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효과

        신희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온라인 수용전념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대학교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9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수용행동질문지(AAQ-16), 자기통제력 척도(SCS), 자아존중감 척도(RS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APS-A)이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Screen Time)을 추가로 적어 제출하도록 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용행동, 자기통제력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각된 스트레스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웰빙인지목록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은미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인지목록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긍정정서, 낙관성, 삶의 만족, 삶의 기대 및 스트레스 반응, 부정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 대학의 2011년도 대학신입생들로서 프로그램참여를 희망하고, 연구자가 설정한 3가지 기준에 모두 부합된 총42명으로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1명씩(기숙사거주 21명, 서울 자가 21명) 무선할당 하였다. 웰빙인지목록 프로그램은 1주일에 1회기씩 총 5회기가 진행되었으며, 1회기 당 진행은 약 6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은 모두 같은 시기에 사후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부정기분 조절기대 척도, 긍정 정서 척도, 낙관성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삶의 기대 척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 부정 정서 척도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웰빙 및 스트레스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 점수에서 사후 점수를 뺀 차이 점수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기분 조절기대 [t(38) = -6.318, p<.001], 긍정 정서 [t(38) = 3.370, p<.01], 낙관성 [t(38) = -5.188, p<.001], 삶의 만족 [t(38) = -4.307, p<.001], 삶의 기대 [t(38) = -4.960, p<.001] 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스트레스 반응 [t(38) = 6.177, p<.001], 부정정서 [t(38) = -.55, p<.01]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웰빙인지목록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웰빙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on increasing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well-being, and managing stres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2 first yea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experimental group, n=21) and the control group (comparative group, n=21).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completed 5 weeks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program that included education sessions, and the writing of diaries at least two times a day. It took about 60 minutes per session. Measure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NMRE), Positive Affect, Life Orientation Test-Revised(LOT-R),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LSES),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Negative Affect. t-test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difference value of pre-post score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scores of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38) = -6.318, p<.001], Positive Affect [t(38) = 3.370, p<.01],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t(38) = -5.188, p<.001], the Satisfaction With Life [t(38) = -4.307, p<.001],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38) = -4.960, p<.001] in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t(38) = 6.177, p<.001], Negative Affect [t(38) = -.55, p<.01] in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can be an effective techniques to promot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well-being and stress reduction for frist year female college students.

      • 한국 성인 여자 vitamin B_(6)의 영양상태와 영양권장량 평가

        김영남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 성인 여자의 vitamin B_6 섭취실태 및 영양상태를 측정한 후, vitamin B_6 한국 영양권장량을 평가하고 혈장 pyridoxal 5'-phosphate(PLP)의 농도와 혈중 생화학 지표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1. 건강한 20-26세 한국인 성언 여자 218명을 대상으로 vitamin B_6 섭취량 측정과 주요 급원식품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일 평균 vitamin B_6 섭취량은 0.987±0.390mg/일이었으며,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약 70%에 해당하였다. 섭취단백질에 따른 vitamin B_6 섭취량의 평균비율은 0.014±0.004mg/g 단백질이었으며, 0.02mg/g 단백질 이하 섭취한 대상자는 전체의 약 91%였다. Vitamin B_6 섭취량은 다른 모든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p<.01-p<.00l), 동물성 단백질이 식물성 단백질보다 vitamin B_6 섭취와 더 상관관계가 높았다. 전체 vitamin B_6의 32%를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68%를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섭취하였다. Vitamin B_6 주요 급원식품은 돼지고기, 쌀, 마늘, 양파, 감자, 바나나 등이였고, 조사된 주요 급원식품 중 상위 1O개 식품으로부터 vitamin B_6 총 섭취량의 64%를 섭취하였다. 2. Vitamin B_6 한국인 영양권장량을 평가하고 vitamin B_6 영양상태와 혈중 생화학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20-26세 한국인 성인 여자 49명을 대상으로 vitamin B_6 영양상태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일일 vitamin B_6 섭취량은 0.86±0.289mg/일 였으며,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61.43%였다. 섭취한 단백질에 따른 vitamin B_6 섭취의 평균 비율은 0.014±0.003mg/g 단백질이었다. 전체 섭취한 vitamin B_6 중 동물성 식품에서 34%, 식물성 식품에서는 66%를 섭취하였다. Vitamin B_6 섭취는 vitamin C를 제외하고 다른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l-p<.00l), 혈장 PLP 농도와 영양소 섭취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Vitamin B_6 섭취량과 혈장 PLP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양의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 혈장 PLP 농도는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5), 총 단백질, 혈당 및 중성지방, 알부민 농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vitamin B_6의 권장량보다 더 적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섭취 단백질에 따른 vitamin B_6 섭취량의 평균 비율은 0.014±0.003mg/g 단백질이었다. 한국 성인여자의 경우 vitamin B_6 섭취를 주로 식물성 식품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책정되어 있는 한국 성인 여자의 vitamin B_6 권장량 0.02mg/g 단백질, 1.4mg/일이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dietary vitamin B6 intake and its food sources and to assess the vitamin B6 status of Korean young women and then to evaluate the present Korean RDA for vitamin B6 and observe any interrelation between plasma PLP concentration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1. The dietary vitamin B6 intake of 218 Korean young women (aged 20-26y), who had no health problems, and their sources were estimated using a modified Korean vitamin B_6 database. The average daily vitamin B_6 intake was 0.987mg for the subjects. About 87% of the subjects consumed less tha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of vitamin B_6. The average ratio of vitamin B_6 intake to daily protein intake was 0.014mg/g protein, and approximately 91% of subjects consumed <0.02mg/g protein. Vitamin B_6 intake was significantly (p<.0l-p<.001)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Between animal and vegetable protein, animal protein had a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min B_6 intake. Foods from animal and plant sources provided 32% and 68%, respectively, of the total vitamin B_6. Ma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_6 in Korean young women were pork, rice, garlic, onion, potatoes, and banana. As for ma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_6, the top 10 foods provided nearly 64% of total vitamin B_6. 2. The vitamin B_6 status of 49 healthy young women (aged 20-26y) was estimated for evaluation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for vitamin B_6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vitamin B_6 status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The average daily vitamin B_6 intake of the subjects was 0.86mg/d and 61.43% of Korean RDA. The average ratio of vitamin B_6 intake to daily protein intake was 0.014±0.003mg/g protein. Foods from animal and plant sources provided about 34% and 66%, respectively, of total vitamin B_6. Vitamin B_6 intake was significantly (P<.01-P<.001) positively correlated to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except vitamin C.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lasma pyridoxal 5'-phosphate (PLP) and nutrient intake. Vitamin B_6 intake only tend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sma PLP concentration. Total cholesterol was correlated to plasma PLP concentration(P<.05). Plasma PLP had no correlation with levels of total protein glucose, triglyceride, and albumin. Vitamin B_6 intake of the subjects in these studies was lower than Korean RDA for vitamin B_6 and the average ratio of vitamin B_6 intake to daily protein intake was 0.014±0.003mg/g protein. The young women in these studies obtained more than 65% from plant sourc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present Korean RDA for vitamin B_6 of 1.4mg/d based on 0.02mg/g protein is adequate.

      • 부모의 양육태도와 남녀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적 역할

        임다인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influence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ego resilience on prosocial behavior of male and female children, and the influence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on ego resilien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if ego resilience plays a mediator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riented to 272 male and female children of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for parental rearing attitude, this study used the scale of Lim Seon-hwa (1987) which modified and summarized the repeated questions presented in the scale of Oh Seong-shim and Lee Jong-seung (1982). As for ego resilience of female and male children, it counted on the scale of Park Eun-hee (1996). To understand the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scale of Jung Hee-won and Kim Gyeong-yeon (2005). For the basic analysis, this study carried out t-test and compute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PPMCC), and conducte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 male child showed higher prosocial behavior when his fa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ffectionate, autonomous and rational. On the other hand, a female child demonstrated higher prosocial behavior when her fa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utonomous and achievable. Moreover, a male child showed higher prosocial behavior when his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ffectionate, autonomous, achievable and rational, while a female child displayed higher prosocial behavior when her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utonomous and achievable. Secondly, a male child showed higher prosocial behavior when hi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vitality in ego resilience were higher. On the other hand, a female child presented higher prosocial behavior when h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optimism in ego resilience were higher. Thirdly, a male child display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vitality in ego resilience when his fa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ffectionate. On the other hand, a female child demonstrat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optimism in ego resilience when her fa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utonomous, and showed higher vitality and optimism when her fa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chievable. Furthermore, a male child present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 vitality and optimism in ego resilience when her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ffectionate. When her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chievable, a male child manifest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vitality in ego resilience. A female child showed higher optimism in ego resilience when her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utonomous, and exhibit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vitality in ego resilience when her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more achievable. Lastly, interpersonal relations in ego resilience played a partial a mediation role between father's rearing attitude of autonomy-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of the child. On the other hand, optimism in ego resilience played a partial a mediation role among father's autonomy-control, rearing attitude of achievement-non-achievement and prosocial behavior of a female child. Moreover, interpersonal relations in ego resilience played a partial mediation role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of achievement-non-achievement and prosocial behavior of a male child. Vitality in ego resilience played a partial a mediation role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of achievement-non-achievement and prosocial behavior of a male child. Also, optimism in ego resilience played a partial mediation role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of autonomy-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of a female child.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at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ego resilience gave important influences on prosocial behavior of male children. Moreov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ego resilienc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prosocial behavior of male children, by discovering that ego resilience played a mediation role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prosocial attitude of male children. The research results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rearing attitude of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 and imply the necessity of education aiming at improving positive rearing attitude and ego resilience of children.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탄력성이 남녀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자아탄력성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남녀아동의 친사회적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272명의 남녀 아동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오성심 ,이종승(1982)의 척도를 반복되는 문항을 간추려 수정한 임선화(1987)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남녀아동의 자아탄력성은 박은희(1996)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남녀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은 정희원 ,김경연(2005)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기초분석을 위해 t-test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아동은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이며 합리적일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았고 여자아동의 경우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율적, 성취적일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았다. 또한 남자아동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았고 여자아동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 성취적일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았다. 둘째, 남자아동은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와 활력성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았고 여자아동은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와 낙관성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았다. 셋째, 남자아동은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와 활력성이 높았고 여자아동은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와 낙관성이 높았으며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성취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중 활력성과 낙관성이 높았다. 또한 남자아동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 활력성, 낙관성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성취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 활력성이 높았다. 여자아동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중 낙관성이 높았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성취적일수록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 활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는 아버지의 자율-통제 양육태도와 여자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 중 낙관성은 아버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양육태도와 여자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 중 대인관계는 어머니 성취-비성취 양육태도와 남자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 중 활력성은 어머니 성취-비성취 양육태도와 남자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 중 낙관성은 어머니 자율-통제 양육태도와 여자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탄력성은 남녀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남녀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이 남녀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가 자녀에게 취하는 양육태도에 대한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긍정적인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아탄력성 신장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정독(精讀)』에 대한 연구 : 중국 하얼빈 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호금평 덕성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요약 국어국문학과 호금평 이 논문은 중국 소재 대학교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인 『정독』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어학과 『정독』은 한글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자음과 모음의 정확한 글자 모양과 발음을 익힌 후 기초적인 문법과 실생활에 필요한 언어 표기, 말하기 등을 학습하는 것으로 구성된 수업이다. 제1장에서는 『정독』 과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선행연구 검토,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국 하얼빈 지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학과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한국어학과가 개설된 하얼빈 지역의 대학교들의 한국어학과 개설년도, 졸업생 수, 학제, 교사의 수 비교 및 그 특징을 통하여 살펴 본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정독』이 어떤 과목인지 설명하고 현재 중국내 대학교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또한 하얼빈 지역 대학의 한국어학과 『정독』의 교재 현황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 대상은『표준한국어』, 『한국어교정』, 『기초한국어』 3가지 교재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전체적인 구성과 단원별 구성, 교재의 내용을 비교하면서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교재의 내용에 대한 분석은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 발음 부분에 대한 분석, 본문 부분의 주제에 대한 분석, 제시한 문법에 대한 분석이다. 제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내 대학교에서의 한국어학과 종합 과목인 『정독』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과 함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개선 방안 과 교재의 새로운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여러 학자와 전문가들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과 다양한 교육방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 수정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정독』 과목의 교재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재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 종합 과목인 『정독』에 대하여 알아보고, 『정독』 과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정독』의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ABSTRACT A study about 『Jeongdok(精讀)』 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Based on universities in Harbin in China- Ho Geum-pyeong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This study is about 『Jeongdok (intensive Reading)』 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n universities in China. The course『Jeongdok』of Korean major is the class where exact shape of letter and pronunciation of vocal and consonant and the basic components of Hangeu, are learned and basic grammar, language writing, and speaking necessary in real life are learned. Chapter 1 describes the need and purpose of research on 『Jeongdok』,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research subject and method. Chapter 2 compares opening status f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Harbin, China,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Opening year, number of graduates, school system, and number of teacher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Harbin, China, are compar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Chapter 3 explains about what『Jeongdok』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s and deals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universities in China. Also, the teaching material status of 『Jeongdok』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n universities in Harbin. The subject of analysis was 『Standard Korean』, 『Korean Language Proofreading』, and 『Basic Korean』. Their overall format, composition by chapter, and content of textbook were compared and pros and cons of them were analyze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extbook was divided into analysis on pronunciation, theme of text, and presented grammar. And based on above contents, Chapter 4 suggests improvement plan for educational course,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dification plan for textbook of『Jeongdok』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in universities in China. In this study,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suggested based on experience of educational field in Korea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 addition, textbook modification plan was suggest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of students through analysis of the『Jeongdok』 cours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china to look into 『Jeongdok』 the basic course of Korean major and improve overall education course of 『Jeongdok』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 대학생의 포커싱적 태도가 사회정서역량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 사회정서역량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포커싱적 태도, 사회정서역량,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포커싱적 태도가 사회정서역량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으로 서울 및 경기 등 소재지의 대학교에 재적 중인 대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판 포커싱적 태도 척도 개정판, 사회정서역량 질문지, 한국판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 사회정서역량,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포커싱적 태도가 사회정서역량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 ‘알아차리기’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여유갖기’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사회정서역량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관계관리’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자기관리’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사회정서역량의 자기관리는 예체능계열이 인문사회계열보다 높았다. 포커싱적태도의 여유갖기와 사회정서역량의 자기관리는 만 25세 이상이 만 24세 이하보다 높았다. 포커싱적 태도의 되새겨보기는 주관적 경제 수준의 중위가 하위보다 높았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문제해결 중심은 상위가 하위보다 높았다. 둘째, 포커싱적 태도와 사회정서역량,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 포커싱적 태도와 사회정서역량,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포커싱적 태도가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알아차리기가 높아지면 자기인식, 자기관리, 관계관리가 유의미하게 낮아지고, 여유갖기가 높아지면 자기관리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현하기가 높아지면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 전체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되새겨보기가 높아지면 자기관리가 높아졌으며, 받아들이기가 높아지면 자기인식과 책임있는 의사결정이 높아졌다. 포커싱적 태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 중 알아차리기가 높아지면 문제해결 중심이 유의미하게 낮아지고, 회피 중심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여유갖기가 높아지면 문제해결 중심, 회피 중심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표현하기가 높아지면 사회적 지지추구와 문제해결 중심은 유의미하게 높아지고 회피 중심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되새겨보기가 높아지면 문제해결 중심과 회피 중심이 높아졌으며, 받아들이기가 높아지면 사회적 지지추구와 문제해결 중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focusing manner,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focusing manner,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and to reveal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To this end, 445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etc. were surveyed online using the revised version of the Korean Focusing Manner Scale,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the Korean Coping Strategy Indicator.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focusing manner,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focusing manner,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women were higher in ‘awareness' than men, and men were higher in ‘keeping one’s composure' as a sub-factor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manner. Women were higher in ‘self awareness',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hile men were higher in ‘self management'. In ’self managemen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s was higher than the humanities and social majors. In ‘keeping one’s composure’ of focusing manner and ‘self managemen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more than 25 years old’ was higher than ‘under 24 years old’. In ‘reflecting attitude' of focusing manner, the median level of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higher than the lower level, and in ’problem solving’ of the stress coping strategy, the higher level was higher than lower leve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each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focusing manner,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y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sub-factor. Third,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significant, and by sub-factor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and ‘relationship management’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awareness’ of focusing manner increased. It has been shown that ‘self management’ increases significantly as ‘keeping one’s composure’ of focusing manner increased.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express’ increases, the whole sub-factor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y increase significantly. The higher ‘reflecting attitude' causes the higher ‘self management', and the higher ‘accept' leads to the higher 'self awareness' and ‘responsible decision making'. The effect of focusing manner on the stress coping strategy was significant, and by sub factor, increasing ‘awareness’ of focusing attitude significantly lowered ‘problem solving’ and the significantly increased ‘avoidance’. Higher ‘keeping one’s com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roblem solving’ and ‘avoidance’, while higher ‘express’ significantly increased ‘social support seeking’ and ‘problem solving’, and significantly lowered ‘avoidance’. As ‘reflecting attitude' increases, the higher ‘problem solving' and ‘avoidance’ has increased, and as ‘accept' increases, the ‘social support seeking' and ‘problem solving' increas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research suggestions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포커싱적 태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하 德成女子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 포커싱적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과 포커싱적 태도 간의 차이를 살펴보며,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으로 대학생 679 명에게 한국판 포커싱적 태도 척도 개정판(Korean Focusing Manner Scale-Revised: KFMS-R), 단축형 행복 척도(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안녕감, 포커싱적 태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학적 변인들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과 포커싱적 태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포커싱적 태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커싱적 태도,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삶의 만족도는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 알아차리기와 되새겨보기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받아들이기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긍정 정서는 받아들이기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정 정서는 여유 갖기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되새겨보기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 전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에서만 나타났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 태도 전체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은 알아차리기, 표현하기, 받아들이기는 여자가 더 높았으며, 여유 갖기와 되새겨보기는 남자가 더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집단의 차이는 여유 갖기에서만 유의미하다. 대학생의 연령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 전체에서 연령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연령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 태도 전체와 하위요인에서는 연령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 전체,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에서는 학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인 부정 정서에서는 학년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 태도 전체와 하위요인에서는 연령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 간에는 전공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 태도 전체와 하위요인에서는 전공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 중 되새겨보기와 받아들이기는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이다. 연구결과 포커싱적 태도가 높은 대학생은 주관적 안녕감이 높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하여, 포커싱적 태도를 상담이나 교육 등을 통하여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포커싱적 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cusing manner,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Focusing manne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and Focusing manner on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study, 679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Korean Focusing Manner Scale-Revised(KFMS-R),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on-li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cusing manner and subjective well-be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Focusing manne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d One-way ANOVA.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Focusing manner on subjective well-be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btained by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consequence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acceptance, Focusing manner and subjective well-being, Self-accept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 Self-accept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ress, composure sub-factor of Focusing manner. Life satisfaction sub-factor of subjective well-be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ware and reflect sub-factor of Focusing manner,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ept. Positive emo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ept sub-factor of Focusing manner. Negative emo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posure sub-factor of Focusing manner,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fl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gender of college students, the score of mal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 all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score of femal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in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ppeared only in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ocusing manner according to the gender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Focusing manner as a whole. The subordinate factor of Focusing manner was higher in women who were aware, express, and accept, and men who were keep one's composure and accept. Differences in group according to gender are significant only in the keep one's compos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age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as a whol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b-factors such as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ocusing manner according to the age of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ges and the Focusing manner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grade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sub-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was significant in negative emo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ocusing manner according to the grade of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and the Focusing manner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major of colleg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nd sub-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ocusing manner according to the major of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and Focusing manner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consequence of analysis the effect Focusing manner sub-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Reflect and accept sub-factor of Focusing manner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sub-factor of subjective well-being. As a result of study, college student who had high Focusing manner showed high subjective well-being. In this regard, focusing on the Focusing manner through counseling and education, and improving overall Focusing manner, it will help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연결 어미 비교 연구 : 의미를 중심으로

        김민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대학 기관에서 발간한 한국어 교재의 연결 어미 중 다의 연결 어미의 교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각 급수별 연결 어미 목록을 정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학교에 등록된 외국학생 수는 10만 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유학생들이 한국어 교육을 받는 대학교 부설기관 중 85개 기관은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한 <서울대 한국어>를 수업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또 일부 대학은 자체적으로 교재를 개발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학생의 연결 어미 사용 오류 및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가 연결 어미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대학 기관에서 개발된 한국어 교재에서 찾고자 하였다. 또한 국립국어원에서 국외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세종한국어>의 개정판을 연구 범위에 포함하여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와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교재에 제시된 연결 어미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의 의미와 대조하여 누락된 의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교재마다 연결 어미를 어떤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며, 학습자에게 어떠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지 표를 통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국립국어원(2005)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어떤 의미의 연결 어미를 주로 교수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교재들에서 공통적으로 교수하지 않는 연결 어미의 의미를 정리한 후 통합 교재/문법 교재/세종한국어로 나누어 급수별 누락된 연결 어미 목록을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결 어미들을 의미별로 분류하여 기존의 교재들이 특정 연결 어미를 어떤 급수(단계)에서 제시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연결 어미의 제시 순서를 제안하고 있으나 개별 연결 어미의 중요도나 사용 빈도를 정리하여 우선순위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대학 기관에서 개발한 교재에서 제시된 연결 어미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는 점, 대학교 교재들에 제시된 연결 어미 목록을 정리하여 제시 순서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