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하학 패턴을 이용한 디자인 코디네이션 연구

        김승혜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하학은 우리 생활 속 곳곳에 여러 가지 형태로 디자인되어 인간의 감성을 풍요롭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하학 모티브의 다양한 변화와 구성을 통해 기하학의 조형 요소를 텍스타일 패턴에 응용하여 코디네이션 적용에 있어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연구로 시도되었다. 기하학(Geometry)은 조형표현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기하학의 기본인 점, 선 그리고 면을 반복적으로 구성하여 가장 단순화 된 형태로 인지되는 전달 효과가 크기 때문에 다양한 패턴을 만들어 단순함, 간결함, 익숙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시각적으로 간결한 특징 때문에 자신의 목적에 따라 변형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다.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의 목표는 미적인 측면과 상징적인 측면이 모두 포함된 ‘이미지 창출’ 혹은 ‘이미지 연출’이라고 설정 할 수 있다. 코디네이션은 눈에 보이지 않는 이미지를 창출해 나가는 것으로 코디네이션을 통하여 이미지의 효과가 돋보이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주어 소재나 형태의 질을 높여주는 효과를 주고 있다. 코디네이션이란 두 종류 이상의 것을 통합하고 조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복잡하지 않거나 통일된 아름다운 세련미가 있는지를 잘 분석해야 한다. 코디네이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첫째, 두 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서로 돋보이게 하거나 조화시킴으로써 전체적인 효과를 상승시키는 색상에 따른 코디네이션을 제시 하였다. 둘째, 서로 다른 문양을 가지고 조화롭게 표현해 줌으로써 의외의 효과를 기대하게 하는 코디네이션을 제안 하였다. 통일감 있는 이미지로 이러한 요소들은 상호 보완적으로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서 이미지 효과를 극대화 시켜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론적 배경을 전반적으로 충분히 연구하고 분석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라 기하학 형태를 응용함으로서 다양한 변화와 구성을 통해 기하학의 조형 요소를 텍스타일 패턴에 적용하여 코디네이션 활용을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 습식 스크러버의 효율 개선을 위한 기-액 물질전달 특성 연구

        김승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22종의 지정악취물질 중 하나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하며, 최소감지농도가 낮아 악취기여도가 높은 편이다. 대부분의 악취방지시설은 흡착 및 흡수시설을 운용하고 있으나,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단순 습식세정만으로 처 리가 쉽지 않고, 오히려 농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개선하는 기술 및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대상으로 한 흡수 분야의 연구가 부 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 상황을 고려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대 상으로 물과 미산성차아염소산수에서의 흡수성능을 평가하고, 가스 흡수에서 중요 한 인자인 기-액 물질전달에 연구하였으며, 습식 세정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유동층 흡수장치를 고정층 흡수장치와의 흡수성능을 비교 연구하였다. 물과 미산성차아염소산수에서의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수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디 스크형 흡수장치를 이용하여 액체 유량에 변화를 주면서 실험하였으며, 높은 액체 유량에서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효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산성차 아염소산수에서 물보다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량이 더 많았으며, 물질전달 또한 물 보다 더 높아 물질전달이 더 증가하였으므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흡수액으로서 활 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와 물을 사용하여 고정층 흡수장치와 유동층 흡수장치에서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흡수 실험을 진행하여 습식세정탑의 성능 개선 가능성을 평가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흡수액인 미산성차아염소산수는 pH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pH 5.8부근에서 최대 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사용할 경우 pH가 높아지거나,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해 주어야 한다. 유동층 흡수장치가 고정층 흡수장치보다 물에서 최대 13.5%, 미산성차아염소산 수에서 최대 7.5%까지 제거효율이 증가하였으며, 충전 높이에 상관없이 유동층 흡 수장치에서의 제거효율이 더 높았다. 또한, 고정층 흡수장치 대비 유동층 흡수장치 에서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량도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물질전달계수 또한 유 동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유동층 흡수장치에서의 가스 속도가 고정층 흡수장치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압력강하 또한 유동층 흡수장치에서 더 높고, 압력요동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또한 가스 유속에 영향을 받아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모든 결과는 유동층 흡수장치 내부의 충 전물질이 가스 유량만으로 격렬히 혼합되면서 난류가 형성되었고 이에 기-액의 경 막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물질전달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흡수액으로 미산성차 아염소산수를 사용하거나 장치 개선방안으로 유동층 흡수장치를 활용했을 때 아세 트알데하이드의 저감하는데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Acetaldehyde is generated from various emission sources and has a high odor contribution due to its low minimum detectable concentration. Most odor prevention facilities operate adsorption and absorption facilities, but when acetaldehyde is treated with simple wet cleaning, the outlet concentration increases, so technology and research to improve it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acetaldehyde in water an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was evaluated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a fluidized bed absorber designed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wet scrubbers was compared with that of a fixed bed absorber. In order to evaluate the acetaldehyde absorption performance in water an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ile changing the liquid flow rate using a disk-type absorber. Confirming that the efficiency is high. As a result of a study using water an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s absorbents in the fixed bed and fluidized bed absorbers, the fluidized bed absorber showed higher removal efficiency, mass flux, and kLa than the fixed bed absorber regardless of the filling height. The pressure drop was also found to be higher in the fluidized bed absorption device and severe pressure fluctuation, which was also confirmed to have in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gas flow rate. As a result of all this turbulence was formed as the filling materials in the fluidized bed absorber were intensely mixed only with gas flow, and the effect of the gas-liquid hard film was minimized, thereby improving material transfer.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was effective in reducing acetaldehyde when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was used as the absorption liquid or when a fluidized bed absorption device was used as a device improvement method.

      •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inger extracts in rats fed a high-fat diet

        김승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강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Sprague-Dawley (SD) 쥐에서 비만과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3주령의 SD 수컷 흰쥐를 네 개의 군(NOR: 일반식이, HFD: 45% 고지방식이, WEG: 고지방식이에 0.8% 생강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 HPG: 고지방식이에 0.8% 생강의 고압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으로 나누어 10주 동안 섭취하도록 하였다. 체중변화를 통해 비만이 유도된 것과 생강으로 인한 항비만 효과를 관찰하였고, 간과 신장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와 식이 및 에너지 섭취량을 측정하였으며 혈액, 간 및 변 지질을 분석하였다. 지방구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서 지방 조직을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HPG군에서는 체중 증가량 및 부고환지방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의 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의 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HPG군에서는 변으로 배출된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HFD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조직을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고지방식이를 먹은 군보다 생강 추출물 섭취군이 지방구의 크기가 작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생강 추출물의 섭취가 혈중 HDL-콜레스테롤 수준을 증가시키고 변 지질을 증가시켜 항 비만 효과를 가져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본 실험에서는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인 PPAR-γ, SREBP1-c, aP2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생강추출물이 비만에 관여하는 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방조직에서 PPAR-γ, SREBP1-c, aP2의 발현은 생강 추출물을 섭취한 WEG군과 HPG군에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또한, 생강 추출물이 비만으로 인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염증성 마커인 TNF-α, IL-6 그리고 MCP1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유전자 발현은 WEG와 HPG군에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생강의 추출물은 체내의 lipid accumulation을 줄이고 변으로의 지질 배출을 증가시켜 항비만 효과를 가져오고, anti-inflammatory related genes의 mRNA expression을 줄여 줌으로써 비만으로 유도된 염증 반응을 개선하는 것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ginger(WEG)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extract of ginger(HPG) in rats fed a high-fat die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NOR group fed a normal diet, HFD group fed a high-fat diet, WEG group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0.8% WEG and HPG group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0.8% HPG for 10 weeks. Ginger treated groups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compared to HFD group(P<0.05). Rats supplemented with HPG showed lower serum triglyceride compared to those of HFD group(P<0.05). WEG and HPG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mpared to those of HFD group in liver(P<0.05). In feces HPG increased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compared to HFD group(P<0.05). Also, HPG down-regulated mRNA expression of genes such as TNF-α, IL-6 and MCP1(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ginger extracts might improve lipid metabolism through decreasing hepatic triglyceride and promoting fecal triglyceride excretion and might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down-regulating genes expressions which were induced by obesity.

      • 설학 이대기 연구

        김승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Seolhak Lee dae-gi (雪壑 李大期 : 1551~1628) is a literator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e lived in Chogye, Hapchoen and learned from Suwoodang Choi Yeong-gyeong[守愚堂 崔永慶] and Naeam Jeong Inhong[來庵 鄭仁弘] who succeeded the academic line of Nammyeong Jo Sik[南冥 曺植]. He did a lot of academic reading with other literators such as Yeok-yang Mun Gyeongho and Busa Seong Yeosin. He enlarged his academic realm by writing and exchanging poetry and prose with them. He focused on preserving the spirit and study of Nammyeong. Additionally,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he was a commander of loyal troops. He is a senior in Jungbuk[中北] and the person who gave effort to succeed the spirit of Nammyeong. He distinguished himself not only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a commander of loyal troops, but also during the exile caused by Gyechuk administration of the major criminal cases[癸丑獄事]. The structur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Ⅰ state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Ⅱ investigates his life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upils. Chapter Ⅲ examines his succession of the spirit of Nammyeong according to the basis of respect[敬] and justice[義] and his role in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 The role as a leader of Jungbuk[中北]. Lastly, chapter Ⅳ summarizes the study and wraps it up.

      • RME이론을 기반으로 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방식과 기울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김승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09년부터 시작되는 개정된 7차 교육과정 수학과 목표에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새롭게 추가된 사실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과 가치가 크게 부각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이해한 개념을 표현하는데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의사소통방식이 사용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의사소통과정을 분석해봄으로써 어떤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이 일어나는지,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RME를 기반으로 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의사소통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수업현장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MiC교재를 가지고 수업을 하고 수업전사본과 활동지, 설문조사 결과 및 반구조화된 사전&#8228;사후 면담결과를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학생들의 의사소통과정을 수학적 의사소통방식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어느 한 방식이 편중되지 않고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활동이 학습과정 전반에 걸쳐서 골고루 강조되었으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활동을 유도하였다. 둘째, 이러한 활동들은 동시에 이루어졌는데 단독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학생들은 다양한 수학적 표현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인식하였고 자신의 의견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수학적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들을 토대로 수학적 의사소통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첫째, 학생들의 반응은 점차 다양하고 세밀해지고 의견제시-정당화-반박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기울기, 평행이동, 직선의 그래프 등 일차함수의 개념들을 자연스럽게 학습해나갔다. 둘째, 연구초기에는 주로 교사와 개별학생과의 대화가 이루어졌으나 점차 학생들 간의 대화로 바뀌었고 문제 상황에 따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공동체적 사고를 중시하였고 문제 상황과 그와 관련된 배경지식을 염두에 두면서 수학에 점차 흥미를 가졌고 수학을 문제해결의 도구로써 자연스럽게 인식하였다. 넷째,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불완전하게 형성된 기울기개념을 수정하였고 우리교과서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는, 또 다른 측면에서의 기울기 개념을 이해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과정을 이해하고 교사의 역할, 교재의 특징, 수업방법의 세 가지 측면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와 함께 후속연구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우리 실정에 맞는 열린 교과서의 개발과 진정한 수학적 개념이해를 위해 수학적 의사소통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사례연구가 될 것이다. Recently, with research being actively conducted i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starting in 2009, the reformed 7th curriculum mathematics department's newly added objectiv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it could be said that the importance and valu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is being heavily stressed. Additionally, because the communication style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re used in both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expressing learned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analyzing students' communication processes we can see what aspects of learning meaningful to students is taking place and when students are correctly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In this contex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dopt th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on site educa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rough examining the student communication processes that occur in an RME based class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at communication in depth.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class using MiC materials and performed qualitative analysis on male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at centered on class transcripts and worksheets, questionnaire results, and semi-structured before and after interviews. The first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communication processes according to their mathematical communication styles showed that emphasis was not placed on any one style; with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spread over the first half of the learning process and evenly emphasized, students were lead through constructive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activities. Secondly, these activities were accomplished in a mutually complementary way, done at the same time as opposed to completed on their own. Thirdly, students used mathematical expressions as a means to justify their own opinions and naturally became aware of the necessity of a variety of mathematical express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s process are as follows: (1) Students' responses naturally went along with learning the concepts of slope, parallel translation, and the straight line graph, gradually becoming more varied and more detailed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opinions, justifications, and contradictions. (2)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conversations were usually carried out between instructors and individual students, however those were slowly changed to conversations among students and, depending on the problem,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3) Students gradually took an interest in math and naturally recognized math as a tool for solving problems, placing importance on the community setting while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problem and its relationship to background information. (4) Through interaction among students, students corrected the incompletely formed slope concept which is dealt with carelessly in our textbook and understood yet another aspect of the concept. An analysis of this study's results provides realistic implications for quality improvements in on site education through presenting a method to activate mathematical communication by way of three classroom methodologies: (1) understanding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processes, (2) the role of the instructor, and (3)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materials. Along with what is proposed in subsequent research, this will become a case study showing the need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r the sake of the development of useful textbooks matching our actual circumstances and truly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 유아기 우식증이 어린이의 신장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김승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 우식증은 유아와 어린이에 생긴 우유병 우식증 및 다발성 우식증을 포함한 좀 더 포괄적인 명칭으로, 이전 연구들에서 유아기 우식증이 어린이의 신체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바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우식증이 어린이의 신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대 별로 평가하는 것으로, 신체 성장 평가 지표로 신장과 체중을 사용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를 유아기 우식증에 이완된 실험군과 이완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환자의 연령을 12개월 단위로 나누고, 각 연령대 별로 유아기 우식증이 어린이 신장과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연령별 성장 백분위수 분포도를 비교하기 위해 2007년 대한민국 질병관리본부에서 공포한 표준성장도표를 사용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표준 신장 및 체중을 비교하기 위해 two-sample T test를 사용하였고, 두 그룹 간의 성장 백분위수 분포도를 비교하기 위해 likelihood ratio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과 ECC군 사이의 평균 신장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남자에선 치료받지 않은 우식 치아가 10개 이상인 Group 1(12-23개월)에서만 관찰되었다. 반면 여자의 경우 우식 치아 개수와 상관없이 모든 Group 3(36-47개월)에서 평균 신장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었고(p<0.05), 우식 치아 개수의 기준이 증가할수록 평균 신장 차이는 증가하였다. 대조군과 ECC군 사이의 평균 체중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남자와 여자 모두 Group 4(48-59개월)에서 나타났고(p<0.05), 여자의 경우 Group 5(60-71개월)에서도 우식 치아 개수가 1이상과 5이상인 군에서 평균 체중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평균 신장의 차이가 나타났던 여자 Group 3의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신장의 백분위수 분포도는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평균 체중의 차이가 나타났던 여자 Group 4와 Group 5에서도 체중의 백분위수 분포도는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였다. 이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성장 부전의 기준인 3 percentile 이하의 성장이 더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대조군과 ECC군 사이의 평균 신장 및 체중의 차이를 관찰해볼 때 남자와 여자 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으로 통계학적 유의성이 항상 나타나진 않으나 만 3-4세를 기준으로 연령이 어릴수록 ECC군의 평균 신장 및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며, 만 3-4세 이후 ECC군의 평균 신장 및 체중이 오히려 대조군에 비해 작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ECC군 남자 평균 체중을 제외한 다른 모든 경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기 우식증이 어린이의 신체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연령에 따라 유아기 우식증에 의한 영향이 다른 형태로 나타남을 추측할 수 있었다.

      • 안무가의 작품 창작과정에서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승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19가 장기화로 진행되면서 많은 사람이 우울감과 불안감 등의 정신적인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예술가에게도 해당하는 문제였다. 특히, 예술가 중 안무가의 경우 다양하고 복잡한 감정이 스스로를 갉아먹기도 하지만 감정을 작품으로 치환하는 과정에서 성장과 성숙을 경험하기도 한다. 또한,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창조성이 발휘되기도 한다. 그렇기에 예술가의 창작과정에서 심리적인 감정을 감정이입을 통해 긍정적으로 환기했던 과정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각에서 현상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이론적 기반을 확고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안무가의 창작과정 경험을 탐색하여 창작 요소의 동기, 태도, 능력, 기법에서 일어나는 감정의 인식 요인과 과정 그리고 인식된 감정의 활용 방식 등에 관하여 질적 사례 중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안무가의 창작과정에서의 감정이 인식되는 것에 미치는 요인을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과정의 흐름과 창작과정 속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무가의 창작과정에서 감정의 인식 과정을 살펴본 결과, 선택한 주제나 움직임의 목적에 따라 내재적인 방식과 외재적인 방식으로 나누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그 속에서 다양한 동기, 태도 그리고 기법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에 따르는 각각의 감정이 인식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움직임을 구성하기 위해 감정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자율적인 방법과 통제적인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안무가가 선택한 기법에 따라 인식되는 감정의 형태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안무가의 실질적인 감정이입을 이루는 과정을 살펴본 결과, 본인의 감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크게 주제 의식 및 설계 단계 과정과 움직임 탐구 및 실현 단계 과정에서의 감정을 나누어서 인식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주제 의식 및 설계 단계에서는 귀납적인 과정과 연역적인 과정을 통해서 본인의 감정을 설정하며, 움직임 탐구 및 실현 단계에서는 감정을 포괄하거나 통제하며 작품 내에서 감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안무가의 창작과정에서 감정을 승화하는 방식을 살펴본 결과, ‘목적으로서 감정 승화’와 ‘수단으로서 감정 승화’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안무가는 창작과정 자체에서 내외적으로 감정이 승화하거나 감정을 하나의 창작과정을 이루기 위한 도구로서 승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안무가가 감정의 주체로서 중점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안무가 측면의 감정과 관객 측면의 감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안무가들의 감정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그 속에 감정을 대하는 방향성과 태도를 통해 미세한 차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안무가들이 창작과정에서 감정이 어떠한 역할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안무가들의 감정이입 과정은 예술 창작에 대하여 본질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며, 창작과정에서 더 깊이 있는 탐색을 도와주는 하나의 요인으로 발전할 것이기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향후 본 연구에서 부족했던 부분들이 보완되어 안무가들의 감정에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