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김영흥,진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1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llect and select the theses and articl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and to analyze a research status by the review, then to suggest a direction of the further research in technology education.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theses and articl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published from January 2007 to June 2016. I collected the theses and articles by using the search engine of the Korean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and finally selected 821 theses and articles for the objects. I analyzed the theses and articles by verifying their subjects, abstracts and contents, and applied the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in advance. I used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 analysis to analyze the datas statistically. Also, I used SPSS 18.0 program. Drawing on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major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d been studied numerously from 2012 to 2015, but it has been decreased since 2016. Second,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studied numerous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instructional source. Third, the research object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studied numerously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a row. Forth,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focused numerously on a science. Fifth,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concerned mainly about the creativity effect among other educational effects.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6년 6월까지의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을수집선정하여 국내 STEAM 교육 연구에 관해 문헌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의 현황과 전반적인 경향성을 확인하고, 기술교육 분야에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 대상은 2007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STEAM 및 STEM 교육 관련 선행 연구 논문이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의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과 전문 학술지 논문을 수집한 뒤 선별 절차를 거쳐 최종 821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연구 대상 논문은 해당 논문의 제목, 요약, 본문 내용을 확인하여 이연구에서 개발한 연구 분석틀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 분석과 교차 분석이며,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2012년부터 2015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2016년에는 점차 줄어드는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프로그램/수업자료 개발에 관한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과학을 중심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국내 STEAM 교육의 효과 중 창의성 효과에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기술교사의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및 교사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한국과 미국 간 다집단 분석

        김영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기술교사의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및 교사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고, 한국과 미국 의 국가 간 비교에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대상은 TALIS 2018에 참여한 한 국 214명, 미국 675명의 중학교 기술교사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시 이들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시 SPSS for Windows 23.0과 Mplu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집단 구조모 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기술교사의 교 사협력, 교사효능감 및 교사만족도 잠재변인 간의 적합한 구조적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둘째, 기술교 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은 각각 교사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사협력은 교사 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기술교사의 교사협력이 교사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한국이 미국보다 더 크고, 교사협력이 교사만족도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한국보다 미국이 더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chnology teacher’s cooperation, efficacy, and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m between countries in Korea and the U.S. To achieve this objective, 214 Korean and 675 U.S.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ALIS 2018 were analyzed as the sample of analysis, and the data they responded were used in the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group structural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23.0 and Mplus 7.0 programs, and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to 5%.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irst, it was properly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latent variables of teacher cooperation,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technology teacher. Second, teacher cooperation and 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 teacher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teacher cooperation indirectly affects teacher satisfaction by mediating teacher efficacy. Third, the direct effect size teacher cooperation on satisfaction of technology teacher is larger in Korea tha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indirect effect size teacher cooperation on satisfaction is larger in the United States than in Korea.

      • KCI등재

        근로자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김영흥,나승일,지현,박용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 of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type of employment by combining data from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total of 95 articles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data,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program was us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5%(α= 0.05).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non-regular workers and the effect size of employment type is medium. Second, among five constituents of job satisfaction, the difference of wage and promotion satisfaction i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work and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differ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areas. Fourth,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insurance, food and service occupation areas, and regular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non – regular workers. On the other hand, non-regular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regular workers in health, medical, social occupation areas. 이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고용형태(정규직 및 비정규직)별 효과크기를구명하는데 있었다. 메타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총95편이었다. 자료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α=0.05)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고용형태의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이다. 둘째, 5가지 직무만족도 구인 중에서 임금 및 승진 만족도의 차이가 인간관계, 업무 및 근로환경 만족도의 차이보다 크다. 셋째, 정규직 및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차이는 직업군에 따라 다르다. 넷째, 금융・보험, 음식・서비스 관련 직업군은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가 크며,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반면, 보건・의료, 사회복지・종교 관련 직업군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 SCOPUSKCI등재

        Estrogen투여가 임신 rat에 미치는 영향

        김영흥,송문용 한국임상수의학회 1998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estrone on the prevention of implantation and pregnancy and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 and progesterone or sodium and potassium in the plasma or uterine fluid of pregnant rats injected a single dose of 0, 0.1, 0.4 or 1.0 mg on days 5, 9, or 13 of pregnancy. The body weight gains of pregnant r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dministering estrone on day 5 of pregnancyi no effect obtained on days 9 or 13. Numbers of viable fetus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re- and post-implantation loss increased by administering estrone 0.1, 0.4 or 1.0 mg and numbers of implantation site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ministering estrone 0.1 mg but significantly decreased or not occurred by 0.4 or 1.0 mg on day 5 of pregnancy, respectively, but no effect obtained on days 9 or 13.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s of pregnant ra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1, 2 or 18 days after treatment with estrone (1.4 or 1.0 mg and 3 days after 0.4 mg on day 5 of pregnancy, respectively. But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had no effect on the treatment with estrone. Plasma sodium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1 day after treatment with estrone 0.1 or 1.0 mg and 3 days after 0.1 mg on day 5 of pregnancy, respectively, except potassium content were no detectable change. Sodium contents in uterine flui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1 day after treatment with estrone 1.0 mg and 3 days after 0.1, 0.4 or 1.0 mg on day 5 of pregnancy, respectively. And potassium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1 or 2 days after treatments with estrone 0.1 mg but significantly decreased on 3 days after 0.4 or 1.0 mg on day 5 of pregnancy, respect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prevention of implantation and failure of pregnancy could be induced by treatment with estrone 0.4 mg on day 5 of pregnancy and might be interrelated with changes of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and sod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uterine fluid.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과 교사 및 학교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

        김영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과 교사 및 학교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 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이를 위해 분석대상은 TALIS 2018에 참여한 한국의 149개교의 학교장 과 2,508명의 초등학교 교사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시 이들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선 형 모형 분석(HLM)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α-level)은 5%(α=0.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은 평균 3.07(꽤 잘할 수 있 음=3)로 높은 수준이며, 교사양성과정을 통한 ICT 활용 준비도는 평균 2.79(잘 준비됨=3)로 보 통 수준이고, 10명 중 7명의 교사가 ICT 활용과 관련된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하며, 수업을 위 한 동료교사와의 협력 정도는 평균 10.04로 보통 수준이다. 또한, 이들이 소속된 학교의 교장이 갖는 교사의 수업과 관련한 지도성은 평균 2.76(자주함=3)으로 보통 수준이며, 학교풍토는 평균 3.53(매우 동의함=4)로 혁신친화적이며, 물리적인 ICT 활용 환경 부족에 대한 이슈가 평균 3.35(약간 존재함=3)으로 약간 존재한다. 둘째,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은 교사 개인과 학교 조직의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ICT 교수효능감 차이는 교사 개인 간 차이에 의해 대부분이 설명되 지만, 학교 간 차이에 의해서도 일부 설명된다. 셋째,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은 여성보다 남 성이, 전문대학보다 석사학위를 소지한 교사가 더 높고, 교직경력이 낮을수록, 교사양성과정을 통 한 ICT 활용 준비도가 높을수록, ICT 활용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에 참여하고, 동료교사와 활 발히 협력할수록 높아진다. 넷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의 ICT 활용 환경은 간접적으로 교 사의 ICT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target was selected as the principals of 149 schools in Korea and 2,508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ALIS 2018.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HLM)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they responded during the analysis, and the α-level was set to 5%(=0.05).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is high with an average of 3.07, and the level of readiness for using ICT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is average with an average of 2.79, 7 out of 10 teachers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lated to the use of ICT, and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for instruction is average, with an average of 10.04. In addition,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school to which they belong is an average of 2.76, which is average, and the school climate is on average 3.53, which is innovation-friendly. There are a few issues about the lack of ICT utilization environment with an average of 3.35.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eachers and school organizations, and differences in ICT teaching efficacy are mostly explained by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ut are partially explained by differences between schools. Third, the ICT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higher for teachers with master's degrees than at junior colleges, and the lower the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readiness to use ICT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course, the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CT use. The more you participate in the training for students and actively cooperate with your fellow teachers, the higher the level. Fourth,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school's environment for using ICT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기술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중학생의 기술교과 태도의 관계에서 기술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영흥(Young-Heung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중학생의 기술교과 태도의 관계에서 기술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모집단은 전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표본 크기는 총 400명으로 설정하였다. 표집은 학교소재지(특별시 및 광역시, 도)에 따라 비례층화표집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우편조사를 통해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23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19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통계치 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중학생이 기술 교과 및 수업에 대하여 갖고 있는 태도는 보통 수준(M=3.22) 정도였다. 또한, 기술교사의 학생에 대한 자율성 지지는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M=3.70)이고, 중학생의 기술적 자기효능감은 보통 수준(M=3.23) 정도였다. 둘째, 기술교사의 자율성 지지(=.151)와 중학생의 기술적 자기효능감(=.650)이 각각 중학생의 기술교과 태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기술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기술교과 태도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B=.19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subjects in middle school. The population was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the sample size was set to a total of 400 students. Sampling was done in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chool.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400 questionnairs were distributed through a postal survey, and 323 copies were collected. Finally, 319 responses were used except for insincere responses. For data analys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were verifi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irst, the attitude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in relation to the content elements and classes of technology subjects are at a moderate level(M=3.22). In addition, the teacher s autonomy support for the students is a little higher than moderate leve(M=3.70), and the student s technological self-efficacy is at a moderate level(M=3.23). Second, the teacher s autonomy support(=.151) and the student s technological self-efficacy(=.650) have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 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subjects in middle school. Third, teachers autonomy support in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the student s attitudes toward technology subjects through the technological self-efficacy(B=.193).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중등학교 기술교사의 지식공유행동 특성 분석

        김영흥(Young-Heung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통한 기술교사의 지식공유행동 특성을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기술교사 온라인 학습공동체인 전국기술교사모임의 웹사이트(http://ktta.or.kr/)를 통해 2008년부터 2021년까지 공유된 3,208건의 자료를 활용하여 키워드의 빈도 및 비율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첫째,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통한 기술교사의 지식공유행동은 전국기술교사모임 웹사이트가 개설된 초기에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졌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현재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용영역에 따라 제조기술 영역에 지식 공유행동이 편중되어 있다. 둘째,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통해 기술교사는 직접적으로 관련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동영상이나 학습지와 같은 교수·학습자료를 주로 공유하고 있으며, 주제에 따라 발명, 에너지, 건설, 자동차, 로봇 등을 주제로 한 자료를 주로 공유하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실습이나 체험을 중심으로 수행평가나 프로젝트와 관련된 자료를 주로 공유하고 있다. 셋째,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통해 기술교사는 내용영역에 따라 제조기술은 목공 등의 제작과 관련된 지식을, 건설기술은 교량과 같은 구조물 설계에 관한 지식을 주로 공유하고 있다. 수송기술은 미래형 에너지 및 동력과 관련된 지식을, 정보통신기술은 전통적인 전기전자 부품이나 아두이노 등의 비교적 최신의 기기와 관련된 지식을 공유하고 있다. 생명기술은 잔디인형, 식물, 유전자 및 식품을 주제로 한 지식을 주로 공유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by technology teachers through online learning community using network analysis method. To this end, 3,208 data shared from 2008 to 2021 through the website of the Korean Technology Teachers Association (http://ktta.or.kr/), a representative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technology teachers, were us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ratio of keywords. A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First,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technology teachers through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was relatively active in the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Technology Teachers Association website.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is concentrated i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rea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 Secon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technology teachers mainly shar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s and worksheets that can be directly used in related classes. We mainly share data. In addition, data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and projects are mainly shared, focusing on practical exercises and experien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subjects. Thir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technology teachers are engaged in various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ain content areas of technology subject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기술교사의 인적배경, 교직환경, 행동 및 심리적 특성 비교 : TALIS 2018 자료를 활용하여

        김영흥(Young-Heung, Kim),나승일(Seung-Il, Na)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기술교사의 인적배경 및 환경과 행동 및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는 데 있었다. 분석대상은 TALIS 2018 조사에 참여한 한국 214명, 미국 675명의 기술교사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과 미국 기술교사는 전체 중학교 교사와 성별, 최종학력, 고용형태 및 교직경력의 분포에 있어서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둘째, 한국 기술교사의 연간 업무시간은 미국보다 적으나,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시간은 많고, 수업과 전문성 개발에 할당하는 시간은 비교적 부족한 편이다. 셋째, 한국의 기술교사는 전문성 개발을 위해 학위 취득 등 전문적 노력이 비교적 부족한 편이며, 교과내용 및 교수법 등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은 활발한 편이나 다문화, ICT 활용 등 혁신과 관련된 노력은 부족한 편이다. 넷째, 한국 기술교사는 고차원적인 교수활동이 부족한 편이며, 학생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섯째, 한국 기술교사는 동료 교사 간의 수업협력 활동이 적은 편이다. 여섯째, 교직 선택의 동기로 한국 기술교사는 미국 기술교사에 비해 직업의 안정성, 시간적 여유 등과 같은 개인적 유용성은 높았으나, 학생의 발전, 사회 기여 등의 사회적 유용성은 낮았다. 일곱째, 한국 기술교사는 미국 기술교사 보다 교사효능감이 비교적 낮은 편이며, 특히 학급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직무만족도도 미국의 기술교사보다 낮은 편으로 특히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uman background and environment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American technical teachers. Subject to analysis are 214 South Korean and 675 U.S. technolog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ALIS 2018 survey. Major research results show that Korean and American technology teachers tend to be similar to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the annual working hours of Korean technical teachers are less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 but there is a lot of administrative time, and there is a relatively little time to allocate to class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rd, Korean technical teachers are relatively lacking in professional efforts such as obtaining degrees to develop expertise, and activities to develop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re active, but efforts related to innovation such as multiculturalism and ICT utilization are lacking. Fourth, Korean technical teachers lack high-dimensional teaching activities and are having difficulty guiding students. Fifth, Korean technical teachers have less class cooperation activities among fellow teachers. Sixth, Korean technical teachers choose teaching as motivation for personal usefulness, such as job stability and time-lapse. Seventh, Korean technical teachers have a relatively lower sense of effectiveness tha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having difficulty in class management, and low job satisfaction, which makes them less satisfied with their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학력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영흥(Young-heung Kim),서예린(Yelin Suh),박자경(Ja-Kyung Park)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력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인 고용여부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패널조사 데이터의 1차, 3차, 6~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시 STATA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Mincer의 임금함수를 토대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택편의를 보정하기 위해 처치 확률가중치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개인의 최종 학력 수준을 결정하는 데 월평균 가구소득 및 교육비, 부모학력, 고등학교 소재지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여부에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에 학력 수준, 경력년수, 역량,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편의 보정 이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론으로는 첫쩨, 개인의 최종 학력 수준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력 수준은 근로자의 고용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남성 및 여성과 같은 개인의 성별이 노동시장 성과 중 하나인 개인의 고용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력 수준은 근로자의 임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력년수와 개인의 역량과 같은 입사 이후의 변화 가능성이 높은 요인들도 근로자의 임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vel of education on employment status and wages, which are labor market outcom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nalysis data used the data from the 1st, 3rd, and 6th to 12th years of the 2005 panel survey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Mincer's wage func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A 17.0 program, and treatment probability weighting techniques were used to correct for selection bia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a major influence on determining an individual's final level of education. Second, rather than the level of education, gender, such as male and female, affects whether an individual is employed, which is one of the labor market outcomes. Third, the level of education has a major impact on the wages of workers, and this wage premium effect still exists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selection bias according to the parents'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which affects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Fourth, factors that are highly likely to change after joining the company, such as years of experience and individual competency, also have a major impact on workers' wages. Based on these conclusions, sugges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표시과목 ‘기술’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정보통신기술 영역 출제 동향 분석

        김영흥(Young-He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이 연구는 표시과목 기술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내용의 변화와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방법 분석 자료는 2002년부터 가장 최근인 2021년까지의 표시과목 기술의 임용시험 출제문제이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표시과목 기술의 교사 자격기준과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를 분석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연도별 정보통신기술 영역 문항 수 및 배점 비중에 차이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전체 문항 중 평균 약 22%가 정보통신기술 영역 문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분야는 전기기술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고, 다음으로 컴퓨터기술, 전자기술, 정보통신기술의 순으로 출제 문항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의 임용시험 방식이 변화하면서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따라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수에 차이가 있었으나,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첫째, 기술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수 및 배점의 비중은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체 문항의 5분의 1 정도로 기술교과의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편이며, 출제 문항의 비중은 임용시험 방식의 변화와 문항 출제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영역 중에서도 전기기술의 이해, 디지털 논리회로, 프로그래밍 언어,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소자에 관한 문항이 많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으며, 정보통신기술 기초 분야에 관한 출제 문항은 적은 편이다. 셋째, 중등교사 임용시험 방식의 변화에 따라 서술형 필답고사의 시기와 선다형 1차 시험과 논술형 2차 시험의 시기에는 전기기술 분야에서 많은 문항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으며, 기입형, 서술형 및 논술형으로 구성된 1차 시험의 시기에는 컴퓨터기술 분야에서 많은 문항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출제 문항 내용은 교육과정 변화 시기와 큰 관계가 없으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변화를 임용시험 출제 시 반영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and trend of question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th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indicated subject technology. Methods The analysis data is the questions for the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indicated subject technology from 2002 to the most recent 2021. Result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tems and the proportion of points in the ICT area by year, and on average, about 22% of the total items were in the ICT area. Second, the largest number of items were asked in electrical technology, followed by computer technology, electronic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tem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 the recruitment examination method of the major area changed.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tems ask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according to the revision period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due to the revision of the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Conclusions First, although the number of items and the proportion of points given in the ICT field of the technology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varies by year, it is about one-fifth of the total items, which is higher than in other areas of the technology subject, and the number of items. The weight is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recruitment examination method and the person who development the item. Secon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 tendency to ask a lot of items about understanding electrical technology, digital logic circuits, programming languages, diode and transistor elements, and there are few questions about bas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r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xamination method, many items tend to be asked in the field of electrical technology during the period of the written test and the period of the multiple-choice test and the essay-type test. there is a tendency for many items in the field of computer technology to be asked. Fourth, the contents of the item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do not have much to do with the timing of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due to the curriculum revision when taking the recruitment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