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회사의 부문별 변동 분석- 『부산부세요람』자료를 중심으로 -

        장지용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4 항도부산 Vol.47 No.-

        본 연구는 釜山府勢要覽 과 釜山の産業 의 회사자료를 정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식민지기 부산지역 회사 전체에 대한 부문별 연구를 행하였다. 시기적으로 어떠한 부문이 부산지역 경제를 이끌어 왔는지, 경제상황의 변화와 경기변동에 어떤 부문이 어떻게 대응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소 상이한 몇 가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항구도시이기 때문에 상업과 운수업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을 것이라는 통념과 다르게 부산은 제조업이 중심이었다. 회사수의 추이, 불입자본금의 추이, 각 부문의 비중 등을 기준으로 하면 1917년 이후 부산 산업의 중심은 제조업이었다. 둘째 부산지역 회사는 경제상황과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대응하였다. 시기별 및 업종별 회사 설립 형태, 시기별 회사설립 부문, 경기상황에 대한 대응 등에서 모두 능동적으로 대응하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경기상황, 특히 공황에 대한 저항력은 약했다는 점은 부산경제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점의 하나이다. 또 이 과정에서 부산제조업의 고유한 문제, 즉 지역내 분업연관의 결여와 영세화가 진행되었다.

      • KCI등재후보

        거대 부산 전략 시론(試論)

        김덕삼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6 항도부산 Vol.32 No.-

        This paper is on the study that analyzed via serendipity Busan culture. We assumed the accidental factors in Busan cultures which evolved Busan could ratify the future development of Busan. To examine this, the study was tried from two major research directions. One is a structural chance that geopolitical position has brought as a spatial aspect, the other one, as the temporal aspect, is an existential chance that era came calling. In the former case, through narrow and broad meaning of Busan structural chances Busan has from geopolitical position are examined. In the latter case, through the era distinction such as the Japanese invasion, the Korean War, and the age of the industry we examine the existential. This research showed Busan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called resistance, marine, openness, we saw that he shoul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Development of these of subjectivity will contribute to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Busan​), now, and will giv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have a serendipity. Also, as was seen in geopolitical position, Busan will be brought up the forces that lead to success with the starategy of "large Busan" to cover the Busan and the surrounding area. 본고에서는 부산의 새 전략으로서 거대 부산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을 작은 부산으로 규정지으려 하지 말고, 주변 지역과 연계한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큰부산, 대부산 전략으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지정학적 위치와 시간적 변화로 구분하여 부산을 살펴본 뒤, 이를 토대로 하여 미래 발전 모델로서 거대 부산 전략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부산 발전에 대한 대내외적 위기와 다른 도시와 비교 등을 통해 부산의 위기감을 파악하였다. 또한 다른 대부분의 도시처럼 부산의 발전은 지정학적, 시간적 변화 속에 부산 자체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준비와 계획에 의해서 이루어졌다기보다, 지정학적 위치와 시간적 변화가 가져다준 특혜 등에 힘입어 이루어진 점이 없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 부산의 새로운 전략은 트렌드나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장기적 기반 위에서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또한 대내외적인 변화의 시점에서 부산은 과거와 달리 수동적이고 피동적 자세가 아닌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가지고 부산의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주변과의 조화를 통한 네트워크의 구축으로 이루어진 거대 부산 전략을 제시하였다. 거대 부산 전략에 있어 주목되는 점은 첫째, 앞서 살핀 것과 같은 부산의 지정학적·역사적 이점과 특징을 기초로 부산만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부산이 해양성, 개방성, 저항성이라는 부산의 특징을 기초로 주체성을 강화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 주변지역의 풍부한 자원과 인프라를 조화시켜 함께 발전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이다. 이제 전략적으로 부산은 두 가지 정책을 함께 준비해서 실행해야 한다. 소부산 전략과 대부산 전략이다. 소부산 전략에서는 기존의 전략에 더하여 부산만의 장점과 정체성을 배가시킬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대부산 전략에서는 주변지역과 함께 할 수 있는 그럼으로써 부산의 존재를 확장시킬 수 있는 상생과 공생의 방안에 따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손진태 채록 부산지역 민요의 성격과 의의

        박경수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39 No.-

        I first searched for various folk songs collected by Sohn Jin-tai (1900-1960s) in the Busan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ext,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se folk songs. The folk song materials collected and surveyed by Sohn Jin-tai are as follows. ① 14 song materials sung by the pen name ‘Sohn Jung-ja’ in the literary magazine Keumsung, ② 83 song materials in Korean Oral Folk Songs(1933) edited by Kim So-un, ③ 50 song materials in unpublished note manuscript collecting folk songs, ④ 17 songs cited in folk songs theories. These folk songs are 164 pieces in total. Most of the folk songs in the Busan area surveyed and collected by Sohn Jin-tai ranged from August 1922 to before April 1931. These songs are very valuabl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in Busan, and most of them are meaningful because they were obtained by direct field surve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Sohn Jin-tai's folk song recoding method is quite advanced at the time. We can see folk songs as written in tongues, neatly divided by musical scores, annotated dialects or difficult vocabulary, and clearly identified folk song singers. The folk song materials collected and surveyed by Sohn Jin-tai were also collected mainly from 'Dongrae-gun Gupo'. Among these, <Arirang> is an interesting song that reflects the condition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eeds to be reexamined as 'Gupo Arirang'. <Jang-taryeong>(i. e. Song of Markets) and <Gakseoli-taryeong>(i. e. Song of Beggar) are also folk songs that show the placeness of the area surrounding Gupo. <Quejinachingchingnane> is one of Gyeongsang-do's representative folk songs, and it is noted as a song that shows the song sung in Busan. Sohn collected and discussed on Children's Oral Songs and Female Folk Songs with special interest. The folk songs surveyed and collected by Sohn Jin-tai are very important evidences for understand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ral So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folk songs in the 1920s and early 1930s.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손진태(1900~1960년대 중반)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 자료들을 여러 문헌에서 찾는 작업을 한 후, 이들 부산지역 민요 자료가 갖는 성격과 의의를 고찰하는 목적에서 진행된 것이다. 손진태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 자료는 ① 문예지 『금성』(1924. 1~2)에 ‘손중자(孫重子)’란 필명으로 발표된 14편, ② 김소운이 편찬한 『언문조선구전민요집』(1933)에 수록된 83편, ③ 미발표 유고 원고 수록 민요 자료 50편, ④ 민요론에서 인용된 민요 자료 17편 등으로 전체 164편이 된다. 손진태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는 대부분 1922년 8월부터 1931년 4월 이전까지 걸쳐 있다. 이들 자료는 당시 부산지역 민요의 전승 국면과 특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소중한 자료이며, 대부분 손진태가 직접 현장조사를 통해 취득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손진태의 민요 채록 방식이 당시로서는 상당히 앞선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방언 그대로 채록한 점, 음보를 구분하여 정연하게 채록한 점, 방언이나 어려운 어휘에 주석을 붙인 점, 제보자를 명확하게 밝힌 점 등을 확인할 수 있다손진태가 조사, 채록한 부산지역 민요 자료는 또한 당시 ‘동래군 구포’에서 주로 채록한 것들이다. 이들 중에서 <모심기 노래>는 1920년대 초반 전승 상황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며, <아리랑>은 일제강점기의 세태를 흥미롭게 반영하고 있는 노래로, 일명 ‘구포아리랑’으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장타령>과 <각설이타령>도 구포를 둘러싼 지역의 장소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민요로 역시 ‘구포 장타령’과 ‘구포 각설이타령’으로 부를 수 있다. ‘캐지랑이’로 채록된 <쾌지나칭칭나네>도 경상도의 대표적인 민요의 하나로 당시 부산지역에서 불린 노래의 모습을 보여주는 노래로 주목된다.

      • KCI등재

        근대 지명 지료에 나타난 기장군 행정 지명 변천 연구

        이근열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change of Gijang-gun administrative place name to confirm error in place name information. The place nam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Hoguchongsu (1789), Gijang-hyeon-eupji (1832), Gijang-gun-eupji (1899), Gyeongsangnam-do Gijang-gun-gahoan (1904), Joseon Jijijaryo (1911), Old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Handbook (1912), Gyeongsangnam-do Jijijoseo (1914), Shingu Daejo Chosun Jeondo Bugunmyeonridong Place name Handbook (1912), Dongrae-Gunji (1930), Hanguk Jimyeong Chongram (1980) et al.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changes of administrative place names in Gijang-gun in general, among them, 10 village place names such as Dangsa-ri, Manhwa-ri, Yongso-ri, Giryong-ri, Guchil-ri, Yeongu-ri, Baekgil-ri, Dumyeong-ri, Yeonghwa-ri, and Banggok-ri were targeted. Hanguk Jimyeong Chongram], Busan Jimyeong Chongram , and Busan Local Culture Electronic Exhibition were compared to confirm the err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Hanguk Jimyeong Chungram , the place name that was chang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ppears as it i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lace name information of Busan Jimyeong Chongram and the administrative place name information of the Korea Local Culture Electronic Exhibition are distorted a lot. Second, the change in the place name of Gijang started in Hoguchongsu (1789) and changed a lot in Gyeongsangnam-do Gijang-gun-gahoan (1904). After that, in Gyeongsangnam-do Jijijoseo in 1914,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lacename of Myeon centered on eup was changed to placename of Myeon centered on the center of Myeon, and it continues to this day. Third, it is necessary to urgently correct errors in the change data of the placename such as Dangsa-ri, Manghwa-ri, Yongso-ri, Giryong-ri, Guchil-ri, Yeongu-ri, Baekgil-ri, Dumyong-ri, Yeonghwa-ri, and Bangok-ri. 본 연구는 부산 기장군의 행정 구역 지명의 변천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기존 지명 정보의 오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일제 강점기에 지명의 변천과 그 흔적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명 자료는 호구총수 (1789), 기장현읍지 (1832), 기장군읍지 (1899), 경상남도기장군가호안 (1904), 조선지지자료 (1911), 구한국행정구역명칭편람 (1912), 경상남도지지조서 (1914),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편람 (1912), 동래군지 (1930), 한국지명총람 (1980) 등이다. 연구의 내용은 기장군의 행정 구역 지명의 변천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한 후, 그 중에 당사리, 만화리, 용소리, 기룡리, 구칠리, 연구리, 백길리, 두명리, 연화리, 방곡리 등 총 열 개의 마을 지명을 대상으로 한국지명총람 , 부산지명총람 , 부산향토문화전자대전 등의 자료와 비교 대조하여 그 오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지명을 종합적으로 조사해 놓은 한국지명총람 에는 일제 강점기에 변화된 지명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부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부산지명총람 등의 지명 정보와 최근에 만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의 기장 행정 지명 정보가 상당 부분 왜곡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둘째, 기장의 지명 변천은 호구총수 (1789)에서 시작되고 경상남도기장군가호안 (1904)에서 많이 바뀌어 나타난다. 그 후 일제 강점기인 1914년 경상남도지지조서 에서 읍(邑)을 중심으로 한 면명(面名)이 면(面)의 중심지 중심의 면명으로 바뀌어 나타나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셋째, 당사리, 만화리, 용소리, 기룡리, 구칠리, 연구리, 백길리, 두명리, 연화리, 방곡리 등의 기장 마을 지명 변천자료의 오류를 시급히 수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부산지역 조사 민요의 특징과 의의 - 부산구술문화총서 수록 현장조사 민요를 중심으로 -

        박경수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3 항도부산 Vol.46 No.-

        이 글은 부산구술문화총서 (전15권, 2012~2022)에 수록된 현장조사 민요를 중심으로, 부산지역 민요의 주요 특징을 밝히고, 민요사의 관점과 지역 문화유산이란 관점에서 어떤 가치와 의의를 가지는지를 집중 고찰했다. 그 결과, 부산지역 민요는 다음 여섯 가지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여성 가창 노동요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지역 명칭과 장소를 매개로 한 사설들을 가창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모심기 노래>, <아기 어르는 노래> 등에서 이런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민요가 지역공동체 속에서 오랜 기간 가창됨에 따라 민요의 지역성이 자연스럽게 드러나지만,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이자 노래공동체는 지역적 소속감과 연대의식을 가지게 되며, 노래에 대한 공감의 폭을 넓히게 된다. 둘째, 여성 가창 민요에 비해 남성 가창 민요는 급격하게 소멸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전통사회에서 남성들이 주로 가창한 나무꾼 신세타령요인 <어사용>은 채록되지 못했고, <논매기 노래>, <망께 소리>, <상여소리> 등도 부분적인 사설만 채록되었다. <멸치 후리는 소리>도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듣기 힘든 노래가 되었다. 셋째, 신앙의식요로 무속이나 민간속신과 결부된 민요, 불교의식과 관련된 민요 등이 다양하게 채록되었다. 이는 부산지역에서 여성들을 중심으로 민간신앙과 불교가 폭넓게 전승, 전파되면서 기층민의 의식으로 확장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이와 아울러 부산 구포에서 채록한 <성주풀이>는 기존 사설을 지역성이 더 강한 사설로 확장해서 부른 것으로 주목되었다. 넷째, 해학성이 돋보이는 타령요와 동요들이 부산지역에서 다수 조사되었다. 특히 <이(虱) 타령>과 <징거미타령>은 부산지역에서 강한 전승력을 보여주는 노래들로, 몸에 대한 상반된 인식을 해학적인 사설로 엮고 있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부산지역에서 은밀하게 전승되어 온 <음부타령>은 외설성을 넘어 두드러진 해학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밖에 <요일풀이>, <요로지기타령>, <돈타령> 등도 해학성이 돋보이는 노래로 채록되었다. 해학적인 사설을 경쾌한 가락으로 부른 <밀양아리랑> 2편도 기존 채록 <밀양아리랑>에서 찾을 수 없는 새로운 노래였다. 동요 중에서도 언어유희를 통해 해학성을 높인 노래들이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이야기 노래>, <말도 안 되는 소리>, <기차 소리 흉내 노래>, <벙거지타령> 등이 그것들이다. 이들 동요들은 기존 민요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동요 자료들이다. 다섯째, 일제강점기 이후 세태를 반영한 노래가 여럿 채록되었다. 일제강점기 말기 일본으로 떠나는 여성 노동이민의 상황을 담고 있는 <신아리랑>, 해방 이후 미군을 상대로 한 양갈보의 행태를 풍자하고 있는 <양갈보 노래>, 해방 이후부터 6·25전쟁과 분단에 이르는 세태를 반영하고 있는 <해방가>와 <해방 각설이타령> 등이 주목되었다. 이들 민요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기, 전쟁과 분단으로 이어진 시기의 부산 관련 역사를 기억하는 노래들이기도 하다. 여섯째, 지역의 장소성을 통해 지역 고유의 자연환경과 문화, 그리고 지역적 연대성을 잘 보여주는 민요들이 있다. 손진태 채록 <장타령>과 <각설이타령>은 당시 구포 장터를 둘러싼 보부상문화의 일면을 보여주며, 가덕도 채록 <가덕팔경가>는 제2국제공항 조성에 앞서 가덕도 고유의 지명과 생태환경이 갖는 의미를 되새...

      • KCI등재

        부산 북항 연안크루즈와 항구관광 활성화 방향

        우양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trategy to promote port tourism through the operation of a new coastal cruise ship in the northern port area of Bus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isting cases of major coastal cruise ships in Korea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each case.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cases of other regions and presented strategic directions and programs for Busan to become a hub of port tourism. The northern port of Busan has been a closed space for citizens and tourists. Since northern port area of Busan was a national port, only large container ships and trade vessels were allowed to operate for a long time. However, the coast of the northern port of Busan has been authorized by the policy to allow coastal cruise ships to travel from 2019. Therefore, Busan citizens and regions have high expectations for marine and port tourism. Based on the case study of coastal cruise ships and the historical and location of the northern port of Busan, this study presented a variety of specialized programs on shipboard, port and nearby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의 북항 재개발 지역을 사례로 하여, 새로운 연안크루즈 운영을 통한 항구관광의 활성화 방향을 시론적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국내의 대표적인 연안크루즈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그 특징과 성공요인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사례와 부산 북항 재개발의 상황을 비교하여, 해양관광의 거점이 되기 위한 전략적 방향과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부산 북항은 그동안 일반인과 외래 관광객에게는 ‘폐쇄되고 단절된 공간’이었다. 국가항만으로서 수십 년의 세월 동안 거대한 컨테이너 선박과 무역선박만 다닐 수 있었다. 그러나 2019년부터 부산 북항 연안은 처음으로 유람선이 다닐 수 있게 되었으며, 시민과 지역사회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연안크루즈의 주요 사례연구와 부산 북항의 역사성, 장소성을 토대로 선상(船上)에서의 특화된 프로그램과 육상(陸上)에서의 특화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안하였다. 또한 과거에 부산항의 가치가 ‘항만과 물류’였다면, 미래의 가치는 ‘사람과 관광’으로 새롭게 설정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부산 북항 일대에서 향후 연안크루즈 취항과 운영의 차별화는 장기적으로 북항 재개발의 성공과 수변지역 및 부산의 관광시스템 혁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의 가능성과 한계 - infra 비전을 넘어 문화적 시민사회 비전으로 -

        정두순 ( Jung Doo-soon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이 연구는 2019년 7월 부산시가 발표한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가능성과 한계를 도출하고, 부산문화정책이 담아야 하는 기본원리를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참여정부에서부터 현 문재인 정부에 이르는 각 정부의 문화개념과 문화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권력기관인 정부의 문화개념이 국가의 미래를 어떻게 좌우하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지역문화정책으로서의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이 어떠한 문화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된 정책인가는 물론, 부산의 미래를 어떤 방식으로 그려내는가를 밝히는 토대가 된다. 문화정책이 인간 삶을 위한 가장 긴급한 정책임을 표방한 참여정부를 부정하면서, 창조적 실용주의와 창조경제의 논리에 따라 문화정책을 자본축적의 도구로 삼은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의 지난 10년간의 문화정책은 온 국민의 삶을 반문화적 시대로 옮겨놓았다. 이에 맞서 현 정부는 문화=자본으로 공식화된 그간의 한국적 문화개념을 문제시하며 사람이 있는 문화를 지향, 삶으로서의 문화이자 문화로서의 삶을 향한 혁신적 전환을 가능케 하는 문화정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문제는 기존문화정책과 현 시정에서 벗어나 부산만의 문화정책을 기획하며 탄생했다고 자평하는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이 오히려 실패한 창조적 실용주의와 창조경제의 논리를 답습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바니즘ㆍ전시행정ㆍ기념비주의에 매료된 부산시정부와 인프라확충을 문화로 인식하는 부산시민 사이에서 탄생한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은 문화정책과 예술정책이, 도시정책과 문화정책이 혼재한 괴이한 정책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지역으로서의 부산, 부산성은 차치한 채 스펙터클 한 거대 해양도시부산을 꿈꾸는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은 부산시민은 없고 예술가만 남는, 부산시민은 없고 해양도시부산만 남는 미학화한 도시의 미래상을 담고 있다. 이러한 비판적 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는 지역문화정책의 역할은 지역-사회와 지역-시민의 존립을 위한 문화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있으며, 문화적 토대란 교환가치로서 작용할 문화적 인프라의 구축이 아닌 사용가치를 발휘할 문화와 그 생산을 위한 시민주체 형성에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아울러 지역문화정책은 지역예술(인)의 활성화 및 문화적 인프라의 건립이라는 강박을 넘어 부산시민이 처해 있는 노동시간, 최저임금, 기본소득 등과 같은 현실 문제를 진단ㆍ고려함으로써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지향하는 데로 나아가야 하며 이로써 내일의 문화적 시민사회를 여는 동력이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Analyzing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the paper aims to draw out it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and to suggest basic principles that the cultural policy of Busan should contain. To this end, this work first examines the cultural concepts and policies of each government, from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o the curr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This helps to find possible solutions to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what concept of culture does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as a local cultural policy rest on, and how does it picture the future of Busan?’ Born between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fascinated by urbanism, exhibition administration and monumentalism, and Busan citizens recognizing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s a culture,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has, in fact, limitations as a peculiar mixture of cultural and artistic policies, and urban and cultural policies. Disregarding Busan’s localities, or Busanness so to speak,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which explicitly expresses its dream of Busan as a spectacular marine giant, contains the city’s aestheticized future in which there are not Busan citizens but only artists and a marine city. Based on this critical analysis, the study argues that the role of local cultural policy lies in establishing a cultural foundation for the survival oflocal communities and local citizens, and that the cultural foundation is not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to act as exchange value, but rather in a culture that will exercise use value and form a civic entity for the production of cultur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local cultural policies should go beyond the urge of revitalizing local arts and constructing cultural infrastructure to diagnose and consider real issues such as working hours, minimum wage, and basic income with which Busan citizens are confronted, and thus those which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tomorrow’s cultural civil society.

      • KCI등재

        부산의 지역 극장 소화관(昭和館)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1931년 설립부터 1968년 폐업까지 운영 상황을 중심으로 -

        김남석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Sohwagwan is a theater established in Busan in December 1931 and has been a major theater in Busan since the 1930s. The theater owner was Sakuraba Fujio, and Sakuraba Fujio was one of the maintainers of Busan theater district, who operated the existing theater Haenggwan and influenced the theater industry in Busan. When Haenggwan, a representative theater in Busan in the 1920s, burned down in a fire in 1930, Sakuraba Fujio built Haenggwan in a different location from the existing location. The location of the new theater was the main road of Jangsutong, where ‘Wookgwan-Taepyeonggwan-Boraegwan’ was located. As a result, a new theater of digestion Sohwagwan could be established, rather than a traditional Haenggwan. The opening of the Sohwagwan played a role in actively leading the activities of Busan theater district, and form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turn the center of the theater into the vicinity of the main road of Jangsutong. From this point on, Sohwagwan is included in the three major theaters of the Busan Theater District, and has grown into a theater that leads the Busan theater industry along with the existing Boraegwan and Sangsaenggwan. Sohwagwan survived Korea's independence and operated as the unchanging center of Busan Theater District in the 1950s and 60s. Sohwagwan changed its name to Choseon-Theater with liberation in 1945, reborn as Donga-Theater in 1949, operated as a theater until 1968, and showed off its building as a theater in the 1960s. This study intends to trace the historical flow from the establishment(new construction) of Sohwagwa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establishment, surrounding environment, location determination, building appearance, management strategy, introduction of keys, related facilities, public relations strategy, screening movie (list), and operation method. Subsequentl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operational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Choseon-Theater and Donga-Theater following the transition of Sohwagwan after Korea's independence. 소화관은 1931년 12월 부산에서 개관한 극장으로, 개관 이후 1930년대 부산의 주요 극장으로 운영된 유서 깊은 극장이었다. 사주는 櫻庭藤夫였는데, 櫻庭藤夫는 기존 극장 행관을 운영하며 부산의 극장업을 주도하던 부산 극장업계의 실세 중 한 사람이기도 했다. 1920년대 부산을 대표하는 극장인 행관이 1930년에 화재로 전소하자, 櫻庭藤夫는 행관을 기존 위치와는 다른 위치로 이전하여 새로운 극장을 건축하였다. 새로운 극장 자리는 ‘욱관-태평관-보래관’이 위치하던 장수통의 주도로 인근이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행관이 아닌, 새로운 극장 소화관이 설립될 수 있었다. 소화관의 개관은 부산 극장가의 운영을 더욱 활발하게 이끄는 역할을 수행했고, 극장가의 중심을 장수통 일대의 주도로 근처로 이전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 이때부터 소화관은 부산 극장가의 ‘3대 극장’에 포함되며, 기존 보래관·상생관과 함께 부산 극장업을 이끄는 극장으로 부상했다. 소화관은 해방 이후에도 존속하여, 1950~60년대 부산 극장가의 변함 없는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1945년 해방을 맞으면서 소화관은 ‘조선극장’으로 그 명칭을 변경했고, 1949년에는 주식회사 동아극장으로 재탄생했으며, 이후 1968년까지 상영관으로 운영될 정도로 1960년대에도 운영상의 건재를 과시했다. 본 연구는 소화관의 설립(신축)부터 그 역사적 흐름을 추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도정을 따라, 설립 의도, 주변 환경, 위치 비정, 건물 외형, 경영 전략, 사주 소개, 관련 시설, 홍보 전략, 상영 영화(목록), 운영 방식 등을 논구하고자 한다. 이어서 해방 이후 소화관의 변천 자취를 따라, 조선극장과 동아극장으로서의 운영 사례와 그 특징에 대해서도 논구할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화재발생과 부산소방조의 활동-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김상욱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29 No.-

        As ports were open in 1876, Busan grew to be one of the best trade ports and the second best city in Korea. The population of Busan increased and the town expanded, which caused a number of fires to break out. Japanese people who resided in Busan had much more financial damages due to fires in 1920s than Korean. They were engaged in diverse manufacturing business areas including rice polishing and food industry. Therefore, their damages due to fire also increased. As damages caused by fire increased,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were active to deal with it. First, its organization was reorganized.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expanded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nd reorganized the organization into five departments under the headquarter. Standing fire fighters were arranged for each of departments. However, the executive officers accumulated wealth by illegal mean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fire fighting equipment with fees Busan people donated to celebrate its beginning ceremony. It led to resignation and arrest of the officers of the fire fighting service and provided a chance to change the personnel system of the service. Second, fire prevention drills to respond to fire was reinforced. The prevention activity was designed to control fire. The beginning ceremony was an important event of the service that was held in the beginning of a new year. The fire fighting service pledged to be positively engaged in its activity through the beginning ceremony. The fire fighters exercised drills using motor pumps on spring and fall fire drills. On the Fire-fighting day that was exercised every winter, fire precaution campaign was exercised. When a fire broke out,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quickly controlled it.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detected fire using watchtower supervision system, public telephones and fire alarms. When a fire was found, standing fire fighters turned out to control it on the motor pump. Then, its activity was usually made in residence of Japanese people and updated equipment was arranged there. 1876년 개항이 이루어지면서 부산은 한국 최고의 무역항이며 경성 다음의 도시로 성장하였다, 부산의 인구가 늘어나고 시가지가 팽창해지면서 부산에도 화재가 다발하였다. 1920년대 들어 부산지역의 화재로 인한 소실피해는 일본인들이 한국인들 보다 월등이 많았다. 부산 거주 일본인들은 미곡관련 정미업, 식료품 등 다양한 제조업에 종사하였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피해 또한 증가하였다화재로 인한 소실피해가 늘어가면서 빈발하는 화재에 대하여 부산소방조는 적극적인 대처를 하였다. 첫째로는 소방조의 조직정비였다. 부산소방조는 1920년대 들어서 소방장비를 확충하고 조직을 본부체제 아래 5부로 정비하였다. 상비소방수도 각 部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부민들이 기부한 출초식 축의금으로 소방장비를 확충하는 과정에서 소방조 간부들의 부정축재가 있었다. 이는 소방조 간부들의 퇴진과 구속으로 이어졌다. 소방조 간부들의 축의금 횡령사건은 부산소방조 인적 쇄신의 계기가 되었다. 두 번째, 화재예방 훈련 및 화재발생에 대비한 대응훈련을 강화하였다. 예방활동은 화재발생을 억제하는 활동이었다. 출초식은 연초에 실시되는 소방조의 중요한 행사였다. 출초식을 통하여 소방조는 그해 활동의지를 다짐하였다. 봄․가을 실시되는 춘․추계 소방훈련에는 소방조원들은 자동차펌프를 활용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매년 겨울철에는 시행되는 ‘방화데이’에는 불조심 캠페인 등을 실시하였다. 화재가 발생하면 부산소방조는 신속한 현장대응활동도 전개하였다. 부산소방조는 망루감시와 공중전화, 화재보지기를 통하여 화재를 탐지하였다. 화재발견시 상비소방수들은 신속하게 자동차 펌프에 탑승하여 출동하였다. 그러나 부산소방조의 화재대응활동은 본정을 중심으로 한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최신장비도 일본인 거주지에 배치되었다.

      • KCI등재

        초기 한국영화사에서 ‘부산’이 지니는 의의

        함충범 ( Ham¸ Chung-beom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2 No.-

        본 논문은 1920년대 중반까지의 ‘초기 한국영화사’에 있어 ‘부산’이 지니는 의의를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본고에서는 1900~1910년대의 활동사진 상영 및 촬영 양상, 그리고 1924년 설립된 조선키네마주식회사와 이곳에서의 영화 제작 활동이라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관련 내용들을 둘러싼 재검토 및 해석의 작업을 시도하였다. 먼저, 개항 이후 일본 거류민 문화가 형성된 부산에서는 인천, 목포, 마산 등 여타 지역들의 경우처럼 일본식 극장이 들어서며 활동사진의 상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몇몇 기록영화의 제작 과정에서 로케이션 촬영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현전하는 당대의 문헌 자료들을 참조하건대, 전자와 관련해서는 늦어도 1903년 시점에 일본식 극장인 행좌(幸座)와 송정좌(松井座)가 운영 중에 있었고 1910년에는 부산 이사청령으로 흥행취체규칙이 공포되었으며 1914년부터는 욱관(旭館)을 시작으로 활동사진 상설관이 자리를 잡게 되었음이 확인된다. 또한 후자에 대해서는, 1908년 통감부의 의뢰로 요코타상회(横田商會)가 <한국관(韓国觀)>(별제:<한국일주(韓国一週)>)을 만들면서 부산항이 카메라에 담긴 바 있었고 1916년 미일 공동제작으로 기획·제작된 장편 기록영화 <해뜨는 나라(日出の國)>(총 12편) 속에 <부산 경성의 전경(釜山, 京城の全景)>(9, 10편)이 포함되었으며 1920년에는 김도산 일행에 의해 <부산 대구 전경(釜山 大邱 全景)>과 <부산 범어사(釜山 梵魚寺)>가 제작·상영되기도 하였음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그동안의 한국영화사에서는 1924년 부산에 세워진 조선키네마주식회사(朝鮮キネマ株式會社)가 ‘최초의 영화 제작사’로 인정을 받아 왔다. 그런데 이보다 앞선 1920년에는 조선활동사진주식회사(朝鮮活動寫眞株式會社)가, 1923년에는 동아문화협회(東亞文化協會)가 경성에 세워졌고 1920년대 초부터 조선총독부, 경성일보사 등의 통치 기구 내에도 활동사진반이 조직되어 영화 제작 활동을 펼치고 있었던 바, 조선키네마주식회사의 영화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으로, 조선키네마주식회사의 사적(史的) 가치는 그 활동의 중심이 영화 제작에 두어졌다는 점과 더불어, 특히 총 4편의 영화가 만들어지는 동안 윤백남, 안종화, 이경손, 나운규, 주인규, 남궁운 등 ‘한국인’의 역할이 컸다는 점에서 찾을 만하다. 즉, 이들 영화는 제작 및 배급, 상영 과정에서 동시기의 식민지적 특수성을 노출시키면서도, 192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인의 영화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었다는 지점에서 영화사적 의미망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the result of a stud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Busan” in “early Korean cinema history” until the mid-1920s. In this paper, I tried to review and interpret the related contents by dividing it into two main aspects: screening and filming of Motion pictures from the 1900s to 1910s, and the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Chosun Kinema Co., Ltd. in 1924 and film production activities there. In Busan, where Japanese inhabitant culture was form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Japanese-style theaters were built and screening of motion pictures were carried out as in Incheon, Mokpo, Masan and other regions. In addition, during the production of some documentary films, Busan was used as a filming location. We can know these facts through the current literature sources. Meanwhile, in Korean cinema history, Chosun Kinema Co., Ltd. (Joseonkinemajusighoesa) established in Busan in 1924, has been recognized as the “first film production company”. However, in the early 1920s, several film production companies and agencies were established in Gyeongseong(Seoul), so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cinema history about Chosun Kinema Co., Ltd. On the one hand, in the process of making four movies at Chosun Kinema Co., Ltd., the role of “Koreans” played a large role, and they led film activities in colonial Joseon after the mid-1920s. At this point, we can see the cinema history value of Chosun Kinema Co., Lt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