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궁중정재 ‘포구락’ 수업 지도안 구안 및 적용을 통한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 2015 개정 음악과 초등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임세란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사회는 급변화하는 정보와 기술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사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적 사고와 실제 생활에 실천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의 인성을 강조한 ‘핵심역량’과 핵심역량에 각 교과의 전문적 지식 및 기능을 반영한 ‘교과 역량’을 제시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국악교육에서도 현대사회의 인간성 상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악의 인성 교육적 측면을 부각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엔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포구락’ 국악 감상곡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과 교과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 지도안을 구안 및 적용하고 포구락 지도가 인성 요소 발달에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을 살펴보고 음악과 ‘교과 역량’과 국악교육의 인성 교육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둘째, ‘포구락’의 인성 교육적 가치를 알아 보고 교과 역량을 반영하여 체육, 미술, 음악 교과의 통합교육으로 총 6차시의 포구락 수업을 구안하였다. 셋째, 경기도 파주시 한 초등학교의 4학년 2개 반을 실험,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인성 검사를 사전, 사후 총 2차례 실시하였다. 인성 검사 분석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과 포구락 수업에 대한 흥미도 검사 결과, 포구락 수업 후 국악과 포구락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14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KEDI 인성 검사의 8가지 인성 요소를 검사한 결과 성실, 자기존중, 사회적 책임, 배려․소통, 자기조절, 정의 등 6가지 인성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인성 검사 결과 지혜, 시민성 인성 요소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수업 후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에 대한 소감문에서는 ‘생각이 깊어진 것 같고 국악에 대한 흥미가 생겼다’는 등의 의견들이 나와 지혜와 시민성 인성 요소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분석에 따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포구락의 인성 교육적 가치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을 구안 및 적용한 후, 교과 역량과 관련 있는 인성 검사를 실시하여 6가지 인성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포구락 수업이 인성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모둠별로 창작활동과 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수업 도구 사용으로 협동심과 창의․융합적 사고, 음악의 생활화 및 내면화를 꾀할 수 있었다. 학교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포구락 수업으로 새로운 문화 창출, 나아가 국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켜 음악을 자기 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음악의 생활화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현 교육에서 고려되어야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을 반영하여 교실 현장에 적용 가능한 포구락 수업을 구안 및 적용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6차시 동안 포구락이라는 국악곡 1곡으로 수업을 구성하였다. 교과 역량과 인성 요소가 함양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국악 지도 프로그램 개발이 계속되어야할 것이다. Modern society demands the ability to actively adapt to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to live together as a member of society. Reflecting these social need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d 'core competencies' that emphasize characters as a creative-convergent thinking and a ability to practice in real life and 'Subjective Competencies' that reflects the specialized knowledge and functions of each subject in core competency. In line with thi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emphasizing a character education aspect in order to restore humanity and live together in today 's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is background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plan for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reflecting the music subjectiv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lated to Korean music appreciation 'Pogurak'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 In addition, it is aimed to verify whether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level of characters as a result of applying developed teaching pla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ubjective Competencies' of music subject were examined, and then examined 'subjective Competencies' of music subject and character education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re examined. Second, The educational value of 'Pogurak' was looked, and made a total of 6 classes of integrated lessons by reflecting ‘subjective competencies’ and integrating subjects of physical, art and music. Third, two grades of 4th graders of Paju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were set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interest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classes was increased after the music class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x factors including self - esteem, sincerity, consideration, communication, social responsibility, self - regulation, and justi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ight personalities of KEDI personality tes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4.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isdom and civic personality factors. However, in the class essay written by the students after class, 'I seem to have deepened my mind and I became interested in Korean classical music.'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ment of wisdom and civic personality improved. The implications of suggestions of this sr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verified for the character education in the ‘Pogurak’.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erial factor related to the subject competence was developed by constructing and applying the lesson reflecting the subjective competencies. Based on this, it was verifi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al value of the 'Pogurak'. Second, creative activities and the use of teaching tools that match student 's eye level enabled creativity, convergent thinking, cooperation, and music to be made in the daily life and internaliz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ggage class which i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chool situation can create a new culture and make music that accepts music as part of its own life. Third,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appl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wgirl clas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lassroom field by reflecting the subjective competencies of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to be considered in current education. Fourth, in this study, one classical music called 'Pogurak' was performed during six classes. The development of more various Korean music instruction programs that can cultivate subjective competencies and personality elements should be continued.

      • 국악 장단 기보법의 현황 연구 :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대상 연수교육에 사용된 장구 장단 기보법을 중심으로

        이종연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6차 교육과정부터 초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 도입된 전통음악 부분은 서양음악에 익숙한 교사나 학생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었다. 그 중에서도 장구 연주 부문은 전통음악 지도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전통음악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위한 장구 연주에 관련된 연수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연수교육현장에서 교사에게 제공되는 장구 가락보는 똑같은 장구 장단을 채보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제각기 다른 기보방법을 보여주고 있어서 처음 장구를 접하는 교사들에게는 적지 않은 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사용된 중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장구장단 기보 자료를 분석하여 그 기보 자료를 이용한 지도 방법을 연구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 교육 현장에서 제공된 장구 장단 기보 자료의 용례를 수집하여 각각의 장구 장단 기보법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2009학년도에 발행된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장구 연주 관련 교사대상 연수에 사용된 장구 장단 기보 자료는 대부분 가로 정간보의 형태를 취하여 그 안에 부호를 넣고 밑에 구음을 다는 방법을 쓰고 있었고 간혹 서양식 리듬표기가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가락보에 따라서는 호흡을 강조하거나 타법의 강약을 표현하려는 노력이 보이기도 하였다. 정간보의 한 정간을 한 박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간혹 장단의 호흡에 따라 세 박이나 두 박을 한 정간으로 쓰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고, 구음과 부호에도 조금씩 차이를 보였으며 각 장단의 빠르기에 대해서는 보다 정확한 기준이 주어져 있지 않아 장구 연주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혼란을 줄 수 있는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음악 교과서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창작국악동요와 몇몇 가창학습에 무게를 둔 민요 단원에서 장구장단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어 추후 개정 교육과정에 수정해야할 부분으로 판단되었다. 점점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누구나 쉽게 전통음악을 접하고 익힐 수 있게 하려면 누가 보아도 이해하기 쉬운 교육용 자료가 있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처럼 이렇게 다양한 교육용 기보자료를 정리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기보방법의 차이는 더욱더 심해질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교사를 위한 교육용 자료의 단일화내지는 일원화를 위한 작업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이나 적어도 교육을 해야 하는 교사들이 접하는 교육용 자료에 있어서는 통일된 원칙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이며 통일된 장단 기보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ar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has given a lot of difficulties to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western music. The section of Janggu performance especially takes up lots of proportion in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o Janggu performance courses for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actively getting under way. However, textbooks or materials provided for teachers in training courses show different way of notation for the same jangdan (similar to the concept of rhythm), so they cause confusion to the teachers who are novices in playing the Janggu. Therefore, in this research, basic jangdan for 'joongjoongmori', 'Gootgeri', 'Jajinmori', 'Hwimori' lis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re analyzed to develop a teaching method, and from the basic materials for Janggu jangdan provide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re collected and merits and demerits of each notation are examined. Most of notation for Janggu jangdan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published in 2009 and in the materials for teacher training courses use horizontal jeongganbo (the traditional notation score in the pattern of a set of squares originally used vertically) with signs for the beating sound in it and with orals sound for the beating under it. Some notation is in the western style used by keynotes, and some has marks for breathing or dynamics for beating. In most cases, a square of jeonganbo is used for a beat of a time; however, a few cases have been identified that a square is used for two or three beats of a time based on breathing for jangdan.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marks and oral sounds for the same beating, and no accurate standard for tempo is presented. These are regarded as factors that bring about confusion to those who are not accustomed to playing the Janggu. In school music textbooks, Janggu notation is absent in the part of new children's songs composed in traditional styles and in the part of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which puts an emphasis on singing. This problem also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natural that having educational resources and materials that are easy to everybody for making them learn in an easy way as the interest in traditional music is increasing. Leaving as they are without being re-organized leads to more and more differences in notation. Although it is not such an easy way to develop unified teaching materials, it surely is necessary for teaching materials to have unified principles. I hope many more research will be done by many other researchers for more effective, reasonable, and unified notation of traditional rhythms.

      • 소외아동 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의 현황 : 부산지역 ‘우리가 만드는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남희종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외아동을 포함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펼치고 있는 사업 중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은 사업의 진행과정을 분석, 정리하여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 위한 초석으로써 그 필요성을 두고 있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는 부산지역 소외아동 청소년 오케스트라교육지원사업인 ‘우리가 만드는 오케스트라’의 2010년도 현황과 교육 방법론을 분석하였으며 2011년도에 이루어진 교육방식의 확장과 개선된 점들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엘시스테마’와 ‘꿈의 오케스트라’가 가지는 의의는 음악과 음악교육에 대한 사회적 접근성의 확장에 있으며 그러한 목표 못지않게 음악적 목표에도 중점을 두고 이 두 가지를 공존시키는 것이 사회화(socialization)와 음악교육의 동일화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주최로 진행 하고 있는 이번 사업은 아동․청소년들에게 단순한 기능 교육이나 악기, 그 자체의 교육을 넘어선 음악의 세계를 발견하고 그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본 사업을 통한 음악교육의 목표이다. 이에 교육자의 희생, 교육 참여자의 열정 그리고 기업의 후원이 더해지면 더 좋은 교육환경과 더 많은 아이들이 혜택을 받는 교육지원사업으로 확대될 수 있다.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은 양질의 교육을 위해 국가적 차원 뿐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문화예술진흥기금에 출연함으로써 기금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기금의 확충을 통해 우리는 미래의 문화나눔세상을 가꾸는 인프라를 구축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정부나 기업 모두가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늘려야 한다. 이제는 보통사람들도 문화예술 감상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동호인 모임을 만들어 발표하고 싶어 한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예술과는 달리 이들 비영리 문화예술 단체들은 예술을 통해 친목을 꾀하고 기쁨과 보람을 나누며 행복과 만족을 얻는데 우선점을 둔다. 지역사회나 정부, 문화예술위원회나 문화재단 등이 이들의 활동에 최소한의 지원을 해왔던 기존의 방식에 지역 기업들의 자발적인 동참이 더해진다면 그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개개인의 높은 음악적 능력은 곧 한 사회의 음악 문화 경쟁력으로 결집되어 그 사회의 문화․예술․교육 부문에서 높은 부가가치의 창출로 이어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시스템들을 우리의 국악관현악이나 사물놀이 등에 접목시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전통음악의 창조적 계승 및 발전도 가능할 것이다. The following report i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orchestra education support program being initiated by the Korea Arts and Education Services organization for estranged children and youths here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analyze and provide an overview for programs such as the one mentioned above, in order to assess the status quo of the Social Culture and Arts Support Programs in the Republic of Korea. This is so, in order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to the present ongoing programs, and also,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diverse range of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for the future. The research span and method was a look into the status and education methodology in 2010 for a program called “The Orchestra We Made”, which is the Pusan metropolitan area’s orchestra education program for estranged children and youths, and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improvements made in 2011 after an expansion in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insic value or message associated with “El Sistema” and “The Orchestra of Dreams” is the expansion of easy access to music and music education in society, and equally important in its message is that should these two points be magnified, it would result in a socialization and equalization of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musical education program, under the initiative of the Korea Arts and Education Service’s organization, goes beyond just teaching basic technical education and instructions on how to play an instrument to children. It helps these children discover the world of music and to enjoy music. With more atten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s, passion from the pupils and contributions provided by benefactors, the education environment will improve and the program will expand so that more children will be able to reap the benefits of the program. Second,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education, the Social Culture and Arts Support Program looks not only to government support, but also to corporations and businesses for monetary support. By expanding the funding pool, we will be abl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infrastructure that shares and expands dream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need to expand their interest and support to the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Today, average citizens aren’t satisfied by just looking and seeing art, but they want to live it and experience it first hand and create musical troupes with people of similar interest. Unlike profit-based troupes whose common interest is performance as a business, non-profit troupes get together through mutual interest in the arts and put the common interest of the share the sense of enjoyment of the arts, above all else. If local businesses support such activities even in the most minimal capacity as the local community administrative bodies and arts institutions have, the capability of such programs will multiply. Third, through the orchestra education support program, every development in musical talent will accrue to the overall musical level of education for that society, and there would be much to look forward to in the future. Furthermore, if these programs advance into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al styles, then, we will be able to further develop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reate novel applications for traditional musical tastes.

      •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

        황은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악교육의 가치가 새로이 인식되면서 유,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전통예술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데 비해 유아의 국악교육을 담당해야 할 교사에 대한 국악교육은 체계와 심도에 있어 부족한 실정이다. 국악교육 관련 논문 역시 유아 국악 교육의 방법론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것은 충분치가 않다. 이 연구는 유아의 국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위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활동 영역을 살펴보고 이 안에서 국악교육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대해 살펴본다.이를 통해 유아에게 국악교육을 하는 것은 표현 생활 영역에서 유아의 표현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건강,사회,언어,탐구 생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학습 계획은 통합의 원칙 아래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국악영역 내에서의 통합, 음악 영역 내에서의 통합, 다른 예술영역과의 통합, 비예술영역과의 통합을 통한 수업은 유아의 생각의 틀을 넓혀 자유롭고 창의적인 유연한 사고방식을 갖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의 원칙을 염두에 두고 생활 주제를 이용해 유아국악교육의 연간계획안을 작성하고 이를 구체화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지도안은 유치원의 생활주제와 내용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제재곡을 활용한 만 5세 유아 대상의 1차시 분 수업에 해당하는 지도안으로 구성하였다. 각 수업의 활동은 노래 부르기, 국악 감상하기, 전래놀이와 동작 표현, 악기 다루기의 네 가지 내용으로 진행하며 수업의 활동목표와 주요 활동과정, 지도시 유의점을 기술하였다. 제재곡은 전래동요, 창작 국악동요, 민요를 다양하게 포함시키고 이야기 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등의 활동으로 유아의 주의를 집중시키며, 제재곡을 익힌 후에는 놀이,악기 연주,율동,창작 등의 과정을 진행하여 활동을 확장시킨다. 연구자는 본 지도안을 통해 국악교육 중심의 유치원 생활주제의 반복, 심화, 통합의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me newly recognized, the traditional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urse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as been reinforced. However, while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musicisbeing rais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teachers who are going to be in charg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are actually insufficient in the aspects of system and depth. Theses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e also insufficient for methodologies or program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help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by suggesting a teaching guidance plan for teachers in charge of the education for infa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first of all, it is going to examine the activity areas of the 6th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 and the applic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thin it. Through this, it could be found that edu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o infants help not only raise the infant's expression ability in the expression living area but also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society, language and inquiry life. The teaching plan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 should be progressed under the principle of consolidation. Teaching through consolidation with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music area, with other art areas and non-art areas makes the infant's thinking frame widen to have a free, creative and flexible thinking method. In this study, the principle of consolidation will be considered and an annual pla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by using subjects in life will be prepared and a teaching guidance plan that concretes them will be suggested. The teaching guidance plan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a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nute teaching for infants atthe age of 5 utilizing subject songs that has connection of contents with subjects in life of kindergartens. The activities of each teaching are progressed with four items such as singing songs,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s handed down and movement expression and performance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oals, main activity courses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teaching are described. Subject songs include child verses handed down, creative child ver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olk songs variously and draw infant's attention to activities such as talking each other and telling children's stories and after learning subject songs, extend activities by progressing the courses of plays,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rhythmic movementand creation. The researcheris going to suggest the courses of repetition, deepening and consolidation of subjects in life of kindergarten focu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guidance plan.

      • 국악FM방송의 국악 교육 자료 활용도 조사 연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 및 국악예술강사를 중심으로

        임희연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재 라디오 FM 99.1MHz에서 방송되고 있는 국악FM방송의 국악 교육 자료가 학교현장에서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앞으로의 국악방송에서의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조사, 연구하였다. 국악의 일상화는 많은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로 국악교육이 실천되지 않고 있어 항상 논의되는 말이다. 국악이 우리나라 음악임에도 국민들의 무관심속에서 유네스코에 등재되는 과업이 수행되고 있다. 국악의 일상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한국문화의 미래를 위한 커다란 과제이기도 하다. 특히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국민 공감 증진을 비전으로 삼고 있는 국악FM방송은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해 전문적인 영역의 콘텐츠를 더욱 더 많이 제작하고 확산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방송매체의 특징과 교육적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국악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매체로서의 방송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이 논문의 실질적인 부분은 국악전문방송 국악FM방송이 교육적 측면에서 방송의 편성과 교육자료 보급의 실태 분석을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와 <국악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속한 국악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국악FM방송의 교육 자료가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우선 국악FM방송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국악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은 <국악의 발견>, <풍물 기행>, <백문 백답>, <국악은 내친구>가 있다. 그 중 어린이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국악은 내친구> 하나였다. 국악FM방송의 어린이 국악 교육 보급 자료의 실태는 감상자료로 ‘국악방송 추천아이들 노래’ 음반이 있었으며, 영상자료는 다양한 영상을 볼 수 있는 ‘웹TV’, 그리고 디지털 우리악기 교과서 ‘톺아보기’가 있었다. 담임교사와 국악예술강사를 대상으로 국악FM방송 교육 자료 활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성을 얻었다. 첫째, 국악FM방송은 단계별로 눈높이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편성하여 시기에 맞게 적적히 조정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국악FM방송은 교과서 중심의 제재곡이 담긴 음반을 만들어 학교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장을 형성하며, 적극적인 홍보와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국악FM방송은 아이들의 위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국악FM방송은 어린이 프로그램 확장과 다양한 전통음악 교육콘텐츠 개발, 시대의 흐름에 맞게 재구성을 하여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홍보를 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t Gugak FM Radio, broadcasted from FM 99.1MHz radio station, are utilized at schools as well as to propose improvements to the future Gugak educational radio programs. There always has been ongoing debates concerning the issue of the gener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use proper education has not been practiced in this field. Despite Gugak is Korea's music, it has made to the UNESCO list amidst Korean's neglect.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to realize the gener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this also act as a big task to the future culture of Korea. Gugak FM Radio, which specially sets their vision of promoting nationwide sympathy toward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working on numerous projects to produce and spread more professional contents for the growing children. To achieve theses research goals as mentioned above, the study will take a close look to the features and educational roles of the broadcasting media. In addition, discussion regarding the role of broadcast as a media will be made to activate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Gugak FM Radio, a professional Korean broadcasting station, the survey was made to analyze the current broadcast programs and the distribution state of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how much the educational materials from Gugak FM Radio are utilized, survey was carried among in-service elementary school class teachers and Korean music art instructors, affiliated to <Korean Music Art Instructors Support Proj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Gugak FM Radio, educational programs were found as <Discove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ips to Institutions and Customs of Korea>, <100 Questions 100 Answers>, and <Gugak is My Friend>. Among these programs, <Gugak is My Friend> was the only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Gugak FM Radio provided materials in various types. Audio material was the album, 'Recommending Korean Music for Children', various visual data was 'WebTV', and digital texbook of Korean instruments was 'Thoroughly Examining'. Aiming at school class teachers and Gugak art instructor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sage of educational materials from Gugak FM Radio. First, Gugak FM Radio should develop and organiz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fitting to the children's level. The program should build structures that can be easily adjusted to any period. Second, Gugak FM Radio should make an album, including songs from textbooks, form a music market, and actively publicize and supply the album in order to make it usable at the educational arena. Third, visual contents for children must be produced by Gugak FM Radio, which can be utilized accordingly. Fourth, Gugak FM Radio should extend children's program, develop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realign the program adapted to the current trend as well as make a systematic publicity to achieve these goals.

      • 2009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 교과서 6종 국악제재 비교 분석

        양은석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악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음악과 교육과정 속 국악 관련 제재는 제 7차 교육과정부터 체계화를 되어 양적인 면에서 성장을 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논의 되었던 ‘국악 교육의 질 제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어졌으며 새로 바뀐 영역 체계 안에서 좀 더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검정교과서를 사용하여 선택적 학습의 기회가 마련되었는데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새로 사용되는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 6종에 수록된 국악 관련 제재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기준으로 분석하고 교과서 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6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관련 제재를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국악 교육에 교육과정 재구성에 활용되는 자료가 되고자 하며 다음 교육과정 개정 때 국악제재 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화 작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자료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15년에 배포되는 5~6학년군 음악교과서의 시험본과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교사용 지도서를 자료로 하였으며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으로 교과서 제재를 나누어 그 내용과 활동의 제시 방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별로 국악 제재의 비중은 최소 29.4%에서 최대 46.4%까지 차이가 났으며 각 학교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선정해야 한다. 둘째, 표현 영역 중 노래 부르기 영역은 교과서별로 수록하고 있는 제재곡의 수와 종류가 차이가 있었으며 민요가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악기 연주하기 영역은 교과서별로 제재곡 종류와 양의 차이가 적었으나 편집과 제시방법이 달라서 학교별로 선택할 때 주의가 요구된다. 음악 만들기 영역은 표면적으로 수록한 제재의 차이가 있었으나 활동의 제시 방법과 영역 간의 통합 형태를 감안하였을 때 교과서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셋째, 감상 영역의 경우 교과서별로 다양한 제재곡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단순하게 듣는 감상이 아닌 느끼는 감상이 되기 위해서는 다른 영역과 활발한 통합이 요구된다. 넷째, 생활화 영역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등장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안정된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다른 영역뿐 아닌 다른 교과와도 통합이 수월한 영역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의 노력이 필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도 각 교과서 집필진이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제재의 양과 활동 내용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의 수업 방법이며 각 교과서가 가진 부족한 점은 교육과정의 재구성으로 극복이 가능하다. As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classic music is raised, the relevant content in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growing quantitatively through a systematization of the 7th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Korean classic music educ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over since the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7, was also applied in the 2009 revisions and the content contains more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boundary of the newly constructed system. Also, from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2007, the authorized textbooks have been being used to give the opportunity of selective learning. Regarding this, in this study an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 music in 6 different music textbooks, which will be used by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ince 2015, are conducted based on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 music in 6 different music textbooks for providing the teachers in actual sites of education th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revising the curriculum for Korean classic music and to ultimately produce a research data, which can be helpful in qualitatively enhancing the contents of Korea classic music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For this study, the samples of music text books, which will be distributed in 2015 to 5th and 6th graders, and the teacher’s directions textbooks, which are provided by the publishe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levant contents are subdivided into ‘expression,’ ‘listening’ and ‘familiarization’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each subdivisions and the method of activities there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he content of Korean classic music in each textbook differed by 29.4% at least and 46.4% at most, so the schools must consider this when selecting the textbook. Second, for expressions division, the number and types of Korean classic songs in the singing section differed by textbooks and folk song was the most appearing type in all textbooks. Although there were less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types of songs in the playing the instrument section, the edition and way of presentation varied by the textbooks, so it requires schools to be careful in selecting the books. The contents of making music section did vary by the textbooks, but, considering that the way of presenting the activities and that the subtopics are integr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Third, each textbook has various songs for listening section, but in order to pursue the emotional listening, rather than a simple hearing, of the music, it is necessary to be combined with other sections. Fourth, the familiarization section was included in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and it is presented in a more stabilized ways in the 2009 revision. More efforts in this section is required to revise the educational curriculum so that the section can be converged easily not only with other sections, but also with other textbook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even under the same educational curriculum,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can be varied largely according to what the writers of each textbook pursue.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that the textbooks is the method of teaching of individual teachers, and the shortcomings of each textbook can be ameliorated by revis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기관의 국악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김성영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음악교육은 학생들의 정서를 도야하고 원만한 인격을 갖추게 함으로써 그 교양을 높이고 나아가서는 애국 애족하는 마음과 국민문화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민족 주체성 확립을 위해서 국악을 바탕으로 민족으로서의 본성을 각성시켜 국악의 적극적인 체험을 통해 민족문화 계승 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국악교육의 체제가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원 양성제도에 대하여 살펴보고, 교원양성기관의 음악교육과정이 중등교육의 음악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계되는가를 분석한 다음 이를 토대로 국악교육의 활성화와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원 양성제도에 부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음악전공 학생들이 교직 기본이수과목을 의무적으로 수강하도록 교육과정운영을 강화해야한다. 둘째,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평가는 중등 교육과정이 개편될 때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평가 체제를 구체화하여 성과에 따라 국고지원을 확대할 수 있는 정부의 지표로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의 음악교육 내용체제가 너무 방만하고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서양음악의 교육 내용체제와 국악교육의내용체제를 일원화 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성이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음악교육은 학생들의 체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교육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국악실기교과목을 서양음악 수준으로 확대 증설하여 예비교사로서의 서양음악과 국악을 균형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교육 과정에 국악 과목을 다양화 한다. 다섯째, 국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등교육과정과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의 연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국악교육 연구소를 사범대학 협의체에 설립하는 체계로 전환되어야 한다. 여섯째, 중등교과서를 모니터링 할 때 교원 양성 대학의 교수를 참여시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국악 내용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는방안을 지역적으로 구성하여 정기적으로 운영하도록 국가에서 예산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일곱째,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음악교과목 편성 방향을 중등 교원 양성기관 협의체에서 공동으로 마련하여 균형 있게 실기영역, 이론영역, 교수법영역이 반영되도록 제도를 마련해야하며 일반대학의 음악교과는 교수법영역의 반영을 의무화하여 음악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중등교원 양성제도와 중등교원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으나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초등교사 양성과 중등교사 양성을 연계하여 쳬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연구를 하여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부터 국악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중등학교에서는 자연스럽게 접근이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중등 교원 양성기관별로 특성을 고려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과 일반대학 일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양성기관별로 세분화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하면 새로운 발전방향이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국악교육은 국민과 함께 이루어져야하므로 학부모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 전 국민으로 확대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국악교육은 음악교육의 한 영역으로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서양음악과 혼재되어 있어 국악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게 되므로 국악의 영역에 대한 한계를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Music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have rich feelings and cultivate characters so as to enrich their education. Furthermore music education is to help them build the mind to love their country and people, and the basic ability and attitude to contribute to the elevation of national culture. In particula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elps to awaken the national character as one people, which in turn helps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Thus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as to contribute to the succession and expansion of the national culture through active experience of the traditional music.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teachers education system adopted in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es for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and analyzes how music education in such education institutes is related to that in the secondary school.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to activate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follows: First, in order to operate music education in harmony with the music teachers education system, the education courses should be strictly implemented, for instance,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should compulsorily take the basic courses for teachers. Second, the evaluation system of education in such education institutes should be realized in such a way that the evaluation is reflected when the secondary education courses are revised. The evaluation should be used as an indicator for governmental supports. Third, in order to prevent the music education contents of such education institutes from being too diverse or narrow, the music education contents of the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should be unified and the education courses should be operated in a rational way. Fourth, mus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student's real experience to ensure that education be efficient. Therefore, the practical training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should be expanded to the level that western instruments are practised. This will diversify the cour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o that it will provide candidate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in a balanced manner. Fifth, the cooperative system for activating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at can related music education in such education institutes to that in the secondary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permanently, and the institut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cooperative system of education school to reflect in the university level the revisions made in the secondary school. Sixth, professors from such education institutes should participate, when monitoring textbooks in the secondary school, and plans for reflecting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education courses of such education institutes should be made regionally.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provide fund for periodic operation of such plans. Lastly, the cooperative system for such education institutes should prepare in collaboration for the direction of their music courses to reflect practical training, theory, and teaching in balance.The music courses in general universities should improve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for instance, by compulsorily including the music teaching course. The present study searche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n the teachers education system and the education courses oper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es for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We suggest the followings for such realization. First, in order to activate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education of teacher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should be studied in a systematic, integrated manner. If the education is done systematically in the primary school, that in the secondary school can be more naturally accessed. Second, in-depth studies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uch education institutes.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education schools and a part of general universities. But if each category of education institute is handled separately and systematically, a new direction might be found. Third, since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be done in collaboration with people, the program for parents should be developed and popularized in the national level. Lastly,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currently a part of music education and the traditional music coexists with the western music. This makes the awareness on the traditional music insufficient. Thus the line should be drawn to limit the boundary of the traditional music.

      • 고등학교 가야금병창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 : 2015 개정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유정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악강사를 위한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로, 국악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안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조사한 논문이다. 가야금병창은 노래와 가야금 연주를 동시에 진행하는 연주 형태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에 부합하는 교육으로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을 키우는 통합적 활동의 한 방안으로 가야금병창을 활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밝힌 음악 경험을 통한 음악성과 창의성 개발에 본 연구의 취지와 필요성을 두었다. 또한 교수학습지도안의 작성에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을 활용하고, 이후 구안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은 총 12차시로 작성하기로 하였다. 둘째,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의 지도곡 선정을 위해 고등학교 10종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가야금병창과 관련된 제재곡 전체를 알아보았다. 또한 가야금병창과 관련된 제재곡을 교과서별로 추출하여 민요와 판소리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경기민요 아리랑>과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를 선택하여 지도곡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의 기준은 각 차 시마다 학습주제와 목표를 설정하여 그 목표에 맞는 주요 학습내용을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지도곡을 직접 새롭게 악보화 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넷째, 위와 같이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다섯째,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경기도 성남시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방식은 현재 코로나19상황으로 비대면과 대면 수업으로 교차 진행하고, 비대면 수업은 온라인 클래스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에 가장 부합하는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여 보다 넓은 시야에서 바라 볼 수 있는 통찰력과 단체활동, 모둠별 활동을 통한 공감, 교류 능력을 높일 수 있었다. 둘째, 국악을 전공한 전문성있는 예술강사가 국악 교육을 함으로써 흥미도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었고 실제 수준 높은 시범연주를 보여줌으로써 음악적인 수준과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었으며, 수업이 진행 될수록 국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 되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제재곡 중 빈도수가 높은 두 곡을 단계별로 악보를 제작하여 수업을 한 결과 차시별 학습목표에 맞게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닌 제재곡을 기준으로 다양한 음악활동을 함으로써 성취도 또한 높아졌다. 넷째, 수업시간에 모둠별 창의 융합형 중심 교육을 함에 있어 학습태도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하면서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되고 학생들 간의 창의적이고 기발한 생각들을 공유하며 모둠별 협동심과 배려심이 길러지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나아가 가야금병창악보 개발 및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비대면 수업에 대비하여 좀 더 다양한 온라인 음악교과수업 콘텐츠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lesson plans that the instructo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can use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Keeping in mind for the students who have not encountered traditional Korean music before, this study designed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folk singing with Gayageum) and implemented them in actual classe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esson plans. Gayageum Byeongchang is a musical performance of singing to the accompaniment of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called Gayageum. Gayageum Byeongchang meets the criteria for developing ‘musical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which i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present the lesson plans using Gayageum Byeongchang in an integrated activity to develop ‘musical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which was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implementing the lesson plans that use the song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The content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on the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are as follows. First, we decided to design a total of 12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Second, to select the songs to include in the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we looked through 10 different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r all songs related to Gayageum Byeongchang. Among the songs (Minyo and Pansori) we had extracted from each textbook in relation to Gayageum Byeongchang, we selected the songs that were found in most music textbooks as follows: <Gyeonggi Folk Song, Arirang> and <Saranga from Pansori Chunhyangga>. Third, we decided topics and objectives as the basis for each lesson, and organized the main contents based on the objective. The researcher created the sheet music for the songs to use during lessons. Fourth, we executed the lesson plans during actual lessons and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esson plans. Fifth,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esson plans, we taught 198 10th graders at a high school located in Sungnam,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through June in 2021. Due to the pandemic of COVID19, we alternated between in-class lessons and real-time interactive ZOOM lessons as a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 The results of implementing the lesson plans among the students and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lesson plans are as follows. First, the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are ideal for developing ‘musical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which wa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lessons, which engaged the students in class and small group activities, increased the students’ insight to see from a broader perspective, as well as the students’ capacity to empathize and interact with others. Second, the lessons given by a professional instructor who majored in traditional Korean music increased the level of interest and engagement. As the instructor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performance, the students’ level of music skills and empathy improved. As the lessons progressed, the students’ views on traditional Korean music also changed positively. Third, the two selected songs, which are most frequently foun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were taught using the gradually progressing sheet music.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level improved, meeting the objective for each lesson. By implementing a variety of musical activities as opposed to unilateral cramming education, the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also improved. Fourth, the lessons incorporated creative and integrated small group activities. As a result, the students’ attitude became more positive and proactiv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improved. We also observed that a sense of cooperation and mindfulness of others was nurtured while sharing creative and ingenious ideas among themselves. In sum, the implementation of the lesson plans produced positive results. For future music education, it is urgent to develop sheet music as well as lesson plans for Gayageum Byeongchang. With regard to non-face-to-face lesson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diverse contents for online music lessons.

      •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박순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사양성 기관인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및 학습의 질이 초등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데 지난 10여년 동안 한결같이 교육대학교 음악과의 국악교육과정 시수 및 국악전임 교수 확보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수 임용 실태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국악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자료를 조사 · 수집하여 비교 ·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제주교육대학교와 경인교육대학교를 제외한 대부분 대학교의 필수영역과 선택영역 및 심화과정의 시수가 양악에 편중되게 편성되었고, 교과목 개설형태도 필수영역과 선택영역이 국악은 통합형이나 양악은 세분화시켜 개설하였다. 둘째, 심화과정의 교과목 개설실태를 분석한 결과 국악개설 비율은 제주교육대학교를 제외하고 경인교육대학교가 가장 높았다. 진주와 청주교육대학교는 경인교육대학교 국악 개설율의 50%로 학교마다 큰 차이가 났다. 전반적으로 양악은 초등학교 장르와 부합되게 세분화시켜 개설된 반면 국악은 개설형태 및 비율이 현행 초등 국악교육과정에 부적합했다. 셋째, 전국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전체 시수중에서 국악 배정율은 26.8%인 반면 양악은 73.2%로 국악 배정율보다 46.4% 많게 편성되었다. 현행 초등학교 국악교육과정 비율과 비교해 보았을 때 조화를 이룬 편성은 제주교육대학교였다. 기준에는 다소 미흡했지만 시수 편성율이 가장 높은 학교가 경인교육대학교였고, 나머지 모든 학교들의 시수 편성이 초등학교 국악교육과정 비율에 적절하지 않게 편성되었다. 국악내 영역별 편성시수는 선택영역이 38.9%로 확보율이 가장 높았고 필수 28.5 심화 22.9%의 확보율을 보였다. 현행 초등학교 국악교육과정 비율과 비교해 보았을 때 선택영역을 제외한 두 영역이 모두 부족했다. 넷째,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전체 교수중 국악은 21.3%를 확보한 반면 양악은 78.7%를 확보하여 큰 대조를 보였다. 경인교육대학교가 3명을 확보하여 37.5%로 전국에서 국악전공 교수확보율이 가장 높았고, 춘천교육대학교 2명, 나머지는 1명을 확보하였는데 청주교육대학교는 확보도 되지 않았다. 초등 국악비율과 비교했을 때 시대에 역행하는 심각한 확보율이었다. 경인교육대학교처럼 국악전임 교수 확보율이 높은 경우 교과목을 국악과 양악으로 동일시수를 배정하여 세분화된 형태로 운영을 했으나 국악전임교수가 1명이거나 확보가 되지 않은 경우 대부분 통합형태로 운영되었다. 이처럼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수확보가 모두 양악중심으로 편성되어 현행 초등 국악교육과정과는 엄청난 괴리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선결조건이 각 대학교에서 장르별로 국악전임 교수를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영역별로 시수를 확보하여 교과목을 분화시켜 개설해야 하는데 선택영역도 중요하지만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필수영역과 전공과목의 심화과정에서 시수를 확보하여 분화시켜 개설해야 한다. For 10 years many have pointed out there have been problems about lack of credits and full-time professors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s in most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at would effect enormously on elementary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have meet with some results through researching, collecting and comparing information of current states in musical educ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First of all, most of the music education colleges have much more credits of western music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in contrast to Korean music education's small credits. Furthermore they are dividing western music education into many subjects, but for Korean music education, they have an inclination to integrate into one subject, except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Kyu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general, second of all, western music education fits well in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and Korean music education is Next, when it comes to required credits, we can see there are critical disparity between Western music education and Korean music education. Western music education occupied 75.2% in total required credits, but Korean music education's portion is only 26.8%. According to current elementary Korean music course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s the most harmonious organization of subjects and the one which has the highest organization of Korean music credits 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ough it still didn't meet with the standard of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And rest of others organized credit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appropriately. Lastly, Korean music education's professors are 21.3% of total professors who teach musical educ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contrast to Western music education's 78.7%.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3 professors, which is the highest of 37.5% in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2 in contrast with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zero. In Gyeong-In's case, university which has high employment of Korean music full-time professor could assign Korean music subjects and Western ones as a same level, but by a large, if there is no Korean music professor or just one, Korean music education had operated in an integral form. Thus, music education's courses and employment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llocated in western music's focus, that caused critical separation with present elementary Korean music education program. The bottom line to amend these problems is securing full-time professors who will be charged with Korean music education only. The following condition is securing enough credits of required and advanced subjects and allocating various subjects in Korean music education.

      • 藝術界高等學校의 판소리 實技敎育實態 : 國立國樂高等學校와 서울國樂藝術高等學校를 中心으로

        김명자 秋溪藝術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악의 필요성을 시대적 입장에서 볼 때 傳統文化의 繼承 發展이 곧 民族文化의 暢達과 隆盛에 크게 이바지한다는 것은 周知의 사실이다. 本 硏究는 傳統 音樂敎育의 母體라 할 수 있는 국립국악고등학교와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의 판소리 교육과정을 분석·검토하고 그 보완점을 연구하여 現場 敎育에 公憲함을 目的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악 고등학교와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의 판소리 전공 학생(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 전공학생이 원하는 수업 형태는 6명 이하의 그룹지도이다. 또한 한정되어 있는 시간외에는 개별지도가 부족하다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교사 1인당 3-4명의 전공학생의 지도형태가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둘째, 실기능력향상을 위해 사전의 감상 경험 및 지도교사의 녹음 음반 등 보조교재를 사용하는 것이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또한 판소리 교육시 발성법에 관한 지도를 받은 사실이 없음이 설문조사에서 나타나짐에 따라 교사의 입장에서 본 연구자는 판소리 발성법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셋째, 가곡·가사·시조, 컴퓨터와 음악 등의 보조 연관교육이 판소리 전공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설문조사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응답자들이 판소리의 이면을 표현하는 성음에 있어 전통성악의 연계성의 중요성을 미처 인식하지 못한 결과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판소리 전공 학생들에게 판소리 교사로써 이러한 보조연관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며, 보조 연관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여야 한다고 여겨진다. 넷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졸업 후 예술계 대학으로 진학하기를 원하고 앞으로 국악과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또 판소리를 선택한 것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만족을 하였다. 이는 전공에 대한 만족과 관심이 판소리 실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평소의 감상경험과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연주회에서 발표하는 것도 전공 실력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 다양한 연주회의 기획과 발표를 통해 종합예술력을 길러 주며, 판소리 실기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형태가 개선되어야 하고 전공실기 능력을 높여주는 전문교과의 교육과정도 재정비하여야 한다. 판소리 교재 또한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인 판소리 교재의 제작이 시급하다 하겠다. The traditional music is important in that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is base of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tradi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ansori classes in arts high schools: Gukak National High School and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By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who study pansori in both sch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tudents in both schools answered that they need enough space and time per class. A class consists of below six students, but the students feel that a class is crowded and does not offer enough time. Therefore I think three or four students are appropriate for a class. Second, It is more effective that in the class audio and visual materials are used. And they answered that in a class they have not studied how to make a proper vocal sound for pansori, so I think pansori teachers have to teach how to make a proper sound for pansori in their class. Third,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need any other genre and classes like Gagok, Gasa, Sijo and Computer & Music. But this answer shows that the students could no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vocal genres. Therefore, as a pansori instru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genres have to be identified for the students. Fourth, the students want to go to college and to work for the traditional music in any circumstance after graduation. The students in both schools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I think that the future of the students is more hopeful in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Because this satisfaction is help itself for the students to make up their own music. They answered that by concerts and experiments on the class in the school, they could make up their own artistic ability. Therefore, it is needed for the students to have the concerts in the school. And for more effective classes, the curriculum and the type of pansori class have to be re-arranged. And the textbook of pansori have to be re-published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The new publishing for the basic pansori textbook is ur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