로 자재하게 변하고 나툴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③ 일심(一心)으로 돌아오거나 만덕(萬德)을 이루는 것에 다름이 없고[無異] 걸림이 없다[無碍]는 것이다. 원효는 『열반경』에서 여래의 신(身)·식(識)·심(心)·처(處)·택(宅)·상(相)의 있고 없고 간의 걸림없음의 예를 들어 논거로 삼고 있다. 이상의 정리와 같이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원효의 일심은 ‘불성일심’이라고도 하고, ‘열반일심’이라고도 하며, 원효가 그 특징을 각 세 가지씩 들고 있다. 『열반경종요』의 일심 사상은 이후 기신론관을 통해 형성되는 원효 일심이문 사상의 기초가 되었다고 보이며, 일심이문 또는 이문일심과는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면서 그 고유한 측면도 드러내고 있다.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philosophy of Wonhyo’s One mind in the respect of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Faith by Wonhy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aning of One mind appeared in the Essence of Mahā-parinirvāna-sutra by Wonhyo. Its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s said that One mind is the very Buddhahood which only Buddha get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it, first one is away from all extreme views, nothing to be included, nothing not to be included. Second one is to become the cause and to become the result, is not to become the cause and not to become the result. Third one is that it has two aspects of silence without any movement in One flavor and various shapes in six paths. Proof of this is the figurative story in the Mahā-parinirvāna-sutra that there are original flavor and several flavors of medicinal herbs. The original flavor of medicinal herbs is in mountain where it came from. The several flavors of those depends on where those went out. Second, it’s said that One mind is the very nirvāna.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it, first one is away from shape and nature, is not nothing and not non-nothing, is not I and is not non-I. Second one is said that one Mind can be seen and changed freely in many minds. It can be proved in the figurative story in the Mahā-parinirvāna-sutra. Third one is sai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and no hindrance between coming back one Mind and getting ten thousands virtues. All extreme views, nothing to be included, nothing not to be included. It can be proved in the figurative story in the Mahā-parinirvāna-sutra that there is no jam between being and non-being of body and consciousness and place and house and appearance in Tathagata. Through the above summary, I argue that One mind in the Essence of Mahāparinirvāna- sutra by Wonhyo, can be Buddhahood One mind and Nirvāna One mind which become bases of philosophy of One mind two gates in commenta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by Wonhyo.

      • KCI등재

        국내 음악벤처의 켄텐츠 연구 - ( 주 ) ' 미래와 음악 ' 경영사례를 중심으로 -

        김원명(Won Myoung Kim) 민족음악학회 2001 음악과 민족 Vol.22 N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mprove management of music enterprise in Korea. In this study, music means a sort of performing art, classical music performance, not a recorded or popular one. This research focuses on a music enterprise Future & Music because this enterprise easily opened information and introduced many new marketing techniques. The first business contents of Future & Music is renting service of musicians, for example, trio, quartet, quintet, chamber orchestra and full orchestra. Wedding ceremony, various kinds of memorial day, and many commemoration exercises need music, but there are no information about how and what price can one rent this musicians. Future & Music offers this information and rents musicians to customers at reasonable price. The second contents relates with music education, Till now, private music lesson market in Korea is very large, however there are so many irrational aspects. Therefore Future & Music can bridge between customers and musicians, then get some percent of commission. The third contents is vicarious execution service for various music concerts. For this service Future & Music developed a new program of concert participation called FAS(Fixed audience System). This program offers free concerts to young students and also offers audiences to musicians. The last business item is concert project by itself. For this project Future & Music prepares large member administration system. To reduce advertisement cost and to raise advertisement efficiency Future & Music takes target marketing through e-mail system. Future & Music also constructs musicians` database, `artists bank`. Now, we can get some advice from this study. First, music enterprise had better develope musical goods by itself and produce on a commercial scale. This can make it possible for music enterprise to disperse fixed cost. Second, music enterprise should enlarge value chains in production step and marketing step. Added value from this process will make upgraded music goods and bring more interests to music enterprise. Third, music enterprise needs a large scale information transmit system to customers. It can lessen marketing cost, and we call this `economy of scale`.

      • KCI등재

        한국 근현대불교학의 과제와 전망

        김원명 ( Kim Won-m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이 논문은 한국 근대불교의 성격을 밝히고, 한국 근대불교의 연속선상에 있는 한국 현대불교의 과제와 전망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유럽의‘근대’를 활판인쇄술의 보급과 지식의 대중화 그리고 글말과 입말의 일치, 주체의 발견 등의 특징으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우리가 가리키는 ‘근대불교’가 ‘유럽적 부디즘’의 번역어라는 점을 밝히고, ‘한국 근대불교’의 출발시기에 나타난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19세기 유럽인들이 창안한 ‘유럽적 부디즘’을 살펴보고, ‘한국 근대불교’와 그 내용과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과정을 통해 드러나게 되는 한국불교의 과제와 전망으로,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미래적인 다음 사항들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첫째, 전통불교를 잘 이해해야 한다. 둘째, 세계불교를 잘 이해 해야 한다. 셋째, 첫째와 둘째 문제를 충족하기 위해 불교경전들을 철저한 현대 한국어로 번역을 해야 한다. 넷째, 셋째를 위해 불경 번역자와 불교 연구자 수가 증가해야 한다. 다섯째, 대학의 불교 강좌 수가 증가해야 한다. 여섯째, 생활불교와 학문불교 모두에 불교적 지혜의 문인 깨달음이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to illuminate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in South Korea which is over an extension of Korean modern Buddhism. First, I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European ‘modernity’, which are the typography supplies, the popularization of knowledge, and the unity of the written language and the spoken language, the discovery of the subject. Second, I said that the ‘modern Buddhism’ commonly used in Korea, is a translation of ‘(European) Buddhism’ and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Buddhism appeared on the starting time of the ‘Modern Korean Buddhism.’ Third, I looked at the ‘(European) Buddhism’ invented by Europeans in 19th century. I think that ‘Modern Buddhism’ and ‘(European) Buddhism’ are not same in their contents and standards inevitably. Finally, in view of the challenges of Korean prospected Buddhism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above explanation, I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progresses in the followings, which are old but still : First, we shou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Buddhism. Second, we shou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world Buddhism. Third, we must translate the classical Buddhist scriptures into modern Korean thoroughly in order to meet the first and second issues. Fourth, we have to increase the number of translators and researchers of the Buddhist sutras for the third. Fifth, the number of university courses to be related to Buddhism need to be increased. Sixth, the premise of Buddhist wisdom of enlightenment is in need for both academic Buddhism and Buddhist teachings in life.

      • 원효철학에서 일심(一心)과 화쟁(和諍)의 관계

        김원명(Kim, Won M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화쟁과 일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원효철학은 전통적으로 일심과 화쟁으로 규정된다. 이제까지 그 관계에 대한 논의가 부분적으로 있기는 했지만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심과 화쟁의 관계를 밝혔다. 우선,『십문화쟁론』에서 논의되는 열 가지 화쟁이 각각 하나의 화쟁에 포섭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사실이 ‘하나’에 대한 원효의 철학적 통찰과 관련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그‘하나’가 각각의 화쟁을 가능하게 하며 열 가지의 화쟁을 가능하게 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원효의 『기신론』 주석에 나타난‘이문일심’을 통해 화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즉 일심이라는 근원이 어떻게 대긍정이라는 다리를 통해 화쟁이 가능하게 되고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원효 『금강삼매경론』에서 일심과 화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원효 저술들에 나타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부처에게는 화쟁이 일심의 귀결이지 이른 바 목적은 아니며, 중생에게는 거꾸로 화쟁은 일심에의 귀원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일심과 화쟁의 관계를 부처의 입장과 중생의 입장에 따라 그 관계를 반대로 말 할 수 있으나,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은 측면에서는 일심과 화쟁의 관계는 일심이 전제된 바탕 위의 화쟁적 전개 양상이 존재론적이고 인식론적으로 펼쳐지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원효철학은 대승불교의 한국적 전개다. 원효는 중생으로 하여금 일심에 귀원하게 하여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차이 속에서도 그 동일성을 자각하게 하고 모든 차별로부터 오는 괴로움을 벗어나게 하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의 다양한 가치관과 문화가 빠른 속도로 만나면서 가지게 되는 이해관계와 그 속에서 발생하는 갈등들로 한편 괴로움이 일어난다. 일심과 화쟁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우리에게 일어나는 구체적 사건들에도 적용한다면 이를 잘 극복하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making the relation of Ilsim and Hwajaeng in Wonhyo Philosophy clear. First, I inquire that One Hwajaeng of ten Hwajaengs contains the other ones in the Simoonhwajaengnon by Wonhyo. It means that each One Hwajaeng has a universality but at the same time has a peculiarity. The universality and the peculiarity of each One Hwajaeng make the difference of the different things differentiate and harmonize at once. Next, in Wonhyo's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I study that Ilsim has a kind of concept of consilience & totality but it is not the ultimate reality. Ilsim has two aspects which are an appearing & disappearing and a stillness. When an appearing & disappearing disappears appearingly in Ilsim, a stillness appears disappearingly in Ilsim. Il of Ilsim means One which cannot be called but is inevitably called. According to Wonhyo, there is no One that can be understood. Thereby there is no Sim which means mind. He explains that One can be understood misunderstandingly mysteriously, so one calls it Sim. Being understood misunderstandingly mysteriously brings up the great positiveness. Hwajaeng comes from the great positiveness.

      • 혜심(慧諶) 『선문염송(禪門拈頌)』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주체 없는 주체

        김원명 ( Kim Won-myou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존재론 연구 Vol.21 No.-

        본 논문에서는 혜심(慧諶, 1178-1234)이 편집한 『선문염송(禪門拈頌)』(1226)의 글쓰기를 살펴보았다. 논자가 보기에 『선문염송(禪門拈頌)』은 동양적 글쓰기의 한 전형인 술이부작(述而不作)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선문염송』에는 혜심 자신의 언어가 없고 30권 내내 인용으로만 구성된 편집 작품이 다. 공안(公案集)적 성격과 전등사(傳燈史)적 성격의 편집 글인 이 『선문염송』 은 혜심의 글이라곤 서문이 유일하다. 편집 과정에 혜심의 불교관이 드러난다. 내용이 불법승의 순서로 기술되었고, 승의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불법에서 조차 각 고칙마다 그에 대한 후대의 여러 형식의 설명을 실었는데, 그것이 조사들의 설명이므로 사실은 승이 압도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거의 전부다. 일종의 ‘편집 글쓰기’ 부류에 속한다. 이 작품 전체가 불경 인용들과 조사의 설들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인용문들의 선택’과 이 작품 전체에서 인용문들의 ‘위치선택’을 통해 혜심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두렷이 드러나고 있다. 부처님이나 불경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사실은 조사가 더욱 중요하다. 더 나아가 고칙을 해석하는 자신과 해석 하나 하나가 중요하다. 그 자신의 글 없이 그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전해오는 이전 이야기들을 다 하고 있다. 이는 앞 세대의 지혜를 계승하며 뒷 세대의 지혜를 그때마다 새롭게 촉구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각각의 고칙과 조사들의 고칙에 대한 평가ㆍ설명간의 표면적 괴리가 독자로 하여금 언어를 뛰어넘고 시대를 뛰어넘고 권위를 뛰어 넘어 스스로 매 순간 매 고칙마다 주인공이 되라고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주인공은 그때마다 그 자신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주체가 아닌 그때마다 새로운 주체로 새롭게 태어나는 것이고, 그것을 논자는 본 논문에서 ‘주체 없는 주체’라고 해석해 명명했다. 본 논문은 혜심이 『선문염송』을 편집한 이유가 무엇인지, 『선문염송』의 편집 글쓰기 형식과 내용을 예들을 통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선문염송』의 ‘편집 글쓰기’ 윤곽을 그려 보고, 이런 글쓰기가 바로 불교적인 무아(無我) 실현으로서의 글쓰기라고 해석해 보았다. 또 그런 실천 속에서 역설적으로 아(我)(주체)가 드러남을 밝혀보았다.

      • 통합 교과형 논술에서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과 문제

        김원명(Won Myou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7 철학과 문화 Vol.15 No.-

        이 글은 대입에서의 논술 평가 기준들과 대학의 논술 평가 예시 안을 통해 볼 때 평가가 얼마만큼 논술의 목표에 도달 가능한 것인가, 논술 평가의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을 보완하는 새로운 예시 안을 제시해야 하는데, 어떤 모형이 될까와 같은 의문을 제기한다. 논자의 이런 의문은 예비 논술교육자들이 앞으로 현장에서 늘 고민할 문제들이기도 할 것이다. 내용은 올해부터 시험 보게 될 통합 교과형 논술의 목표와 논술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논술교사가 논술지도를 함에 있어 논술의 목표에 좀 더 부합하게 논술을 평가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교과형 논술의 목표는 무엇인가? 다음으로 통합 교과형 논술의 평가는 어떻게 하는가? 마지막으로 통합 교과형 논술의 목표에 부합하는 논술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 인 가다. '통합 교과형 논술'은 각 과목 고교 교사들 모두가 논술교육을 하도록 만들었다. 학원에서만 논술교육을 하던 것을 2005년도부터 범교과적으로 모든 교사들이 논술강의 준비에 열을 올리게 만들었다. 그리고 이제 그것을 당연시 하는 단계가 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력, 창의성 평가에 중점을 둠으로써 점차적으로 교사는 학생들의 엉뚱하고 기발한 생각을 더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이 처음에 전혀 엉뚱하다 싶더라도 평가기준이나 규칙들에 맞추어 어떻게 논리적 고리를 만들어 연결할 수 있는지 함께 고민하여야 한다. 또 제시문이 교과서에서만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나 교사 모두 많은 독서를 해야 한다. 제시문에 고전이나 사회이슈를 다루는 내용이 제시되므로 교과서를 가르치면서 교과서의 배경과 연관된 고전들과 현 사회 문제들을 관련해서 연구하고 설명하여야 하고, 학생들에게도 스스로 그렇게 공부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이제 학생의 의견을 어디까지 어떻게 들어가면서 지도해야 하고, 학생에게서 어떤 대답이 어떻게 나올 수 있도록 교사가 어떻게 질문을 하여야 하는지 열린 자세로 늘 배워야 한다. 통합교과형 논술은 대체적으로 여러 과목의 교과 이해와 교과와 관계된 제시문 이해를 전제로 한 논증적 글쓰기로 요약된다. 그런데 이 외에 엉뚱하지만 가능성 있는 글, 시적 글쓰기 등과 같은 문학적 글쓰기, 아니면 만화적 글쓰기 등등과 같은 글쓰기 등과 동양전통의 선사(禪師)풍 글 같은 독특한 동양적 글쓰기 등을 어떻게 논술교육과 관련하여 수용하고 평가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남는 숙제다. 또 프랑스의 바칼로레아와 같은 철학적 글쓰기도 우리의 통합 교과형 논술과 그 평가가 담아내지 못한다는 점은 앞으로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가 아닐 수 없다. This implies a question about a desirable direction of evaluation & a problem in the writing of united subjects form for university entrance exam. What is a desirable evaluation in the writing of united subjects form for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does the evaluation correspond the aim of the original writing education? By asking & answering about these questions, I hope that the actual spot teacher would give their students lessons in writing well, and correspond to the aim of the writing.

      • KCI등재

        연구논문 : 홍대용(洪大容)의 세계관 변화와 그것의 현대적 의의

        김원명 ( Won Myoung Kim ),서세영 ( Se Young Seo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대표적인 북학자 중 한명인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세계관 변화를 고찰하고, 그의 세계관 변화 속에서 그가 일찍이 당시 수준에서 현대적인 글로컬화된 철학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그의 세계관 변화를 고찰하는 것은 조선의 역사에서 지식인들의 세계관 변화의 추이를 대표해 살펴보는 것이다. 당시 조선 지식인들이 명(明)을 중화로 인식하고 조선을 동이(東夷)로 인식하던 것을, 명의 멸망 후 조선을 소중화(小中華)로 청(淸)을 북쪽 변방으로 인식했던 것이, 18세기에 이르러 변화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는 것이 홍대용의 세계관 변화이다. 홍대용의 세계관은 35세(1765~6년)에 있었던 북경 여행을 계기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의 말년인 50세(1780년) 전후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의산문답(醫山問答)」에 이르러서는 그의 철학적인 사유와 함께 완성된 세계관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세계관이 전통적 세계관에서 어떻게 어떤 내용으로 질적인 변화를 하는지, 그리고 그것의 철학적 의의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홍대용의 학문이 원숙할 때 이른 경지는 모든 곳에 곳에 도가 있고, 그래서 모든 곳이 중심이 된다는 것이다. 홍대용의 세계 인식은 조선 지식인의 전통적 세계관인 화이관을 벗어난 것이다. 그는 지원(地圓), 지전(地轉)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나만의 중심을 무화(無化)시키고 전통적 화이관을 해체하였다. 이것을 현대적으로 풀이하면, 다원주의적이고 글로컬적인 세계 인식을 갖게 되었던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그에게 이제 도(道)는 모든 곳에 있는 것이며, 지역으로도, 종족으로도, 문화로도, 시간적으로도 각각이 모두 스스로 중심이 되는 것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는 지역성과 세계성이 동시에 가능해지는 현대적 의미의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선구적으로 주창하고 사유했던 철학자로 해석된다. 그에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은 각자의 자리에서, 인사(人事)와 천시(天時)에 따른 각자의 온전한 도(道)를 적절하게 이룰 수 있는 존재로 해석되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Hong, Dae-Yong(洪大容, 1731 ~ 1783)`s view of the world, who wa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in school of North scholarship in Cho-seon(朝鮮) Dynasty in ninth century and had the glocalized philosophical view of the world. What we study th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means to look over trends of the change of Cho-seon dynasty intellectuals` view of the world at that time. At the time, Cho-seon intellectuals recognized Cheong(淸) as a marginal north, Cho-seon as the cultural center after destruction of Ming(明). However, this world view is changing in 18th century. The change of Hong`s view of the world represents this change of it in 18th century. Th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was begun in his age 35 years old(1765-6) when he had been traveling in Beijing. His philosophical view of the world is shown in his later work Questions and Answers In Hospital Hill(醫山問答, 1780). In this paper, we research a qualitativ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from traditional one. And we research that it has what philosophical significance. In Hong`s one, everywhere is a center and Dao is everywhere, which is beyond the traditional one which is so called hwayigwan(華夷觀). That is based on the theory that Earth is round and turns, which denies only one center in the world. He has the pluralistic and glocal view of the world. In space, time, culture, and even race, there is no only one center, every space and time, and regional culture, and even race have their own center and have their own Dao. He can be interpreted for us as a philosopher who advocated glocalization pioneeringly in modern meaning which can be local and global at the same time. All human being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are ones who could achieve their own Dao in their place in accordance with a right time and a right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