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드러난 산수화의 미적 인식과 방법 연구

        김순섭 한국서예학회 2024 서예학연구 Vol.44 No.-

        이 논문은 곽희(郭熙)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나타난 산수의 미적 인식과 산수화 표현 방법을 북송 리학(理學)의 철학적 사유의 배경으로 연구한 것이다. 특히 송대에 산수화가 발전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예술 취미와 심미관이 앞 시대와 달라졌고 이는 문인화의 출현과 송대 리학이 사회적으로 깊게 퍼져 나가던 시대정신과 연관이 있다. 곽희는 화원 화가이지만, 학식이 높았고 또 많은 문인과 교류하여 당시 지식인이 주장하는 시대정신인 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임천고치』에 드러난 산수의 미적 인식은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것에 의해 자연을 재현하는 사실적 그림이 아니라 자연의 변화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통해 이성과 감성이 결합된 천인합일로서 최고의 선(善)임과 동시에 최고의 미인 천리(天理)로 표현되었다. 이것은 우주론(宇宙論)을 인성(人性)의 본질로 인식하는 미적 인식이며 격물치지(格物致知)와 같은 학문 단계와 수양을 요구하여 궁극적으로 도(道)를 드러내는 것으로, 회화를 한 차원 높게 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산수화 표현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사물을 격물 후에 산의 정수를 궁리하여 시의(詩意)로 초월적 사유와 또는 자연을 유기체의 순환 운동으로 여겨 산수화를 생기(生氣) 있게 드러내는 자성(自性)의 미를 표현하는 것이다. 둘째, 산수를 가까이서 보거나 멀리서 관찰하여 세(勢: 산의 기세)와 질(質: 산의 본질)을 얻고 산의 앞뒤 옆면을 깊이 관찰한 방식은 삼원(三遠:고원, 심원, 평원)을 통한 시간과 공간확장이다. 이에 따라 대상이 고정되는 병폐를 극복하고 움직임을 주어서 변화를 생겨나게 하고 생기가 넘치게 하여 마치 실제로 산수에 있는 것처럼 실체가 되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인물화에서 중시된 기운(氣韻)이 산수화에도 적용된 것이다. 아울러 운필과 먹 사용의 이치(理致)적 원리는 문인화가 활성화되게 하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으며 산수화 생기의 자연미가 화조화까지 확대되는 역할도 하였다.

      • KCI등재

        예찬의 ‘일기(逸氣)’ 회화 미학 소고

        김순섭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2 No.-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Yuan dynasty artist Ye Chan(倪瓚: 1301~1371)'s 'Ilgi(逸氣)’, which implies his artistic idea. The basis of his artistic idea implies period background, philosophy, feelings about life, experience of life, and mental boundary including space view. Of course, this Ilgi is not a mere aesthetic system created by Ye Chan, but indicates the artist's mental world, moral cultivation, and a certain character of artist by gradually being infiltrated into the literature starting from Wei Qin Dynasty character evaluation, furthermore, went forward artistic spirit by being derived from the spirit of morality, such as Hoyeonjigi(浩然之氣), Jeonggi(精氣). Therefore, Ilgi was regarded as the highest personality type and artistic character by the classic literary noblemen. During the period when Ye Chan lived, lots of change occurred in various fields when Mongolia defeated South Sung and unified China. Particularly, Ye Chan was mentally shocked greatly to encounter complex social reality such as inequality between peoples,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culture, ideological dispute between Buddhism and Taoism, and abolition of state examination, etc. Ye Chan lived a hermitic(隱逸) life due to his inner tendency, period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escaping from this corrupt reality, and found peace of mind in such hermitic life. He created Ilgi which combined Cho-il(超逸), Bang-il(放逸), and Go-il(高逸) dignity, life experience boundary that cultivated his mind, this Ilgi was the expression of the highest character from the highest personality. Ye Chan's philosophical cause was created when he escaped from all name and fortune and restriction by being separated from the world in the boundary of life experience when he entered into Zen in reliance on Confucianism and Taoism, particularly while living in hermitic(隱逸) life that had been formed in his latter years. Especially, aesthetic characteristic of Ilgi was Ja O(自娛)'s Ilgi, which was Ja Seong's idea, who expressed one's mind through the spirit that strolled(逍遙遊) through independence of the individual and freedom of self due to the influence of Taoism and the Zen sect. The technique that best expressed his idea, enlightenment, and emotion was Ilpilchocho(逸筆草草) Ilgi. Lastly, landscape painting expressed with Cheonjinpyungdam(天眞平淡), stroked with Ye Chan's Hyungjung Ilgi was a matchless aesthetic piece. 본 논문은 원대 화가 예찬(倪瓚: 1301~1371)의 ‘일기(逸氣)’에 대한 미학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예찬의 일기는 그의 예술사상을 함축하고 있다. 그의 예술 사상 근원에는 시대적 배경과 철학, 인생에 대한 느낌, 생명에 대한 체험, 우주관이 포함된 정신적 경계가 함축되어 있다. 물론 이 일기는 예찬이 만들어낸 미학체계가 아니라, 위진 시대 인물품평에서 시작하여 차츰 문학 속에 스며들어 예술가의 정신세계와 도덕 수양, 예술가의 어떤 기질이 형성된 것을 가리키며 나아가 호연지기(浩然之氣), 정기(精氣)인 도덕의 기(氣)로부터 파생되어 예술의 기로 나아갔다. 그리하여 일기는 고전 문인사대부들에 의해 최고 인격형태와 예술 풍격으로 간주되었다. 예찬이 살았던 시대는 몽골이 남송을 멸하고 중국을 통일하자 여러 방면에 많은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특히 민족 간의 불평등, 남북문화의 대립, 불교와 도교의 사상적 논쟁, 과거제 폐지 등 복잡한 사회현실을 마주한 예찬은 커다란 정신적 타격을 받았다. 이러한 혼탁한 현실로부터 예찬은 자신의 내적 성격과 시대적 환경 생활환경으로 은일(隱逸) 생활을 하였고 은일 생활 가운데 마음의 평화를 찾았다. 나아가 그는 인생 체험 경계인 초일(超逸), 방일(放逸), 고일(高逸) 품격을 결합한 일기가 형성되었고 이 일기는 최고 인격에서 나온 최고의 인품의 표현이다. 예찬의 철학적 사유는 유가에 의존하고 도가에 의지하여 선으로 들어간 인생체험의 경계와 특히 말년에 형성된 은일(隱逸) 생활 중에 속세와 떨어져 모든 명리와 속박을 벗어났을 때 형성된 것이다. 특히 일기 미학적 특징은 도가의 영향으로 개체에 대한 독립, 자아의 자유를 통해 소요유(逍遙遊)한 정신과 선종에 의해 자기 마음을 표현한 자성의 사상인 자오(自娛)의 일기이다. 그의 사상과 깨달음,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한 기법이 일필초초(逸筆草草)일기이다. 마지막으로 예찬의 흉중 일기로 일필화한 천진평담(天眞平淡)이 표현된 산수화는 일품의 미학이다.

      • KCI등재후보

        선(禪)적 사유에 의한 예찬(倪瓚)의 회화미 탐색

        김순섭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Zen doctrine affected life and pictorial aesthetics of Zan Ni (1301-1374), a literary artist from the Yuan Dynasty, particularly focusing on how realization of his mind and nature through experience of Zen was expressed as painting. Huineng, the sixth great Buddhist priest in Zen Buddhism, regarded observing wisdom through mind practice (自性心地); differentiating inside and outside and; realizing one’s heart as nirvana. Once on reaches nirvana, it is prajna samadhi and freedom from all thoughts. The notion of freedom from all thoughts does not mean empty mind without thinking but the primary pure and empty status. In this sense, Zen Buddhism emphasized “One’s primary mind itself is Buddha [本心本體本來, 是佛]” or “People’s mind is originally pure and all phenomena are upon self-nature [世人性本自淨, 萬法在自性].” It also stressed to obtain self-nature and genuine emptiness (自性眞空); sitting up straight with empty mind (空心靜坐) and; tranquil mind to see nature (空寂見性) through self-discipline. From this religious aspect in Zen, stress on human experience, thorough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with respect for difference and the proposition of Tao is from the enlightenment of mind (道由心悟) somewhat affected literary noblemen’s emphasis on creating beauty of life among their other aesthetic activities. This experience and realization of Zen and cognitive activity affected not only literary noblemen in Song Dynasty but life and art of Zan Ni, a litterateur in Yuan Dynasty. Zan Ni is appraised as the best artist in materialization of purity (淨), emptiness (空) and tranquillity (寂) throughout history of Chinese painting. In addition, his elegant life and quiet and secluded life share many things with thoughts pursued in Zen and it is regarded to profoundly affect his life and artistic spirit. 본 논문은 선(禪)의 교리가 원대 문인화가 예찬(倪瓚:1301~1374)의 삶과 회화 미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선의 체험을 통한 자심자성(自心自性)의 깨달음이 회화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선불교의 6대 조사 혜능(惠能)은 자성심지(自性心地)로써 지혜를 관조하고 내외(內外)를 명철(明徹)하여 자신의 본심(本心)을 깨닫는 것이 해탈이라 보았고 해탈을 얻으면 곧 반야삼매이며 생각이 없음[無念]이라 하였다. 무념은 생각이 없는 허무한 마음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 청정(淸淨)하며 텅 빈 마음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선불교는 “본심 본체가 본래 부처이다[本心本體本來, 是佛]” 또는 “사람들의 인성은 본래 깨끗하고 만법은 자성에 있다[世人性本自淨, 萬法在自性]”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수양을 통해 자성진공(自性眞空), 공심정좌(空心靜坐) 얻기를 강조한다. 이러한 선의 종교적 측면이 중국 사대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아울러 선의 종지가 인간의 체험을 중시하게 되면서 근본적으로 인간의 본성을 투철하게 이해한‘도유심오(道由心悟)’라는 명제가 문인 사대부들의 심미 활동에 영향을 주었고 그들이 추구하는 최고의 예술적 경계가 되었다. 선적인식 활동은 송대 문인 사대부뿐만 아니라 원대 문인 예찬의 삶과 예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찬은 중국 회화사에서 정(淨), 공(空), 적(寂)을 가장 잘 체현한 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의 정아(淨雅)하고 유정(幽靜)한 은일적 삶은 선불교가 추구하는 사유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나아가 그의 예술정신의 본체이다.

      • KCI등재

        조맹부(趙孟頫) 산수 회화에 나타난 고의(古意)성 연구

        김순섭 인문예술학회 2021 인문과 예술 Vol.- No.11

        본 논문은 14세기 조맹부(趙孟頫, 1254~1322)의 고의(古意)성 연구를 통해 그의 산수 회화 미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원나라 때에는 몽골족이 한족을 거의 백년 동안 지배했기에 한족 사대부들은 과거에 나아가지 못했고 스스로 고일(高逸)한 정신을 추구하며 시를 짓고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렸다. 물론 조맹부는 남송 종실(宗室) 출신의 한족이지만 원 조정에 출사하여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의 벼슬에 올랐고 사후에 위국공(衛國公)에 봉해졌으며 문민(文敏)이라는 시호까지 받았다. 그러나 그는 원나라 조정에 충실한 것에 대해 심적인 고통도 지극히 컸었기에 한평생 수치스러워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예악 사상을 통해 도(道)를 형상화하고 미개한 통치집단의 횡포로 말미암아 쇠락해가는 한문화를 예로써 교화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의식으로 자신 삶 속에서의 모순과 회한을 시(詩)·서(書)·화(畵)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삶의 배경이 조맹부가 예술에서 고의론을 추구하게 하였고 세속을 초월하는 고고(高古)한 기운을 추구하게 하였다. 조맹부가 추구한 고의론의 바탕은 삼교 합일이지만 산수화에서는 도가의 사상으로 인한 일(逸)의 기운(氣韻)이 잘 드러나고 특유의 간솔(簡率)한 미가 돋보인다. 아울러 서법의 필법이 회화에 녹아들고 그 필법은 자유롭고 기민한 리듬을 갖고 있어 원대 문인화의 개성적 심미 풍격이 발전하게 하는 토대가 되었다. 나아가 예찬(倪瓚)이 추구한 일기(逸氣)에 영향을 주었고 청대에 팔대산인(八大山人) 회화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This thesis tried to clarify beauty of paintings by Zhao Mengfu (趙孟頫: 1254~1322) through the theory of old intent (古意) art, his theory of aesthetics. The Han Chinese elite could not take any national examination and pursued the spirit of old things (高逸) and the hidden mind (心隱) in various places writing poems and letters and doing drawings because Mongols ruled Han Chinese for nearly a hundred years in the Yuan Dynasty. Of course, Zhao Mengfu was from the royal family(宗室) in the Southern Dynasty, but he entered the royal court of the Yuan Dynasty, became Hallimhaksaseungji(翰林學士承旨), and was raised to Wigukgong(衛國公) and received a posthumous title of Munmin(文敏). However, he was shameful and longed for the hidden mind for life because being faithful to the Yuan Dynasty caused him tremendous emotional distress. So he made contradiction and deep regret in his life the foundation of his unique art. This background made Zhao Mengfu pursue the theory of old intent aesthetics, that is the spirit of literary persons who criticize art of the time by seeking “meanings(意)” of old persons and drawings. In addition, old intent pursued by Zhao Mengfu is based on the old and elegant (高古) spirit which is revealed in his paintings and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vuglar and are extraordinary or above worldly things are shown in it. And it was expressed as simple shapes due to natural beauty(自然之美) of Taoism that transcended shapes. However, the shapes in the paintings by Zhao Mengfu are simple, but they are hidden(逸) art that reveals the spirit well. And as his technique of calligraphy is expressed as excellent writing and drawings(逸筆) which are free, his unique and simple(簡率) beauty stands out. Especially, his technique of calligraphy was applied to his paintings, but it made his paintings have free and quick rhythms. And all these things were the result that aesthetic styles, ideal, and hobbies(趣味) from prosperity of literati paintings were changed. In addition, Zhao Mengfu’s old intent art had an effect on Ni Zan’s excellent spirit(逸氣) aesthetics and furthermore, Bada Shanren in the Qing Dynasty who expressed liveliness in his paintings with one simple stroke of a brush.

      • KCI등재

        예찬(倪瓚) 시ㆍ서ㆍ화 일률에 대한 회화의 의경(意境) 미 고찰

        김순섭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This paper is designed to find out the aesthetics of painting on the uniformity of poem, writing, and painting by Ni Zan (1303~1374) who lived in 14th century. The uniformity of literature (poem) and arts (writing and painting) may be considered as the most innovative and predominant artistic trend in 14th century. Of course, although the uniformity between the poem, writing and paint had been tri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with Su Shi recognizing the paining as one of the literature, it was during the period of Yuan Dynasty that the uniformity showed the literary and rich beauty of the uigyeong. As the Mongol tribe which was enemy to Han Chinese tribe ruled Han Chinese tribe during the Yuan Dynasty, the period was sad for Han Chinese people. In addition, as the offici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was not conducted during that period, the noblemen having a lot of knowledge had nothing more than to reside in the study, garden or mountain to write their own poems, draw the paintings and write the essays. In addition, as the cultural activities of groups, they made the criticism over the study, literature and arts, thus lea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beauty during that time. Especially, Zhao Mengfu, Ke Jiusi, Yang Weizhen, TANG Hou, and four painters (Huang Gongwang, Ni Zan, Meng Wang and Wu Zhen l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Yuan Dynasty. At that period, as there was not the gardening system and ‘Saseung’ relation, the ‘Goi’ arts and the indivdiual’s ‘Saeui’ art were very predominant. Among them, a person who is distinct with the ‘Uigyeong’ beauty in the painting is Ni Zan due to his uniformity over poem, writing and painting. His simplistic painting of nature showed his thoughts along with his zeitgeist, his own experience in life and ideology through the vanity and nothingness. In his painting or poem, the detailed physical aspect or rhythm was not so important. I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he was not much bothered by the technical dexterity. He simply put emphasis on his thought over the looks. Therefore, he got his own technique and rule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sufficient value by merging the literature with the arts. The practice of this art led him to realize the human individuality and make him free from the previous norm or order. This was the achievement of creative arts for him. So, though his painting itself is the masterpiece of itself, his calligraphy, and poem are also recognized by descendants as the best arts so that his prestige has been known up to now. 본 논문은 14세기에 살았던 예찬(倪瓚:1301~1374)의 시(詩)ㆍ서(書)ㆍ화(畵) 일률(一律)에 관한 회화 미학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시)과 예술(서화)의 일률은 14세기에 가장 혁신적이면서 당대의 주류(主流)를 이룬 예술 경향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시·서·화 일률의 시도는 이미 북송시대에 소식이 회화를 문(文)으로 인식하여 시도하였지만, 문학적이며 풍부한 의경(意警)의 미가 잘 드러난 시대는 원나라이다. 원대에는 이민족인 몽골족이 한나라를 지배하였기에 한족에게는 매우 불우한 시대였다. 그리고 과거제도도 시행되지 않아서 학식과 지식을 갖춘 많은 사대부가 서재, 정원, 산수 등에 은거하여 자신의 흥에 따라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며 글씨를 쓰기도 했고 또 아집(集團) 문화 활동으로 학문, 문예, 예술 비평을 하여 당대의 미의식을 선도해 나갔다. 특히 조맹부(趙孟頫)로부터 시작하여 가구사(柯九思), 양유정(楊維楨), 탕후(湯垕), 사대 화가[황공망, 예찬, 왕몽, 오진] 등이 원나라 미의식을 선도해 나갔으며 이 당시에는 화원 제도뿐만 아니라 사승(師承)의 관계도 없었기 때문에 고의(古意)예술과 개성주의인 사의(寫意) 예술이 가장 부흥한 시기였다. 이중에서 시·서·화 일률로 인해 회화에서 가장 의경(意境) 미가 풍부한 문인은 예찬이다. 그의 간결한 자연의 형상에는 허실(虛實), 유무(有無)를 통해 그의 시대정신과 자신 인생의 경험, 사상이 함께 융합되어 자유롭게 그의 뜻이 표현되었다. 그는 그림을 그리거나 시를 읊은 것에 대해서 구체적인 물상과 음률은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서예와 회화에 대하여 기술이 능숙하든지 졸렬하든지에 크게 상관하지 않았다. 단지 그는 그 형상 너머 그의 뜻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했다. 그렇기에 그는 스스로 독립적인 자신의 기교와 법칙을 가지게 되었고 아울러 문학과 예술이 상호 융합되어 풍부한 심오한 담(淡)의 의경 미가 회화에 표현되었다. 이러한 예술의 실천은 인간개성의 주체적 의식을 각성시키게 되었고 나아가 이전 시대의 의례적 질서로부터 그를 해방했다. 이점이 예찬에게 가장 커다란 창조적 예술성취이며 그의 회화 자체로도 일품이지만, 서예와 시 또한, 일품(逸品)의 예술임을 후대에 많은 사람이 품평하였다.

      • KCI등재

        한·일 해외직접투자의 지역별 결정요인 비교분석

        김순섭,김성기,강한균 한일경상학회 2010 韓日經商論集 Vol.46 No.-

        We may have a question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ODIs is competitive or not all in the worldwide areas. This study was analyzed to find that Korean and Japanese ODIs are competitive each other by the area.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cation choice determinants of Korean and Japanese Overseas Direct Investment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Asian's share of total amount of Korean accumulate ODI(1974∼2008) is about 50% and that of Japanese accumulate ODI(1965∼2008) is 20%, respectively. But the slope of Japanese trend line was positive since 1985. Accoooing to the slope of Korean ODI's trend lines, Asia, Southern America and Europe have positive slopes. On the contrary, Japanese linear regression curve has only positive slopes in northern America and Europe. Second, empirical tests of Error Correction Model show that GDP was a long-term determinant variable of Korean and Japanese ODIs in all the areas except Southern America. GDP was only a short-term determinant variable of Korean and Japanese ODIs in Europ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Korean and Japanese ODIs will compete both in Europe and Asia. And particularly,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giving incentives to Korean companies who will launch in Europe. Korean companies should make use of every opportunity due to Korea-EU FTA treat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