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감상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마르크스의 베토벤 수용언어

        주대창 ( Ju Dae Cha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난해한 것으로 여겨지는 베토벤의 음악을 감상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해석학의 입장에서 제시하였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베토벤 음악의 이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마르크스의 베토벤 연구서는 전기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그러한 음악을 이해하는 기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는다. 그는 베토벤 음악의 온전한 수용을 위하여 관념론의 전통에 따라 정신적 교감을 내세운다. 그의 연구서에서는 특정한 표현들이 베토벤 음악의 이해를 위한 체계를 형성하는데, 내용함유물(Gehalt)을 강조함으로써 베토벤 음악이 보편적으로 수용되게 하는 프레임을 구축하였다. 이것을 해석학적 입장에서 감상교육에 활용하려면 우선 역사적 유산에 대한 질문을 놓칠 수 없다. 과거와 현재가 변증법적으로 만나 새로운 이해지평을 열게 하는 활동에서 베토벤 음악에 대한 마르크스의 수용언어는 감상역량 제고를 위한 비평적 질문거리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n educational approach for Beethoven’s music in terms of hermeneutic principles. According to Gadamer’s theory, understanding is formed by the dialectic fusion of historic and present horizons. A. B. Marx wrote a voluminous Beethoven monography that is ever so often considered not only as significant biographical sources but also as methodological criteria for understanding Beethoven’s music.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a correlation between musical value and its receptive wording presented in the publication. To promote comprehensive reception of Beethoven’s music, Marx puts up spiritual communion in terms of German idealism as a useful tool to construct a cooperative system for music appreciation. Hence, it is important to make a connection of contents to substances being regarded as ideas. The researcher argued an critical use of Marx’ wording in accordance with hermeneutics raising appropriate questions to enhance appreciative competences of students for value jud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음악 이해의 여러 유형에 대한 원론적 고찰

        주대창(Dae Chang Ju) 한국서양음악학회 2005 서양음악학 Vol.8 No.1

        음악 이해는 음악을 접하는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바이다. 이를테면 음악 활동을 위한 단순 기능의 전수에서부터 음악의 본질에 대한 탐구에 이르기까지 모두 음악 이해라는 큰 길에서 만난다. 음악 활동에서 거론되는 것들은 음악을 중심으로 나름의 연관성을 형성한다. 다루는 사항의 중심에 음악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악을 수용하는 입장에서는 음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들이 다른 것들과 연계되거나 전이(轉移)되는 경우가 많다. 상대방이 안내한 형태의 음악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자신의 이해 방식이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것은 곧 음악 수용자의 주체적 이해가 주입식 이해보다 더 설득력이 있음을 말한다. 음악 이해의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에 비하여 이에 대한 현실적 논의들은 많지 않다. 주로 단편적 논의들을 받아들이거나 비평하는 정도의 시도들이 주류를 이룬다. 어쩌면 음악 이해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들이 적어도 음악가들에게 귀찮은 것일 수 있다. 쇤베르크의 표현대로 “작곡하는 학생들에게 나쁜 미학을 빼앗고 그 대신 좋은 수공예이론(Handwerkslehre)을 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나쁜 미학을 빼앗은 것이 곧 미학적 자유를 허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한 시도로 그만큼 음악에 대한 사고의 폭이 넓혀진 것으로 여겨진다. 자신이 어떤 음악을 좋아해서 자신의 관점에 머무는 경우가 아니라면, 어떤 형태로든지 음악에 대한 논의를 무한히 열어 놓을 필요가 있다. 음악을 이해하는 현상들은 여러 가지 유형들을 형성하여 왔다. 큰 틀에서 보면 서로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는 견해들이 나름의 고유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실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음악이 다르거나 논의의 매체가 되는 언어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속을 벗어난 근본적 음악 이해가 인지적 실험에 의해 규명될 것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 방향은 현실적 음악 이해를 위한 미학적 시도와 직접적 관련이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가정하지 못했던 보편적 음악이론을 규명해 낸다면 음악 활동의 양상이 근본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음악의 미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음악 이해 방식을 정리해 보려는 작업에서 인간의 보편적 음악 이해의 가능성을 먼저 점검하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음에서 음악 이해의 여러 유형들을 큰 틀에서 거시적으로 조망해 보려고 한다. 여러 방향의 논의들을 하나로 모아 엮어 보는 작업은 복잡한 음악 이해의 갈래들을 정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미 자주 논의된 음악미학적 주제들의 반복 설명을 가능한 한 피하려고 한다. 그러한 용어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을 위하여 최소한의 안내를 하는 데 그치고, 음악을 이해하려는 여러 사고 유형들을 모방이라는 하나의 원리로 해석하는 데 초점을 둘 것이다. There are various viewpoints to find a way how to understand music. Normally, understanding music is used in a double meaning. First, what is the music? Second, what is a sense of a musical statement. While the former is concerned in systematic music theory, the latter refers to notions of a musical work and to musical communications in a cultural society. Viewed from this angle, it is important to check multifarious ways to explain a meaning of music. The aim of this paper is a prospect of aesthetical thinking in connection with music. Since the ways to understand music exert a direct influence upon the reception of individual music works, it is also very suggestive to consider types according to which aesthetical phenomena are generally classified. One is going to manifest what a piece of music says, for he intends to show others what is a musical meaning. So aesthetic understanding makes its appearance mainly as a aesthetical statement by letter. To examine the problem of presentation types for understanding music, we need a principle that is able to concern the whole musical language. It is the principle of imitation. Every music is made to exhibit musical meanings that are derived originally from a nonmusical area. It is argued that even the absolute music or experimental music can be regarded as a transformation of musical imitations of which contents are metaphysical.

      • KCI등재

        음악학과 음악교육학

        주대창(Dae Chang Ju) 한국음악교육학회 1998 음악교육연구 Vol.17 No.-

        Musikwissenschaft und Musikpa¨dagogik unterscheiden sich in ihren Aufgaben, Interessen, Wegen und Zielen. Beide Disziplinen sind aber von Anfang an miteinander eng verbunden, da sich sowohl die Musikwissenschaft als auch die Musikpa¨dagogik auf Musik beziehen. Fu¨r die Musikwissenschaft besteht ferner die Aufgabe, der Musikpa¨dagogik Hilfe zu leisten. In Korea wird die Beziehung dennoch so oft u¨bersehen, daß das Verha¨ltnis zueinander durch wechselseitige Mißversta¨ndnisse belastet wird. Diese Tatsache ist um so mehr erstaunlicher, als beide Disziplinen in Korea eine kurze Geschichte hab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versucht, das enge Verha¨ltnis beider Disziplinen zu pra¨zisieren und die Notwendigkeit ihrer Kooperation darzulegen. Im Mittelpunkt wurden dabei die Entwicklungsgeschichte beider Disziplinen sowie ihre gegenwa¨rtige Beziehung im deutschsprachigen Raum gestellt, weil man dadurch einen guten Hinweis fu¨r eine vernu¨nftige Zusammenarbeit beider Disziplinen auch in Korea erhalten kann. Die ersten Ansa¨tze zur Etabilierung der Musikpa¨dagogik als wissenschaftliche Disziplin in Deutschland liegen im 19. Jahrhundert. Wissenschaftliche Forschungen mit musikpa¨dagogischem Erkenntnisinteresse erschienen erst im fru¨hen 20. Jahrhundert. Ihre Themen waren vorwiegend experimentalpsychologisch und auch historisch. Professionelles Nachdenken u¨ber pa¨dagogischen Umgang mit Musik forderte aber eine Entwicklung wissenschaftlicher Musikpa¨dagogik als selbsta¨ndliche Disziplin heraus. Dies bedeutet keineswegs, daß die Musikpa¨dagogik nach ku¨nstlich-handwerklicher U¨bung gerichtet werden soll. Versucht man, die Musikpa¨dagogik als eine wissenschaftliche Disziplin zu begru¨nden, so ist sie ohne die Musikwissenschaft nicht lebensfa¨hig. Auch die Musikwissenschaft kann ihre Basis ohne die Musikpa¨dagogik nicht verbreiten, weil ihre Weitentwicklung im allgemeinen musikkulturelle Grundlage sowie breite Fachleutenschicht braucht, fu¨r die in erster Linie pa¨dagogischer Umgang mit Musik eine große Rolle spielt.

      • KCI등재

        한국에서 종족음악학의 진로

        주대창(Dae Chang Ju) 세계음악학회 2000 음악과 문화 Vol.2 No.-

        Ethnomusicology is a branch of musicology, but it is frequently treated as an independent field. Thus, ethnomusicology has shown substantial distinctions in its methodology. Ethnomusicologists try to expand their research areas gradually to all kinds of music. And they consider practical functions and uses of music in its social context rather than as an isolated system. However, since the music research cannot be limited to ethnic or cultural perspectives, ethnomusicology should not stand for all of music research. Inspite of all the efforts of expanding the width of reasearch area and avoiding Western orientation, ethnomusicology in Korea confronts difficult situations. Since ethnomusicology has grown up in Western scholastical tradition, its research cannot avoid from having the limitation, which is the study of non-Western music according to Western scholastic framework. Therefore, ethno- musicology struggles with cultural and disciplinary conflicts in non-Western societies. Ethnomusicologists in non-Western country have often faced rejection from its scholastic circles. Ethno- musicology is easily treated as an outside field because it cannot be associated with Western musicology or traditional music scholarship of the particular country. This phenomena appear more seriously in those countries where their musical cultures have followed Western model and where their traditional musics have been threatened by Western music. However, using the Western scholastic scheme does not simply means to ignore the appropriate value of the native culture but it is needed from scholastic viewpoints for organizing the cultural phenomena. In fact, the idea that the framework of Western musicology does not belong to the West but to scholastic world, is more easily acceptable for us. It just happened that Western scholars have established it first. Thus ethnomusicology should not be regarded as foreign discipline any more. It can perform well in such research matters that have not been dealt in Korean musicology. In a global viewpoint, ethnomusicology in Korea has to take in future three important roles: firstly, to support Korean musicology methodolo- gically; secondly, to introduce world music to Korean scholars and students; and thirdly, to compare musics and study music in cultural context. We Koreans need to experience diverse musics and learn to enjoy them. Thus both musicology centering national music and musicology studying other musics approached from cultural perspectives are required for us. Microscopic musicology research- ing on music itself and macroscopic musicology including various music are both needed. Though the works from respective disciplines may have differences in specific goals and methods, all are fundamentally intended for understanding the human who makes music itself.

      • KCI등재SCOPUS

        기악곡의 감상 교육에서 서사의 활용 -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을 중심으로 -

        주대창(Dae Chang Ju) 한국음악교육학회 2024 음악교육연구 Vol.53 No.1

        기악곡은 음악적 내용의 추상성이 강하여 감상 교육에서 다루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학교 현장에서 음악을 감상해 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난해한 기악곡을 듣기의 대상이 아니라 감상의 대상으로 바로 만나는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현장의 용어로서 감상이라는 말보다 듣기라는 말이 더 적절함을 밝히고, 이를 위한 듣기 활동의 자료로서 음악적 진행에 상응하는 서사의 활용을 제안한다.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에서 표본적으로 나타나듯이, 악곡의 전체 흐름을 조망하여야 작품이 지닌 가치를 음미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서사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자료가 일부 있으나, 음악 진행이 시각의 흐름에 매이는 성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 듣기 활동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한 서술적 서사를 예시한다. 이러한 접근은 듣기 활동의 응집력을 높이고, 나아가 음악을 이해하고 즐기며 평가하는 종합적 감상에 기여할 수 있다. Instrumental music is not easy to deal with the appreciation education because the musical content is highly abstract. Moreover, since the phrase "appreciate music" is often used in schools, there is a tendency to immediately encounter difficult instrumental music as objects of appreciation rather than objects of listen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terminological relation between appreciation and listening and suggests that teachers make use of narrative materials which enable to show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piece. As exemplified in Beethoven's "Fate" Symphony, the value of the work can be appreciated by examining the entire flow of the piece. In order to lead listeners to musical imagnation, there are already some narrative materials in visual forms for this piece, but pictures tend to hinder students from chasing musical expression. Therefore, the researcher instantiates how to develop narrative materials in wording. This approach enhances cohesiveness of listening to music and contributes to conducting comprehensive appreciation of understanding, enjoying, and evaluating.

      • KCI등재
      • 초등학교에서의 창작동요 수용에 관한 연구

        주대창(Dae Chang Ju),김금옥(Kumok Kim),진강희(Ganghee Jin)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0 No.2

        오늘날 창작되는 동요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새로운 경향의 동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방송사의 창작동요제들은 참신한 창작동요의 발굴과 보급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새로 발표된 동요들은 수년 단위로 개편되는 음악교과서에 수록될 때까지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한다. 무엇보다도 발표된 동요들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점검되고 있지않으며, 그것들을 지도할 방법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축적되지 못하였다.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노래를 제공하는 수업을 지양하고, 음악교과의 취지를 살린 포괄적인 접근법으로 창작동요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창작동요제의 입상곡들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호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반응과 노래의 유형을 고려하여 수업에 사용할 제재곡들을 선정하고, 그것들을 현장에서 지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Children's song which are taught in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chiefly come out of music textbook, while great number of children's song have been recently compo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generations, we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lso in educational activities of music lesson. Viewed from this angle, it is important to choose impartially new songs as teaching materials in music class. When teachers are intending to deal with these new songs in public school, there are great problems how to introduc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main aspects of receiving recent children's songs that have been published through musical contests about composition of children's song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taking advantage of them in classroom. This paper thus attempts to outline methodical models of handling new children's songs in elementary school. In exploring the question of teaching method which includes choosing songs as teaching materials, this paper demonstrates three lesson plans for fifth and sixth grades applying systematical frames. There are three viewpoints to be regarded, so that teaching integrated arts, interpreting music in social context, and making full use of human senses, in order to materialize instruction for the whole ma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