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교경제학의 미래 지향

        박경준 ( Park Kyoung-joon ),장성우 ( Jang Sung-woo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불교는 초세간적인 것만이 아니라 세간의 현실도 중요시하는 종교이다. 경제에 대해서도 불교는 재화의 획득과 증식에 관심을 가지고 올바르게 벌고 올바르게 쓸 것을 설한다. 나아가 불교는 물질적인 충족이 아니라 총체적 삶의 질을 높이는 경제학을 지향하며 궁극적으로는 열반의 경제학을 지향하고 있다. 한편 현재 인류는 코로나 19로 대변되는 환경재앙과 기후변화, 부익부 빈익빈 등, 근본적으로 보면 경제에 기인하는 문제로 큰 위기에 봉착해 있다. 불교는 어떤 종교보다도 생명을 존중하고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관계를 중시하므로 불교경제학과 불교생태학은 위기에 봉착한 인류에게 새로운 미래를 제시할 수 있다. 동국대학교는 2004년에 불교생태학의 기치를 내걸고 ‘에코포럼’을 출범한 이래로 총 28회의 포럼과 3회의 심포지엄을 진행하였고, 2006년에는 건학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관련 책자를 출간한 바 있다. 불교의 경·율·론 삼장에는 불교경제학과 불교생태학, 그리고 불교경영학에 대해서도 지혜를 줄 수 있는 내용이 많이 있다. 연구방법은 크게 보면, 귀납적 또는 연역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면 인접 학문과의 학제적 공동연구와 융합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불교와 타종교의 사회교리를 비교하는 연구도 개척 가능하며, (가칭)‘불교경제연구소’와 같은 연구기관의 설립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Buddism is a religion that puts emphasis on not only the supra-mundane world but also the mundane world. Buddhism preach that one should interest in making money and spending money on correct method about economy of laypeople. Furthermore Buddhism pursue economics that enhance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nirvana above the material satisfaction. Now mankind are facing big crisis of environmental disaster like corona 19, climate change, polarization of wealth which basically result from economy. Buddhism hold sacred life and lay stress on the mutual 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an other religions so that Buddhist economics and Buddhist ecology could provide hopeful future. Since Ecoforum launched in 2004, Dongguk University had proceeded altogether 28 forums and 3 symposiums, besides hoste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in 2006 commemorating 100th anniversary of school and published related books. Tripitaka of Buddhism contains abundant contents that share wisdom on Buddhist economics, Buddhist ecology, Buddhist business administration. Classifying roughly, there would be inductive research method and deductive research method,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with related studies are possible. And comparative study of social doctrine betwee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c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tentatively named 'Buddhist economy research lab' deserve consideration.

      • KCI등재후보

        불교의 지형과 불교학의 방법 ―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의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와 미래 - ‘연기적 앎’에서 ‘중도적 삶’으로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이 논문은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에 붓다의 중도 자비와 연기 지혜에서 비롯된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 지형과 미래 방법에 대해 고민한 글이다. 고타마 붓다는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고통인 생(로병)사의 과제를 해결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주었다. 붓다가 성취한 깨침의 완성 즉 생사의 극복은 붓다 내면의 성취로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그의 성취는 인류의 지혜였으며 오늘 여기와 바로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주요한 고통의 해결과 다르기 않기 때문이다. 불교의 중도행과 연기법 및 사선정과 삼명육통, 불교학의 연기론과 일승론, 불타론과 보살설, 심식설과 불성론, 수도론과 열반론 등은 붓다가 성취한 깨침으로 나아가는 우리들의 과제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제가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만 할까? 먼저 우리의 피부에 가까이 다가오는 사성제의 고통의 자각-진단-처방-치유의 지형과 방법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대의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과제는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고통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과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제시된 것이 살아있는 불교학일 것이다. 살아있는 불교학은 불교학 고유의 주제들에 대해 궁구하면서도 동시대 사람들의 이해와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서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학문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등장하는 문제들과 접목해서 해석하고 해명해야 할 것이다.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현재와 미래의 화두 또한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의 기반에 의거한 불교생사철학과 불교경제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토대에 의거한 불교생태철학과 불교경영학 등과 같은 간주관적(inter subjectivity)이고 융복합적(cross over)인 학문을 통한 상호 소통과 상호 실현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고통에 대한 자각-진단-처방-치유의 과정을 통해 진리의 확신-이해-수행-체증의 과정으로 나아가는 것이 요청된다. 결국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화두는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경계를 과감하게 넘어서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 문제에 대해 널리 화쟁하고 깊이 회통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가는 것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landscape and future method of Buddhist studies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and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This method originally derived from the Middle Way of Compassion and Wisdo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Buddha. Gotama Buddha showed us the way of wisdom by resolving the suffering caused by the cyclic existence of birth and death,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uffering that human beings face. The great enlightenment that Buddha accomplished ―in other words, the attainment of release from the world of recurring rebirth ―was not his only accomplishment. Because the wisdom that he attained became the wisdom of humanity, the suffering he resolved is the very suffering that we face now to resolve. The teaching of Buddha’s Middle Way, Dependent Origination, four stages of meditation, three kinds of wisdom, and six supernormal powers is what we must practice to attain Buddha’s enlightenment. Theories of Buddhist studies, such as Dependent Origination, one vehicle, Buddha and Bodhisattva, mind and consciousness, Buddha nature, path of cultivation, and nirvana, lead us to the same path. Is there any more tangible way to accomplish this goal of the extinction of suffering? To become more active and enthusiastic in striving for this outcome, we can use the four stages of method: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healing. The current challenge of Humanist-and Buddhist-studies of this era is identifying the fundamental solution and specific method for real-life situations and resolving the great suffering we face at present. Only when an idea suggests the solution for the suffering in this era will it be qualified to be called living Buddhist studies. Therefore, to become living Buddhist studies, a solution must interact with people and understand people’s needs. To do so, Buddhist studies must be able to interpret and explain ideas that are relevant to the real-life issues that people face, especially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science, technology,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rt,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nd future koan of Humanist- and Buddhist-studies scholars will b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intersubjective studies ―such as pure, theoretical Buddhist studies ―and cross-over Buddhist studies, such as applied Buddhist studies, practical Buddhist studies, Buddhist life and death philosophy, Buddhist economics, and Buddhist ecology philosophy, Buddhist business administration. To resolve this issue, Buddhist studies must undergo the aforementioned four stages of process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 - healing) in real-life issues; this process will correspond to the four stages of practice in the Mahayana era (faith - understanding - practice - enlightenment to the truth). Eventually, this fundamental koan should open the path of wisdom by moving beyond these theories to help people get released from the suffering in the present era.

      • KCI등재

        원효 이장의 은밀문에 나타난 대승 사상 고찰 ― 유식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고은진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3 불교 철학 Vol.12 No.-

        Wonhyo’s Ijangŭi discusses of nature and extinction of kleśa by dividing it into the exoteric level and the esoteric level.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onhyo’s thought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y the mind only science. Based on the mind only science, I would like to argue that Wonhyo’s Ijangŭi is an essay that shows Wonhyo’s one-mind and two gates thoughts. This is because the mind only science is the important theme of Buddhist philosophy, it shows the path to Mahajanabudhism through the conversion of Ālayavijñna, from kleśa to the wisdom and the secular mind changs to the true self mind. Wonhyo is divided into the exoteric level as pairing of the hindrances of passion and the esoteric level as the hindrance of worldly knowledge in Ijangŭi. The hindrances of passion and delusion cause the attachment to self, an obsessive person who does not know the emptiness to self. The hindrance of worldly knowledge is the attachment to things who does not know emptiness of phenomenon. The impediment of consciousness takes the six defiled mind as a root and moves his mind to take a prize. The impediment of wisdom interferes with the secular world. This is because the fundamental unawareness does not know that any phenomenon do not have own their nature. The exoteric level belongs to the impediment of consciousness on the esoteric level, which is again included in the impediment of wisdom. Because the impediment of consciousness’s six defiled mind relies on the impediment of wisdom root, fundamental unawareness. So the impediment of wisdom is not only the basis for six defiled mind in terms of fundamental unawareness, but also fundamental-kleśa. This impediment of wisdom is the most difficult to break, so this impediment of wisdom’s interruption is the ultimate liberation and the state of the Buddha. Therefore, the root of all kinds of kleśa is the Fundamental unawareness. Ālayavijñna has a dual structure that allows the phenomenal world to be converted into the world of the true-self. This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Wonhyo’s Mahayana thought that both side of the true-self and the phenomenal world exist in one mind. Because the impediment of consciousness’s six defiled mind relies on the impediment of wisdom root, fundamental unawareness. The impediment of wisdom belongs to the Ālayavijñna As such, the structure of the esoteric level contains the spirit of Mahayana, where the arising and ceasing aspect and thusness aspect are one mind, The reason why this is possible is that Buddhism is based on the premise of angles, and the fundamental obscurity, which covers all the troubles of secret texts, moves against the Ālayavijñna, showing both the reason for public relations and success depending on the conversion of the Ālayavijñna. In this way, reading the Wonhyo’s Ijangŭi based on the mind only science is the best manifestation of Mahayana buddhism of Wonhyo’s one-mind, two-gates ideology, and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reason for writing Ijangŭi . 원효 이장의 는 인간의 심신을 괴롭히는 번뇌에 대해 현료문과 은밀문으로 나누어 번뇌의 체성과 치단에 대해 논한다. 이 논문은 이장의 은밀문이 유식의 심식설을 기반으로 하여 원효의 일심 이문 사상을 보여주는 논서임을 밝히고자 한다. 왜냐하면 불교 철학의 핵심 주제인존재와 인식에 대해 유식은 아뢰야식의 전환을 통해 번뇌가 보리로 중생심이 진여심에 이르는 대승의 길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장의 는 드러난 현료문과 은미하게 감춰진 은밀문으로 나누고, 현료문은 다시 번뇌장과 소지장, 은밀문은 번뇌애와 지애로 나눈다. 은밀문의 번뇌애는 현료문의 번뇌장과 소지장을 포섭하고, 이 번뇌애는지애에 소속되기에 지애는 모든 번뇌를 일으키는 근본이 된다. 이장의 은밀문의 번뇌애는 모든 존재들의 있는 그대로의 진실한모습을 밝게 아는 불보살의 여리지(如理智)를 가린다. 번뇌애의 체(體)인 6염심은 청정한 마음이 무명에 물들어 아집과 법집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 번뇌애가 제6의식과 제7말나식보다 더 심층에 있는 제8아뢰야식에 있는 무념무상의 진여법신을 증득하면 6염심을 여의고 근본지를얻는다. 지애의 체인 근본무명은 중생의 불각(不覺)으로 인하여 불생불멸의진여 법성을 모르고 허망분별하고 집착하여 3세(細)와 6추(麤)를 일으킨다. 만약 근본무명이 중생이 본래 지니고 있는 본각을 깨달아 자신의 마음 바탕이 진여임을 알게 되면 모든 분별이 끊어진 경지에서 차별 현상을 그대로 확연히 알게 되는 여량지(如量智)를 얻게 된다. 유식의 아뢰야식은 진망화합식(眞妄和合識)으로 번뇌와 불각(不覺) 인 생멸의 세계를 진여의 세계인 보리(菩提)와 각(覺)으로 전환 가능케하는 이중적 구조를 지닌다. 이는 일심 안에 진여의 측면과 생멸의 측면이 모두 존재한다는 원효 대승 사상의 구조와 동일하다. 은밀문의지애를 일으키는 가장 심층적인 근본무명은 고요한 본래 마음을 움직여서 지극히 미세한 3세(細)를 작용하게 하기 때문에 아뢰야식에 속한다. 불각은 각을 전제로 한 것이며 무명은 진여를 바탕으로 하기에 은밀문의 모든 번뇌를 포괄하는 근본 무명이 아뢰야식에 기대어 움직인다는 것은 훈습 여하에 따라 세간과 출세간의 도리를 모두 보여준다하겠다. 이러한 은밀문 의 구조에는 생멸문(生滅門)과 진여심(眞如門)은 한마음이며, 번뇌가 곧 보리이며 중생이 곧 부처라는 대승 정신을 담고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아뢰야식을 진망화합식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장의 은밀문을 유식에 기반하여 읽는 것은 원효의 일심이문 사상이 지닌 대승적 정신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이며 이장의 저술의 첫째 이유라 하겠다.

      • 원효와 법칭의 만남과 대화

        권서용 ( Kwon Seo-yong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7 불교 철학 Vol.1 No.-

        법칭과 원효는 둘 다 대승불교의 사상가들이다. 무명의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로 운반해 가는 수레가 밖에 있는 경·율·논이라는 삼장(三藏)이 아니라 삼장에 대해서 신심을 일으키는 그 자신의 마음이라고 깨닫는 것이 바로 대승인 것이다. 법칭은 큰 수레를 인간 자신의 바른 인식이라고 보았으며 원효는 중생자신의 마음인 일심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공통의 접점이 있다. 법칭은 인식이란 궁극적 차원에서는 하나의 획기적 전체로서 생기자마자 소멸하는 찰나멸하는 존재이지만 무명에 의해 미혹된 어리석은 자들의 세계인 세속적 차원에서는 상분과 견분 그리고 자증분이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진나의 3분설을 해설한다. 원효는 ‘자증분은 심분에 포함되기 때문에 즉체능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여 ‘심분에 포함된다.’는 동일한 논증인에 의해 두 개의 상반된 주장이 성립하게 되어 4분설을 주장하는 논증식의 논증인 자체가 부정의 오류를 범하기 때문에 자신의 주장이 옳다고 확정할 수 없다고 논박한다. 따라서 원효는 4분설이 성립할 수 없음을 논증하면서 소극적 간접적으로 진나의 3분설을 옹호한다는 점에서 법칭과 식의 구조에 대한 인식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이다.’와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이다.’라는 이율배반의 문제에 대해 법칭은 개념과 개념의 포함관계나 논리적 관계라는 관점을 가지고 접근할 때는 항상 오류를 범할 수 밖에 없음을 간파하고, 이러한 이율배반의 문제를 존재와 존재의 본질적 결합관계라는 존재론적 관계라는 관점에서 해결하고 있다.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이다.’라는 성론사의 논증식에 사용한 논증인 자체가 ‘일체는 무상’이라는 세계관에 입각한 불교도의 입장에서 보면 불공부정의 논증인이 되어 그 주장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원효는 비판한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들리는 것이라는 논증인’ 그 자체가 부정인이 아니라고 옹호하는 성론사의 에피고넨에 대해 ‘들리는 것이라는 논증인’이라는 메타언어로 구성되는 논증식 자체도 부정의 오류를 피할 수 없다고 원효는 비판한다. 따라서 법칭은 이율배반의 문제를 존재론적 관점에서 이율배반의 해결을 천착해 들어갔다면 원효는 이율배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언어게임이나 논리게임은 그 차원을 달리하면서 계형(type)을 높여가더라도 결국에는 불공부정(不共不定) 즉 주장의 타당성을 확정할 수 없는 불확정의 원리가 관철된다고 보았다는 점에서 법칭과는 다른 길을 걸어갔다고 볼 수 있다. Both the Dharmakiti and Wonhyo are the thinkers of Mahayana Buddhism. It is the Mahayana that realizes that the wagon which carries to the world of enlightenment from the world of ignorance is his own mind which is devoted to the three branches, not the three branches of light, The Dharmakiti saw the Mahayana as the right perception of man himself, and Wonhyo has the one Mind in that he grasped it as his own mind. The Dharmakiti states that recognition, as an epochal whole in the ultimate dimension, disappears as soon as it is born, but it appears to be objectively present in the secular level, the world of foolish people who are deceived by obscurity. Wonhyo argues that the two arguments are constituted by the same argumentator as "the fact that the incremental is included in the heart, so it does not need the symptom, He argues that the argument of the expression itself can not be determined to be right because it makes an error of the wrong. Therefore, Wonhyo argues that the quadrature can not be established, and advocates the triad of Dignaga indirectly and negatively Dharmakiti is about the inclusion of concepts and concepts, and the logical relationship, which means that they always make mistakes when approaching them. And the problem of this kind of problem is solved in terms of the ontological relation that is the essential combination of existence and existence. From the Buddhist viewpoint, which is based on the world view that "All flows," the argument used in the argumentation of the Sungrang's claim that "the sound is heard is resident" is a demonstration of unjustified injustice. Wonhyo criticizes that he can not. The argumentation itself consisting of the meta-language of 'the argument that it is heard' about the epigonen of the Vaisesika who advocates 'the argument that it is heard' of the criticism itself is not the negation. Therefore, if Dharmakiti has sought to resolve the problem of antinomy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Wonhyo will not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antinomy even if the language game or logic game increases its type while varying its level, It can be said that the principle of indeterminacy which can not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laim has been carried out.

      • KCI등재

        분황 원효와 인각 일연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 ― 각승(角乘) 가풍과 경초(莖草) 선풍을 중심으로 ―

        고영섭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3 불교 철학 Vol.12 No.-

        This thesis investigates Bunhwang Wonhyo’s (617–686) and Ingak Ilyeon’s (1206–1289) ways of living and thinking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Huayan and Seon thoughts. How did Wonhyo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pre- and post-unification and Ilyeon of the Goryeo period, during the Mongol invasion, live and think? As a philosopher and thinker, Wonhyo lived a life of public edification by writing and lecturing while feeling the pain and conflic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As a historian and thinker, Ilyeon practiced, writed, and penned historical books while experiencing the pain and conflicts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the country was confronted by in this emergency due to the Mongol invasion. Although the two men lived in different eras, because 1) they share the same place of origin, 2) they did not neglect loyalty and filial piety despite being monks, 3) they spread their lifestyles and ways of thinking, focusing on Huayan philosophy and Seon thoughts, and 4)they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high priests and advisers to kings in Korean history, they shared many commonalities. Wonhyo and Ilyeon managed their lives and developed their ways of thinking using the traditions of Huayan and Seon thoughts, respectively. Wonhyo wrote Treaties on Vajrasamādhi-sūtra (金剛三昧經), showing wisdom that harmonically encompasses initial and original enlightenment. He reconciled with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thought, which emphasizes “concurrent application of stabilizing and insight meditation,” and Huayan thought, which emphasizes “being without hindrance or impediment.” He also reconciled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thought, focusing on the non-dualism of the shrine and the grave, and the Seon thought of the non-dualistic middle way. Furthermore, he greatly contributed to popular edification by making people chant “I take homage to Buddha.” On the other hand, Ilyeon promoted Bodhisattva’s One vehicle Huayan thought, while also showing the Seon tradition of “stems and grass” in which phenomenal and metaphysical realms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He published Overlooked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 national history book aimed at fostering the national spirit that was crumbling due to the Mongol invasio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people’s identity. Wonhyo corresponded to prajnācontemplation of the middle-way school as the essence of “one taste observation practice” and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s “ten-fold aspects of dharma.” Thus, he attempted to converge the two-truth theory of the middle-way school with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of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dditionally, as a military adviser to Yu-shin Kim, he participated in the reality of war and added wisdom to it. Ilyeon showed both Mahayana Bodhisattva’s Huayan thoughts where One vehicle is emphasized and Seon thoughts in which phenomenal and metaphysical realms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by running the example of “entering the body of a cow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n addition, he showed Hyosun thought,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idea of filial piety and good deeds, through Overlooked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Therefore, Wonhyo’s “riding a horned cow (角乘) ” Seon tradition and Ilyeon’s “stems and grass (莖草)” Seon tradition passed down the Bodhisattva tradition, which later became a source of nourishment for the Korean people’s spiritual and cultural maturity.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와 인각 일연(麟角一然, 1206~ 1289)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를 통해 두 사람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구명해 본 글이다. 통일신라 전후기의 원효와 고려 후기 몽골 간섭기의 일연은 어떻게 살았고 어떤 생각을 하고 살았을까? 원효는 철학자이자 사상가로서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 삼국의 통일 전후기에 한민족의 고통과 갈등을 체감하면서 저술하고 강론하며 대중교화의 삶을 살았다. 일연은 역사가이자 사상가로서 몽골 침입으로 위기에 직면한 고려 후기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민족의 고통과 갈등을 체감하면서 수행하고 저술하며 사서를 편찬하는 삶을 살았다. 이들 두 사람은 시대를 달리했지만 1) 출생지가 같고, 2) 출가자임에도 불구하고 충성과 효도를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3) 화엄사상과선사상 중심으로 자신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펼쳤고, 4)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고승들이자 국사였기에 서로 만나 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었다. 원효와 일연은 각기 화엄과 선법의 가풍으로 자신의 살림살이를온축하고 사고방식을 구축했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 을 찬술하여 시각과 본각의 이각을 원만히아우르는 각승 가풍을 보여주었다. 그는 지관 쌍운의 기신학과 무장무애의 화엄학, 감분 불이(龕墳不二)의 기신학과 무이 중도(無二中道)의선법 및 ‘나무 불타’의 이름을 일컫게 하여 대중교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와 달리 일연은 대승 보살의 일승 화엄과 생계 불감(生界不减) 불계 부증(佛界不增)의 선법으로 경초 선풍을 보여주었다. 그는 몽골의침탈로 무너져가는 민족혼을 수립하기 위해 민족의 사서인 삼국유사 를 간행하여 한민족의 정체성 수립과정에 크게 공헌하였다. 원효는 ‘일미관행(一味觀行)의 요체’를 반야 중관에 상응시키고, ‘십중법문(十重法門)의 종지’를 유가 유식에 상응시켜 중관학의 이제설과유식학의 삼성설을 통섭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김유신의 군사고문으로서 전쟁의 현실에도 참여하여 지혜를 보탰다. 일연은 대승 보살의 일승 화엄과 생계 불감 불계 부증의 선법을 피모대각(被毛戴角)의이류중행(異類中行)으로 펼쳐 보살 선풍을 보여주었다. 또 그는 삼국유사 찬술을 통해 효행을 선행으로 결합한 효선(孝善)사상을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원효의 각승 가풍과 일연의 경초 선풍으로 계승된 보살 선풍은 이후 한민족의 정신적 성숙과 문화적 성숙의 자양분이 되었다.

      • 원효의 『금강삼매경』 연구에 나타난 ‘깨침’과 ‘닦음’

        이지향 ( Lee Ji-hyang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8 불교 철학 Vol.2 No.-

        『金剛三昧經』에 대승적 깨침을 의미하는 다양한 용어들 중 일각(一覺)은 ‘일미(一味)’나 ‘일심(一心)’, ‘본각(本覺)’, ‘여래장(如來藏)’ 등을 포괄하는 대승적 깨침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으로 보인다. 또한 ‘일미(一味)’는 ‘일각의 맛’이므로 ‘일각(一覺)’의 비유적 표현이라 볼 수 있고, 일심은 일체법을 대하는 시각, 또는 세계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세간법과 출세간법을 구분하는 소승적 시각과의 차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이다. 이러한 일심의 의미를 대승적 깨달음의 세계로서 공간화한 표현이 여래장(如來藏)이다. 그러나 진리의 세계는 본래 시공간을 떠난 것이므로 ‘본각(本覺)’과 ‘결정성(決定性)’의 표현을 통해 중생의 마음이 본래 깨달은 ‘본각’이며 그러한 깨달음은 스스로 그러한 ‘결정성(決定性)’을 지닌다는 논지로 그러한 오해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그러므로 대승적 깨침인 ‘일각’은 일체법을 대하는 모든 차별적 인식으로부터의 전환을 중시하는 표현이다. 원효는 경의 종지를 ‘일미관행(一味觀行)’이라 보면서 ‘관행(觀行)’을 나누어 ‘횡’과 ‘종’이라는 시공간의 개념을 사용해 시공간성을 전제로 인식하는 중생의 사고 수준에 맞춰 대승 수행의 의미를 풀어주고 있다. 그러나 결국 ‘관행’을 ‘일미’로 종합하면서 수행자로 하여금 그러한 인식의 틀을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무상관(無相觀)과 무생행(無生行)의 수행을 통해 가능하다. ‘상(相)이 환화(幻化)임을 깨치고 공성(空性)에 대한 마음마저 버리기‘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무상관(無相觀)은 환화가 계속 일어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수행의 완성을 위해서는 본래 생멸이 없음을 증득하는 무생행의 과정으로 넘어가야 한다. 이러한 수행을 통해 정관(正觀)에 진입하면 삼행(三行)이 이루어진다. 원효는 깨달음의 세계는 일미평등하고 여여한 행[隨如取行]이 이루어지지만 일에 따라[隨事取行], 또는 식에 따라 행함[隨識取行]이 일어나기 때문에 공(空)에 빠지지 않는다고 말함으로써 대승법에서 ‘깨침’의 의미는 중생과 똑같은 행위를 하지만 일미평등하고 여여한 행으로 살아가는 것임을 드러낸다. 이것이 바로 육도행(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이고 수여취행(隨如取行)이다. 또한 초지(初地) 이전에 대승행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는 삼대사(三大事)를 통해 보여준다. 삼대사는 정(定), 혜(慧), 대비(大悲)이다. 결국 무상관(無相觀)과 무생행(無生行)으로 진행되는 정(定)과 혜(慧)의 수행은 대비(大悲)를 바탕으로 행해져야만 주객의 분별을 떠나게 하고 일체법이 일심이며 본각이라는 ‘일각(一覺)’을 깨우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Of the various terms that mean enlightenment in Kumkangsammae- Sutra[金剛三昧經], ‘the one realization[一覺]’ is an expression that encompasses ‘One Character[一味, Oneness]’, ‘One mind[一心]’, ‘the emptiness of Intrinsic Enlightenment[本覺]’, and ‘tathagatagarbha[如來藏]’. Also, since ‘One Character[一味, Oneness]’ is ‘the taste of the one realization’, it can be regarded as a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one realization’. One mind[一心] stands for the viewpoint of the world and reveals discrimination from the viewpoint of Hinayana Buddhism. ‘tathagatagarbha[如來藏]’ is the expression of space one mind[一心] as the world of enlightenment of Mahayana Buddhism. However, since the world of truth has left the time and space originally, it is the ‘the emptiness of Intrinsic Enlightenment[本覺]’ that the heart of regeneration originally realized through the expressions of ‘the emptiness of Intrinsic Enlightenment[本覺]’ and “The property to be determined[決定性]’’, and such enlightenment itself has such ‘The property to be determined[決定 性]’. Therefore, ‘the one realization’, the enlightenment of Mahayana Buddhism, emphasizes the departure from all differentiating thoughts of the world. Wonhyo[元曉] sees the core of sutra as ‘the Visualization Practice of One Character[一味觀行]’. In addition, it is divided into ‘Visualization’ and ‘Practice’ in the sense of time and space. It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formance of the Mahayana Buddhism considering the regeneration that thinks according to time and space. In the end, however, the Visualization Practice is synthesized into one realization[一覺], and it is deviated from such a thought. This conversion of recognition is possible through the execution of Visualization of Form-less[無相觀]. When I enter ‘the right Visualization[正觀]’ through this performance, ‘Three Behavior[三行]’ is made. Through ‘the Suchness of Reality[隨如取行]’, Wonhyo reveals that enlightenment is the same as the regeneration but living in ‘equal and one character-ness[一味平等]’. Also, before realizing, it shows ‘the three important things[三大事]’ about the performance of the Mahayana Buddhism. ‘The three important things[三大事]’ are samadhi[定], wisdom[慧], and mercy[悲].

      • 원효와 종밀의 사상적 동이 ― 종밀의 원효문헌 인용을 중심으로 ―

        김천학 ( Kim Cheon-hak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8 불교 철학 Vol.3 No.-

        원효는 『기신론』 연구로, 종밀은 『원각경』 연구로 일대를 풍미하였다. 이 두 독특한 사상가를 비교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런데, 종밀이 원효에게 사상적 영향을 받았다. 이 점에 주목하여 종밀이 원효로부터 받은 영향의 맥락을 밝힘으로써 두 사상가의 사유를 대비적으로 분석하고, 사상의 동이를 밝히는 1차작업이 본 고의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종밀의 저술에서 원효의 『기신론소』와 『금강삼매경론』을 주로 인용하는 것을 확인하여 두 사상가의 사유를 비교검토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종밀은 원효의 『기신론소』에서 일심과 신해개념을 중시하여 법장과도 다른 사유를 보였다. 특히 신해개념은 종밀의 중요시하는 영지, 영심 개념과도 상통하며, 종밀이 선적인 경향성이 이 개념을 수용하게 하였다. 한편, 종밀은 4종의 『원각경』 주석서에서 『삼매경론』을 인용하는데, 그 인용 내용은 ① 삼매의 정의, ② 말세중생을 위한 일미설, ③ 대중교화로 분류된다. 인용처는 삼매의 정의를 빼고는 『금강삼매경』 「무상법품」의 내용이다. 원효는 『금강삼매경』이 상법 중생들을 위한 교설이라고 보는데, 종밀은 이를 수용하며, 나아가 『원각경』 설과 동일성을 주장하기 위해 구체적 논리를 원효로부터 빌려온다. 종밀과 원효 사이에는 종밀이 원효를 인용하면서 빚어지는 약간의 사상적 상위가 없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종밀에게 원효는 『대승기신론』의 사상을 근간으로 삼아 자신의 원각사상을 넓혀가게 하는 방향성을 제공해준 사상가라고 평가할 수 있다. Wonhyo is famous for a study of Dasheng qixin lun (大乘起信論) and Zongmi (宗密) is famous for the study of Yuanjue jing. These two masters overwhelm a generation ideologically. It is not easy to compare these two unique masters. First, I pay attention to Zongmi that was influenced by Wonhy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deas of two thinkers in contrast to Zongmi’s quotation of Wonhyo’s writings in his writing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ir ideas. The main writings to be analyzed in this paper are Yuanjuejingdashu of Zongmi and its commentary and kishinronso, kumgangsammaekyongron of Wonhyo. As a result, Zongmi showed a different view from Fazang by emphasizing the concept of one mind and mysterious comprehension(神解) in wonhyo’s kishinronso.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mysterious comprehension is also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mystic wisdom(靈知,) and mystic mind(靈心), which Zoungmi emphasizes. On the other hand, Zongmi cites sammaekyongron in four Yuanjuejing commentary, which are categorized as ① the definition of samadhi, ② the theory of one taste for ordinary people in the latter age and ③ the popularization. The quote is the contents of jingangsameijing wuxiangfapin(『金剛三昧經』 「無相法品」) except for the definition of samadhi. Even though Zongmi quotes Wonhyo,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sters. But overall, Wonhyo influenced Zongmi through his Dasheng qixin lun idea, and Zongmi widened his perfect enlightenment idea through Wonhyo.

      • KCI등재후보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불교(佛敎) 관련 문헌(文獻)과 과제(課題)

        명계환 ( Myung¸ Gye-hwan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9 No.-

        이 연구는 『삼국유사』에 인용된 주요 불교 관련 문헌을 파악해 보고 이와 관련한 불교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불교 관련 문헌에는 고기, 고문서, 국내외 사서, 민간전승, 사적기, 비문, 승전, 경전과 논소가 있다. 여기에는 누락 된 내용을 보충하고 오류를 시정 하는 등 그 속에서 진실을 기록하려는 의도가 담겨있지만, 불교 신앙의 전파 등을 위한 신이한 내용이나 연기설화가 그 중심내용으로 자리하고 있다. 또 선승이었던 일연은 선적보다는 경전을 수록하고 있으며 불교의 교학보다 신앙에 관한 이야기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민중들은 불교 신앙에 쉽게 다가가 삶의 의지와 구원의 희망을 품었다. 이와 관련한 『삼국유사』의 불교적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삼국유사』의 전법서적 이해’다. 일연의 신분이 승려였으며 그의 본분을 생각했을 때, 『삼국유사』의 불교 포교 및 교화 관련성은 매우 크다. 둘째, ‘『삼국유사』의 대안적 사서 역할’이다. 『삼국유사』라는 고전 속에 담긴 불교적 지혜는 이 시대의 정신적 고난을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 구체적 방편으로는 문화콘텐츠개발 가운데 스토리텔링이 있다. 이처럼 불교 문헌과 과제를 점검하고 연구하는 것은 『삼국유사』의 올바른 이해와 전체상 구명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Buddhist-related literature cited in the Samguk Yusa and to suggest Buddhist tasks related to it. Buddhist literature includes old record, ancient documents, domestic and foreign history books, folklore, historical records, inscriptions, sutras, scriptures and commentaries. It contains the intention to record the truth, such as supplementing omissions and correcting errors, but the central content is a mystical content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t beliefs, etc. Also, Iryeon, who was a monk, contains scriptures rather than Seon record, and describes the way of talking about faith rather than the teachings of Buddhism. Through this, the people easily approached the Buddhist faith and embraced the will of life and the hope of salvation. In this regard, the Buddhist tasks of the Samguk Yusa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categories. Firstly, it is ‘An understanding of the Samguk Yusa.’ Considering Ilyeon’s status as a monk and his duty, the propagation and edification of Buddhism in the Samguk Yusa is very relevant. Secondly, it is about seeking the role of an alternative history book. The Buddhist wisdom in the classical tradition of Samguk Yusa can be a realistic alternative to overcome the spiritual difficulties of this age. As a concrete expediency, there is storytelling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this way, it is very important to check and study Buddhist literature and tasks in order to obtain a correct understanding and overall image of the Samguk Yusa.

      • KCI등재

        향찰 가설 재고 제의와 향가 창작법 제시, 그리고 <도솔가>의 신해독

        김영회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1 No.-

        향가1)는 해독 중에 있는 문자집단이다. 향가가 표기된 문자의 성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현전하는 향가 25 장(章)2)에 적용해본 결과 다음의 향가 창작법이 도출되었다. ① 모든 향가문자는 표의문자로 기능한다. 다만 그 중 일부는 이중문자 였다. 이중문자란 표의문자와 표음문자로 동시에 기능하는 문자이다. ② 향가문자는 노랫말(歌言)+청언(請言)+보언(報言)의 형태로 조립되어 향가문장을 이루고 있다. ③ 향가의 노랫말은 문자가 한국어 어순(SOV)으로 배열되어 있다. ‘향가 창작법에 따라 만들어져 있으면 그 작품은 향가’라고 정의될 수 있었다. 향가는 고대인들이 請을 이루어지게 해달라고 천지귀신에게 고하는 작품이었으며, 고대 종합 예술의 대본 성격을 가진 작품이었다. 또한 향가는 우리말(陋言)3)로 읽히도록 표기되어 있었다.

      • KCI등재후보

        신라 명효 『해인삼매론』의 주요 내용과 특징

        문진영 ( Moon Jin-young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0 불교 철학 Vol.7 No.-

        명효의 『해인삼매론』은 신라의 불교교학의 많은 결과물 중 하나로 『화엄경』의 해인삼매의 수행적 측면이 강하게 나타난 저작이다. 이 글에서 가장 특징적인 면은 도인의 존재이다. 『해인삼매론』의 도인은 만자형태의 도장 모양으로 도인위에 게송이 더해져 합시일인이라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인을 인상과 자상으로 설명한다. 『해인삼매론』은 의상의 『일승법계도』를 참조하여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승법계도』에는 없는 귀경송과 회향송이 『해인삼매론』에서는 존재한다. 『해인삼매론』은 글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화엄에서 말하는 해인삼매의 실천을 담고 있는 글이다. 명효는 해인삼매의 실천으로 깨달음의 성취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명효는 도인내의 게송의 뜻을 다라니라고 하였다. 이 다라니는 일체의 모든 경전의 중요한 뜻을 모두 가지며, 다라니의 방편으로 중생의 교화와 깨달음의 성취가 이루어진다. 명효는 다라니를 법과 의의 두 가지로 나누어 해석하고 있다. 이 가운데 법을 본체[體]와 지혜[智]와 작용[用]의 세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일심·이문·삼대의 설을 빌어서 다라니의 법을 해석한 것이다. 그리고 다라니의 뜻[義]을 마하연원교의 뜻을 드러낸다고 하여 화엄의 도리가 다라니의 뜻임을 분명히 하였다. 『해인삼매론』의 도인의 출발점은 도인의 중앙에서 출발하며, 생사와 열반이 그 중심이 된다. 즉 『해인삼매론』의 주된 설법의 대상은 생사를 가지고 있는 중생이 된다. 명효는 중생들에게 이런 것을 강조하여 모든 이들이 깨달음으로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서원을 세웠다. 『해인삼매론』에서 나타나는 부처는 구성불(舊成佛)이다. 구성불은 예부터 생사를 버려 몸과 마음이 성불을 이룬 것을 말한다. 구성불은 다라니 본체의 중생의 근본일심과 같은 것으로 중생의 마음과 체성을 넘어 여래의 지혜와 작용이 드러나는 것이다. 명효의 구성불은 연기적수행으로 완성된다. The Hae-in-sammae-ron (海印三昧論, Treatise on the Ocean Seal Samadhi) written by Myeonghyo (明皛) is one of the many results of Buddhism in Silla. It is a work that strongly describes aspect of the practice of the Ocean Seal Samadhi in the Avatamsaka Sutra.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 of this article is the existence of the Seal Diagram (圖印). The Seal Diagram is a very unique form of Buddhist doctrines and practices, and it is shaped like a fylfot seal. And there are verses on top of this diagram and it’s in the form of the One Diagram with Verses (合詩一印). As the title of this work suggests, the Hae-in-sammae-ron is about the practice of the Hae-in-sammae, or the Ocean Seal Samadhi spoken by the Avatamsaka Sutra. The Ocean Seal Samadhi is named from the virtues of the ocean. All the laws flow into the sea of the Ocean Seal, and all the sentient beings are reflected in it. According to Myeonghyo’s Hae-in-sammae-ron, the meaning of verses in the Diagram is the Dharani. Myeonghyo interprets Dharani as two: the law (法) and the meaning (義). And he does the law in three: substance (體), wisdom (智), and function (用). This is an interpretation of the Dharani by using the Three Great Fundamentals (三大) of Substance (體), Phenomena, and Function explained in the Dashengqixin- lun (大乘起信論,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In explaining Dharani's meaning, he makes it clear that the principle of the Avatamsaka Sutra is the Dharani’s meaning, as it firmly expresses the perfect teaching of Mahayana. One of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Hae-in-sammae-ron is seen in explanations on the shapes of the diagram and the letter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al Diagram is the center of the diagram. It starts, he says, with the letters of the ‘life-and-death (生死)’ and the ‘Nirvana (涅槃),’ and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not different. It ends, he says, with same letters, but sentient beings don’t know these. In other words, the main target of the Hae-in-sammae-ron is people with the life-and-death. He emphasized this to the people, setting up his vow for everyone to move toward the enlightenment. The Buddha explained in the Hae-in-sammae-ron is Guseong-bul (舊成佛). It refers to one’s becoming Buddha with one's body and mind by giving up life and death from the past. It is people’s fundamental One Mind, in other words, the Dharani’s substance, which reveals the Buddha’s wisdom and functions Buddha beyond people’s mind and substance. And it is, he says, completed by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