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bust target cascading for improving firing accuracy of combat vehicle

        김신유,임우철,한수,Namhee Ryu,Kihan Kwon,Sunghoon Lim,민승재,TaeHeeLee 대한기계학회 2016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0 No.12

        Complex systems like combat vehicles contain numerous subsystems and components. Therefore,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hierarchy of a system, subsystems, and components is necessary for optimization.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techniques have been researched to design the complex system. However most of these techniques premise integration process of total system which requires great time and cost. To reduce time and cost for the integration process, we introduce a target cascading technique that optimizes complex hierarchy system with several subproblems of each subsystem and component. Another challenge is to improve the firing accuracy of combat vehicle under various uncertainties. Robust design is therefore necessary to improve the firing accuracy of combat vehicles. To utilize these two concepts in optimization process, statistical information of firing angle is used as linking variables for problem formulation of robust target cascading. Furthermore, analysis of variance, surrogate modeling and statistical approach evaluating firing accuracy are employed to enhance efficiency of optimization. Finally, optimum design of a combat vehicle is achieved by using robust target cascading while improving firing accuracy.

      • KCI등재후보

        경안면 괴사성 근막염의 처치

        김신유,이봉서,권대근,종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4

        Necrotizing fasciitis is a rapidly progressive soft tissue infection with high mortality rates, characterized by diffus necrosos of fascia and subcutaneous tissue. It most commonly affects the abdominal wall, the perineum and the extermities, but head and neck involvement can occur. Patients often have an underlying systemic disease such as diabetes mellitus, alcoholism, malntrition or chronic renal failure. Successful management of this life-threatening condition requires early diagnosis, prompt institution of broad spectrum antibiotics and aggressive surgical intervention combined with supportive care such as airway maintenance anf hyperbaric oxygen therapy. We reviewed cervicofacial necrotizing fasciitis in Korea with our cases, and pathophysilogy, diagnisis and treatment of this patentially lethal entity were investigated.

      • 학교급식 컨설팅을 통한 코로나19 대응 학교급식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신유,석경,성희,우경,우기,정미,민성희,박은혜,백선영,서민국,석용희,안종균,이경은,이민준,이현숙,장지윤,전혜원,주세영,채선희,함선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21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급식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급식 현장에 컨설팅을 실시하여 현 상황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효과적인 학교급식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총 2개월이며, 컨설턴트는 코로나19 대응 학교급식 및 식생활교육 관련 연구진, 현직 영양(교)사 및 급식만족도 개선 전문위원단 10명 이내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학교급식을 통한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우려가 있거나 예방을 위해 컨설팅을 희망하는 학교, 2∼3식학교, 저경력 영양(교)사 근무학교 등 급식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로 최종 7개의 학교가 선정되어 컨설팅에 참여하였다. 연구방법은 1단계로 컨설턴트 대상으로 방문 전 사전교육 자료를 개발하였고, 2단계로 식당배식교와 교실배식교로 나누어 코로나 대응 학교급식 운영관리 진단표를 개발하였다. 3단계로 현장지원 컨설팅을 위해 컨설턴트 방문전 사전교육 진행 후, 마지막 단계로 학교급식 현장을 방문하여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코로나 대응 학교급식 운영관리 진단표를 이용하여 연구대상 학교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문제점 진단에서는 첫 번째, 현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급식 현장에서는 방역(소독 등), 사회적 거리두기 실행 등 급식 운영의 어려움, 두 번째, 메뉴 및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등으로 인한 급식 운영의 변화, 식수대 폐쇄, 대화 금지 등에 대한 불만 증가로 인한 급식 만족도 저하의 문제,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대응 급식운영의 어려움 등을 겪고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급식 운영 관련 정보 제공, 해당 학교급 학생 대상의 인기 일반식 및 간편식 메뉴 제공,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급식 운영 변화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현 급식 운영 상태를 점검하고, 운영상의 어려움 공유 및 해결방안 모색 등을 통해 현장 지원을 하였으며, 또한 현직 영양교사가 컨설턴트로 참여하여 기술적 지원뿐 아닌 공감 및 정서적 지지를 통한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여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본 컨설팅과 같이 코로나 상황에서 어려움이 있는 학교급식 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현장 지원이 이루어질 때 감염병 예방 및 학생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급식 환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판사 임용을 위한 적정 법조재직연수에 관한 연구

        김신유 ( Kim Shinyoo ),박재후 사법정책연구원 2021 연구보고서 Vol.2021 No.1

        2011년 법원조직법 개정에 따라 우리나라에 법조일원화 제도가 도입되었다. 일정한 법조경력을 갖춘 기성 법조인 중에서만 법관을 선발한다는 취지의 이 제도에 따라 2013년부 터는 3년, 2018년부터는 5년, 2022년부터는 7년, 2026년부터는 10년의 최소 법조경력을 보유해야 법관으로 임용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2013년부터 법조일원화 제도가 시행된 이후 법원은 법관 신규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특히 장기 법조경력자들의 지원율은 매우 저조한 편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차의 젊은 법조인을 선호하는 법원의 편향된 법관 임용정책으로 인하여 이러한 결과가 초래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실력과 성품이 검증된 풍부한 경륜의 법조인들의 지원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제도적 개선방안(법관 처우의 개선, 제1심의 원칙적 단독심화 등)이 충분히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그 주된 원인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문제는 판사 임용을 위한 최소 법조재직연수가 10년으로 상향되는 2026년까지 이러한 제도적 개선방안들을 현실화하는 것이 쉽지 않고, 법관 임용절차를 구성하는 개별 전형들을 개선하는 것만으로 유능한 장기 법조경력자들의 지원율을 제고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법조일원화 제도의 도입 시 판사 임용을 위한 법조재직연수의 원칙을 최소 10년으로 규정하면서 그와 같은 장기의 경력을 갖춘 법조인들이 과연 법관직에 충분히 지원을 할 것인지, 그리고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법조인들로만 법관이 충원된다면 법원의 인사 및 재판 시스템에 어떠한 변화가 초래될 것인지 등에 관하여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판사 임용을 위한 법조재직연수는 국민들이 실력뿐만 아니라 성품까지 훌륭한 것으로 인정하는 법관들로부터 좋은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해당한다. 그 안전장치가 너무 과도하여 오히려 좋은 재판이라는 목적에 역행하는 것이 아닌지 법원은 항상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비교법적 검토 결과 주요 국가 중에는 우리와 같이 판사 임용을 위한 최소 법조경력을 일괄적으로 10년이나 요구하는 경우는 없거나 극히 드물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우리의 10년 기준이 세계적인 추세에 역행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임법관 및 전국법관대표회의 법관대표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 신임법관들 중 83%, 법관대표들 중 73.7%가 10년 기준이 부적절하다는 취지로 답변하였다. 또한 법관 임용 지원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법무법인 등 소속 변호사의 경우 입사 10년차가 경과하면 대체로 전직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정년이 65세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최소 법조재직연수만 10년으로 상향될 경우 법관 재직기간이 단축되고, 이는 필연적으로 매년 선발해야 하는 신임 법관의 수를 증가시켜 법관 신규임용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이다. 나아가 10년 기준은 연령 측면에서 법관 구성의 다양성을 저해하여 법원 내에서 20대와 30대가 과소 대표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객관적인 근거 외에도 국민들이 법원 및 법관에 대하여 기대하는 역할이 법조일원화 제도의 도입을 전후하여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민들은 여전히 법원과 법관에 대하여 가능하면 모든 사건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판결문도 상세히 작성하며, 가급적 합의부에서 재판을 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런데 10년 이상의 경력자들로만 법원이 구성될 경우 이러한 기대를 모두 충족시키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법조일원화 제도의 본고장인 미국의 경우 확고한 당사자주의가 정착되었고, 판결문 작성의 부담이 우리에 비해 훨씬 적으며, 제1심의 단독심화도 확립되었다. 그러나 아직 우리 국민들은 법원과 법관에 대하여 이러한 변화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국민들이 이러한 변화를 허용할 경우 최소 법조재직연수는 10년이 아니라 15년, 20년으로 연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국민들이 법원과 법관에 대하여 가지는 바람직한 이상형과 관련하여 법조재직연수는 지극히 부차적인 요소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바람직한 법원 및 법관상이 과거와 대동소이한 현재 상태에서는 10년 기준이 과도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10년 기준보다 완화된 5년 또는 7년의 기준에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 시점에서 법원의 인사 및 재판 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이 5년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 신임법관 및 전국법관대표회의 법관대표들도 5년이 가장 바람직한 법조재직연수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5년 기준 역시 잠정적인 결론일 뿐이며, 향후 제1심의 단독심화가 강화되고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법원 및 법관상이 변화할 경우 위 기준은 얼마든지 상향될 수 있을 것이다. 전면적 법조일원화 제도가 도입된 이후 법원 내외부 어디에서도 판사 임용을 위한 적정 법조재직연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가 위 주제와 관련하여 향후 이어질 실증적 연구들의 첫 걸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mendment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in 2011, South Korea adopted a new judicial selection system that unified the legal profession. Under the new system, which is intended to select judges from practicing lawyers and prosecutors with sufficient legal experiences, the minimum years of legal experience required for successful applicants to the position are designed to increase gradually from three years (since 2013), to five years (since 2018), to seven years (beginning in 2022), and ultimately to ten years (beginning in 2026). Ever since South Korea implemented the new system in 2013, however, the court has had trouble appointing new judges, and in particular, very few applicants with long years of legal experience are applying for the position. Some people argue that this result was caused by the court’s skewed appointment policy that have favored younger lawyers and prosecutors with relatively few years of experience. It is, however, fair to assume that a more fundamental cause of the low application rate of experienced professionals is that various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e.g.,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judges, making the first trial principally conducted by a single judge, etc.) to increase the application rate of legal professionals with proven competency and good character have not been sufficiently adopted. The present problem is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chieve such required institutional level of improvements by the year 2026, when the minimum post-qualification experience is set to be increased to ten years. And it would also be a daunting task to get more competent legal professionals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to apply for the judicial post merely by improving the individual application processes of the judicial appointment. Before the new judicial system was adopted, it is unclear whether thorough reviews were conducted on whether a sufficient number of lawyers and prosecutors with long careers were likely to apply for the judicial position, or what changes would occur to the court‘s personnel and trial system if judges were recruited among legal professionals with ten or more years of legal experience. As the post-qualification requirement for judicial appointment was adopted as a safeguard to ensure that the general public are tried by judges who have proven themselves to be not only competent but also good-natured. It is, therefore, important for the judiciary to understand whether the strengthened requirement of ten years’ experience is so excessive that the intended purpose of a qualified trial is rather impeded, and to come up with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n-year requirement under the new system, this research adopted a comparative legal study and empirical study method. Comparative legal research revealed that very few developed countries require ten years of legal experience, which suggests that Korea’s new ten-year standard goes against the global trend. In addition, in a survey of new judges and judicial representatives from the Conference of Judicial Representatives, 83 percent of new judges and 73.7 percent of judicial representatives responded that a ten-year standard was not appropriate. It was also confirmed that lawyers from law firms, who make up the largest portion of applicants for the judicial post, do not consider moving to a different job after they have worked for more than ten years. Meanwhile, an increase in the minimum qualification experience to ten years, with the retirement age unchanged at age 65, would lead to a decrease in a judge’s period of service, which would inevitably increase the number of new judges that the court needs to select every year, adding to the difficulty of new judicial appointments. Furthermore, a ten-year standard would hinder the age diversity in composition of judges and lead to an underrepresentation of judges in their 20s and 30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roles expected of judges in trials by the general public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The people still expect judges, if possible, to take an active part in all cases, write a detailed decision, and if circumstances allow, to be tried by a panel of judges. However, a court entirely composed of judge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legal experience cannot possibly fulfill all of these expectations. As for the United States, a representative country of the system which employs judges from people with certain legal experiences, the adversarial system has firmly taken hold, the burden of writing the court decision is substantially less than in Korea’s system, and a single judge hearing of the first trial has also been established. However, Korea’s new judicial selection system, modelled after the U.S., was adopted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in judge’s role in trials between the different trial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If changes to such systematic differences are preceded in Korea, the minimum post-qualification experience can be set at discretion, even at, for example, to 15 or 20 years. This is because the post-qualification experience is, as such, not a key factor in determining an ideal court system or judge’s role. Nevertheless, the ten-year standard cannot help but be excessive in maintaining the status quo, where people’s expectation toward the judge’s role in trials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system in Korea. To be fair, it is difficult to say with certainty that the five-year or the seven-year standards, which are more relaxed than the ten-year requirement, are beyond question. It is simply that, at the present, whe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put together, the five-year requirement had the least negative effect on court recruitment and trials. In the survey, the new judges and Conference of Judicial Representatives responded that a five-year standard is the most desirable post-qualification experience for applicants for the judicial position. But a five-year standard is only a tentative conclusion, and a strengthening of a single- judge court and changes in people’s expectation toward judge’s role in trials can always push the above-mentioned standard upwards. Considering that there has never been any empirical study on the appropriate level of post-qualification experience for judicial appointment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urt ever since South Korea introduced the new judicial selection system, this study will hopefully pave the way for successful empirical studies on this important topic.

      • 법조일원화 시대에 걸맞은 바람직한 법관 임용제도

        김신유 ( Kim Shinyoo ),박재후 사법정책연구원 2020 연구보고서 Vol.2020 No.9

        2011년 법원조직법 개정에 따른 법조일원화 제도의 도입은 기존의 법관 즉시임용제도로부터 실력과 성품이 검증된 기성 법조인 중심의 법관 임용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법조일원화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지원자의 실무능력과 성품 등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임용제도가 설계되어야 하며, 법관 임용지원의 장애요인이 되는 제도를 개선하고 촉진요인이 되는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보고서는 현행 법관 임용제도가 지원자의 유능성 지표를 평가하는 방식이 적절한지, 그리고 지원자의 정성적 지표는 객관화되어 합리적으로 평가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동안 법원 외부로 공개되지 않았던 구체적인 임용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법관 임용절차의 세부적인 내용 및 기준이 무엇인지,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 국가의 법관 임용제도와의 차이점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그 과정에서 유능성 지표 및 정성적 지표의 평가제도에 관한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유능성 지표와 관련하여서는 사법시험 또는 변호사시험 성적과 같은 기존 성적의 반영 비율 축소, 법률서면 작성평가의 점진적 폐지, 실무능력평가 면접의 개선, 전문분야 실무능력평가 면접의 도입, 서류전형위원회의 전문성 제고, 의견조회의 체계화 및 실질화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성적 지표와 관련하여서는 의견조회 결과의 객관성 제고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의견조회의 체계화 및 실질화를 위해서는 대한변호사협회를 통한 의견조회를 활성화하고 재판부의 변호사 평가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고, 의견조회 결과의 객관성 제고를 위해서는 고등법원 또는 지방법원 단위별로 법관임용 자문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보고서는 법관 임용지원의 장애요인 또는 촉진요인으로 제기되었던 제도적 요인들이 실제로 잠재적 법관직 지원자인 변호사들의 법관 지원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옥스퍼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재후 대학원생의 도움을 받아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법관의 독립적인 재판 업무에 대한 기대와 전문법률분야의 지식과 경험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법관 임용 지원의 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법조경력 기간과 육아복지에 대한 기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밝혀졌다. 한편, 교호작용을 포함한 결과에 따르면 단순히 법조경력이 길수록 법관 지원의사가 줄어든다고 한 기존 결과와 상반되게, 고령이 되어도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다는 기대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동시에 법조경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법관 임용지원을 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수준의 공무원연금을 통한 노후보장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동시에 법조경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법관 임용지원을 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법원은 향후 변호사들을 대상으로 법관 업무의 독립성 등에 대하여 더 적극적인 홍보를 하고, 법관 임용절차에서 전문분야 평가의 비중을 강화하며, 전문법원 및 전문법관 제도를 확대하고, 법관들의 육아 관련 복지를 강화하며, 법조경력 기간이 긴 변호사들의 지원을 확대하기 위하여 원로판사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만, 회귀분석과 관련하여 수정된 결정계수(R2)의 값이 0.44에 해당하여 설명력이 다소 부족한 점, 설명변인 사이의 충돌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점 등은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이메일을 통한 일회성 설문조사는 체계화된 할당추출이나 무작위 추출에 비해 수집된 데이터가 편향성의 위험에 노출되었을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중복된 설명변인들을 솎아내어 설명변인 사이의 상관관계를 줄이고 법관 임용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변인들을 추가해서 분석 모델의 설명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설문조사의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사법서비스 수요자들의 변화하는 요구를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법원과 법률 이슈에 대해 법률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정교하고 정기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구축할 필요성도 제기되는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mendment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in 2011, South Korea adopted a new judicial selection system that unified the legal profession. Under the new system, judges are selected from practicing lawyers and prosecutors who exhibit professional competence and good character. In the past, judges were appointed directly from the Judicial Research Training Institute (JRTI) immediately after they became qualified to practice law. To implement the new selection system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design appointment procedures to evaluate the applicants’ ability and character in a fair and objective way. It is also necessary to eliminate factors that discourage applicants from applying―and strengthen factors that motivate applicants―to increase the number of judge applicants. This research analyzes many unreleased reports about the judicial appointment system written by the personnel managers at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order to check if the competency indicators for the judge applicant evaluation are appropriate and if the qualitative indicators are objective and reasonable. Furthermore,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of the new selection system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judicial appointment systems in South Korea, the U.S., the U.K., Germany and Japan through a comparative legal approach. In the process, this research proposes how to improve the new selection system. As to competency indicators, reduction of influence rates of the record at previous examinations such as bar exam or JRTI exams, gradual phase-out of the legal writing skills test, reform of the practical competency-based interview, introduction of interviews based on assessment of practical qualification in the candidate's field of specialization, upgrade of professionality of the committee on document screening process and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reference check are needed. As to qualitative indicators, we recognize that it is required to conduct more objective reference checks.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reference checks, the role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as a referee has to be strengthened and a lawyer evaluation system regularly led by judges needs to be introduced. For more objective reference checks, South Korea should consider establishing an advisory board for judicial appointments at each district or high court. This research condu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urvey data with the help of Mr. Jaehoo Park, a DPhil student in Politics at the University of Oxfor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apply for the role of judge is affected by certain institutional factors. The analyse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at the decision to apply for the role of judge has: (i)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pecta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and the use of the lawyers’ expertise; and (ii)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years of the professional experience and the expectation of childcare. The analyses show, however, results including interaction effects that lawyers who set a higher value on the expectation of a steady income at an advanced age and have a longer career at the same time are more likely to apply for the role of judge. Therefore, in order to attract experienced lawyers, the judiciary needs to provide lawyers with more information about judicial independence, increase influence rates of expertise assessment in the candidate's field of specialization, increase the number of specialized courts and specialized judges, improve welfare policy on the childcare system for judges, and introduce a senior judge program.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dj. R2) is only 0.44, and there could be intercorrelations or interassociations among the explanatory variables (multicollinearity). In addition, there could be data bias given that this research is based upon a one-time e-mail survey rather than systematic quota sampling or random sampling. Therefore, in follow-up studies, it is required to reduce multicollinearity by eliminating overlapping areas among explanatory variables and increase adj. R2 by adding more explanatory variables affecting judge appoint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ccumu late data by conducting elaborate and regular surveys of members of the legal profession, as well as general public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judiciary and laws in order to reduce bias of surveys and to correctly analyze the changing demands of consumers of judicial services. This research can serve as a reference to such follow-up studies.

      • 골리앗 크레인의 구조해석 및 검증

        정경(Jeong-Kyeong Kim),신성환(Sung-Hwan Shin),신유인(Yoo-In Shin),송철기(Chul Ki Song),이용희(Yong-Hee Lee),범근(Bum-Keun Kim),배태한(Tae-han Bae),중문(Joong-moon K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Structure analysis and evaluation of 300ton Goliath Crane was conducted by finite element method. The finite element model which is composed with solid element was receives loads self weight, hoisting motion, crane traveling motion, trolley traveling motion, wind force, and earth quake force, etc. In the research, equivalent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crane were analyzed by ANSYS. Structural safety of crane were confirmed in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